카테고리 없음

기업경영정보-10/28

구봉88 2013. 12. 15. 23:19



(GMRI  Business Intelligence 2013-576호,   2013.  10.  28.)

 

 

 

 

 

 

 

 

1.3만 달러 시대 또 뒷걸음

2.환율, 韓경제 위험요인으로 부상

3.'세계무역 증가율 = GDP 2배' 공식 깨졌다

4.美 양적완화 유지덕에 신흥국 경제 기지개 켠다

5.北, 외자유치 위해 평양 인근까지 개방

6.[재정타령하면서… 혈세는 허투루] 1천억 퍼주고 국제무대 지원하고도 찬밥신세

7.연구실 박차고 시장에 뛰어드는 출연연구기관들

 

9. 기업경영

  -삼성, 달리는 말에 채찍…2014년 목표 '매출 10%대 성장'

  -삼전ㆍ현대차ㆍ기아차 3곳이 韓기업 순익의 30% 차지

  -삼성전자 4.9% 팔면 LG전자 전부 산다

  -나중에 누가 크게 웃을까…삼성-LG, 주요사업 정반대로

  -청춘의 필수 과목, 가장 절박한 문학… '자소서'

  -한경 특별기획 - '죽어가는 기업가 정신…불꺼진 성장엔진'

  -삼성전자 빼면 빨간불인데 저성장 탈피?

  -한국 경제에 던진 英 이코노미스트의 '충고'

  -현대차 美시장 성장성 1위

  -레고가 장난감?…이젠 5배 수익 재테크 !

  -디자인 작품에도 투자 열기…경매·기획전 등 활발

  -퍼거슨 '자서전' 통해 본 맨유를 최고의 팀으로 이끈 비결은…

  -[실전 MBA] 우리회사 A급 인재, 그는 왜 짐을 싸는가

  -美선 대중화·中선 고급화 전략… 파리바게뜨 "7년뒤 해외매출 2조3천억"

  -[풍년의 역설] [2] 가격 변동 부추기는 경매

  -`삼성 분기 영업익 10조시대` 과제는…

  -"올해 음성인식 휴대전화 판매량 10억대 넘는다"

  -스마트폰 1000만화소 시대… 직격탄 맞은 디카(디지털카메라)

  -연 51.4% 고성장 중국 ‘황금알’ 사업 뭐길래…

  -"영리병원 '영'자만 나와도 국회서 난리"…규제 완화로 선회

  -'착한 가게'의 눈물

  -삼성전자 2014년 사업 향방은?

  -[글로벌 이노베이션 DNA]경험을 파는 가게 `애플 스토어`

  -[이슈분석]페이스북 향후 10년은 `모바일 광고와 그래프 검색`에 달렸다

 

 

10.Global View(Eye) & Professional 몇 가지 

   -[매경시평] 노벨경제학상이 부럽다고?

   -탄생 120주년 앞두고 마오쩌둥 추모 바람

   - [韓, 日 집단자위권 한반도선 제한] 집단자위권 현실적 인정… 영토·주권만은 수호 의지

   -리커창-아세안 10개국 경제장관 베이징서 회동

   -헉! 위기때 10조원 벌어…'버핏의 명품 포트폴리오'

   -경제전망은 과학과 예술의 경계선… 전문가의 미래 통찰력 필수

   -“한국인의 문화 DNA로 만든 콘텐츠산업이 창조경제 핵심”

   -우주 조난 다룬 영화 ‘그래비티’ 속 과학과 허구

   -세계 전시산업의 올림픽 'UFI 총회' 내달 열린다

   -[29일 '저축의 날' 50주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저축률 반짝 끌어올렸지만…

   -또 코드인사에 밀린 대탕평… 朴정부 권력기관 ‘PK편중’

   -손병두 “차라리 유신시대가 좋았다고…”


3만 달러 시대 또 뒷걸음



IMF 예상시기조정 해마다 6개월씩 늦춰
경제활력 회복 안되면 2020년 이후 될 수도

한국 경제의 성장률이 점점 낮아지면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상하는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3만달러 돌파 시점이 1년에 6개월 꼴로 뒷걸음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 활력이 조기 회복 되지 않을 경우, 최악의 경우 2020년대가 돼야 '3만달러 시대'를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가 매년 반기별로 실시하는 세계경제전망에 수록된 한국 경제의 '1인당 GDP 3만달러'시점이 추세적으로 지연되고 있다. IMF가 해당 시기를 예측하기 시작한 건 2011년 4월 전망부터. 당시 2016년 3만1,826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2012년 성장률이 2% 초반으로 떨어지면서, 그 해 4월 전망에서는 2016년의 1인당 GDP를 3만878만달러로 낮춘 데 이어 10월에는 아예 돌파 시기를 2017년(3만1,824달러)으로 연기했다. 올해에도 4월에는 2012년 전망 때는 반영하지 않은 원ㆍ달러 환율 하락세까지 반영해 2017년의 1인당 GDP를 3만1,691달러로 추정했으나, 10월에는 3만87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2011년 이후 반기별 전망이 나올 때마다 추정치가 하락, 1인당 GDP 3만달러 돌파 시점이 1년 마다 6개월씩 지체되고 있는 것이다.

달러로 환산한 1인당 GDP가 추세적으로 하락하는 이유는 우리 경제의 활력이 IMF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 4월에는 2016년 경상GDP를 1,783조원으로 추정했으나, 2012년 4월과 올해 10월에는 각각 1,729조원과 1,683조원으로 하락했다.

이에 따라 '1인당 GDP 3만달러' 시대가 2020년 이후에나 가능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IMF는 '2015년~2017년에는 성장률이 4% 내외에 달할 것'이라는 우리 기획재정부 전망을 100% 수용하고 있는데, 향후 성장률이 4%에 미치지 못하면 실제 도달 시점을 기약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한밭대 이준우 교수는 "빠른 시일 내 침체된 경제를 되살려야 IMF가 전망한 시기에 3만달러 시대를 맞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철환기자 chcho@hk.co.kr

  

.......................................................................................................... 

환율, 韓경제 위험요인으로 부상

(서울=연합뉴스) 정책ㆍ금융팀 = 회복세를 보이던 한국 경제가 원화 강세의 복병을 만났다.

원화 가치의 절상은 경상수지가 18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해온데다 국내 증권시장에 외국인 투자자금까지 몰려들면서 달러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신흥국과의 차별화 원인인 한국 경제의 탄탄한 기초 체력이 도리어 위협 요인을 불러온 셈이다. 여기에 미국의 양적완화(QE) 축소가 애초 예상보다 늦춰지면서 빚어진 글로벌 달러화의 약세 현상이 원화 강세를 한층 더 자극했다.

문제는 원화 가치 절상의 여파다.

예전보다는 수출경쟁력의 환율 요인이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원화 강세는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거나 최소한 수출기업의 채산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내수 부진을 중심으로 긴 경기 침체의 터널을 겨우 빠져나오려던 한국 경제가 수출마저 흔들리는 상황이 오면 적지않은 타격을 받게 된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최근 경기 회복세의 변수로 투자활성화 관련 102개 법안의 입법화와 함께 환율을 꼽으면서 "변수 두 가지로 인해 회복세가 꺾이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은 1.9%로, 수출 기여도가 1.3% 포인트였고 내수 기여도는 0.6% 포인트에 그쳤다.

오정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적정 원·달러 환율은 1,150원, 원·엔 환율은 100엔당 1,290원대로 생각한다"며 "이미 이보다 100원가량 더 떨어진 만큼 많은 기업이 손익 분기점을 맞추기 어렵고 6개월 정도의 시차를 고려해도 내년 중반에는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이 장중에 연중 최저를 기록한 지난 2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공동 명의의 구두 개입에 나서며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한 데에는 이런 우려가 깔려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공동 구두 개입은 5년 만에 처음이다.

외환당국은 현재의 외환시장은 쏠림 현상이 지나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의 하락은 '흑자형 불황'에 대한 우려도 낳고 있다.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수입은 늘지 않아 통화가치 절상 압력이 만성화하면서 수출과 수입 규모가 모두 줄고 경제 성장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수입구조를 보면 에너지, 설비투자 등을 제외하고 전체의 10% 정도만이 가계 소비 등 원화 강세로 수입을 많이 늘릴 수 있는 부분이지만 가계는 소비 여력이 별로 없다"고 분석했다.

물가 측면에서는 원화 강세가 반갑지 않은 상황이다. 낮은 물가 상승률이 너무 오래 지속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마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9월에는 0.8% 오르는 데 그쳐 상승률이 14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투기성 단기자금 등의 급격한 유출입에 대한 대응으로 거시건전성 3종 세트(선물환 포지션 제도,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외환건전성 부담금)를 강화하고 외환보유고도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데에 입을 모으고 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형 토빈세 논의 자체도 투기 세력에 대한 경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당국은 최근 원화 강세가 환차익을 노려 유출되는 자본 때문에 증권시장이 심각한 문제를 겪을 수준은 아니지만 신규 자본의 유입을 억제하는 압력은 될 것으로 보면서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역대 최장의 순매수를 기록하다가 25일 순매수 41일만에 '팔자'로 돌아서 27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evan@yna.co.kr

 

..........................................................................................................



'세계무역 증가율 = GDP 2배' 공식 깨졌다



높아지는 보호장벽·선진국의 제조업 회귀…

2012년 무역 증가율 2.0%…GDP 성장률에도 못미쳐

'세계화' 부정적 여론 높아져…한국 해운업 등 악영향 우려


지난해부터 둔화되기 시작한 세계 무역증가세가 장기적인 추세로 굳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무역 증가율이 경제 성장률을 밑돌고 있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무역 증가율은 경제 성장률의 두 배’라는 공식이깨지고 있다”고 지난 25일 전했다. 1980년부터 2011년까지 세계 무역 증가율은연평균 7%로 세계 경제 성장률(3.4%)의두 배 이상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무역증가율은 2.0%로 2.3%를 기록한 성장률을 밑돌았다. 올해 역시 경제 성장률은 2.9%까지 높아질 전망이지만 무역 증가율은 2.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표면적인 이유는 여전히 회복하지 못한 선진국 경기와 신흥국들의 성장률 하락세다. 하지만 세계무역기구(WTO)는7월 보고서에서 “위기를 벗어나더라도경제 성장률 대비 무역 증가율은 1.5배를 넘어서기 어려울 것”이라며 “지난 30년간 세계 무역 성장을 이끌었던 요소들이 고갈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무역 증가세를 이끌어온 글로벌분업구조가 약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FT는 중국의 근로자 임금이 오르면서저임금을 이용한 해외 임가공 모델의 장점이 약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을비롯한 선진국들이 제조업 회귀 전략을통해 해외에 나간 자국 공장을 신흥국에서 철수시키고 있는 점도 하나의 이유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장치를 도입하고 있는 점도 걸림돌이다. 스위스 생갈대 분석에 따르면 2008년 11월 이후 주요 20개국(G20)은 1500개 이상의 보호무역 장치를도입했다. 특히 유럽연합(EU)은 2013년5월까지 688개의 보호장치를 도입해 매달 10개 이상의 조치를 쏟아냈다.

폭발적인 무역 증가의 토대가 됐던 세계화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피터슨연구소는 최근‘무역의 세계화와 그 미래’라는 보고서에서 낮은 성장률과 늘어나는 재정적자,생활 수준 정체 등에 직면한 미국 등 선진국에서 세계화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틴 케슬러 피터슨연구소 연구원은 “그나마 중국이 자국 시장 개방에 적극적이지만 정치적 변수가 많아 개혁이 이뤄질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한국 해운사들의 어려움도 당분간 지속될전망이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무역 성수기인 올 5월에도 물류 운임이 하락하는 등 수요가 예전 같지 않다”고 말했다. 활발한 무역에 의존해 성장해 온 세계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줄 것으로 보인다.

물론 반론도 있다. HSBC는 인도 등 신흥시장의 인프라 투자가 늘면서 2030년까지 무역이 연평균 8% 늘어날 것이라고전망했다. 패트릭 로 전 WTO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2년간 무역 부진은 EU 불황에 따른 것으로 세계 경제가 정상화되면 무역도 되살아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

美 양적완화 유지덕에 신흥국 경제 기지개 켠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금융위기 직전까지 내몰렸던 아시아 신흥국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양적완화 축소가 내년으로 미뤄졌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썰물처럼 나갔던 투자자금이 돌아오고 있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추락했던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통화가치는 다시 오르고 있다.

인도 루피화는 지난 25일 달러당 61.605루피로 지난달 18일 이후 2.8% 올랐다. 사상 최저 수준을 보였던 지난 8월 28일(68.825루피)보다는 10.5% 뛰었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도 25일 기준 달러당 1만993루피아로 지난달 5일 최저점보다 5.6% 상승했다.

투자자금이 대거 빠져나가면서 하락일로였던 주식시장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 센섹스(SENSEX) 주가는 8월 28일 1만7996.15에서 지난 25일 2만683.52로 2687.37포인트 상승했다. 인도네시아 IDX종합지수도 같은 기간 4026.48에서 4580.85로 올랐다.

불안했던 아시아 신흥국시장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연기로 해당시장에서 달러 유출이 진정된 덕이다. 여기에 미국의 저금리와 달러 약세를 노려 미국에서 돈을 빌린 후 금리가 높은 아시아 신흥국 시장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미 양적완화 축소가 내년 초 시작되면 다시 아시아 신흥국이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신흥국들이 거시경제 안정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적절한 정책수단을 취하지 못한다면 결국 미 양적완화 축소시점에서 충격이 더욱 커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

 

北, 외자유치 위해 평양 인근까지 개방



개발구 투자제안서 살펴보니

[동아일보]

‘(북한) 국내에서 가장 큰 국제무역항인 남포항까지의 거리가 10km밖에 되지 않고 평양국제비행장까지 60km여서 국내외 운송과 인원, 자금의 유출입에 대단히 유리하다. 풍부한 대동강수원이 있어 용수 보장에 유리하다. 용지가 옛 염전지역이라 부착물의 철거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

27일 동아일보가 입수한 북한의 개발구 투자제안서 중 남포시 와우도수출가공구에 대한 설명의 일부다. 와우도구역의 지리적인 특성과 개발구로서의 장점, 추진 가능성, 전력과 용수 같은 주변의 인프라 상황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다. 한 북한전문가는 “북한이 수도인 평양 인근에 개발구를 조성하고 평양과의 인접성을 내세워 외자 유치에 나선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A4크기 용지 26장 분량의 이 투자제안서는 13개 개발구별로 나눠 보면 2장씩의 분량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제안서가 기존의 다른 경제개발 계획서보다 구체적이고 진일보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외자유치의 성사 가능성과는 별개로 북한이 해외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 규모는 줄이고 목표는 낮춘 실험

이번 투자제안서의 가장 큰 특징은 13개 개발구 모두를 대상으로 외국기업들의 투자를 상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나선과 황금평·위화도,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특구 등 북한 땅의 끝자락 4곳만 제한적으로 개방하던 이른바 ‘모기장식’ 투자와 달리 이번에는 북한의 전 구역을 외자유치 대상으로 삼아 개방하겠다는 의미다. 북한이 과거보다 전면적이고 포괄적인 외자 유치에 나서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북한 기업과 해외 투자자 사이의 합영기업 형태와 함께 해외 투자자들이 단독으로 기업을 설립할 수 있도록 해 놓은 곳도 상당수다.

지역 단위의 개발구이다 보니 개성공단이나 나선특구 같은 기존의 특구보다 규모가 작은 것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개발구별 용지 규모는 대부분 2∼3km², 목표치로 설정한 외자유치 규모는 대부분 1억 달러 안팎이다.

지역별 특성에 맞춰 농업과 공업, 관광, 수출가공 등으로 개발 분야를 나눠놓은 점도 눈에 띈다. 또 상하수도와 전력, 철도 등 개발구의 조성에 필요한 인프라가 이미 상당 부분 갖춰졌거나 구축이 가능한 곳이 지정돼 있다. 함경북도 어랑농업개발구의 경우 ‘어랑비행장이 현대화되면 외국인 및 화물 수송이 편리하고 함흥∼청진 간 1급 도로와 직접 연결돼 있으며 8km 떨어진 어랑역을 통해 동서해지구로 연결된 철길을 활용할 수 있다’는 식의 분석이 담겨 있다. 어랑비행장은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민영화를 특별 지시했다는 군사 비행장 3곳 중 하나다.

북한은 투자제안서에서 개발구로 지정하려는 지역의 위치를 비교적 상세하게 명시했다. 북청농업개발구의 경우 ‘함경남도 북청군 문동리, 부동리, 종산리의 일부 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지역별로 개발 가능한 용지에 대한 검토 및 선정 작업이 이미 끝났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좀 달라 보이기는 하는데… 성공 가능성은 미지수”

북한대학원대의 양문수 교수는 “북한이 외자 유치를 위해 고민한 흔적들이 보인다”며 “이런 식으로 투자 리스크를 줄이고 실질적으로 진행 가능한 부분에 집중한 소규모 개발구를 추진하는 것이라면 어느 단계까지는 정치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고 진행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제안서에 언급돼 있지 않은 투자의 안전성 보장, 분쟁 시 해결방법, 근로자의 임금 등 구체적인 사안은 5월 제정된 경제개발구법을 통해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양 교수는 설명했다. 대북 경협분야 전문가인 유완영 ㈜유니코텍코리아 회장은 “북한이 ‘1국가 2체제’로 전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평가까지 내놨다. 정치적으로는 김정은 중심의 사회주의를 유지하되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적인 시스템을 도입해 초보적 단계의 개혁·개방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북한은 핵과 경제개발의 병진노선을 천명한 이후 관광과 오락, 유통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교체된 상급(장관급) 인물 27명 중 85%인 23명이 경제 관련 인사였다. 북한은 특히 올해 2월 3차 핵실험 이후 핵개발 분야에서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갖고 경제 분야를 밀어붙이는 모양새다.

그러나 북한이 외자 유치에 성공할 가능성은 여전히 미지수다. 하드웨어와 인프라를 갖춘다고 하더라도 북한이 이를 이행할 능력과 준비를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시하는 사람이 많다. 무엇보다 국제사회의 고강도 대북제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외국기업들이 호응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한국 정부가 투자를 권유하는 개성공단에조차 입주 희망기업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과거에도 몇 차례 경제개혁을 추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며 “이번 구상이 과거보다 실행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만 해외 투자자를 찾는 것은 여전히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3800만 달러를 투자했던 중국의 시양(西洋)그룹은 지난해 9월 현지의 인프라 부족과 북한 당국의 임금 인상 및 토지 사용료 등 무리한 요구, 일관성 없는 태도 등에 시달리다 결국 철수했다. 시양그룹은 철수 당시 “(북한에서의 기업활동은) 악몽이었다”고 밝혔다.

이정은 기자 lightee@donga.com
..........................................................................................................

 

[재정타령하면서… 혈세는 허투루] 1천억 퍼주고 국제무대 지원하고도 찬밥신세

정 부가 내년에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등에 내는 국제금융기구 출연금과 녹색기후기금(GCF) 지원금을 합한 금액이 처음으로 1100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국제무대에서는 푸대접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2014년 국제금융기구 출연 사업자료’를 보면 내년 출연금은 980억3400만원으로 올해(836억1800만원)보다 144억1600만원 늘었다. 특히 한국·WB 협력기금이 386억4000만원으로 올해(240억8000만원)보다 145억6000만원 증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27일 “WB 관련 증액은 지난해 김용 WB 총재 취임을 계기로 올해부터 2015년까지 3년간 90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한 것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내년 예산안에서 사무국 운영비와 개도국 지원금 등 GCF 관련 비용으로 123억2000만원을 배정했다.

문제는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데도 국제금융기구에서 한국의 영향력은 미미하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기준 국제금융기구에서 근무 중인 한국인은 146명으로 정원 대비 0.75%여서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제금융기구 평균 지분율(1.47%)에 비해 절반 수준이다. 국제금융기구가 발주하는 조달시장에서도 시장 규모는 지난해 299억 달러에 이르지만 우리 기업 점유율은 2.0%에 그쳤다.

한편 오는 12월 입주할 예정인 WB 한국사무소 소장에는 레스터 달리 WB 한국 담당 대표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국장과 과장 사이의 직급으로 일본·싱가포르 등 다른 아시아 국가의 지역사무소장에 국장(디렉터)급이 오는 것에 비하면 한 단계 낮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장에 취임하면 디렉터급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재정타령하면서… 혈세는 허투루] 11조 들이붓고 낙제점 SOC에 추가 투입 예정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결과 ‘타당성 없음’ 판정을 받은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에 정부 예산 11조원이 추가 투입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기획재정부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민주당 조정식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3년부터 올해까지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종합평가(AHP)지수가 0.5를 넘지 못한 사업은 23개에 총 사업비는 11조2455억원이었다.

AHP지수는 경제성을 판단하는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 결과와 정책적 효과, 지역 지역균형발전 분석 등을 합산한 수치로 0.5 미만이면 ‘타당성 없음’으로 판정한다.

‘타당성 없음’ 판정을 받은 23개 사업 중 현재까지 지원된 정부 예산은 3300억원에 불과하다. 이들 사업이 시행 초기여서 설계비 등 극히 일부분만 집행됐기 때문으로, 11조원에 육박하는 본격적인 공사비는 앞으로 투입돼야 한다는 뜻이다.

인덕원∼병점 전철사업은 B/C가 0.31로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고, AHP지수도 0.257로 0.5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총사업비 2조662억원 중 현재까지 지원된 예산은 10억원뿐이다. 영동∼영덕 간 고속도로 사업 역시 B/C 0.56, AHP 0.476으로 타당성 없음 판정을 받았지만 사업이 진행돼 1조8874억원이 추가 투입돼야 한다.

정부는 예산 낭비를 방지하고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고 국가 재정지원이 300억원 이상으로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사업을 대상으로 예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조 위원은 “예타 조사를 무시하고 사업 추진을 하거나 예타 면제 대상이 광범위한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
 

연구실 박차고 시장에 뛰어드는 출연연구기관들


11월 출연연 공동기술지주회사 설립…"과학기반 창조경제 가속"

(대전=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자연법칙을 탐구하거나 첨단기술을 개발하던 과학자들이 요즘 들어 기업과 시장, 투자와 수익 공부에 몰두하고 있다. 자신이 개발한 연구성과물을 상품·서비스로 만들어 시장에 판매하는 '창업'을 하기 위해서다.

창업대열에는 민간기업 소속이 아닌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들까지 동참하고 있다. 17개 출연연들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창업을 하도록 돕는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한데 뭉친 것이다.

28일 지주회사 설립준비위원회에 따르면 출연연 공동기술지주회사는 이달 말 최고경영자(CEO) 선정과 조직 구성을 마치고 11월 창립총회를 열 예정이다. 다음 달 중 법인 설립이 완료되면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경영활동에 나서게 된다.

공동기술지주회사는 각 출연연이 개발한 기술을 사업화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과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창업기업이 체계적으로 성장하도록 마케팅, 법적·세무적 지원까지 제공한다.

17개 출연연은 초기 자본금으로 2015년까지 530억원을 출자할 방침이다. 10년 뒤인 2023년까지 목표는 200개 자회사와 연구소기업 설립, 2천500명의 일자리 창출, 영업이익 30억원 달성 등이다.

◇ "출연연의 창업? 생뚱맞지 않다"

출연연의 창업 활동은 이번 정부의 핵심 기치인 '창조경제'를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창조경제'라고 강조해왔다.
출연연공동기술지주회사 설립준비위원장인 정연호 한국원자력연구소장은 지난 24일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지주회사 설립은 창조경제 정책으로 느닷없이 떨어진 임무가 아니라 예전부터 해왔던 일을 업그레이드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1970년대 출연연은 과학기술로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목표로 하나 둘 등장했다. 당시는 연구 성과 하나하나가 국가 발전으로 이어지던 시기였다.

하지만 경제성장이 정체되고 일자리가 부족해진 지금은 창업이 국가 발전에 꼭 필요한 일이 됐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연구를 위한 연구'를 경계해야 하는 상황이기도 했다. 그리고 때마침 과학 기반 창조경제가 강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정 원장은 출연연 공동기술지주회사가 '공익성'을 추구한다고 설명했다. 금융 이익에 연연하기보다는 자회사들이 유기적으로 성장해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설명이다.

◇ 뭉치면 새로워진다…'융합'

공동기술지주회사는 '금융'을 매개로 각 출연연의 기술이 쉽게 융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원장은 "지난 정부에서도 출연연을 합쳐 새로운 기술을 창출하자는 논의가 있었지만, 하드웨어만 합쳐서는 제대로 된 융복합을 기대할 수 없다"며 "각 출연연이 자기 자본을 투입하면 서로 적극적으로 결합에 나서게 된다"고 설명했다.

공동기술지주회사 설립 실무작업을 하는 김명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기술사업부장은 "지주회사는 정보기술(IT)와 원자력, 원자력과 바이오 등 각 출연연의 경쟁력 있는 기술을 연결해 새로운 융합 분야를 기획·창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부장은 "새로운 개척 분야는 그 자체로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며 "지주회사가 자회사들의 생존율을 높이려고 책임지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성공할 수 있을까?

공동기술지주회사는 막대한 자본금과 첨단 기술로 무장할 예정이지만, 그런 거대한 몸집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 원장은 "17개의 출연연이 연합해서 하는 것에 익숙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크고 작은 연구기관들의 이견이 표출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래서 CEO의 어깨가 무겁다. 준비위원회는 출연연의 생태계를 잘 이해하고, 자본 운용에 밝으며, 벤처 창업·육성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찾아 CEO로 선임할 계획이다.

직원들도 투자자문, 기업육성 등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할 방침이다. 7명으로 시작해 2023년 22명으로 증원한다는 구상이다. 창업기업은 물론 지주회사가 성공궤도에 오르기까지는 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준비위는 강조한다.

김 부장은 "통상 벤처회사를 설립하면 이익이 나기까지 7년 정도가 걸린다"며 "이 기간을 앞당기려 노력하겠지만, 너무 단기적 성과를 강조하면 자생력 확보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출연연이 배출한 창업기업이 과연 '도전정신'이라는 벤처의 기본정신으로 무장할 수 있을지 의구심을 보인다. 기술을 상품으로 만들다가 실패해도 '출연연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으로 보수적 경영을 할 수 있다는 우려다.

정 원장은 "출연연의 창업이 사이드 잡(부업)인 것은 맞지만, 지금은 부업이 중요한 때"라며 "경제가 어렵고 새로운 게 나타나지 않은 시점인 만큼 출연연의 기본업무에도 충실하겠지만, 부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매달려야 한다"고 말했다.

abbie@yna.co.kr 

.........................................................................................................

 

 

기업경영  

.............................................................................................

삼성, 달리는 말에 채찍…2014년 목표 '매출 10%대 성장'



4대 그룹 2014년 사업계획 수립 착수

삼성, 스마트폰 이후 먹거리 찾기…31일 경영회의

현대차, 내실경영 다져 글로벌 판매 800만대로


삼성전자가 내년 매출을 올해보다 두자릿수 이상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다만 스마트폰 시장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TV 시장이 포화되는 점을 감안해 영업이익 목표는 올해보다 보수적으로 잡았다.

현대자동차와 LG, SK 등도 내년 사업 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삼성전자, 내년 10%대 성장

27일 삼성에 따르면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부문과 IT모바일(IM) 부문, 반도체(DS) 부문은 오는 31일 각각 수원 삼성디지털시티와 기흥나노캠퍼스에서 경영회의를 열어 내년 경영목표를 확정한다. 이 회의는 △6월 하반기 글로벌 경영전략회의 △12월 글로벌 경영전략회의와 함께 전 세계 총괄이 모두 참석하는 핵심 전략 회의다.

윤 부근 CE부문 사장, 신종균 IM부문 사장, 권오현 부회장 등 3명의 대표이사가 각각 맡고 있는 부문 회의를 주재하며 박재순 중국총괄(부사장), 김석필 유럽총괄(부사장) 등 90명의 전 세계 영업총괄과 각 부문 경영진이 총출동한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누계로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6.8% 증가한 169조원, 영업이익은 40.8% 급증한 28조원을 달성했다. 증권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올해 230조원대 매출을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내년에 모바일 사업에서 30%대의 의욕적인 매출 목표를 세울 가능성이 크다.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되는 추세지만 시장 내에서 입지를 강화해 매출을 더욱 끌어올리겠다는 포석이다. 다만 PC 사업의 경우 노트북 판매 부진으로 매출 목표를 낮춰 잡았다.

TV 사업의 경우 올해 매출은 시장 포화 등으로 정체됐지만, 내년에는 7~9%대 성장하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가전사업도 내년에 경제가 회복되는 선진국 시장에서 프리미엄 제품 위주로 마케팅을 강화해 한자릿수대 성장을 이룰 계획이다.

반도체 부문은 가장 높은 20%대 이상의 고성장을 목표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시안에 짓고 있는 낸드메모리 공장에서 내년 하반기 획기적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가진 3D(3차원) 낸드가 양산에 들어가면 매출과 수익이 급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대로 두자릿수대 성장을 계속하면 2020년 4000억달러(473조원) 매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2009년 창립 40주년을 맞아 2020년 매출 4000억달러를 이뤄 글로벌 10대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밝혔었다. 삼성전자는 31일 경영회의에서 내년 사업 목표를 확정한 뒤, 오는 12월 16~17일께 전 세계 주요 임원 600여명이 모이는 글로벌 경영전략회의를 열어 내년 사업목표를 공유할 계획이다.

삼성 관계자는 “내년에 선진시장은 경기가 좀 나아지겠지만 신흥시장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여파로 어려워질 수 있다”며 “매출은 두자릿수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지만, 영업이익 목표는 그에 못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LG·SK도 내년 전략 수립

현대차는 이달 말부터 내년 사업계획 수립에 들어간다. 계열사별 4분기 실적 전망과 내년 계획을 토대로 12월 해외법인장회의와 계열사 임원회의를 거쳐 내년 사업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는 내년 글로벌 판매량 800만대 돌파를 목표로 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 해외 공장 증설 계획이 없지만 기존 중국, 브라질 공장의 라인 증설, 3교대 도입 등을 통해 해외 공장 가동률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LG는 다음달 초부터 계열사별로 구본무 LG 회장에게 실적 및 전략을 보고하고 내년 사업 계획을 수립한다. 내년에도 시장 선도 제품을 많이 내 시장 성장 속도 이상으로 매출을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울 방침이다.

SK는 지난 22일 내년 경영방침을 ‘안정 속 성장 추진’으로 정하고 오는 12월 중순께 계열사별로 2014년 사업 전략을 확정한다.

재계 관계자는 “내년에도 국내외 경영환경이 크게 개선될 가능성이 높지 않아 대부분의 기업들이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쪽으로 사업 전략을 짤 것”이라고 말했다.다만 경기가 회복되는 지역 중심으로 해외 마케팅을 강화해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방식의 확대경영을 하는 쪽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김현석/전예진/배석준 기자 realist@hankyung.com

 

 

..............................................................................

삼전ㆍ현대차ㆍ기아차 3곳이 韓기업 순익의 30% 차지


2009년 14%에서 2배로 껑충…韓銀 2012년 기업실적조사 분석결과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 지난해 한국기업이 거둔 순이익에서 삼성전자·현대차·기아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30%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이 국세청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국내 영리법인 실적을 전수 집계한 '기업경영분석'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와 현대ㆍ기아차 당기순이익(별도기준)은 모두 24조8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에 삼성전자·현기차를 포함한 46만4천425개의 국내기업이 거둔 순이익은 총 86조6천억원이었다. 단 3곳의 대기업이 46만개에 달하는 전체기업이 거둔 과실의 28.6%를 차지한 것이다.

삼성전자·현기차가 전체기업의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09년도까지만 해도 14.0%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0년 16.2%, 2011년 18.9%로 높아지더니, 지난해에는 2009년의 두 배 수준까지 껑충 뛰었다.

김상조 한성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는 "삼성전자·현기차의 순이익이 전체의 30%에 달한다는 것은 결국 한두 개 기업의 뛰어난 경영성과가 나머지 기업의 현실을 가리는 '착시효과'가 일어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실제로 2012년 전체 기업의 당기순이익은 2010년(111조7천억원)과 비교해 22.4% 줄었다. 이는 이 기간 미국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 등 대외 악재로 국내 경기도 침체된 탓으로 풀이된다.

여기서 삼성전자·현기차를 빼면 이 낙폭은 10%포인트 이상 커진다. 삼성전자·현기차를 뺀 나머지 기업들의 2012년 당기순이익은 61조8천억원으로 2010년(93조5천억원)보다 33.9%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에 삼성전자와 현기차의 당기 순이익은 18조1천억원에서 24조8천억원으로 36.8% 증가하며 전체 기업실적을 떠받쳤다. 삼성전자·현기차를 뺀 나머지 기업은 실적이 사실상 침체했거나 더 악화된 셈이다.

이런 현상은 올해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기아차는 다소 부진하지만, 삼성전자가 사상 최대실적 행진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에도 10조2천억원(연결기준)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김상조 교수는 "1994~1995년에도 삼성전자의 실적이 홀로 독주하며 전체 경제가 좋아진 듯한 착시효과에 빠져 한국은 결국 외환위기를 맞았다"며 "정부는 소수 대기업에서 발생하는 '낙수효과'에 의존하는 경제정책 기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병규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지원단장은 "결국 삼성전자나 현기차가 흔들리면 한국경제 전체가 흔들리는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며 "이들과 같은 기업을 더 배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banghd@yna.co.kr

 

............................................................................

 

삼성전자 4.9% 팔면 LG전자 전부 산다

[머니투데이 임동욱 기자][LG전자 시가총액, 삼성전자 시총 5%에도 못미쳐..역사상 최저수준]

'삼성전자는 날고 LG전자는 기고'

국내 전자업체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LG전자 간 기업가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최근 우선주를 포함한 LG전자의 시가총액이 삼성전자 시장가치의 5%에도 못 미치는 등 삼성전자 대비 LG전자의 상대적 기업 가치는 역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5일 종가 기준 우선주를 포함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전체 시가총액(일반주+우선주)은 235조5852억원과 11조5171억원으로 두 기업 간 시가총액 차이는 224조681억원에 달했다. 이는 역사상 두 기업 간 시가총액 차이가 최대였던 올해 초(238조7546억원)보다는 14조원 가량 축소된 수치다.

그러나 비율로 따져볼 경우 LG전자 시가총액은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4.89%로 사상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현실성은 없지만 삼성전자 지분 4.9%를 팔면 LG전자를 통째로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이 같은 상대비율 수치가 5%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이달 8일(4.94%) 이후 이번이 사상 두 번째다.

1988년 9월과 10월 LG전자(당시 금성사)의 시가총액은 삼성전자의 200%에 달했지만 같은 해 11월 삼성전자가 삼성반도체통신을 흡수합병해 덩치를 키우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매년 10월25일 종가 기준으로 LG전자의 시가총액은 1989년 삼성전자의 78% 수준이었으나 5년 뒤인 1994년 33.2%로 떨어졌다. △1999년 14.5% △2004년 13.9% △2009년 14.2% 수준을 유지했다. 2000년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 2011년 상반기까지 두 자릿수를 유지했던 이 비율은 이후 급격히 줄어 5% 아래로 떨어졌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이런 현상은 최근 삼성전자 주가가 140만원대로 올라서며 강세를 보이는 반면 LG전자 주가는 6만원대로 떨어지면서 최근 1년 내 최저수준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두 기업의 3분기 실적을 비교해도 차이는 크다. 3분기 LG전자의 매출액(13조8921억원)은 삼성전자(59조800억원)의 23.5%, 영업이익은 2.1%에 불과하다.

시장관계자들은 한때 시장에서 어깨를 나란히 했던 두 기업의 엇갈린 행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1980년 이후 34년간의 두 기업 시가총액 추이를 살펴보면 두 라이벌 기업은 1989년 중반까지 박빙의 승부를 보였다.

1980년 1월4일 삼성전자와 금성사(LG전자의 전신)의 주가(종가 기준)는 820원과 7000원으로 시가총액은 각각 459억원, 350억원 수준이었다. 이들 두 기업은 시가총액 경쟁은 수년간 계속됐고 절대적 우위를 보이는 곳은 없었다.

1988년 10월24일 금성사 시가총액이 삼성전자를 5813억원 앞서는 등 1980년 이후 1776거래일은 시장에서 금성사가 삼성전자보다 '가치 있는' 기업으로 평가됐다. 두 기업 간 시가총액 차이가 1억원 미만이었던 때도 26거래일에 달하는 등 '막상막하'의 경쟁이었다.

이 같은 균형은 1989년 7월21일 깨진다. 당시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1조3811억원으로 금성사(1조3623억원)를 188억원 추월했다. 이후 삼성전자는 금성사에 단 한 번도 시가총액 추월을 허용하지 않은 채 급격히 시장가치를 불렸갔다. 같은 해 9월 5일삼성전자 주가는 종가 기준으로 사상 처음 주당 5만원 고지를 밟았고 연말까지 금성사와의 시가총액 차이는 5000억원 수준으로 벌어졌다.

전자업계 관계자들은 1989년을 한국 전자산업의 주도권이 삼성전자로 넘어간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당시 업계 선두였던 금성사는 극심한 노사갈등으로 36일이라는 기록적 조업중단 사태를 맞는 등 창사 이래 가장 어려운 고비를 맞았다.

90년대 들어 삼성전자 기업 가치는 급격히 불어났다. 1993년 4월19일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2조원을 돌파한 이후 같은 해 12월3일 시가총액 3조원, 한 달 뒤인 1994년 1월24일 시가총액 4조원을 돌파했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4조원을 넘어서면서 금성사와의 격차는 2조원대로 벌어졌다.

1994년 증시 호황은 주가에 불을 붙였다. 삼성전자는 94년 △7월29일 시가총액 6조 △8월19일 7조 △9월3일 8조원 △9월15일 9조원을 각각 돌파하며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였다. 1995년 7월8일 삼성전자 기업 가치는 10조원을 넘어섰고 같은 해 9월 금성사와의 시가총액 차이는 사상 처음 10조원까지 벌어졌다.

이후 불어 닥친 IMF 외환위기는 두 기업 모두에게 치명적이었다. 1997년 크리스마스 이브인 12월24일 삼성전자 종가는 3만5100원으로 시가총액은 3조6653억원으로 추락했다. 당시 금성사 시가총액 역시 1조758억원으로 줄었다.

한국경제가 위기를 탈출하면서 두 기업의 가치는 급격히 회복된 후 불어나기 시작했지만 속도는 차이가 컸다.

삼성전자는 99년 △6월 20조 △7월 30조 △11월 40조 △2000년 1월 50조 등 시가총액이 빠른 속도로 불어났고 2004년 4월13일 처음으로 시가총액 100조원을 돌파했다. 삼성전자는 2012년 3월14일 시가총액 200조원대 시대를 열었다. 올해 1월2일 삼성전자 주가는 사상 최고치인 157만6000원으로 기업가치(우선주 포함)는 251조8033억원에 달했다.

2002년 4월 회사명을 변경한 LG전자도 2004년 1월26일 처음으로 시가총액 10조원을 돌파했다. 시가총액 20조원을 돌파한 것은 4년 뒤인 2008년 4월3일이었다. 2000만대 가까이 팔린 '초콜릿폰'의 선전 등에 힘입어 2008년 상반기 LG전자 주가는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다. LG전자 주가는 2008년 5월15일 사상 최고치인 주당 16만4000원으로 시가총액은 24조9820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대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주가는 다시 미끄럼을 탔고 시가총액은 절반 아래로 줄었다.

'LG전자 응답하라 2009'..구본준호 위기는 벗어났지만

[머니투데이 오동희 기자][지난해에 이어 올해 연간 영업이익 1조 돌파할 듯..2분기 이후 하락세 성장동력 정체]

'LG전자, 응답하라 2009'

2009년 사상 최대 이익을 올리며 성가를 높였던 LG전자가 2010년 3분기 적자로 돌아서자, 같은 해 10월 1일 위기에 빠진 'LG전자'의 구원투수로 구본준 부회장이 투입됐고 3년이 지났다. '독한 LG'를 강조하며 취임한 지 3년이 지나면서 구 부회장의 구원카드는 어느 정도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관련기사 27면.

하지만 성장을 넘어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는 3년이라는 시간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최근 LG전자의 실적을 보면 수익성 위주의 경영으로 위기국면에서는 탈출했으나, 성장의 장벽에 막힌 것으로 보인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27일 증권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나 2009년의 영광을 재현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지난 3년간 수익성 회복에 힘을 쏟다보니 매출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구 부회장이 LG전자의 키를 잡기 직전인 2010년 3분기와 비교해 올 3분기에 매출은 3.4% 증가하는데 그쳤다. 삼성전자가 같은 기간 65% 성장하며, LG전자와 매출 규모 차를 4배 이상 벌린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익도 마찬가지다. 2009년 2조 6807억원의 영업이익으로 사상최대 실적을 올렸던 LG전자가 2010년 영업이익 1765억원으로 93.5% 급락하면서 구 부회장이 긴급 투입돼 최근 2년간 실적을 끌어올리는 데 노력했다.

2010년 매출 55조 7538억원에, 영업이익이 1765억원이었던 실적은 사실상 취임 첫해인 2011년에 매출 54조 2566억원, 영업이익이 2803억원으로 소폭 개선되며 바닥을 다졌다.

지난해에는 매출 50조 9560억원에, 영업이익이 1조 1360억원으로 연간 영업이익 '1조원'으로 다시 회복됐다. 올해도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지난 24일 발표한 실적을 보면 3분기까지 누적으로 매출 43조 2250억원, 영업이익 1조 466억원을 올렸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추세대로라면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을 넘어설 수 있는 분위기다. 증권가에서는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13조 중후반대와 1500억원 내외로 점치고 있어 연간 매출 56조~57조원, 영업이익 1조 2000억원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2009년의 영광을 재현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구 부회장 취임직전인 2010년 3분기 1852억원 적자에서 올 3분기는 2178억원 흑자로 전환됐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 성장률이 140%에 달하며 올 3분기에만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한 삼성전자와 비하기 힘든 실적이다.

문제는 지난 2분기를 고점으로 이익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올 1분기 영업이익 3495억원, 2분기 4793억원으로 상승했으나, 3분기에 다시 2000억원대인 2178억원으로 내려앉았다. 4분기에는 1000억원대 중반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는 반도체를 제외하면 삼성전자와 같은 사업구조이지만 에어콘 등 생활가전에 의존하는 LG전자의 성장 한계의 영향으로 보인다.

LG전자 관계자는 "CEO 취임 후 1-2년은 성장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시기였다"며 "이제는 내실을 다진 만큼 성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실적의 계절성에 대해서는 "에어콘 등 가전에 강점을 갖고 있어 전통적으로 2분기 실적이 가장 좋고, 그 다음 분기로 갈수록 떨어지는 구조다"라며 "3분기 적자를 기록했던 휴대폰도 4분기부터 개선될 것으로 보여 내년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에선 좀처럼 성장의 장벽을 뚫지 못하는 LG 내부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독한 LG'를 표방한 구본무 LG 그룹 회장과 구본준 부회장의 의지가 현장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것.

재계 관계자는 "독한 LG를 강조하고 있지만, 재계 1, 2위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임원들이 위기경영을 강조하며 오전 6시 30분에 출근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성장정체에 빠진 LG는 상대적으로 느긋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3년간 LG전자의 재무구조도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 2010년 3분기와 비교해 올 3분기에는 자산(자본+부채)이 2조 5900억원 늘었지만, 자산 증가의 대부분은 부채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부채는 2조 7900억원이 늘었다.

차입금도 2010년 3분기 7조 7200억원에서 올 3분기에 8조 9700억원으로 9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차입금 비율은 같은 기간 59%에서 70%로 높아졌고, 순차입금도 5조 9400억원에서 6조 6400억원으로 늘었다. 부채비율은 159%에서 183%로 올랐다.
 

.................................................................................................

나중에 누가 크게 웃을까…삼성-LG, 주요사업 정반대로



삼성 손 떼는 LCD유리기판 LG는 신규진출·집중투자

LG가 포기한 통신장비 삼성은 사업강화 나서


사업구조를 재편 중인 삼성과 LG가 다른 방향으로 사업부문을 교통정리하고 있다.

삼성이 집중하는 분야는 LG가 포기하고, 반대로 LG가 키우려는 사업에선 삼성이 철수하는 식이다. 두 기업은 또 주력 사업 부문에선 상반된 전략을 쓰고 있다.

삼성과 LG가 반대 행보를 보이는 대표적 부문은 액정표시장치(LCD)용 유리기판. 삼성은 지난 23일 LCD 유리기판 업체인 삼성코닝정밀소재의 지분을 모두 코닝에 매각했다. 코닝과 함께 중국에 짓기로 한 LCD 유리기판 공장도 짓지 않기로 하며 이 사업에서 완전히 발을 빼고 있다.

반면 LG는 LCD 유리기판 부문을 미래 신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LG화학은 작년 10월 경기 파주에 유리기판 공장을 완공했다. 올 상반기에 추가로 2개 생산라인을 착공했다. LCD용 유리 제조 기술이 있는 곳은 전 세계에 5개밖에 없어 사업 전망이 밝다고 판단해서다. 이에 비해 삼성은 LCD 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어 LCD 유리기판 부문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대로 통신장비에선 LG가 출구전략을 쓰고 있다. LG전자는 작년 말 통신장비 생산을 중단하고 스웨덴의 에릭슨과 합작한 장비 업체인 에릭슨LG의 지분도 모두 에릭슨에 넘길 방침이다. 주력 부문인 스마트폰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LG전자와 달리 삼성전자는 통신장비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롱텀에볼루션(LTE) 장비 수요가 많다고

보고 세계 30여개국으로 진출 국가도 늘리고 있다.

삼성과 LG는 발광다이오드(LED) 사업에선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LED 완제품 사업을 부품(DS) 부문에서 소비자가전(CE) 부문 산하의 생활가전사업부로 옮겼다. 생활가전과 LED 마케팅 및 상품기획을 같이 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반대로 LG전자는 생활가전 부문인 에어컨사업부 안에 있던 LED부문을 독립사업 조직으로 승격시켰다.

태양광에서도 두 기업의 행보는 다르다. 삼성은 태양전지의 원료인 폴리실리콘에서 생산하는 결정형 태양전지 사업을 접고, 메모리 반도체처럼 생산하는 박막형 태양전지 사업에 집중하기로 했다. 그러나 LG는 결정형 태양전지 사업을 포기하지 않고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광 발전소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두 기업의 움직임은 전기자동차 부품에서도 대비된다. LG는 전기차 배터리만 LG화학에 남겨두고 나머지 자동차 전장 부품 사업은 LG전자로 모았다. 반면 삼성은 각개격파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는 삼성전자가 맡고 배터리는 삼성SDI, 모터는 삼성전기가 각각 담당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부문에서 삼성과 LG가 대조되는 전략을 쓰고 있어 다른 기업들이 그 추이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

 

청춘의 필수 과목, 가장 절박한 문학… '자소서'


교보문고 광화문점 자기소개서 코너. 신간 종수와 매출이 최근 몇 년간 꾸준히 늘고 있다. /박돈규 기자

[자기소개서 시장이 뜬다]

올해만 관련 서적 17종 출판, 취업 시즌 9~10월 판매 증가, 토익·학점같은 스펙으로 작용

'글로벌 시대 ' '배려하는 마음' 자기소개서 금기어에 올라


요즘 청춘은 "띄어쓰기 포함 1000자 이내로 작성하시오"라고 적힌 백지(白紙) 앞에서 망설이고 있다. '자기소개서', 줄이면 '자소서(自紹書)'때문이다. 국립국어원이 펴내는 신조어 보고서에 '자소서'라는 낱말이 등장한 게 2004년. 이제 '자소서'는 진학과 취업에서 굳건한 '필수과목'이 됐다. 글자 수 제한은 많게는 3000자까지 다양하다. 짧으면 짧아서, 길면 길어서 압박으로 다가온다.

'기적의 자소서' '꿀잡 자소서' 'EBS 대입 자기소개서 바이블' '뽑히는 자기소개서' '자기소개서 작성법' '특목고 자기소개서 뽀개기' '영화 드라마로 풀어쓰는 자기소개서'…. 출판계에서 '자소서' 시장이 떠오르고 있다. 교보문고 통계로 취업 관련 자소서는 2011년 12종, 2012년 14종, 2013년(9월 기준) 17종으로 해마다 신간 출간이 늘고 있다. 출판 불황을 뚫고 매출도 가파른 상승세다<그래픽 참조>.

입학사정관제 서류 평가에서 중요한 진학 자소서도 여럿 나왔다. 교보문고 이수현 브랜드관리팀장은 "취업과 진학에서 자소서 비중이 커짐에 따라 차별화된 팁을 얻고 싶어하는 심리가 도서 시장에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분야 히트 상품은 조민혁이 쓴 '기적의 자소서'. 작년에 출간돼 누적 5만부가 팔렸다. 국립중앙도서관 올해 상반기 이용 도서에서도 '꾸뻬 씨의 행복여행'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같은 베스트셀러를 제치고 4위에 올랐다.

취업 시즌인 9~10월이 자소서가 가장 많이 팔리는 계절. 삼성그룹 입사를 꿈꾸는 9만명이 삼성직무적성검사(SSAT)를 치렀고, 합격자를 대상으로 에세이를 받아 면접에 활용한다. 자소서의 다른 변형. 출판계 관계자는 "취업 준비생은 하반기에 더 절박해지기 때문에 자소서 판매량이 많아진다"고 했다. '꿀잡 자소서'를 쓴 이성빈 취업컨설턴트는 "지금 한국 사회에서 자소서는 학점, 토익 성적, 자격증과 같은 '또 하나의 스펙'"이라고 정의했다. "수필, 시, 희곡에 작법이 따로 있듯이 자소서라는 장르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있어야 성공한다"는 것이다.

자소서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최태섭은 한국 사회를 분석한 책 '잉여사회'에서 "자기소개서는 학부모와 사회가 강요하는 서사(敍事)다. 부족해도 넘쳐도 안 된다"고 꼬집었다. "가장 대중적이고 절박한 문학이 있다면 그것은 자기소개서다. 어제 점심 메뉴도 가물가물한데 인생을 통으로 생각해내라니. 심지어 거기서 내가 뭘 느꼈고 뭘 배웠는지 손발이 오그라들게 써야 하니 이는 문학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올해도 대학별 수시모집을 앞두고 컨설팅업체와 논술학원은 '자소서 장사'를 했다. 대학생이 온라인으로 첨삭하면 회당 20만원, 직접 만나면 30만원이라고 한다. 유명 강사일 경우 '글값'이 뛴다.

'기적의 자소서' 등이 일러주는 핵심 포인트는 이렇다. ①당신이 말하고 싶은 게 아니라 채용 담당자가 듣고 싶어하는 경험을 '이야기'로 들려줘라 ②강점만 어필하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 ③핵심을 앞세우는 두괄식으로 승부하라 ④개인보다는 팀, 협업의 경험을 보여줘라 ⑤어떤 경험을 왜 이야기하는지 방향을 제시하고 입사 후의 미래와 연결해라 등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남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인재가 되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등을 블랙리스트(금기어)로 분류했다.

아무리 인생을 열심히 살았어도, 포인트에 어긋나거나 금기어를 잘못 쓰면 그 인생에 대한 평가가 평가절하될 수도 있다. 쓰는 쪽이나 읽는 쪽이나 불편한 장르의 탄생이다.

[박돈규 기자]

 

........................................................................................................

 

한경 특별기획 - '죽어가는 기업가 정신…불꺼진 성장엔진'



기업가정신 주간 - (上) 꺼져가는 성장동력…기업이 돌파구

경영 최대 걸림돌 (1) 통상임금 문제 (2) 근로시간단축 (3) 일감과세

기업가정신 위축, 중견기업이 대기업보다 심각

성장둔화…창의적·도전적 기업가정신 복원이 해법

'기업 죽이기' 계속되면 경제활력 기대난


“자동차로 치면 감속에 감속을 거듭하다가 설 정도죠.”(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

둔화하는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를 빗댄 말이다. 조 교수는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상황에서는 창의적이고 위험을 무릅쓰는 도전의식인 기업가정신에서 성장동력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견·중소기업인이 더 위축

기업가정신 위축에 대해 대기업보다 중견·중소기업인의 우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주간(10월28~31일)을 맞아 한국경제신문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기업가정신이 위축됐다’고 답변한 중견기업인은 84.3%로 대기업(80%)과 중소기업 경영자(81.6%)보다 많았다. 중소기업에 주어지는 각종 혜택을 못 받는 데다 대기업으로 크기도 쉽지 않은 어중간한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대기업은 공정거래법에 따라 상호출자제한을 받는 연매출 5조원 이상의 기업 집단,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국가의 보호를 받는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최근 기업 경영에 가장 큰 부담을 주는 현안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기업(38%)과 중소기업(33%)이 각각 통상임금을 꼽았다. 이에 비해 중견기업은 지배구조개편 관련 상법개정안(33.3%)을 지적했다. 기업가정신을 높이기 위해 기업인이 갖춰야 할 덕목으로 대기업 경영자들은 도전정신·위험감수 의지(36%)와 혁신·창의력(26%)을 많이 꼽았다. 중견기업은 혁신·창의력(33.3%)과 글로벌 마인드(31.4%), 중소기업은 혁신·창의력(37.9%)과 윤리·준법의식(16.5%)을 주로 선택했다.

○규제개혁, 반기업 정서 해소 시급

전화설문에 응한 기업인들은 정부에 획기적 규제 완화로 기업가정신을 되살리고, 학교 교육을 통해 반기업 정서를 없애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울의 한 기업 대표는 “현실에 맞도록 법과 제도를 고쳐야 많은 기업들이 기업가정신을 살려 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충남권의 한 중소기업인은 “규제 철폐, 법인세 인하, 저렴한 공단 부지 공급, 외국인 근로자 확대 공급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북지역의 한 기업인은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갖도록 학교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인 스스로의 노력과 분발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호남지역의 한 기업인은 “경영자는 도덕과 윤리의식이 투철해야 한다”며 “그 바탕 위에 창의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기업가정신 없인 성장도 없다

한국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기업가정신과 경제 성장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호 한경연 연구위원은 “세계기업가정신발전기구가 발표하는 기업가정신지수(GEDI)와 각종 통계수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과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0.88이라는 높은 상관계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기업가정신이 활발할수록 1인당 GDP가 높아진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올해 한국의 GEDI는 118개국 가운데 43위에 머물렀다. 중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등과 함께 4그룹에 속해 있다.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칠레 등이 한국보다 높은 3그룹이다.

이렇게 식어버린 기업가들의 열정이 한국 경제의 성장 저하로 나타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 경제는 지난 10년간 두 차례(2009, 2010년)를 빼곤 세계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경제성장률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연평균 신설 기업체 수(종업원 50명 자본금 3억원 이상)를 보면 1990년대 396개, 2000년대 370개, 2010년대 71개로 최근 들어 기업 설립이 저조하다. 2006년 신규사업 진출을 검토한 기업은 전체 1만786개 중 992개로 9.2%였지만 2011년에는 1만1722개 중 467개로 4%로 떨어졌다.

■ 글 싣는 순서

(上) 꺼져가는 성장동력…기업이 돌파구

(中) 말라버린 도전정신…실패를 격려하라

(下) 뭘 먹고 사나…미래 유망산업을 키워라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 

툭하면 세무조사…국회는 죄인 취급, 기업인 82% "기업가 정신 위축"

한경·대한상의 설문

“기업은 국세청 세무조사 받고 기업인은 국회에 불려다니며 준범죄인 취급을 받잖아요. 정치와 사회가 경제를 짓누르면서 기업가정신의 불씨를 퍼뜨리는 게 아니라 끄고 있어요.”

원로 경제학자인 송병락 서울대 명예교수는 27일 “지금은 기업전쟁 시대인데 우리 사회가 기업가의 중요성을 너무나 모른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기업인들 스스로도 ‘기업가정신’이 급속히 퇴조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올해로 6회째인 기업가정신주간(10월28~31일)을 맞아 한국경제신문이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기업 최고경영자(CEO) 204명을 대상으로 벌인 전화 설문조사(23~25일) 결과 응답자의 81.9%(167명)가 “한국의 기업가정신이 위축됐다”고 답했다.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대내외 리스크 증가 및 경기 위축’(69.1%)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기업활동을 어렵게 하는 규제와 제도(30.9%) △기업인들의 위험감수·도전정신 감소(27.9%) △노사 문제(21.6%) △단기실적 중심의 경영 형태(13.7%) △기업에 대한 부정적 사회 분위기(9.3%) 등의 순이었다.

현재의 기업가정신에 대해 점수를 매겨 달라는 질문에는 평균 6.38점(10점 만점)을 줬다.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64점가량으로 낙제점에 가깝다. 4명 가운데 1명(25%)은 5점 이하로 평가했다.

기업가정신을 되살리기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50.5%)을 꼽았다. ‘기업인들의 노력’(22.1%)과 ‘친기업적인 사회 분위기 조성’(17.6%),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9.8%)이 필요하다는 답변도 나왔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정부와 정치권이 기업과 기업인을 규제만 할 게 아니라 격려할 수 있는 제도와 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계에서도 꺼져가는 성장 엔진에 불을 댕기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선 위험을 무릅쓰고 창조와 혁신을 이뤄내려는 도전의식인 기업가정신을 시급히 되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제관료는 물론 국회 차원에서 기업가정신을 되살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경제가 활력을 찾을 것이란 지적이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

한국 기업가정신 '바닥'…칠레·오만 보다 더 낮아



기업가정신 주간 - 전문가 진단

과도한 '기업 때리기' 안돼…규제완화·노사안정 시급


경제 전문가들은 우리의 기업가정신이 ‘바닥 수준’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식어가는 경제성장 엔진을 다시 돌리려면 대한민국 창업 1세대들이 가졌던 기업가정신으로 재무장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송병락 서울대 명예교수(경제학)는 “생산의 4대 요소는 노동, 자본, 토지, 기업가정신인데 우리는 기업가정신을 빼고 3개만 가르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미국 월마트가 전 세계에서 고용한 종업원 수가 220만여명으로 한국 대기업 3300여개(종업원 300명 이상)의 전체 직원 수 260만여명과 맞먹는다”며 “정부가 자꾸 중소벤처 쪽으로 지원책을 마련하려고 하는데 삼성전자 같은 회사 몇 개만 더 만들면 창조경제는 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기업을 과거에 만든 법에 맞추도록 할 게 아니라 과거에 만든 법을 현재의 기업가정신에 맞춰 뜯어고치는 것이 기업가정신을 깨우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노부호 서강대 명예교수(경영학)는 “며칠 전 삼성전자를 견학했는데 앞으로 어떤 전자 제품이 나와 시장을 획기적으로 바꿔놓을지 상상하기조차 힘들 만큼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느꼈다”며 “경제가 성장할수록 분배는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만큼 이를 위한 규제개혁과 노사문제 해결이 기업가정신을 살리는 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는 확고한 철학을 확립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경제민주화와 복지정책을 펴면 다시 후진국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승훈 서울대 명예교수(경제학)는 “현재 한국 사회는 기업과 기업가의 잘못에 대해 몰아붙이는 분위기가 너무 강해 기업가정신이 꽃을 피우기 힘들다”고 진단했다. 그는 “기업들이 반칙으로 돈을 번다는 인식이 많아져 기업가정신이 발휘되기보다는 공세를 막아내기에 급급할 정도”라며 “이런 상태에서는 기업가정신이 활성화되기 힘든 만큼 과도한 기업 때리기는 자제해야 한다”고 했다.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은 “배임죄 확대 적용이나 기업 세무조사, 환경 관련 규제 등으로 기업 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각종 규제가 양산되면서 지금 한국 사회의 기업가정신은 바닥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정치권, 국민, 기업 등 경제주체들의 마인드가 ‘한번 해보자’ 하는 게 없이 ‘이 정도면 됐다’는 식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성장이 멈췄다”고 지적했다.

최병일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세계기업가정신발전기구에 따르면 우리의 기업가정신은 칠레나 오만보다 낮다”며 “혁신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의 진입을 막는 규제가 많아 혁신과 연구개발(R&D)이 활성화되기 힘든 구조”라고 말했다. 또 “한국 대기업의 장점인 과감한 투자가 점점 사라져 가는 것 같다”며 “이렇게 되면 투자 감소와 성장 둔화의 악순환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 

3만 달러 시대 또 뒷걸음



IMF 예상시기조정 해마다 6개월씩 늦춰

경제활력 회복 안되면 2020년 이후 될 수도

한국 경제의 성장률이 점점 낮아지면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상하는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3만달러 돌파 시점이 1년에 6개월 꼴로 뒷걸음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 활력이 조기 회복 되지 않을 경우, 최악의 경우 2020년대가 돼야 '3만달러 시대'를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가 매년 반기별로 실시하는 세계경제전망에 수록된 한국 경제의 '1인당 GDP 3만달러'시점이 추세적으로 지연되고 있다. IMF가 해당 시기를 예측하기 시작한 건 2011년 4월 전망부터. 당시 2016년 3만1,826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2012년 성장률이 2% 초반으로 떨어지면서, 그 해 4월 전망에서는 2016년의 1인당 GDP를 3만878만달러로 낮춘 데 이어 10월에는 아예 돌파 시기를 2017년(3만1,824달러)으로 연기했다. 올해에도 4월에는 2012년 전망 때는 반영하지 않은 원ㆍ달러 환율 하락세까지 반영해 2017년의 1인당 GDP를 3만1,691달러로 추정했으나, 10월에는 3만87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2011년 이후 반기별 전망이 나올 때마다 추정치가 하락, 1인당 GDP 3만달러 돌파 시점이 1년 마다 6개월씩 지체되고 있는 것이다.

달러로 환산한 1인당 GDP가 추세적으로 하락하는 이유는 우리 경제의 활력이 IMF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 4월에는 2016년 경상GDP를 1,783조원으로 추정했으나, 2012년 4월과 올해 10월에는 각각 1,729조원과 1,683조원으로 하락했다.

이에 따라 '1인당 GDP 3만달러' 시대가 2020년 이후에나 가능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IMF는 '2015년~2017년에는 성장률이 4% 내외에 달할 것'이라는 우리 기획재정부 전망을 100% 수용하고 있는데, 향후 성장률이 4%에 미치지 못하면 실제 도달 시점을 기약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한밭대 이준우 교수는 "빠른 시일 내 침체된 경제를 되살려야 IMF가 전망한 시기에 3만달러 시대를 맞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철환기자 chcho@hk.co.kr

............................................................................................. 


삼성전자 빼면 빨간불인데 저성장 탈피?



[이슈추적] '올 3% 성장' 체감 못하는 기업들

#1. “명단 한 번 봐라. 누가 올 수 있나.”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두 달에 한 번 열리는 회장단 회의 때마다 고민에 빠진다. 상근부회장을 뺀 회장·부회장 20명 중 회의에 나올 그룹 총수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재판 중인 최태원 SK(주)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에 이어 현재현 동양그룹 회장도 회의 참석이 어렵다. 강덕수 STX 회장은 대외활동을 접었다. 강력한 부인에도 시장에선 이런저런 말이 나도는 그룹도 여럿 있다. 전경련 측은 “회의에 잘 나오지 않는 총수까지 감안하면 3분의 1(6∼7명)을 채우기 어렵다”고 말했다. 9월 회장단 회의 때는 6명이 참석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그룹 총수들이 두 달에 한 번 만나는 회의 구성조차 어려울 정도로 어수선한 게 재계 현실”이라고 씁쓸해했다.

 #2. “ 저성장 흐름에서 탈피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24일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대외 여건 호전 등에 힘입어 경기 회복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정부 폐쇄(셧다운) 일단락, 중국 성장률 반등 등을 근거로 제시하면서다. 그는 “국내 경제도 수출 개선세가 지속되고 고용·소비·투자 지표가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에선 올해 성장률이 연초 예상치(2.7%)를 넘어설 것이란 기대감까지 나온다. 3분기 경제성장률 3.3%라는 성적표가 나오면서 기대도 커진 것이다.

삼성그룹도 전자 빼면 속 빈 강정

 기업 현장의 체감경기와 통계로 나타나는 경제지표의 괴리가 커지고 있다. '좋아지고 있다'는 기대가 자칫 오판이 될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괴리의 원인은 삼성전자 착시다. 지난주 발표된 3분기 기업 실적은 삼성전자를 빼면 속 빈 강정 꼴이다. 삼성전자는 7∼9월 분기 영업이익 10조원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영업이익이 26.1% 늘었다.

하지만 같은 삼성그룹 내 삼성SDI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6.3% 급감했다. 석유제품 수요가 줄면서 SK그룹 내 에너지 분야의 대표 격인 SK이노베이션은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6.7% 감소했다. 대한항공(-43.26%), 포스코(-37.6%), 기아자동차(-13.1%) 등도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줄었다. LG전자(27%)와 현대자동차(1.7%)가 그나마 체면치레를 했다. 이마저도 LG전자는 2분기만 못한 실적이고, 모바일 분야는 적자를 냈다. 현대차의 1∼9월 전체 영업이익(6조2851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9% 뒷걸음질쳤다.

SK·한화·CJ 등 총수 공백 심각

 그러나 삼성전자 비중이 워낙 크다 보니 이런 현실이 가려진다. 27일까지 3분기 실적을 발표한 47개 상장 기업의 영업이익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57.2%다. 매출액도 전체 발표 기업의 3분의 1(28%)이 삼성전자 몫이다.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 매출액 상위 10곳만 추려도 별반 다르지 않다. 10개 기업의 총 영업이익(15조1746억원)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67%에 달했다.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성장률이 3%라고 하지만 기업 실적은 위축됐다”며 “'삼성 착시'를 빼면 내수와 수출 환경이 모두 안 좋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사정은 이렇지만 대기업들은 나침반을 잃어버린 채 갈 길을 찾지 못하고 있다. SK그룹이 지난주 개최한 '최고경영자(CEO) 세미나'에서 총수 경영 공백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하소연이 많았다. 특히 해외 신사업이 문제다. SK는 태국에선 조기재해경보시스템 구축 방안을 논의 중이었고, 싱가포르를 에너지 허브로 만드는 사업도 진행되고 있었다. 이들 사업은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한화·CJ 등도 비상경영체제다. 한 대기업 고위 임원은 “기업 설비투자의 80∼90%는 기존 사업을 지속하거나 확대하는 투자”라며 “신규 투자는 10% 정도고, 이런 투자가 미래 동력인데 이를 결정할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15대 그룹 중 총수 재판, 특별세무조사, 자금난에 따른 그룹 와해 등으로 경영에 전념하기 어려운 그룹은 절반 수준인 7개에 이른다. 이들 그룹에 속한 회사 수는 무려 416개다.

원화값 상승에 불안심리 더 커져

 중견·중소 기업들도 허리가 꺾일 판이다. 당장 부담은 세무조사다. 상반기에 세무조사를 받은 수도권의 한 의류업체 대표는 “세무 처리를 잘못한 우리 책임도 있지만, 불황에 어렵게 이익을 냈는데 세무조사로 한 방에 다 걷어가니 힘이 빠진다”고 말했다.

환율 공포도 커지고 있다. 27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11월 업황전망지수는 91.9에 그쳤다. 2개월 반짝 상승했던 경기 기대감이 다시 꺾인 것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최근 원화가치 상승으로 인해 불안 심리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특히 최근 원화가치 상승은 엔저의 부정적 영향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발생해 기업의 걱정이 더 크다. 엔저로 인해 1∼8월 대일본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 동기 대비 3억 달러 늘어났다. 신승관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엔저 현상으로 대일본 수출에는 이미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됐다”며 “일본과 경합 관계에 있는 자동차 업종 등에서 상황이 더 힘들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영훈·채윤경 기자

..............................................................................................

한국 경제에 던진 英 이코노미스트의 '충고'



"고령화시대 '성과별 임금' 받아들여야

창조경제 지원서 제조업 외면은 잘못"

여성 사회적 압박 너무 커…직업 수, 美의 38% 불과

실패 용납하지 않는 사회


‘성과 중심의 사회를 인정하라’ ‘여성이 받는 사회적 압박을 줄여라’ ‘대기업의 활동 범위를 넓혀라’ ‘실패를 용인하라’.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한국 경제에 던진 충고다.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에서 14쪽을 한국 경제 분석에 할애, “한국은 고령화와 폐쇄적인 사회 문화, 세대 간 갈등 증폭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능력에 따른 성과제 수용을”

이코노미스트는 먼저 한국의 고령화를 지적했다. 지난해 전체 인구의 12%를 차지한 65세 이상 인구가 2030년엔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될 정도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동시에 지난 5년간 18~35세 인구가 약 12만명 감소하면서 근로 가능 인구가 점점 줄고 있는 점도 거론했다.

한국 정부도 이 점을 알고 최근 정년을 60세로 늘렸고, 임금피크제도 시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코노미스트는 2011년 성과별 임금제를 도입하려던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이 한국 은행 역사상 가장 긴 파업을 겪었음을 지적하며 “한국 사회에서 생산성이 낮은 선임자가 유능한 후임자보다 돈을 적게 받는 건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금피크제 또한 정착되기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또 “정년이 늘어나면서 젊은이들은 자신들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고 불평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같은 사회현상은 일하는 사람 수가 늘어나면 경제 규모 자체가 커지면서 일자리도 늘어난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생겨난다는 지적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실업률이 낮은 국가에서는 젊은 세대, 늙은 세대를 막론하고 일자리가 고르게 분포했다.

사회 전반적인 저출산 원인으로는 여성의 지나친 부담을 꼽았다. 출산과 육아 부담은 한국 여성들의 사회 진출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다. 20대 여성의 사회 진출은 70%에 육박하지만 30대가 되면 50%대로 급격하게 줄어든다. 육아를 마친 40대에 재취업에 나서지만 이들은 대부분 비정규직이나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했다.

○“영화, 게임만 창조경제 아니다”

일자리를 늘리는 방법으로 ‘대기업의 서비스업 진출’을 제시한 이코노미스트는 “노동집약적인 서비스업종에 좋은 인재가 몰려 있는 대기업의 진출을 막아 산업이 커지지도 않고 경쟁력도 약해진다”고 지적했다. 한국생산성본부에 따르면 대기업이 집중돼 있는 제조업의 생산성은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서비스업의 두 배 수준이었다. 리처드 돕스 맥킨지글로벌인스티튜트 소장은 “세계적으로 서비스업은 대부분 대기업이 장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의 경제적 성공이 일부 업종에만 제한돼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직업 수를 놓고 보면 일본의 3분의 2, 미국의 38%밖에 안 된다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가 내세우는 ‘창조경제’ 지원정책의 허점도 지적했다. 창의적 사업을 지원한다며 영화·게임 등에 정부 예산을 쓰지만 오히려 제조업에서 창의성이 발현될 여지가 더 많다는 것이다. 보수적인 금융회사들의 경영도 문제로 꼽았다. 사업자금을 빌릴 때 온갖 담보를 요구하고 빚을 못 갚으면 가족까지 ‘범죄자’ 취급하는,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문화가 폭넓게 퍼져 있다는 것이다. 다만 카카오톡이나 광고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바이널 같은 중소기업을 예로 들며 “자신만의 틈새시장을 찾아 대기업과의 경쟁에서도 이기는 업체가 점점 늘고 있다”고 전했다.

‘K팝’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문화산업도 “이제는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했다. SM엔터테인먼트 등 일부 덩치 큰 기획사만이 ‘K팝 왕국’을 독점하고 있는 것이 문제점이라는 지적이다. 소수의 기획사에서 비슷비슷한 춤과 멜로디, 콘셉트의 아이돌그룹을 대량 생산하기 때문에 그만큼 수명이 짧다는 것이다.

남윤선/김보라 기자 inklings@hankyung.com
.......................................................................................

현대차 美시장 성장성 1위

앞으로 5년간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많이 성장할 브랜드로 현대ㆍ기아차가 꼽혀 주목된다.

세계적 전략컨설팅업체 부즈&컴퍼니는 최근 75개 완성차ㆍ부품기업의 주요 임원 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자동차산업 조사보고서를 공개했다. 응답자들이 브랜드별로 앞으로 5년간 점유율이 확대 또는 하락할 것인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는지를 전망하는 방식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간 미국에서 점유율 확대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자동차 브랜드로 현대ㆍ기아차가 지목됐다. 응답자의 무려 63%가 향후 5년간 현대ㆍ기아차가 미국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것이라고 답한 것.

반대로 현대ㆍ기아차 점유율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12%에 불과했다. 나머지 26%는 현재와 비슷한 점유율을 유지할 것이라는 답변을 냈다.

현대ㆍ기아차 다음으로 점유율 확대 가능성이 높은 브랜드는 폭스바겐ㆍ아우디(60%)였다. 폭스바겐ㆍ아우디에 대한 응답자 중 향후 5년간 이 브랜드 점유율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7%로 나타났다. 이어 포드(43%)와 BMWㆍ미니(41%)가 각각 3~4위권을 형성했다. 1ㆍ2위와 3위 간 격차가 17~20%포인트에 달한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향후 미국 시장에서 현대ㆍ기아차와 폭스바겐 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임을 조심스럽게 전망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크라이슬러, 도요타, GM이 5~7위권을 형성했다.

[남기현 기자]

.........................................................................................................

레고가 장난감?…이젠 5배 수익 재테크 !



26만원에 구입한 모델, 단종된 후 130만원 판매

마니아들 중심 '레테크' 인기


서울 강남의 건축사무실에 다니는 직장인 김성준 씨(30)는 블록 장난감인 ‘레고’ 마니아다. 어릴 적 갖고 놀던 추억에 2006년 취업 후 한두 개씩 레고를 사 모으기 시작했다. 취미삼아 레고를 사모으던 김씨는 단종된 상품들이 희귀본이 되면서 중고시장에서 정상가보다 10배까지 치솟아 거래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김씨는 2008년 26만원에 구입한 ‘카페코너’란 제품을 2011년 130만원에 팔았다. 이후 김씨는 자신이 좋아하는 모델을 고르면 한 개는 자신이 조립하며 즐길 목적으로 사고 나머지 한두 개는 투자 목적으로 소장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여겨졌던 레고가 단종된 희귀품을 중심으로 성인들에게 투자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레고와 재테크를 합성한 ‘레테크’라는 신조어까지 생길 정도다.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 중고나라에서 레고를 검색하면 판매나 구입을 원하는 글이 매일 100개 이상 올라온다. 레고 전문 커뮤니티 ‘브릭나라’에는 매일 200~300건의 거래 글이 올라온다. 레고 마니아들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는 신제품 가격이 20만원 안팎이지만 같은 제품을 여러 개 구입할 정도로 마니아층도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레테크가 가능할 만큼 레고 중고거래가 활발한 이유는 한번 출시된 제품은 덴마크 레고 본사에서 더 이상 제작·판매하지 않기 때문이다. 단종 후 1~2년이 지나면 단종된 희귀본을 찾는 수요로 거래가격은 시판가격의 평균 4~5배, 최대 10배까지 오른다. 레고코리아 관계자는 “단종 정책을 쓰는 게 아니라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기 위해 신제품을 계속 출시하고 있는 것”이라며 “기존 상품 중에서 인기가 많은 제품은 중고 매매가 활발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런 이유로 일부에서는 재테크를 목적으로 사재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게 레고 수집 동호인들의 얘기다. 김씨는 “대량 구입자들은 인기를 끌 것 같은 제품이 나오거나 창고 개방 행사를 할 때 승용차에 가득 실을 정도로 구입한다”며 “단종이 빨리 될수록 정상적인 가격 상승폭보다 더 크게 급등한다”고 설명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
............................................................................................

디자인 작품에도 투자 열기…경매·기획전 등 활발


K옥션이 오는 31일까지 진행하는 ‘모던 디자인’ 경매 행사에 나온 의자들.

독일 대표 산업 디자이너 디터 람스의 책장, 덴마크 디자이너 한스 웨그너의 스칸디나비안 테이블, 핀란드 모던 건축의 선구자 알바 알토의 가구, 스페인 대표 산업디자이너 하이메 아욘의 의자, 조명예술의 대가 세르주 무이의 조명…. 국내외 디자이너들의 조명·가구·도예 작품이 최근 미술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디자인 작품의 소장 가치와 판매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투자 상품으로 각광받고 있어서다. 디자인 경매와 화랑들의 기획전도 늘고 있다.

○422억원 세계 최고가 의자

지난 24일 서울옥션이 실시한 디자인 경매에서 출품작 103점 중 68점(낙찰률 66%)이 팔려 낙찰총액 12억4000만원을 기록했다. 이날 경매에서는 프랑스 조각가 프랑수아 자비에 라란느의 비둘기 모양 램프가 추정가(150만원)보다 12배 높은 18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아갔다. 크리스티는 9월25일 뉴욕 가구경매에서 583만달러(약 6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가격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2월 크리스티 파리 경매에서 아일랜드 출신 근대 디자인의 선두주자 아일린 그레이의 ‘드래건 안락의자’가 경합 끝에 추정가보다 10배나 많은 2190만유로(약 422억원)에 팔려 디자인 작품 세계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다음해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는 에밀 자크 펄먼의 서랍장이 61만달러(약 7억4000만원), 카를로 몰리노의 테이블이 60만달러(약 7억3000만원)에 낙찰돼 눈길을 끌었다. 국내에서는 조지 나카시마의 작품 ‘테이블 세트’가 서울옥션 경매에서 1억4500만원에 팔려 최고 낙찰가를 기록했다.

○줄 잇는 전시, 경매

디자인 작품이 이처럼 주목받자 경매와 전시회도 줄을 잇고 있다. 미술품 경매회사 K옥션(대표 이상규)은 오는 31일까지 가을 기획행사의 하나로 ‘모던 디자인’전을 펼친다. 람스를 비롯해 웨그너, 알토의 가구 등 디자인 명품 100여점이 새 주인을 찾는다. 내달 3일까지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등에서 열리는 ‘2013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서는 세계 24개국, 328명의 디자이너 작품 600여점을 만날 수 있다. 디자이너의 손끝에서 탄생한 쓰레기봉투, 택시기사의 유니폼, 쌀 포장지 등 산업화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 대거 나와 있다.

경기 파주시 홍성찬갤러리에서는 이달 말까지 ‘북유럽 디자이너 의자전’이 펼쳐진다. 덕수궁 옆 서울시립미술관에선 북유럽 건축과 디자인전이 열리고 있다. 앞서 작년 4월부터 약 5개월 동안 서울 통인동 대림미술관에서 열린 ‘핀 율 탄생 100주년 북유럽 가구 이야기’전은 무려 13만여명이 관람해 가구 디자인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

 

....................................................................................
 

퍼거슨 '자서전' 통해 본 맨유를 최고의 팀으로 이끈 비결은…

퍼거슨에게 배우는 경영전략

"떠나려는 팀원을 돈으로 잡지 말고 너의 가치를 알고 있다고 말해줘라"

부하직원 잘못 바로잡으려면

"정신상태가 문제야" 비난보다 먼저 구체적인 사실부터 지적

동기부여 위해 선수들 궁지로…이건 살고 죽는 문제라고 강조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누구에게 어떻게 고민을 털어놔야 할지 모르겠다’ ‘잘못한 부하직원을 어떻게 혼내야 할지 모르겠다’ ‘회사를 떠나겠다는 유능한 직원을 어떻게 설득해야 할지 모르겠다’.

최고경영자(CEO)나 관리자라면 한 번쯤 해봤을 고민이다. 26년간 세계 최고 프로축구단을 이끈 알렉스 퍼거슨 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이 해답을 제시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지난 24일 발간된 퍼거슨의 자서전(작은 사진)을 통해 그가 팀을 운영한 전략을 어떻게 기업 경영에 적용할 수 있는지 분석했다.

부하직원들이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했을 때 상사들이 가장 쉽게 던지는 말이 “정신 상태가 문제야”다. 퍼거슨은 “내가 선수들의 마인드를 문제 삼은 것은 최근 맨체스터 시티와의 더비(같은 지역을 연고로 하는 라이벌 팀의 경기)에서 3-1로 패했을 때”라며 “다른 모든 수단으로도 문제가 고쳐지지 않을 때 마지막으로 쓰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부하직원의 잘못을 바로잡고 싶으면 “먼저 당신이 관찰한 사실을 말하라”는 게 퍼거슨의 조언이다. 예를 들어 “지난 경기에서 당신은 공을 잡았던 여덟 번 중 여섯 번 빼앗겼다”며 “공을 빼앗기는 건 흔한 일이 아닌 만큼 당신의 최근 정신상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말하라는 것. 이 경우 부하직원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단 “그건 지난 경기만 그렇지, 최근 10경기를 보면 나는 공을 빼앗기지 않았다”는 식으로 사실에 근거해 대답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발전적인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주변에서 조직의 성과나 운영을 비난할 땐 어떨까. 조직이 클수록 개개인은 외부 비난을 “내 책임도 아닌데”라며 무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퍼거슨은 “비난을 공유하라”고 충고한다. 그는 “구단의 스태프, 선수, 감독이 모두 비난에 대한 책임을 같이 느끼게 해야 한다”며 “대신 적절하고 올바른 표현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능한 조직원이 회사를 떠나려고 할 때 리더는 급여를 올려 막으려 한다. 퍼거슨은 “돈은 2차적인 문제”라고 말했다. 그가 웨인 루니, 데이비드 베컴 등 슈퍼스타들을 데리고 있을 때 그들이 원한 건 더 좋은 집이나 차를 사려는 게 아니었다는 것이다. 다만 그들은 인정받기를 원했고, 돈의 양으로 인정의 정도를 측정하려 했을 뿐이다. 퍼거슨은 “금전적으로도 선수의 가치를 어느 정도 인정해줘야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리더가 그 사람의 가치를 알고 있다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럼 선수들에게 어떻게 동기 부여를 했을까. 퍼거슨은 ‘반드시 이기는 방법’을 썼다고 말했다. “나는 항상 선수들을 궁지로 몰았다. 계속해서 이게 살고 죽는 문제라고 강조했다”는 것. 텔레그래프는 “이 전략은 90분 내 승패가 갈리는 축구경기에는 적합하지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싸움인 비즈니스에선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퍼거슨 같은 훌륭한 지도자도 ‘내가 뭘 잘못하고 있는 건 아닌가’라고 고민할 때가 있었다. 하지만 그는 부하들에게 “내가 힘들다”고 툴툴거리지 않았다. 정말 믿을 수 있는 소수의 사람과 감정이 아닌 객관적 문제점을 공유하거나, 아니면 차라리 정신과 의사 등 전문가를 찾는 게 낫다는 설명이다. ‘내가 나가면 이 조직은 어떻게 될까, 나중에 누가 이끌까’ 등의 고민에 빠져있는 리더에게도 조언을 남겼다. “어차피 당신이 나가면 여긴 당신 조직이 아니니, 현재에 충실하시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

..........................................................................................................

 

[실전 MBA] 우리회사 A급 인재, 그는 왜 짐을 싸는가

/일러스트=오어진 기자
[너무 부려먹은 건 아닙니까? CEO만 모르는 '번 아웃 신드롬']

"누가 하겠나, 이번에도 일 잘하는 자네가"

휴식도 학습도 한계도 없이 쏟아지는 일, 열정을 불태우다… 스스로를 불태울수도

A급 인재를 C급으로 다루는 건 아닌지


◇딜레마:믿었던 인재, 사표를 꺼내다

"아니, 회사에 직원은 당신밖에 없대요? 왜 집까지 일을 싸가지고 오는 거예요!"

일 잘하는 A급 인재로 알려진 남편, 김잘난 과장을 자랑스러워하던 아내도 일감을 싸들고 와서 주말 내내 일하는 남편을 보면 결국 한마디 할 수밖에 없다. 이런 김 과장의 속사정을 알 리 없는 나 사장은 매번 기대 이상으로 성과를 내주는 김 과장이 믿음직스러워 중요한 업무를 몰아준다. 그러면 김 과장도 빨리 성장할 것이라 여기면서 말이다. 하지만 팽팽하게 당겨진 줄은 언젠가 끊어지는 법. 칭찬만 받던 김 과장이 어느 날부터인가 의욕을 잃고 성과도 부진해지기 시작한다. 나 사장은 '곧 나아지겠지'하며 기다려봤지만, 김 과장은 급기야 퇴사하겠다고 조심스레 말문을 연다. 도대체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해결책:A급 인재를 고민하게 하지 말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가장 일 많이 하기로 소문난 한국에서 A급 인재로 사는 일은 무척이나 피곤하다. 상사는 과도하게 업무를 주고, 우수 인재는 마다하지 않고 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합쳐지니 일은 해도 해도 줄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가정에서도 빈자리가 크다. 부인과 자녀의 불만이 늘어나고 결국 체력적, 정신적인 한계에 부딪힌 직원은 나동그라진다. 모든 에너지가 다 소진되어 한순간에 나가떨어져 버리는 '번 아웃(burn out) 신드롬'에 빠지게 된 것이다. '번 아웃 신드롬'에 빠진 사람은 회복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예방이 최선의 치료라는 말이 있듯이 A급 인재가 '번 아웃 신드롬'에 빠지지 않게 미리 신경 써야 한다. 이를 위해 A급 인재를 관리할 때 놓치기 쉬운 사실들을 기반으로 다음 세 가지를 기억하자.

첫째, 리더는 A급 인재에게 업무를 맡길 때 그가 이미 한계를 넘어서지는 않았는지 항상 확인해야 한다. A급 인재들은 겉으로는 모든 일과 상황을 잘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쉽다. 보통 조직의 관리자들은 A급 인재에게 업무를 몰아준다. 시키는 일마다 잘해내니, '이 일도 자네가 맡아보지'라는 식으로 일을 주는 것이다. 이런 경우 A급 인재는 대체로 군소리 없이 업무를 잘해내지만, 그들은 이미 현재 하고 있는 업무량을 버거워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저 상사의 기대감 때문에 '못하겠다'라는 말을 하지 못하고, 무리해서 업무를 받는 것이다. 이런 일이 반복되다 보면 어느 순간 감당할 수 있는 업무량을 넘어서고, 결국 상사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자신의 역량 부족을 탓하면서 번 아웃 신드롬에 빠지게 된다. 자신의 잘못이 아닌데도 말이다.

둘째, A급 인재에게는 학습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A급 인재는 특별히 가르쳐 주지 않아도 알아서 업무를 잘 해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만큼 남들에게 보이지 않는 노력을 더 많이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자신을 향한 주위의 기대를 저버리고 싶지 않아서 개인적 희생을 마다치 않고 남들보다 더 많은 시간과 공을 들여서 완수해낸다. 이러면 당연히 더 큰 스트레스를 받기 마련이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 번 아웃 신드롬에 빠진다. 따라서 A급 인재에게 새로운 업무를 맡길 때는 충분한 직무 역량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학습 기회는 업무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것은 물론, A급 인재에게 조직에 감사하는 마음, 충성심 등을 갖게 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A급 인재도 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하고, 휴식을 계획하도록 권해야 한다. A급 인재는 매사에 항상 열정적이기 때문에 상사가 보기에 그들이 정말 일을 즐기는 것같이 보인다. 그것이 그들에게 휴식이 필요하지 않다는 뜻은 아닌데도 상사는 종종 휴식의 여유를 주지 않고 업무를 부여한다. 인구에 비해 지적 업적이 탁월하기로 유명한 유대인들은 매주 일요일이면 그 주 금요일 저녁에 시작하는 안식일에 어떻게 휴식을 취할지 궁리한다. 한국인 상사라면 직원이 놀 궁리부터 한다고 꾸짖겠지만, 사실 그러한 사고방식은 마감일을 정하고 업무와 인생을 계획하는 습관을 길러주는 유대인의 지적 전통이다. 휴식 기간에는 온전히 쉬는 법을 배우는 A급 인재는 재충전을 통해 기운을 차릴 것이다.

A급 인재를 업무에 질려 나가떨어지게 만드는 번 아웃 신드롬. 그저 슬럼프 정도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자칫하면 소중한 인재를 회사 밖으로 내쫓을 수도 있기에 반드시 예방해야 한다. 특히 A급 인재의 번 아웃 신드롬은 회사에도 큰 손해가 되는 동시에, 인재 개인에게도 업무에 대한 자신감을 상실하게 만들어 앞길을 막는 재앙과도 같다. 과도한 기대와 한없는 과로로 A급 인재가 타버리는 일을 막는 것, 그것은 온전히 리더의 몫임을 잊지 말자.

☞번 아웃(burn out) 신드롬

한 가지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신체적·정신적으로 모든 에너지가 소진된 상태를 '번 아웃'이라고 한다. 번 아웃 신드롬은 이런 상황에 빠진 사람이 피로를 호소하며 무기력증, 자기혐오, 직무거부 등에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 

美선 대중화·中선 고급화 전략… 파리바게뜨 "7년뒤 해외매출 2조3천억"


파 리바게뜨는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도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저렴한 가격에 빵,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고객에게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지난 17일 오전 10시쯤 맨해튼 타임스스퀘어점 안에서 한 커플이 입맞춤을 하고 있다./이혜운 기자

['K 푸드' 시대… 한국이 만들고 세계가 먹는다]

[6] 프랜차이즈 시작부터 해외진출 준비한 SPC그룹

- 2020년 해외 점포 3000개

美매장, 半카페·半빵집 스타일… 서부지역 점포엔 백인이 더 많아

中선 손님 대부분이 고소득층, 100만원짜리 케이크도 있어

- 핵심 경쟁력은 '휴면 반죽'

영하 30도에서 발효 정지시켜 각 매장에 배송해 오븐에 구워

中엔 공장 3개 지으며 도입… 美엔 한국서 반죽해 배로 보내


SPC그룹의 프랜차이즈 빵집 브랜드 파리바게뜨(Paris Baguette)는 허영인(許英寅·64) 회장이 1988년 프랜차이즈에 뛰어들며 만들었다.

당시 프랜차이즈 빵집 브랜드는 '○○당', '○○제과', '○○빵집'이 주류였다. 빵의 본고장 프랑스 수도 '파리'와 프랑스의 대표 빵인 '바게트(baguette)'로 브랜드를 만든 이유가 있다. 1980년대 초 미국에서 제과제빵 기술을 배우면서부터 "세계로 간다"는 꿈을 키웠던 허 회장은 해외에서도 통할 이름이 필요했다. 브랜드 로고에도 파리의 상징 '에펠탑'을 그려 넣었다.

프랜차이즈 사업 시작 10년 만인 1990년대 후반 국내 1위로 올라선 파리바게뜨는 2004년엔 마침내 해외로 진출했다. 꿈을 현실로 만들겠다는 일생의 도전이었다. 이때 SPC는 프랑스 등 8개국에 파리바게뜨를 상표 등록했다.

25년 전 프랜차이즈를 시작하며 이름부터 글로벌 브랜드임을 체화시킨 SPC는 지난 10년 동안 세계 1, 2위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부터 들어간다는 'G2 공략'을 단계적으로 현실화하는 중이다.

미국은 대중화, 중국은 고급화 전략

미국 진출 전략은 주식(主食)으로 빵을 먹는 미국인에게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다양한 빵을 편하게 먹게 하겠다'는 대중화 전략이었다.


지난 17일 오전 8시 미 뉴욕 맨해튼 40번가. 11일 전 문을 연 4층짜리 파리바게뜨 타임스스퀘어점의 샌드위치는 한 시간 만에 동이 났다. 케빈 스톨(38·회사원)씨는 "집 앞 델리(deli·샌드위치집)와 값은 비슷한데 포장이 깔끔하고 종류가 많다"고 말했다. 인근 다른 빵집은 100여종을, 파리바게뜨는 300종을 팔고 있다.

같은 날 출근 시간이 지난 오전 10시 타임스스퀘어점. 한 커플이 키스를 하고 있다. 미국에서 빵집은 빵을 사서 나가는 곳이고, 앉아서 먹는 곳은 레스토랑이나 카페다. SPC는 한국 스타일을 더했다. 한국처럼 매장을 넓게 만들어 반(半)카페·반(半)빵집 스타일로 운영한다.

미국 내 29개 점포는 2011년부터 흑자다. 2005년 진출 초기에는 교포만 찾았지만, 현재 미국 서부 팰로앨토점의 고객 60%는 백인이고, 현지인 고객이 대부분인 뉴욕 타임스퀘어점의 매출은 하루 1만달러 안팎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최고급을 지향한다. 같은 날 오후 뉴욕에서 서쪽으로 1만2000km 떨어진 중국 상하이(上海). 시내 중심지인 인민광장에서 서쪽으로 5km쯤 떨어진 중산베이루(中山北路)의 대규모 쇼핑몰 환치우강(環球港)에 있는 파리바게뜨를 찾았는데 도무지 앉을 자리가 없었다. 왕핑(王平·31) 부점장은 "우리 브랜드는 중국의 고소득층이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대만식 디저트 업체 빠스우두씨(85度C) 등 경쟁업체는 파리바게뜨보다 10~20% 정도 싸다. 중국 파리바게뜨가 사전 주문 생산만 하는 축하케이크는 1800~ 5800위안(31만~100만원). 한국 파리바게뜨에서는 21만원짜리가 가장 비싼 케이크다. SPC는 중국 1호점이자 해외 1호점부터 외국인 밀집 지역에 있는 상하이 구베이(古北)에 열었다. 처음부터 외국인이 사먹는 고급 빵이라는 이미지를 노렸다.

중국 124개 점포 중 60%는 흑자를 내고 있다. 황희창 중국 법인장은 "중국 젊은이 사이에서 파리바게뜨는 스타벅스, 하겐다즈와 함께 고급의 상징으로 통한다"고 말했다.

핵심 경쟁력은 '반죽'

현지화를 뒷받침한 제품 경쟁력의 핵심은 SPC그룹만의 '반죽 노하우'와 '장거리 배송' 시스템에 있다.

빵은 밀가루 반죽을 발효시키고 구워 만든다. SPC는 1988년 '베이크 오프 시스템(Bake off system)'을 국내 처음 도입했다. 영하 28~35도에서 발효활동을 정지시켜 '휴면반죽(dormant dough)'을 만든다. 각 지점은 휴면반죽을 하루 2~3회 배송받아 발효시킨 뒤, 오븐에 구워 빵으로 완성한다.

이 시스템으로 파리바게뜨는 5개 공장에서 1000가지가 넘는 재료로 만든 600종의 빵을, 11개 물류 센터를 통해 3200개 지점에 하루 두세 번씩 배달할 수 있게 됐다. 다른 국내 업체는 SPC보다 10년 늦게 시스템을 도입했다.

해외 진출에서도 이 시스템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해외에서 판매하는 빵 종류는 300개로 현지 경쟁 업체의 3배다. 중국에서도 공장 3개를 지으며 이 시스템을 처음 적용했고, 다른 업체는 최근에야 도입했다. 미국에는 온도를 영하 18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수 컨테이너에 반죽을 실어 배로 보낸다.

2020년 60개 국가 3000점 목표

2009년 45개였던 SPC의 해외 매장은 올해 말엔 178개에 달할 전망이다. 곧 빵의 본고장인 파리에도 매장을 낸다. 앤서니 파베즈 SPC 전무(미주 최고운영책임자)는 "2020년까지 미국에 1000개, 중국에 1000개 등 점포를 60개 국가 3000개로 확대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현재 SPC의 해외 매장 169곳 가운데 중국 6곳을 빼고는 모두 직영점이다. SPC는 내년부터는 가맹 사업을 시작한다. 정태수 파리바게뜨 대표는 "가맹사업자 모집이 성공적으로 되면 점포수는 수년 사이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상하이(중국)=김진 기자]

[뉴욕(미국)=이혜운 기자]

글로벌 제빵그룹 SPC… 시작은 1945년 황해도서 문 연 '상미당'

SPC그룹의 역사를 보면 '시골 빵집이 어떻게 글로벌 제빵 그룹으로 커 왔는지'를 잘 알 수 있다. 또 제2, 제3의 글로벌 식품과 제빵기업이 탄생하는 게 불가능하지 않다는 사실도 함께 알 수 있다.

SPC그룹은 고(故) 허창성(許昌成) 명예회장이 1945년 황해도 옹진에서 세운 빵집 상미당(賞美堂)에서 출발했다. 1948년 상미당은 서울 을지로 방산시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1959년 삼립제과공사로 바뀌었다.

현재 SPC그룹을 이끌고 있는 허영인(許英寅) 회장은 허 전 명예회장의 차남이다. 삼립식품에 입사해 일을 하던 그는 1981년 미국 캔자스시티에 있는 AIB(American Institute of Baking)에 가서 1년 6개월 동안 제빵 공부를 했다. 허 회장이 귀국한 뒤부터 그룹은 식품기술연구소를 세우는 등 선진국의 제빵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1986년에는 법인 파리크라상을 세워 1988년부터 브랜드 파리바게뜨로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했다. 빵 반죽부터 매장에서 만들어지는 고급 빵집인 파리크라상도 직영점으로 운영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프랜차이즈 빵집 1위에 오른 SPC그룹은 중국 등 해외에 대한 시장조사를 한 뒤 2004년 첫 해외 점포를 중국 상하이(上海)에 냈다. 같은 해 허영인 회장은 SPC그룹을 출범시켰다.

SPC그룹이라는 이름에는 회사의 역사가 들어가 있다. S는 삼립식품이나 샤니를, P는 파리크라상을, C는 회사(company)를 뜻한다. 현재 12개 계열사와 22개 브랜드를 갖고 있다. 작년 그룹 매출은 3조4500억원으로 2008년 1조7500억원의 두 배였다. 올해 해외 매출은 200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2020년 해외 매출 목표는 2조3000억원이다.

[정성진 기자]
..........................................................................................................

 

농산물 80%가 등락 심한 경매로 가격 결정… 日은 18% 뿐


가 락시장 배추 경매장 - 지난 7일 밤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에서 배추 경매가 진행되는 모습. 경매로 결정되는 배추 도매가격은 9월 초 이후 줄곧 떨어져 25일에는 1망(배추 3포기)당 3000원대 초반에 낙찰됐다. /김연정 객원기자

[풍년의 역설] [2] 가격 변동 부추기는 경매

전국 농산물 표준가격 가락시장 한 곳에서 결정… 물량따라 가격 요동칠 수밖에

농민·도매상이 사전에 계약… 일정기간 가격 정하고 거래하는 定價 수의매매 방식 늘려야


"허~이. 이상훈(가명), 이상훈, 허~이. 4300원 866번."

지난 7일 밤 11시 서울시 송파구 가락시장 배추 경매장. 전동차에 올라탄 30년 경력 최현근 경매사가 배추가 쌓인 트럭 30여대를 지나가면서 경매를 진행하고 있었다.

최씨가 배추 트럭을 지날 때마다 중간도매상 60여명은 구형 휴대전화같이 생긴 응찰가 입력기를 움켜쥔 채 마음에 드는 배추가 나오면 재빠르게 가격을 입력하고 있었다. 최씨가 부른 이름들은 배추를 팔려고 내놓은 출하자, 4300원은 배추 3포기가 들어가는 망당 낙찰가격, 886번은 낙찰받은 중간도매상의 번호이다.

낙찰이 안 되면 경매사는 그냥 "다음"이라며 넘어가는데, 이날은 경매 초반부터 "다음"이 자주 나왔다. 3개 트럭 연속으로 낙찰이 안 되자 최 경매사는 "아, 이거 죽겠네"라며 혀를 찼다.

이날 배추 낙찰가는 4000원대 초반이었고, 간간이 3000원대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9월 초까지만 해도 망당 1만5000원을 호가했던 배추 값이 3분의 1로 떨어졌다. 배추 경매 가격은 계속 떨어져 최근에는 망당 평균 낙찰가가 3040원까지 추락했다. 간신히 포기당 1000원 선을 유지하는 중이다. 한 도매상인은 "경매에 나온 물량의 10% 정도는 임자도 못 찾고 헐값에 김치 공장으로 넘어간다"고 말했다.

농산물 80%는 경매로 가격 결정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채소와 과일 가격은 급등락 폭이 너무 크고, 지나치게 자주 급등락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지적한다. 지난 2010년 배추 파동 당시에는 배추 값이 포기당 1만원을 넘겼고, 올해는 배추 값이 너무 떨어져 포기당 도매가격이 1000원대로 떨어졌다.


우리나라 농산물 값의 변동이 이처럼 큰 이유는 가격 결정이 거의 송파 가락시장 한 곳에서, 경매로 이뤄지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 1년 과일·채소 유통 물량의 4분의 1을 취급하는 가락시장의 도매가격은 전국 표준가격 역할을 하는데, 이곳에서 이뤄지는 거래 중 80% 이상이 경매로 가격을 정한다.

주어진 물량을 두고 경쟁하는 경매는 물건이 없을 때는 가격을 더 올리고, 물건이 많을 때는 가격을 원가 이하로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어 가격이 급등락할 수밖에 없다.

남양호 국립농수산대학 총장은 "1년간 농산물 값 평균을 내보면 거의 일정하다. 문제는 들쑥날쑥한 변동성"이라며 "도매시장 경매는 이런 변동성을 오히려 부추기는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다.

농산물 도매가격이 경매로 정해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다. 경매 제도가 처음 시행될 때는 농산물이 소비자에게로 가는 유통 경로가 도매시장뿐이었고, 상인들의 담합이 심해 경매가 가격 결정의 투명성을 보장한다는 순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이미 농산물 유통의 투명성이라는 목표가 달성된 이후에도 경매만으로 농산물 값을 정하다 보니, 가격 급등락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정가 수의매매' 늘려야

경매를 보완할 농산물 가격 결정 방식으로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것이 '정가(定價) 수의(隨意)매매' 방식이다. 농산물 재배 농가와 도매상이 일정 기간의 가격을 미리 정해 농산물을 거래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배추 수확기에 매일 트럭 1대분을 출하하는 농민은 매일 달라지는 시가 대신 미리 계약을 한 도매상에게 배추를 넘기고 한 달 단위의 평균 가격을 정해 나중에 정산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작년 8월 도매시장 관련법을 바꿔 이 같은 정가 수의매매 방식을 전면 허용했지만, 가락시장에서도 비중이 10% 남짓에 불과하다〈그래픽 참조〉.

이미 대형화된 도매상들이 기존 방식인 경매로도 마진을 충분히 남기고 있기 때문에 정가 수의매매라는 새로운 방식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가 수의매매는 가락시장 같은 대형 도매시장보다는 틈새를 노려야 하는 지방 시장에서 성공적인 사례가 나오고 있다. 대전 노은시장에서 활동하는 도매법인인 대전중앙청과는 친환경 농산물만 거래하는 저온(低溫) 경매장 안에 농산물을 가공하는 시설을 갖추고, 올해부터 정가 수의매매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직 실적이 많지 않지만 국내 도매법인 중에서는 첫 시도다. 대전중앙청과는 충청권에서 농협공판장에 이어 둘째로 큰 도매법인인데, 작년 거래실적이 1500억원에 이른다. 대전중앙청과는 향후 대부분 거래를 정가 수의매매 방식을 도입해 처리할 계획이다.

[김태근 기자]

日, 농산물 경매원칙 폐지 대부분 定價 수의거래… 농산물 품질 향상 효과도

일본은 경매 과정에서 농산물 가격이 급등락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1999년 관련법을 개정해 경매 원칙 제도를 폐지했다.

대신 정가·수의 매매를 유도하고 있다. 그 결과 일본 중앙도매시장에서 취급되는 청과물 가운데 경매 비율은 1995년 55.1%에서 2008년 18.7%로 크게 줄었다. 반면 정가·수의 매매 비율이 크게 늘었고 지금은 청과물 거래 대부분이 정가·수의 매매로 처리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도 수의 매매 관행이 자리 잡기 시작했고, 현재 도매 물량의 90%가 수의 매매로 처리되고 있다.

정가·수의 매매 확대는 농산물 가격 안정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농산물 품질을 높이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뒀다는 게 일본과 유럽 도매상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수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동시에 참여하는 경매에선, 동시간대에 같은 품종의 다른 물건 가격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가급적 많은 물량을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하는 게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품질 차이를 제대로 살펴볼 여유가 없다.

반면 판매자와 구매자가 만나 개별 협상을 하는 정가·수의 매매 체계에선, 품질 차이를 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 일본 동경에 있는 '오타' 도매시장 관계자는 "개별적으로 가격을 협상하는 과정에서 상품 판매자는 품질 차이를 제대로 어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좋은 물건은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해 농산물 품질이 많이 향상됐다"고 말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화훼 시장을 가진 네덜란드에선 알스미어(Aals meer) 등 5개 도매시장에서 경매가 이뤄진다. 우리처럼 가락시장 한 군데서 가격이 결정되지 않고 여러 개의 도매시장에서 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같은 제품에 대한 가격 차이가 크지 않다.

[박유연 기자]

경매없이 곧바로 소비자에게… 유통비용 대폭 절감


9월 초 경기도 안성시에 문을 연 농협 농식품 물류센터에서 농협 직원들이 최신 설비를 이용해 토마토를 낱개 포장하고 있다. /주완중 기자

농협 안성 농식품 물류센터… 6단계 유통과정 4단계로 축소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에 있는 농협 안성농식품 물류센터. 서울 강남역에서 차로 1시간 20분이 걸리는 이곳은 농지 한가운데 우뚝 솟아 있어 멀리서 보면 성(城)처럼 보인다. 축구장 3개를 합친 것보다 넓고, 5톤 화물차 86대가 동시에 농산물을 내리고 실을 수 있는 시설이 1층에, 농산물을 씻고, 다듬고, 껍질을 벗기는 가공 시설이 2층에 들어서 있다. 3층에는 농산물 품질 검사 시설과 냉동 보관실이 있다.

센터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안영철 농협중앙회 농산물도매분사장은 "우리는 서울 가락시장이나 이마트, 롯데마트 같은 대형 유통업체를 경쟁자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9월 문을 연 이 센터는 정부와 농협이 도매시장과 대형 유통업체 중심의 농산물 유통 경로를 다양화하기 위해 만든 곳이다. 농산물 유통 비용을 줄이려면 경매에 편중된 가격 결정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통 경로도 다양하게 만들어 경쟁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센터는 오후 6시부터 전국 산지에서 농산물을 받고 수량과 품질을 검사한 뒤, 다음 날 오전 6시 전에 중소형 수퍼마켓, 식당 등으로 배송한다. 농산물 값은 농협이 생산자인 농민과 소비자인 중소형 수퍼마켓, 식당 등을 중개해 협의해서 결정된다. 도매시장과 달리 경매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소비자에게 물건이 가기 때문에 유통 비용이 적다. 농산물이 도매시장이나 대형 유통업체를 거치면 유통비만 11~ 18%가 붙는데, 이곳에선 수수료 4%만 붙는다. '농민-산지 유통인-도매법인-중도매인-하매인-소매상'으로 이어지는 6단계 유통이 '농민-물류센터-소매상-소비자' 4단계로 축소되는 셈이다.

농협은 올해 이 센터에서 1조원의 농산물을 시중에 유통할 계획이고, 장기적으로는 2조원까지 처리 물량을 늘릴 계획이다. 2조원이면 우리나라 연간 농산물 유통량의 20%에 해당한다. 이천일 농식품부 유통정책관은 "이 정도면 도매시장과 대형 유통업체에 충분히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삼성 분기 영업익 10조시대` 과제는…



소비자가전ㆍ디스플레이 부진 그늘

휴대폰ㆍ반도체 견인차…추후 성장성 의문

5대 신수종사업도 뚜렷한 성과없어 속앓이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했다.

분기 영업이익 10조 시대 개막은 지난 4일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가이드라인에서 이미 예견된 일이었으나 25일 공식 발표를 통해 이를 재확인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여전히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 10조의 벽을 넘어서면서 이제 `10조'가 세간의 기준점이 돼버린 것이다. 하지만 상황은 호락호락하지 않다.

휴대폰과 반도체 등 특정 분야의 높은 의존율은 개선되지 않고 고착화되고 있으며 다른 분야에서의 성장 돌파구는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2013년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59조800억원, 영업이익 10조1600원의 실적을 기록해 사상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최대 실적을 기록한 25일 삼성전자의 주가는 변동이 없었다.

◇CEㆍ디스플레이는 부진…10조 달성 퇴색=영업이익 10조 돌파를 견인한 것은 휴대폰과 반도체였다.

IM(IT&모바일) 부분은 36조5700억원의 매출과 6조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IM부문의 매출은 전체의 61.9%, 영업이익은 65.9%를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둔화에도 불구하고 IM부문은 전분기 매출이 3%, 영업이익의 7%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갤럭시노트3 등 고가 제품의 판매량 증가와 더불어 보급형 스마트폰의 확대 전략을 구사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도체부문은 9조7400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분기보다 12% 신장했다.

영업이익은 2조600억원으로 17% 증가했다.

반도체 부문은 SK하이닉스의 중국 우시 공장 화재로 D램 가격이 폭등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삼성전자 사업의 또 다른 축인 CE(소비자가전)부문과 디스플레이 부문의 실적이 위축되면서 영업이익 10조의 빛이 바래고 있다.

삼성전자의 지난 3분기 CE 부문 매출은 12조500억원(VD사업부7조6800억원), 영업이익은 350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분기보다 6% 줄었으며 영업이익은 무려 18% 감소했다.

영업이익율은 2.9%로 내려앉았다.

CE 부문의 실적 저조는 TV 시장의 침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생활가전 부문 역시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성장률이 감소했다.

TV 사업의 부진은 그대로 부품인 디스플레이 패널(DP)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디스플레이패널 매출은 8조9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9800억원으로 12% 감소했다.

◇높아진 눈높이 부담감=삼성전자 내부에서는 정작 분기 매출 10조 달성을 반기는 분위기는 아니다.

그만큼 기대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제 영업이익이 10조를 못 넘기면 사업을 못했다는 소리를 듣게 됐다"고 말했다.

다행히 4분기는 ITㆍ전자 산업의 최대 성수기여서 매출이 증가해 마케팅 비용을 효율적으로 집행한다면 10조 이상의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TV 등 완제품의 판매가 늘면서 자연스럽게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부품 매출도 늘어날 전망이다.

25일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김현준 삼성전자 무선기획부 상무는 "4분기에는 마케팅 비용이 일부 증가하겠으나 매출 대비 적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내년 1, 2분기에도 여전히 10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릴 수 있을지 장담하기는 어렵다.

매출과 영업이익의 3분의2를 차지하는 휴대폰의 경우 하이엔드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에 따라 삼성전자는 보급형 라인업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경쟁도 점차 강화되고 있어 향후 IM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반도체의 경우 4분기까지 성장이 이어지겠으나 내년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백지호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무는 "내년에는 D램 시장은 수요보다 공급이 수급을 결정짓는 중용한 요인이 될 것"이라며 "내년 D램 성장률은 올해 수준을 넘기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역성장했던 TV 시장의 경우 내년에는 월드컵 효과로 다소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만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성장성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UHD TV 등 차세대 TV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미 평판TV 시장 자체가 포화돼 있어 그 효과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신수종 사업은 어디에=영업이익 10조 달성이라는 화려한 조명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 안팎에서는 현재 삼성전자를 떠받들고 있는 스마트폰과 반도체가 무너질 경우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미 TV와 디스플레이에 이어 휴대폰도 중국이 빠르게 국내 업체를 뒤쫓고 있다.

이런 위기 의식속에 삼성은 지난 2010년 `5대 신수종 사업'을 발표했다.

태양전지, 2차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바이오ㆍ제약, 의료기기가 그것으로 2020년까지 23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아직 5대 신수종 사업가운데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분야가 없다.

한 전자 업계 관계자는 "3년의 시간이 흐른 만큼 신수종 사업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성장 돌파구를 찾는 구체적인 액션 플랜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희종기자 mindle@

삼성, 스마트폰 고공성장에도 고민하는 이유…



IM 영업익, 전체의 65.9%… 독과점 고착 ‘경쟁없는 독주’ 우려

삼성전자의 IM(IT모바일) 사업부문이 휴대폰 시장의 부정적 전망 속에서도 나홀로 성장을 지속하며 있지만, 전사 실적에서 IM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갈수록 확대되면서 큰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이 2/3선을 넘어 사실상 독과점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경쟁없는 독주'체제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삼성전자의 2013년 3분기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영업이익 가운데 IM 부문의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65.9%로 전사 영업이익의 2/3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IM부문 영업이익 비중은 지난 1분기 74%를 최고점으로, 3분기에는 그나마 반도체 부문의 선전으로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전체 실적에서 차지하는 사업비중이 절대적이다.

IM 사업부문에 대한 편중현상이 갈수록 심화되면서, 이미 해외 주요 언론들도 우려섞인 목소리를 전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2분기 삼성의 실적 발표 이후 "스마트폰 성공이 삼성의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삼성전자가 매출의 상당 부분을 스마트폰 사업에 의존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시장 자체가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앞으로 매출 전망도 밝지만은 않다는 설명이다.

증권업계에서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움직임이 언제든지 삼성의 전체 실적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다소 우려섞인 분석들을 내놓고 있다.

실제 지난 25일 IR 컨퍼런스콜에서는 스마트폰 시장의 위축과 글로벌 제조사들의 M&A(기업인수 및 합병) 등 급변하는 휴대폰 시장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는 애널리스트들의 질문이 잇따랐다.

정체기로 진입한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삼성의 독주체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 휴대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60∼70%으로 사실상 독과점 상태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삼성전자의 지난 2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이미 70%를 넘어섰다고 보고했다.

지난 2011년까지만 해도 56.9%에 달했던 삼성전자의 과점체제가 불과 2년도 안돼 70%를 넘겼고, 이러한 독주체제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특히 경쟁업체인 LG전자의 `LG G2'가 당초 기대치에 못 미치고 있고, 팬택은 내부적으로 큰 구조조정기에 있어 삼성독주 체제가 장기화될 조짐이다.

단말기 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사업자들이 공존하고 서로 경쟁을 해야 혁신도 있고 발전도 있는 법인데, 삼성은 사실상 지금 경쟁사라고 할 만한 사업자가 없는 상황"이라면서 "이같은 독과점 환경에서 삼성이 지속적으로 혁신의 주체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올해 음성인식 휴대전화 판매량 10억대 넘는다"


애플아이폰4S의 음성인식 기능인 시리. (AP=연합뉴스 DB)

미국 시장조사업체 "2017년엔 14억대까지 증가"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올해 음성인식 기능을 탑재한 휴대전화의 판매량이 10억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음성인식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의 판매량이 지난해 8억5천600만대에서 10억4천900만대로 22.5% 늘어날 것이라고 28일 발표했다.

SA는 이 수치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7년에는 다시 14억2천100만대가 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전체 스마트폰 중에서 음성인식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율도 올해 63%에서 2017년 75%로 늘어날 전망이다.

음성인식 스마트폰 비중은 성숙시장(mature market)이 성장시장(emerging market)보다 높았다. SA는 북미 시장에서는 내년에, 서유럽 지역에서는 2017년에 음성인식 스마트폰 비중이 90%를 넘어설 것이라고 집계했다. 이는 중저가 제품보다 최고급 제품에 음성인식 기능을 탑재하는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음성인식 기능은 애플이 시리를 통해 처음 선보였으며 삼성전자·LG전자·팬택 등 국내 업체들이 각각 S보이스·Q보이스·스마트보이스라는 이름으로 스마트폰에 탑재했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개발하는 구글의 구글나우 역시 음성인식 기능의 일종이다.

SA는 음성인식 기능이 앞으로 극복해야 할 점으로 ▲ 정확성 ▲ 언어 수 ▲ 하드웨어 성능 ▲ 다른 입력도구와 경쟁 ▲ 라이선스 비용 등을 들었다.

소음이 가득한 곳에서도 사람은 이른바 '칵테일 파티 효과' 덕분에 원하는 소리를 골라서 들을 수 있지만 스마트폰은 그게 어렵기 때문에 아직 정확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세계 각지의 다양한 언어와 방언에 대응해야 하고, 무리 없이 음성을 인식할 수 있을 만큼 하드웨어 사양을 갖춰야 한다. 동작인식 등 다른 입력도구와도 경쟁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음성인식을 위한 지적재산권에 대해 라이선스도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SA는 음성인식이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이 많지만, 대형 업체들은 음성인식 기능을 지속적으로 탑재하고 음성인식 기술업체들도 기술적 문제를 차차 해결해 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

스마트폰 1000만화소 시대… 직격탄 맞은 디카(디지털카메라)



출력해도 화질 떨어지지 않고 앱 이용해 사진 바로 보정도… SNS 전송돼 디카 성능 앞질러

카메라제조사, 와이파이 결합 등 신제품 차별화에 고심


디지털카메라가 처음 등장했을 때 '필름카메라의 화질, 색감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불만이 많았다. 하지만 디지털카메라는 빠르게 발전해 결국 필름 카메라의 자리를 빼앗았다.

비슷한 현상이 디지털카메라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 성능이 진화하면서 디지털카메라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직격탄 맞은 '똑딱이 카메라'

최신 스마트폰에는 디지털카메라처럼 1000만화소(畵素)가 넘는 카메라가 들어간다. 화소는 화면을 구성하는 미세한 점을 뜻한다. 화소가 많으면 그만큼 사진이 선명하고, 크게 출력해도 화질이 떨어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똑딱이 카메라'로 부르는 소형 디지털카메라는 1600만화소 안팎이다. 삼성전자 갤럭시S4, LG전자 G2의 카메라는 그에 육박하는 1300만 화소를 갖추고 있다. 소니의 엑스페리아Z1는 2070만화소로 어지간한 디지털카메라보다 해상도가 더 높다.

스마트폰에는 디지털카메라가 가지지 못한 강점도 있다. 우선 스마트폰은 찍은 사진을 바로 전송하거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올릴 수 있다. 사진 편집용 앱(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사진을 바로 보정하거나 각종 효과를 넣는 것도 가능하다. 파노라마 사진처럼 과거에는 고가(高價)의 전문 장비,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얻을 수 있었던 사진도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찍을 수 있다.

젊은 층은 사진을 찍고 친구들과 함께 보는 것을 하나의 놀이로 받아들인다. 이에 맞춰 스마트폰 카메라에는 사진의 품질을 높여 주는 각종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LG전자가 G2에 탑재한 손떨림 방지 기능이 대표적이다. LG전자는 "달리는 자동차처럼 흔들리는 곳에서도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다 보니 소형 디지털카메라 시장은 뚜렷한 하락세다. 일본 '카메라·영상 제품 연합(CIPA)'에 따르면 올 들어 8월까지 11개 일본 제조사가 세계 시장에 판매한 소형 디지털카메라는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량의 54.3%에 그쳤다. 지난해 81.8%였던 렌즈 교환식 카메라보다 감소폭이 훨씬 컸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도 전 세계 소형 디지털카메라 생산량이 올해 9523만대에서 2017년에는 6564만대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폰과 차별화" 카메라 회사들 고심

카메라 전문 제조업체들은 스마트폰과의 차별화를 위해 골몰하고 있다. 캐논 코리아 신상헌 과장은 "30배 이상의 배율처럼 스마트폰에 없는 기능을 탑재하거나, 무선 통신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캐논·후지필름 등 대다수 카메라 전문 제조업체가 와이파이(WiFi·무선인터넷) 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판매하고 있다. 니콘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카메라도 출시했다. 가트너는 통신 기능이 있는 카메라의 생산량이 올해 191만대에서 2017년에는 2398만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 방식에서 앞서가는 업체는 세계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카메라에 LTE(4세대 이동통신) 기능까지 넣었다. 산이나 바다 같은 곳에서는 와이파이로 사진을 전송하기 어렵지만 LTE를 쓰면 그 자리에서 바로 보낼 수 있다.

삼성전자 박한용 과장은 "카메라에 LTE를 넣는 것은 기술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동통신사와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메라 전문 제조사들이 쉽게 엄두를 못 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채민기 기자]

 

 

...............................................................................

연 51.4% 고성장 중국 ‘황금알’ 사업 뭐길래…

정부 주도 빅데이터 산업 육성… 국내기업 진출 정부차원 통합지원 필요

중국이 정부 주도로 빅데이터 산업 육성에 나서면서 관련 시장이 2016년 6억달러를 넘어설 정도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외 빅데이터 관련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중국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이 빅데이터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데 대응해 관련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빅데이터에 대한 대응이 늦었다는 판단아래 정부차원에서 힘을 싣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중국 빅데이터 시장은 2011년 7760만달러 규모에서 오는 2016년 6억1700만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51.4%의 성장이 예상된다.

또 빅데이터와 관련한 네트워크, 서버 등 하드웨어, 기업 자원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정보보호 등에서 폭발적인 성장이 예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빅데이터 산업 육성에 한발 늦었지만, 국가적 특성에 따라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제1위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어 데이터에 숨겨진 가치를 찾는 빅데이터에 유리하다.

또 민간기업들도 정부에 맞춰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특성과 다른 나라에 비해 IT 도입이 늦어 빅데이터에 맞는 인프라를 맞추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점도 주목받고 있다.

KOTRA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인구 정보처리를 위한 빅데이터센터를 중국 산시성 정보산업단지에 건설 중이고, 공공서비스와 금융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만들고 있다.

KOTRA측은 "중국 빅데이터 시장은 인터넷ㆍ전력ㆍ통신 기업 주도로 확산될 전망"이라며 "해외 기업은 세분화 시장에 주력하는 선도적인 중국 IT 솔루션 업체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데이터 처리ㆍ분석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중국 빅데이터 시장이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외 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오라클 관계자는 "중국의 빅데이터 시장은 잠재력이 높고 규모 자체가 다른 나라에 비해 커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이미 일부 기업들은 중국 내 실적에 따라서 분기 실적이 달라질 정도"라고 말했다.

국내 업체들도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등을 중심으로 티베로, 와이즈넛, 알티베이스, 위세아이텍 등 데이터베이스(DB) 업체들과 엔코아, 웨어밸리 등 관련 업체들이 시장공략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업체가 중국 시장에서 성과를 내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 정부의 빅데이터 관련 지원정책이 부처별로 제각각 추진돼 효율성이 떨어지고, 국내 빅데이터 시장 환경이 초기 단계에 있어 구축사례 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도 내달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산자원부, 안전행정부는 빅데이터 정책을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역시 국내 빅데이터 정책은 부처별로 추진돼 국내 기업의 중국 등 해외 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SW업계 한 전문가는 "빅데이터는 산업간의 융합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 핵심인데, 현재 국내 빅데이터 정책은 연관 부처에 맞춰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형태"라며 "전체 빅데이터 사업을 범 부처 차원에서 추진하는 중국이나 일본 모델을 참고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형근기자 bass007@

 

...............................................................................................

 

"영리병원 '영'자만 나와도 국회서 난리"…규제 완화로 선회



의료산업 전략 수정

정부, 병원에 여행업 허가…외국인 환자 유치

'병상 5% 룰'·메디텔 거리제한도 풀기로


정부가 27일 영리병원 전면 도입을 보류하기로 함에 따라 의료산업 활성화 방안을 놓고 또 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현실적 선택’이란 측면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다른 한편에선 ‘해보기도 전에 포기부터 하느냐’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영리병원 “사회적 합의 어렵다”

정부의 영리병원 논의 중단 배경에는 ‘사회적 합의가 어렵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지난 10년간 ‘영리냐, 비영리냐’로 논쟁을 해왔는데 영리병원의 ‘영’자만 나와도 국회에서 난리가 난다”며 “이런 상황에서 영리병원을 고집하는 것은 현실적 접근이 아니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첫 서비스 산업 대책을 내놓은 지난 7월에 이미 영리병원과 같은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사안에 대해선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에도 무리하게 영리병원을 강행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간접적으로 내비친 것이다.

영리병원이 생각만큼 ‘파괴력 있는 대책’이 아니라는 과거 경험도 고려됐다. 경제자유구역과 제주지역에 이미 제한적으로 영리병원 설립이 가능하지만 실제 투자자가 잘 나서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리병원 없이도 의료산업 발전이 가능하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이 단적인 예다. 국내 병원의 외국인 환자 유치가 허용된 것은 2009년 5월 의료법이 개정되면서부터다. 당시 6만명 정도에 그쳤던 외국인 환자 수는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나며 지난해 15만명을 넘어섰다. 정부 관계자는 이를 두고 “의료 산업 발전에 영리병원이 꼭 필요한 건 아니라는 증거”라고 해석했다.

물론 국내 병원의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은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 훨씬 뒤처진다. 2010년에 이미 태국은 한국의 10배나 되는 156만명의 외국인 환자를 끌어모았다. 인도(73만명)와 싱가포르(72만명)도 한국보다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이 5배나 많다.

○의료 규제는 과감히 푼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오는 12월에 발표할 4차 투자활성화 대책(의료산업 발전대책)에서 영리병원 문제는 꺼내지 않기로 했다. 대신 그밖의 의료산업 규제를 폭넓게 완화할 방침이다. “영리병원 문제만 빼고 A부터 Z까지 다 들여다보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현재 거론되는 주요 대책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병원에 여행업을 허용하는 것이다. 현행 의료법상 병원은 외국인 환자를 직접 유치할 수 없다. 여행사가 외국인 환자를 유치해오면 치료만 할 뿐이다. 강종석 기재부 서비스경제과장은 “환자 입장에선 중개 수수료 때문에 치료 비용이 높아질 수 있는 데다 브로커들이 ‘질 낮은’ 병원으로 환자들을 데려가면서 한국 병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지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메디텔(의료관광용 호텔) 거리 규제를 푸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현재 메디텔은 병원으로부터 반경 1㎞ 안에 지어야 하는데 이를 풀어주겠다는 것이다. 거리 제한을 완전히 푸는 방안과 3~5㎞ 정도로 완화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대학병원 등 43개 상급 종합병원의 병실 가운데 외국인 입원 환자 비율을 5%로 제한하는 ‘5%룰’도 손질 대상이다. 현재 국내 상급 종합병원들은 이 비율이 1% 안팎이어서 당장 이 규제 때문에 외국인 환자 유치에 애를 먹는 것은 아니지만 규제 완화 효과는 기대 이상으로 클 수 있다.

정기택 경희대 의료경영학과 교수는 “투자자들은 이런 규제를 보고 정부가 의료 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한다”며 “중국은 리커창 총리, 일본은 아베 신조 총리가 의료산업 활성화에 나서고 있는 만큼 우리도 의료산업 규제 완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산업이 활성화되면 상당한 고용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억원 투자당 고용창출효과는 제조업이 4.9명인 데 비해 의료서비스업은 16.3명이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21일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 방문 현장에서 “매출 165조원인 삼성전자의 고용이 16만명에 그치는 데 반해 매출 1조원의 아산병원은 1만명을 고용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 영리병원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유치해 병원을 운영하고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되돌려주는 주식회사 형태의 병원. 투자개방형 의료법인이라고도 한다. 현행 의료법은 의료기관 설립자격을 의사와 비영리법인으로 제한해 영리병원 설립을 막고 있다. 다만 경제자유구역과 제주에선 특별법에 따라 외국자본에 한해 영리병원 설립이 가능하다.

주용석/김우섭/고은이 기자 hohoboy@hankyung.com

 

.........................................................................................................

 

'착한 가게'의 눈물

현장 리포트

가격인상 압박 커지는데 인센티브는 턱없이 부족

외식업종이 80%…식재료값 인상 못버텨

안행부 '찔끔 지원'…2013년 들어 541곳 감소


#1. 지난 25일 오후 서울 반포동에 있는 A식당. 입구에 안전행정부가 선정한 ‘착한가격 업소’임을 알리는 파란 포스터가 붙어있었다. 이 집의 대표 메뉴인 비빔밥은 5000원으로, 서울시내 평균 비빔밥 가격(7864원)보다 30% 이상 싸다. 하지만 음식점 주인 B씨는 “채소값이 오르면서 더 이상 5000원에 비빔밥을 만들기 어렵다”며 “가격 인상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2. 서울 강남대로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C씨는 다음달 구청에 착한가격 업소 자진 취소를 신청할 계획이다. 그가 운영하는 고깃집의 삼겹살 1인분 가격은 1만원. 서울시내 평균 삼겹살 가격(1만2000원)보다 싸다. 강남 주변 고깃집에 비하면 최대 5000원까지 싼 편이다. C씨는 “손님이 아무리 많이 오더라도 강남에서 이 가격엔 본전조차 뽑기 힘들다”고 말했다.

싼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된 ‘착한가격 업소’가 최근 가격 상승 압박으로 자진 취소하거나 업소 지정에서 탈락하는 업체가 속출하고 있다.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도입한 ‘착한가격 업소’ 정책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매년 두 차례 지정하는 착한가격 업소는 이달 기준 6793곳으로, 지난해 말(7334개)보다 541곳 감소했다. 이 중 자진 취소한 업소가 79곳, 폐업 212곳, 가격 인상으로 탈락한 업소가 250곳이다. 제도가 시행된 2011년 11월부터 지난해 말까지를 합치면 자진 취소 업소와 탈락한 곳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착한가격 업소 선정 기준은 가격, 품질, 친절도 등이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가격이다. 업소에서 제공하는 음식 가격이 해당 지역 평균 가격보다 싸야 한다는 게 안행부의 설명이다. 문제는 착한가격 업소 대부분이 식재료값 인상 등으로 가격 압박을 받는 외식업종이라는 점이다. 전체 착한가격 업소의 79.1%인 5378곳이 한식 중식 등의 외식업종에 해당한다. 올해는 평년보다 긴 장마와 폭염으로 채소값이 상승하면서 가격 인상 압박을 더 받고 있다. 음식가격을 평균가격 이상으로 올리면 착한가격 업소 지정에서 탈락하게 된다. 이·미용, 세탁업 등도 가격 인상 압박에 시달리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러다 보니 업소가 가격을 인상해 착한가격 업소 지정을 자진 취소하거나 탈락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가격 인상을 억제하면서까지 착한가격 업소 지정을 유지할 만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는 인센티브가 적다는 게 업소 주인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각 지자체가 착한가격 업소에 지원하는 인센티브는 쓰레기봉투값 보조, 상·하수도료 감면, 소상공인 정책자금 우선 대출 등에 불과하다. 안행부가 편성한 착한가격 업소 관련 예산도 홍보용으로 연간 1억원에 불과하다. 이런 이유로 개인서비스 요금 안정 관리의 최일선에 선 착한가격 업소들의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는 불평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문영훈 안행부 지역경제과장은 “사람들이 착한가격 업소를 많이 찾도록 앞으로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

 

삼성전자 2014년 사업 향방은?



삼성전자가 3분기에도 사상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IT·모바일(IM)과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영업이익이 3분기 각각 6조7000억원과 3조900억원으로 작년 동기의 5조6300억원과 2조2200억원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 힘이 됐다. 반면 올들어 역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소비자가전(CE) 부문 3분기 영업이익은 3500억원으로 작년 동기(4000억원)보다 500억원이 줄었다.

하지만 4분기 CE 부문 영업이익은 반등이 예상된다. 성일경 삼성전자 상무는 “연말 성수기에다가 내년 월드컵 효과로 중남미 등 신흥시장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프리미엄 제품 판매 강화와 실속형 등 시장 변화에 대응한 제품으로 실적개선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CE본부는 글로벌 침체 장기화와 관련 산업의 역성장에 따른 대응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3분기부터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1·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었지만 3분기에는 작년 동기와 비교해 하락폭을 줄였다. 출혈경쟁 자제와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환율 불안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동시에 수익성 개선에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전략은 4분기에 더욱 힘을 낼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 관계자는 “CE부문이 돌파구를 찾기란 쉽지 않다”며 “다만 삼성전자 강점 가운데 하나가 우수한 경기 대응능력으로 동종 업계와 비교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을 갖췄다”고 말했다.

IM부문은 4분기 다소 둔화하겠지만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세 둔화는 계절적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업체간 경쟁심화와 이에 따른 마케팅 비용 지출 증가에 기인한다. 김현준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는 “4분기에 삼성전자 휴대폰 총 물량은 3분기 대비 한 자리 수 초반 성장할 것”이라며 “스마트폰은 한 자리수 초반대, 태블릿은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부품(DS) 부문 시스템LSI와 디스플레이 사업의 향방은 내년 연구개발(R&D) 성과가 결정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치킨 게임이 끝난 후 승자독식의 여유를 누리고 있는 메모리 사업에 반해 시스템LSI와 디스플레이 사업은 침체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명진 IR담당 전무는 “시스템LSI는 14나노 공정 개발로 2015년부터 고성장세를 보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디스플레이는 중국 쑤저우 공장(팹) 양산을 시작하면서 중국 거래선을 추가 확보하는 등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하지만 대면적 LCD 가격 하락 등으로 뚜렷한 수익 증가 요인은 찾기 힘들다. 삼성전자 측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R&D 투자액을 늘릴 것을 시사했다. 이 전무는 “OLED R&D 비용 증가, 양산에 따른 감가상각 등으로 수익률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메모리 사업도 추가 증설보다는 공정 전환으로 메모리 용량을 증가시킬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3분기 영업이익 10조1600억원, 매출 59조835억원을 올렸다. 사상 최대 실적으로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대비 26.1%, 매출은 작년 동기대비 13.2%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3분기까지 15조원의 시설투자를 했으며 올해 총 시설투자는 24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준배, 권건호, 오은지

 

 

...........................................................................................................

 

[글로벌 이노베이션 DNA]경험을 파는 가게 `애플 스토어`


뉴욕 5번가에 위치한 플래그십 애플스토어는 365일 24시간 열려 있다.

미국 전체 상점 중 면적 대비 수익이 가장 높다. 전체 소매점 매출 평균에 17배를 올린다. 명품 티파니 매장보다 매출이 두 배나 많다.

전부 애플스토어에 붙는 수식어다. 3개월 간 평균 1억 명이 방문하고 1인당 45달러를 소비하는 곳이다. 연일 최고 수치를 갈아 치우며 매년 90%씩 성장하는 최고의 유통점이다. 애플 신제품 출시일이 다가오면 사람들은 애플스토어 앞에서 밤을 새운다. 제품을 사면 환호성을 지르고 줄 선 사람들과 하이파이브를 한다.사람들은 왜 애플스토어에 열광하는가. 애플스토어가 제품을 싸게 팔지도 않고 덤도 없다. 애플스토어는 정가를 받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왕 애플 제품을 산다면 이곳에 간다. 안타깝게도 한국엔 애플스토어가 없다. 한국에서 애플 제품을 파는 곳은 진정한 애플스토어가 아니라 애플이 인증한 대행 매장이다. 제품 전시 모습만 비슷할 뿐 애플이 직접 운영하는 애플스토어와 크게 다르다. 세계 유통 시장을 뒤 흔든 애플스토어의 비밀을 현장에서 직접 알아봤다.

◇제품이 아닌 경험을 판다=샌프란시스코의 중심 유니온스퀘어 소재 애플스토어에 들어서면 많은 직원에 압도당한다. 파란색 티셔츠를 입은 직원들이 어떤 서비스가 필요한지 묻는다. 제품이 아니라 서비스다. 애플은 애플스토어를 제품을 가장 잘 배울 수 있는 곳이다. 애플스토어는 단순한 매장이 아니다. 새로운 애플 제품을 가장 먼저 보고 배울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유니온스퀘어 애플스토어에 들어서면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 애플 제품을 자유롭게 이용해 볼 수 있는 책상이 놓여있다. 제품을 체험하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바로 질문하면 된다. 직원에게 곧바로 답변을 들을 수 있다. 애플은 스토어 직원을 뽑을 때 기술적으로 많이 아는 사람보다 친절하고 배려심 많은 사람을 뽑는다.

판매사원을 계약직으로 채용하는 일반 매장과 달리 애플스토어 직원은 대부분 정규직이다. 스티브 잡스는 2001년 애플스토어 1호점을 소개하며 “사람들은 더 이상 PC만 사려하지 않고 PC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고 싶어 한다”고 설명하며 애플스토어를 직원 채용 방식을 정했다.

◇공짜 강의가 매일 매일=유니온스퀘어 애플스토어 2층에는 맥, 아이패드, 아이폰, 아이팟을 활용하는 갖가지 무료 강의 `워크숍`이 한창이다. 어린아이부터 어르신까지 애플 제품 활용법을 배운다. 처음 스마트폰을 사고 활용법을 몰라 검색을 하거나 지인이나 자녀에 물어볼 필요가 없다. 애플스토어에 가면 전문가 알기 쉽게 강의한다.

아이폰으로 멋지게 사진 찍는 법, 아이패드로 아이와 함께 공부하는 법, 아이클라우드 사용법 등 주제도 다양하다. 단순히 제품 작동법이 아니라 이를 활용해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사람들이 스토어에 더욱 자주 찾게 하는 비법이다. 언제나 최신 애플 제품을 만지고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여는 셈이다. 한번 애플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는 계속 이곳을 찾는다.

예약도 간단하다. 애플 웹사이트에 들어가 원하는 스토어와 관심 있는 강의를 선택하고 시간에 맞춰 참석하면 된다. iOS7 등 새 운용체계(OS) 업그레이드도 강의에서 쉽게 배운다. 언제나 가장 가까운 스토어에서 듣고 싶은 강의를 들을 수 있다. 강의에 참여 하는 인원은 10여명 이하다. 직접 애플 기기를 들고 가 강사의 자세한 설명을 들으며 활용법을 익힌다.

◇당신만을 위한 서비스=애플스토어는 제품 구입에서 활용, 수리까지 책임진다. 스토어에는 지니어스라 불리는 전문가가 포진한 `지니어스바`가 있다. 웹 사이트에서 예약 후 지니어스바에 가면 고장 난 기기 수리는 물론 각종 문제를 해결한다. 호텔 컨시어지와 같은 역할이다. 품질 보증 기간 이내거나 제품 자체 결함일 경우 두 말 없이 새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공짜로 수리해준다. 지니어스는 세계 어느 매장에서 일하더라도 본사에서 직접 교육받는다. 고객에게 최고의 직원으로 꼽힌 직원은 `맥 지니어스`라는 호칭을 얻는다.

맥이나 아이폰, 아이패드 등 신제품을 사면 전문가가 일대일로 이메일 설정부터 사진, 음악, 파일 등을 나에 맞춰 설정해준다. 과거 데이터를 새 PC나 아이폰으로 옮기를 방대한 작업을 책임진다. 좀 더 자주 자세하게 모든 애플 상품관련 서비스를 받으려면 1년에 99달러를 내면 된다. 맥 사용 중 어려운 점이 있거나 새로 구입한 소프트웨어 활용법을 모를 때도 애플스토어에 가면 된다. 일대일이나 그룹 강의를 선택해 듣는다.

◇최고의 위치와 디자인=현재 14개국에 407개 애플스토어가 운영 중이다. 2001년 미국서 2개 매장으로 시작한 애플스토어는 설립 당시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예상을 뒤집고 최고 소매점이 됐다. 애플스토어는 각 도시에서 눈에 잘 띄거나 의미 있는 건물에 위치한다. 유동인구가 얼마 이상이고 매장 평수가 몇 백평 이상이어야 한다는 기본 조건과 함께 상징적인 장소에 애플스토어가 있다.

빅애플로 불리는 뉴욕 5번가 플라자 호텔 맞은편에 애플 로고가 새겨진 유리 큐브 형태 매장을 열었다. 이 매장은 24시간 365일 손님을 맞는다. 네덜란드 최초의 애플스토어는 레이체 광장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축물 허쉬 빌딩에 있다. 프랑스의 자랑 루브르박물관에도 애플스토어가 문을 열었다. 박물관 유리 피라미드 아래 애플스토어가 들어섰다. 중국 상하이 애플스토어는 동방명주 바로 앞에 자리 잡았다.

눈에 띄는 위치와 함께 애플스토어는 최고급 자재로 내외부를 꾸민다. 애플스토어 전면을 둘러싼 유리부터 벽면, 기둥, 테이블, 의자 등은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소재를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팀 쿡 애플 CEO는 지난 6월 열린 애플개발자회의(WWDC)에서 “애플스토어는 미국 학교의 현장학습 장소”라며 “단순히 애플 제품 판매 매장의 의미를 넘어섰다”고 말했다.

샌프란시스코(미국)=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상점 면적 대비 매출

자료:리테일 세일즈

◆애플스토어 개요

하루 방문자 수: 1만 명

일인당 평균 매출: 45달러

매장: 407개(14개국)

제품: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맥, 각종 액세서리

서비스: 무료 한 시간 워크숍, 유스 프로그램(아동 대상 무료 강좌), 일대일 교육, 지니어스바(AS), 개인 설정

 

 

[글로벌 이노베이션 DNA]충성도 높은 고객을 만드는 애플스토어의 5가지 원칙


샌프란시스코 애플스토어의 지니어스바에서 고객들이 서비스를 받고 있다.

최고의 매출을 올리는 애플스토어는 A-P-P-L-E로 대표되는 5가지 원칙을 철저히 지킨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애플 지니어스바의 비밀`이란 기사에서 애플스토어 직원 교육 교재에 나온 5가지 비밀을 공개했다. 직원은 고객이 매장 문을 열고 들어오는 순간부터 A-P-P-L-E이라는 5단계 대응을 시작한다.알파벳 A로 대표되는 첫 단계는 매우 따뜻한 모습으로 환영하며 고객을 맞는(A:Approach with a personalized, warm welcome) 자세다. 애플 직원은 고객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공손하게 대하며(P:Probe politely to understand all the customer`s needs) 오늘 집에 가져갈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P:Present a solution for the customer to take home today)하는데 노력한다. 네 번째로 고객의 문제와 걱정을 주의 깊게 듣고(L:Listen for and resolve any issues or concerns), 친절한 작별인사와 다시 찾아달라는 당부(E:End with a fond farewell and an invitation to return)도 잊지 않는다.

애플이 주는 고객 경험이 세계 어느 매장을 가도 똑같은 이유다. 애플스토어 직원 훈련 교재에는 고객에게 보다 세심한 서비스를 위해 직원들이 사용할 단어까지 제시한다. 예를 들어 `음-허(Uh-huh)`라든지 `이해했어요(I understand)` 등이다.

애플스토어 직원은 6개월 동안 6분 이상 3번 지각하면 해고다. 직원마다 특별히 할당된 판매 목표는 없지만 기기와 서비스를 함께 팔아야 한다. 판매가 저조한 직원은 재교육을 받거나 다른 자리로 이동한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

 

[이슈분석]페이스북 향후 10년은 `모바일 광고와 그래프 검색`에 달렸다



`모바일 광고와 검색.`

페이스북의 앞으로 10년을 먹여 살릴 원동력이다. 포브스는 페이스북이 오랫동안 사랑 받는 인터넷 기업이 될 기반을 갖췄다고 분석했다. 페이스북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했다. 세계 11억명의 가입자를 가졌고, 매일 이용하는 사람만 수억 명에 달해 무엇을 해도 이익을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 10년간 토대를 닦은 페이스북은 구글처럼 광고와 검색에 집중한다. 첫 시도는 모바일 광고다. 페이스북은 지난 2분기 이익과 매출에서 모두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올렸다. 모바일 광고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덕분이다. 2분기 매출 18억1000만 달러에 순익 3억3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같은 기간 광고 매출은 1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1% 급증했다. 특히 모바일 광고 비중이 41%나 차지했다. 모바일 광고 플랫폼 성장 가능성에 의구심을 품었던 시장 우려를 한방에 날려버렸다. 페이스북은 구글의 주요 고객인 중소 상점 광고 시장에서 두각을 보였다.

페이스북은 최근 이스라엘 모바일앱 분석기업 오나보를 인수했다.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앱 사용 실태를 파악해 보다 적극적으로 광고에 활용하려는 전략이다. 지난 4월 시도했다 고배를 마신 페이스북 홈도 아직 진행형이다. 페이스북 홈은 안드로이드폰 첫 화면을 페이스북으로 바꾸는 론처다.

페이스북의 또 다른 도전도 구글 텃밭 검색이다. 페이스북은 지난 1월 사용자 연결 관계를 간편하게 탐색해 활용하는 `그래프 검색`을 소개했다. 웹 검색은 검색어에 일치하는 최적 결과를 보여주는데 그래프 검색은 SNS 데이터를 활용해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엄격한 채식주의자는 누구인가`처럼 복잡한 질문에 답을 준다.

그래프 검색은 개발 초기 단계다. 현재 미국 영어를 쓰는 페이스북 사용자만 쓸 수 있다. 게시물과 댓글뿐 아니라 다양한 주제를 쉽게 검색할 수 있게 개선 중이다. 모바일 그래프 검색도 추가한다. SNS에 검색을 추가해 더 오랜 시간 페이스북에 머물게 하는 전략이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모바일에서 페이스북 홈과 그래프 검색은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이 될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이슈분석]페이스북 10년 `세상은 하나로 연결됐지만 사생활 보호도 그만큼 힘들어졌다`



2003년 10월 28일. 미국 하버드대 2학년생 마크 저커버그가 교내 인맥관리에 최적화된 서비스 `페이스매시`를 공개했다. 자신의 얼굴과 신상을 밝히고 교류하는 서비스였다. 세계 10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이 탄생한 순간이다.28일 페이스북이 탄생 10년을 맞았다. 친구가 정보를 올리면 내 페이스북에 자동 배달되는 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생생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세계 사용자들을 매료시켰다. 지난 10년 동안 이 SNS는 외형을 키우고 기업공개(IPO)를 했으며 모바일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또 다양한 사회적 부작용을 낳았으며 숙제도 떠안고 있다.

◇`연결하고 공유하고 개방하라` 페이스북발 온라인 개편=페이스북 사용이 확대되면서 좋아진 점은 온라인에서 신원확인이 간편해졌다는 것이다. 이름과 얼굴, 출신지, 직업, 결혼여부까지 알 수 있다는 점은 오프라인 인간관계가 줄 수 있는 신뢰를 온라인으로 일부 옮겨왔다는 평을 받는다.

업계 최초로 `개방성`을 통해 소규모 개발사들과 상생한 플랫폼이기도 하다. 페이스북은 마이스페이스 등 기존 SNS와 달리 문호를 활짝 열었다. 누구나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페이스북에 붙일 수 있다. 프로그램이 수익을 내면 70%를 개발자가 가져가게 하는 전략은 수많은 고수 개발자를 협력자로 만든 효과를 낳았다.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들의 `데뷔 무대`가 됐다.

◇`사생활 없앤 페이스북` 개인정보 보안 문제도 불거져=페이스북은 사생활을 없애고 지나치게 상세한 개인정보가 웹에 올라오면서 악용 가능성을 높이기도 했다. 페이스북은 `사생활이란 허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사람은 서로 연결되고 싶어 하며 다른 사람의 정보를 궁금해 한다는 것이다. 이 기조는 다양한 부작용을 불러왔다.

CEO인 저커버그 본인도 여기서 자유롭지 못했다.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살고 있는 저커버그는 자신의 자택과 맞닿은 이웃집 4채를 최근 시세보다 더 높은 가격을 주고 매입했다. 해당 4채가 `저커버그의 옆집`이라는 마케팅으로 매물에 올라 사생활이 침해됐기 때문이다. 이에 본인조차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페이스북만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은 회사의 수명을 결정할 중요한 과제다. 앞서 이 회사는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전 세계적인 정보감시에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제공해 신뢰를 잃은 바 있다. 또 페이스북에서 얻은 개인정보를 공공연하게 사고파는 행위가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SNS 피로도 현상 극복해야=페이스북에서 최근 젊은 층이 부쩍 이탈하고 있는 점도 가볍게 볼 수 없는 현상이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미국의 10대 사이에서는 페이스북이 더 이상 인기있는 SNS가 아니다.

이 매체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지난해까지 42%의 지지를 얻으며 10대에게 가장 중요한 사이트로 꼽혔지만 올해는 23%에 그쳐 트위터(26%)에 1위를 뺏겼다. 대학생들의 미팅, 클럽 문화에서 시작한 서비스가 초기 지지층을 잃고 있다는 것은 좋은 징조라고 하기 어렵다. 그 이면에는 젊은 층의 `SNS 피로도`가 자리잡고 있다.

지나친 사생활 공개와 개인정보 유출에 피곤함을 느끼고 있는 것.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생 10명 중 8~9명은 페이스북 안에서 원치 않는 친구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2명 중 1명은 페이스북 채팅을 통해 낯선 사람에게 음란성 스팸 공격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안과 지나친 사생활 공유로 인한 피로함을 상쇄하지 못하면 페이스북은 더욱 빠른 속도로 젊은 층의 외면을 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슈분석]`포스트 페이스북` 노리는 SNS 신성들



페이스북이 세계인의 서비스로 성장하면서 단순히 지인과 일상을 공유하고 인맥을 관리하는 목적의 SNS가 다시 성공할 가능성은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는 격이 됐다. 그렇다고 새로운 인기 SNS 탄생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목적과 대상, 콘셉트를 달리한 버티컬 서비스가 속속 등장한다. 핀터레스트와 인스타그램, 텀블러, 포스퀘어 등이 `포스트 페이스북` 후보다. 사진공유가 핵심이다.

2011년 서비스를 시작한 핀터레스트는 4600만 회원을 가진 사진공유 SNS다. 최근 투자 유치 당시 기업가치 38억달러(약 4조원)로 평가받으며 업계를 놀라게 했다. 핀터레스트는 `핀(Pin)`을 `관심거리(Interest)`에 꽂는다는 의미다. 좋아하는 분야 사진에 `핀 잇(Pin it)`하면 관련 사진을 모아보며 쉽게 공유한다. 예쁜 사진이 모이는 곳으로 입소문 나면서 여성 사용자가 몰렸다. 최근 직관적인 메시지 전달을 원하는 기업의 광고 채널로 급부상 중이다.

인스타그램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SNS다. 2010년 서비스 개시 후 현재까지 1억5000만 사용자를 모았다. 미국 10대 청소년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으며 매일 평균 5500만장의 사진이 올라온다. 창업 1년 6개월만인 지난해 4월 페이스북이 전격 인수했다. 큰 특징은 사진 보정 기능이다. 인스타그램 앱에서 사진을 찍고 바로 다양한 효과를 더해 올리고 페이스북으로 공유한다. 최근 유명 연예인들이 사용하면서 국내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또 다른 사진기반 블로깅 서비스 `텀블러`는 야후 인수로 올해 가장 큰 화제를 모은 스타트업이다. 야후는 텀블러 인수에 11억달러(약 1조2000억원)를 쏟아 부었다. 세계 1억2000만명 회원을 자랑하는 텀블러는 키워드로 사진을 검색하며 마음에 드는 사진은 간단하게 자신의 블로그로 옮긴다. 가장 큰 특징은 문자 교류가 제한적이라는 사실이다. SNS로서는 역설적이지만 짧은 설명조차 없이 제목만 붙인 사진이 대부분이다.

포스퀘어는 위치 기반 SNS의 대표주자다. 사용자가 방문한 지역을 지도에 표시하고 공유한다.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체크인`하면 앞서 같은 장소를 거쳐 간 친구들의 흔적을 살펴본다. 유명 레스토랑이 실제 맛집인지 친구들의 믿을 수 있는 평가를 얻는다. 주변에 있는 친구들의 위치 정보는 물론 해당 지역 상점들의 광고와 할인 쿠폰도 제공한다. 현재 3500만 회원을 가졌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인수를 타진 중이다.

`포스트 페이스북` 노리는 SNS

정진욱기자 jjwinwin@etnews.com

 

 

...........................................................................................................

  

 Global View(Eye) & Professional 몇 가지 

..................................................................................................  

[매경시평] 노벨경제학상이 부럽다고?


로 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유진 파마 시카고대 교수, 피터 핸슨 시카고대 교수가 자산 가격의 경험적 분석에 기여한 공로로 2013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노벨상 수상자 자격과 관련해 가끔 시비가 있지만 수상자들이 거의 평생을 바쳐 자기 분야에서 헌신했다는 사실은 세계가 인정한다. 노벨상 수상자가 되는 절차는 매우 까다롭다. 노벨상 후보가 되려고 자신을 추천할 수 없으며 추천자 이름은 50년이 지난 후 알려진다.

노벨경제학상은 1969년 시작돼 올해가 45회째지만 그동안 공동 수상자가 있어서 수상자는 총 74명이다. 이 중 51명이 미국 국적 교수다. 노벨상 수상자를 대학별로 계수할 때 대학 당국은 자기 대학에서 학생 또는 교직원으로 재직한 사람은 모두 포함시킨다. 어떤 사람이 학교를 여러 번 옮긴 후 노벨상을 받으면 그만큼 노벨 교수 총수는 실제보다 많아진다. 이런 식으로 계산해서 2013년까지 노벨경제학상 교수를 배출한 10대 대학 순위가 최근에 발표됐다. 시카고대 28명, MIT 20명, 하버드대 18명, 버클리대 17명, 스탠퍼드대 16명, 컬럼비아대 14명, 예일대 14명, 프린스턴대 12명, LSE(런던경제대학원) 11명, 그리고 공동 10위에 케임브리지대 옥스퍼드대 카네기멜런대 등 3개 대학이 각각 9명이다. 개별 대학 기준으로 보면 시카고대학이 제일 앞서 있다.

시카고대학을 대표하는 노벨경제학자는 누가 뭐래도 밀턴 프리드먼 교수(1912~2006년)다. 그는 시카고학파 태두로서 자유시장 창달과 작은 정부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연구를 평생 동안 추구한 학자였다. 시카고학파와 쌍벽을 이루는 학파가 케인스학파다. 1929~1933년 대공황 때 시장의 자동조절 기능은 멈추어 버렸다. 이때 영국 대표 학자 존 케인스(1883~1946년)가 그의 일반이론을 통해 주장한 정부의 적극적인 공공정책이 채택됨으로써 세계 경제가 가까스로 회복을 했다. 그때부터 케인스학파는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세계 경제가 정상으로 돌아오자 시카고학파 주장이 다시 힘을 얻게 됐다.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글로벌 경제위기 때는 정부가, 평상시에는 시장이 적극적인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자유민주 자본주의가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케인스학파와 시카고학파 둘 다 존재가치가 충분히 있다. 그래서 노벨위원회는 특정 학파에 편향돼 있지 않다. 그럼에도 시카고학파 노벨상 수상자 교수가 비교적 많은 이유는 정부 개입을 선호하는 케인스학파 학자 중 적지 않은 수가 일찍부터 대학을 떠나 정부 또는 기업체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경제학은 사회과학으로서 특정 경제적 가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규명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노벨경제학상 수상 교수 74명 가운데 90대에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2명, 80대 교수가 2명, 70대 교수가 22명이다. 50대에 상을 받은 이는 12명밖에 안 된다. 전체 노벨경제학상 교수 중 65세 이상이 75%를 차지한다. 한국에서 노벨경제학상이 안 나오는 이유도 바로 연령과 적잖은 연관이 있다. 한국 대학들은 교수가 65세가 되면 명예교수 타이틀만 주고 연구실을 비우게 한다. 이 문제가 일단 해결되면 앞으로 한국인도 노벨경제학상을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경제 성장 신화, 외환위기를 가장 빨리 극복한 나라이기 때문에 인적 자본 형성과 경제 발전 분야가 유망하다. 그러나 이 분야에서 몇 개 가설을 실증 분석하여 1급 국제저널에 실었다고 될 일은 아니다. 시카고학파든 케인스학파든 상관없다. 자기 분야에서 평생 동안 진지하게 연구 실적을 쌓은 학자라야 세계적 학자들에게 비밀 추천을 받게 될 것이고 노벨위원회 눈길을 끌 것이다.

[김인철 한국경제학회장·성균관대 교수]

..........................................................................................................

 

탄생 120주년 앞두고 마오쩌둥 추모 바람

생가 방문 하루 8만명 육박, 中 정부는 대대적 ‘애국 홍보’

20131025_모택동 흉상
중국 후난성 샹탄 샤오산시의 마오쩌둥 생가 모습. 26일 휴일을 맞아 여행에 나선 중국인과 외국인들이 관람하고 있다.
【 창샤(후난성)=차상근 특파원】 "마오 사상을 정확히 모르지만 마오 주석이 대국으로 부활한 오늘의 중국이 있게 했기에 다들 꼭 오고 싶어한다."

26일 마오쩌둥 탄생 120주년인 12월 26일을 두 달 앞둔 시점에 찾은 후난성 샹탄의 샤오산시 샤오산촌 마오쩌둥의 생가에서 만난 30대 중반의 후베이성 우한시 거주 자오차오는 아이들과 함께 생가를 처음 찾았다며 다소 상기된 표정을 지었다.

행락철의 주말답게 마오쩌둥 고향마을 일대는 차량과 여행객들로 만원이었다.

마오쩌둥의 생가로 가는 2차로 도로는 1㎞ 이전부터 차량이 통제됐고 길 입구의 마오쩌둥 동상이 있는 광장에는 얼핏 2만명은 될 듯한 인파가 모여 있었다. 좀 떨어진 마오쩌둥 기념관에도 남녀노소 참관객들이 빼곡했다. 늦가을 행락수요도 있겠지만 적어도 이날 하루 이 일대에 7만, 8만명은 몰렸을 것이란 게 샤오산 관계자의 말이다.

배산임수의 산기슭에 위치한 생가는 472㎡ 면적에 13개의 방과 텃밭, 축사 등을 갖춘 'ㄷ'자형의 중국 남방의 전형적 옛 농촌주택이었다.

국민당 집권기인 1929년 훼손된 것을 신중국 건국 직후인 1950년 원형대로 복원했으며 침실의 각종 가재도구 등도 원래 마오쩌둥과 그의 가족들이 쓰던 것 그대로라는 것이 안내원의 말이었다.

마오쩌둥은 여기서 생후 17년 동안 살고 단신 출향했지만 현 중국 정부는 생가와 그 주변을 중요 문물보호지역으로 보전해왔고 1997년에는 애국주의 교육기지로 지정해 마오 사상과 홍색이념의 성지로 만들었다.

중국 정부는 마오쩌둥 탄생 120년을 맞는 올해엔 기념행사를 샤오산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대대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후난성과 샹탄시가 준비하는 기념사업 예산만도 155억위안(약 2조7000억원)에 달한다.

시 정부는 관광 설 개선사업에서 고속철 역 설치, 고속도로 건설 등 각종 인프라 개발사업까지 모두 16개의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여기에는 '중국이 낳은 마오쩌둥'이란 문화공연, 국제규모 사이클대회, 사진 전시회 등도 포함됐다.

당 선전기구는 약 52억원을 들여 마오쩌둥의 10대 시절을 다룬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부족한 사회보장망에 대한 인민들의 불만이 팽창하고 허례허식 척결 노력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뤄지는 이 같은 마오쩌둥 띄우기는 시진핑 주석의 집권노선과 관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는 시장화를 강화하되 정치·사회는 당 중심 체제를 강조하는 새 지도부가 체제 안정화에 마오쩌둥의 그림자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강력한 반부패작업을 진행하는 동시에 청렴하고 인민을 위해 봉사하는 당과 지도부의 이미지를 인민들에게 각인시키겠다는 것이다.

"관광객 쇼핑 유인이 금지된 새 여행법 때문에 장사는 훨씬 안되는 편이지만 추모 열기는 고조되는 것 같다."

마오쩌둥 흉상 샘플 판매점의 주인이 말하듯이 중국 정부는 대대적 홍색관광을 통해 인민들의 애국주의를 고취하고 생활만족도를 높이려 애를 쓰고 있었다.

마오쩌둥 생가를 찾은 관광객은 2011년 730만명에 달했다가 작년엔 700만명으로 줄었다. 시 당국은 올해는 850만명을 계획했지만 1000만명 가까이도 내심 기대하는 눈치였다.

csky@fnnews.com  

.............................................................................................

[韓, 日 집단자위권 한반도선 제한] 집단자위권 현실적 인정… 영토·주권만은 수호 의지

우리 정부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이 한반도 문제와 직접 관련될 경우 우리 입장이 반영돼야 한다고 미국에 요구한 것은 역설적으로 집단적 자위권을 용인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그대로 나타낸다.

정부는 그동안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추진 동향에 대해 공식적인 대응은 자제해 왔다.

정부의 이런 인식 배경에는 우선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이 국제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현실적 문제가 깔려 있다. 유엔헌장 51조는 무력공격 발생 시 한 국가의 개별적·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인정하고 있다. 일본은 그동안 평화헌법에 따라 ‘전수방위(專守防衛) 원칙’을 고수해 왔다.

미국과 일본이 내년 중 미·일 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 개정 시 반영키로 한 집단적 자위권은 이제 보통국가로 나아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고심의 결과물은 한반도 영토, 주권 부분은 침해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정부가 소극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밖에도 집단적 자위권이 동북아에서의 강력한 안보협력체제인 미·일 군사동맹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 소식통은 27일 “집단적 자위권 문제는 미·일동맹의 틀에서 봐야 할 문제”라며 “우리가 일본에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은 주변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아시아로의 회귀(pivot to Asia) 전략을 천명한 미국으로선 중국 견제를 위해 일본과의 방위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하고, 일본 역시 미국과의 군사동맹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를 도입하는 것인 만큼 우리 정부가 근본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아울러 이 문제는 포괄적으로 보면 한·미동맹은 물론 한·미·일 3각 안보협력과도 긴밀하게 얽혀 있는 사안이다. 주일미군은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주한미군의 후방기지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 영국 호주 등 전통적 우방들 역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지지하는 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 문제에 대해 미국의 전폭적 협력이 필요한 점도 이를 공개적으로 반대하지 못하는 배경이라는 지적도 있다.

미국을 방문한 정부 고위 당국자도 집단적 자위권에 대해 “우리 정부가 찬성, 반대한다는 차원은 아니다”며 “일본은 과거 침략의 역사가 있기 때문에 아주 투명한 일본의 방위정책이 나와야 주변국의 우려를 떨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집단적 자위권 추진에 대한 정부의 외교적 대응은 앞으로 미·일 가이드라인 개정 협상 과정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 말까지 이어질 실무협상에서 미국 측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일정한 제약을 가하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정부는 일본 내 가이드라인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미·일 군사협력,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는 중국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만큼 이 문제에 대한 대응 역시 우리 정부의 과제로 남게 됐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韓, 日 집단자위권 한반도선 제한] 美·日동맹만 챙기다가 韓·美관계 악화될까 고민

미국 정부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찬성한다는 입장이지만 이에 대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의 부정적인 입장을 잘 알고 있다는 게 워싱턴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북한 비상사태 등 한반도 상황 급변 시 일본이 미·일동맹에 따른 집단적 자위권을 명분으로 한반도에 군사력을 파견하는 데 대해 한국인들이 매우 부정적이라는 점을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 문제와 독도 등 영토 문제로 양국 간 감정의 골이 깊은 상황에서 중국의 부상을 의식한 미·일동맹만 챙기다 한·미 관계가 삐걱거릴 수 있다는 것이 미국의 고민인 셈이다.

이와 관련,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5일(현지시간) “한·일 양국이 갈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논의의 핵심 틀을 만드는 것이 미국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며 미국의 전향적인 중재 움직임을 촉구하기도 했다.

워싱턴의 상당수 동북아·한반도 전문가들도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때의 잠재적 ‘역풍’에 대해 미국 정부가 세심히 살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반도 전문가 중 대표적인 일본 집단자위권 찬성론자인 마이클 그린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일본연구실장도 일본 정부에 집단자위권을 갖더라도 한국 입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조언했다고 한다.

미국 정부가 일본과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 시 우리 정부 입장을 반영할지, 하더라도 구체적으로 어느 강도로 일본 측을 설득할지는 지켜봐야 한다. 향후 우리 정부의 외교적 노력은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 시 한국의 입장을 반영하는 데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르긴 하지만 미국 측의 분위기가 ‘나쁘지’만은 않아 보인다. 미국 측도 워싱턴을 방문한 정부 고위 당국자에게 “이해한다”고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느 정도의 무게감이 실린 발언인지는 불투명하지만 미국 측이 한·미동맹 관계를 의식해 한국 정부의 입장을 적절한 수준에서 반영할 것이라는 관측이 가능한 대목이다.

미국은 이명박정부 말기에 있었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둘러싼 파란을 통해 양국 국민 간 불신과 불화가 한·미·일 방위협력 계획에 얼마나 큰 지장을 주는지를 경험한 바 있다. 한국 정부의 외교안보 고위 당국자가 워싱턴을 방문하면서까지 분명히 입장을 밝힌 만큼 방위지침 개정 협의 과정에서 한국 측 입장을 어떤 식으로든 반영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

리커창-아세안 10개국 경제장관 베이징서 회동








 

중-동남아 '경제밀착' 시동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소속 10개국 무역·경제담당 장관들로 구성된 중국방문단이 최근 베이징을 찾아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회견을 했다고 중국 매체들이 27일 보도했다.

리 총리는 지난 25일 열린 이번 회견에서 중국과 아세안 사이에는 무역, 투자, 인문 합작을 위한 거대한 잠재력이 존재한다며 대표단의 중국방문은 중국-아세안의 '2+7' 합작틀을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은 아세안이 동남아지역의 합작과 지역일체화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지지할 것"이라며 "중국은 아세안 각 국가와 전략적인 상호신뢰, 전방위적 합작을 강화하고 업그레이드된 중국-아세안 자유무역지대를 구축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특히 아세안 장관들이 중국 남쪽에서 고속철을 이용해 베이징에 도착한 사실을 높게 평가하며 "중국 고속철이 당신들을 상대로 벌인 명실상부한 첫 로드쇼"라고 또다시 '고속철 세일즈'를 하기도 했다.

리 총리는 최근들어 자국의 고속철 기술과 장비 등을 수출하기 위해 태국 등 동남아 국가들과 호주 등을 상대로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니왓탐롱 분송파이산 상업장관은 아세안과 중국의 무역은 부단히 심화하고 있고 인적 왕래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며 업그레이드된 중국-아세안 자유무역지대를 구축하는 것을 환영하며 기초시설 합작과 관련한 상호소통을 강화하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아세안 10개국 무역경제 장관들의 이번 베이징 방문은 이달 초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리 총리가 잇따라 동남아 지역을 순방하며 '아시아 사회기반시설(인프라) 투자은행' 설립 등을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구애공세'를 벌인지 한 달도 안돼 성사된 것으로 양측간 경제협력에 탄력이 붙고 있음을 시사한다.

jslee@yna.co.kr

...........................................................................................................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헉! 위기때 10조원 벌어…'버핏의 명품 포트폴리오'


위기후 체리 피킹용 주식 매입

각국 정책과 산업 트렌드 중시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버핏은 역시 버핏이다. 금융위기 이후 모두가 ‘어렵다’고 했을 때 무려 100억달러, 우리 돈으로 10조원(1달러=약 1000원) 이상 번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버핏은 포트폴리오에 어떤 업종을 담아 그렇게 큰돈을 벌었을까’에 월가는 물론 전 세계인의 이목이 다시 한번 쏠리고 있다.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과 같은 슈퍼 리치들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같은 위기 때 돈을 버는 투자 기법으로 ‘체리 피킹(cherry picking)’을 즐겨 쓴다. 마케팅 용어인 체리 피킹은 요즘엔 금융권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표현으로, 경제 여건이나 기업 가치에 비해 과도하게 떨어진 국가에 속한 주식만을 골라 투자하는 행위를 말한다. 5년전 위기 직후에는 금융주와 주택관련주를 많이 사들였다.

금융위기 이후 버핏이 주식을 사들이는 것을 월가에서는 이렇게 비유한다. 체리(과도하게 떨어진 주식)나무로 가득한 과수원(증시)에 빈 봉투(포트폴리오)를 갖고 들어간다. 가까운 체리 나무에서 탐스럽게 잘 익은 체리를 딴다. 그 다음 옆의 나무로 이동해서 또 좋아 보이는 체리를 따서 담는다. 이렇게 하다 보면 빈 주머니에는 가장 좋은 체리만을 가득 채울 수 있다. 체리 가격이 조금만 오르더라도 큰돈을 벌게 된다.

체리 피킹은 그 특성상 버핏과 같은 시장 주도력이 있을수록 더 큰 효과가 난다. 버핏이 체리 피킹으로 주식을 산다면 먼저 그 주식의 저평가된 가치가 부각된다. 또 매스컴을 통해 이 사실이 공개되면 될수록 다른 투자자들의 주식 매입을 촉진해 주가의 상승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기 때문이다.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버핏이 체리 피킹을 한다고 하더라도, 주식을 사들일 때는 철저하게 ‘피라미딩(pyramiding)’ 원칙을 지킨다는 점이다. 피라미딩은 주식을 살 때마다 투자금액을 동일하게 유지해 주가가 올라갈수록 피라미드처럼 매입 주식 수를 적게 가져가는 방법을 말한다.

앞 으로 다가올 트렌드를 읽는 데 중점을 둔 전략도 주효했다. 크게 두 가지다. 무엇보다 정책 트렌드를 중시했다. 금융위기와 함께 출범한 버락 오바마 미국 정부는 경제정책의 목표를 고용, 그중에서도 청년층 일자리 창출에 뒀다. 산업 정책의 우선순위도 정보기술(IT)에 비해 고용창출계수가 높은 제조업으로 이전했다. 제조업 ‘리프레시(refresh)’와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이 그것이다.

IT 산업은 네트워크를 깔면 깔수록 생산성이 증가하는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된다. 이 때문에 이 산업이 주도가 돼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일자리(특히 청년층)는 늘어나지 않는다. 이른바 ‘고용창출 없는 경기회복’으로 지표와 체감경기 간 괴리가 발생하고, 양극화도 심해진다.

하지만 전통적인 제조업은 생산을 하면 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지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이 때문에 IT산업이 주도할 때와 같은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동을 더 투입해야 한다. 제조업이 주도가 돼 경기가 회복될 때는 그만큼 일자리가 늘어나 지표와 체감경기 간 괴리가 발생하지 않고, 양극화도 심하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 하나는 ‘S자형 투자원칙’에 따라 앞으로 다가올 산업 트렌드를 잘 읽었다. 그중에서도 버핏이 가장 관심을 보였던 것은 ‘알파 라이징 업종’이다. ‘알파 라이징 업종’이란 현존하는 기업 이외라는 점에서 ‘알파’가, 위기 이후 적용될 새로운 평가 잣대에 따라 부각된다는 의미에서 ‘라이징’이 붙은 용어다.

또 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즉 BOP(Base Of Pyramid) 관련 업종도 주목했다. BOP 계층은 세계 인구의 72%인 40억명에 이르며 그 규모도 5조달러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성장했다. BOP 계층은 빠른 시일 안에 중간소득 계층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 ‘넥스트 볼륨 존’ ‘넥스트 마켓’으로 불리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도 이 시장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체리 피킹과 트렌드에 따라 선정된 종목과 함께 그때그때 경기와 증시 전망에 따른 인기주, 주도주와 관계없이 안정된 수익을 낼 수 있는 ‘시겔형 업종’을 일정 비중 이상 고수한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시겔형 업종이란 석유 등 천연자원, 제약과 필수소비재와 같은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기는 주식을 말한다.

투자실행 단계에서 종목이 선정되면 ‘파레토 전략’과 ‘루비콘 기질’을 발휘하는 점도 국내 투자자가 새겨둬야 할 덕목이다.

우량 대상만을 골라 투자하는 파레토 전략처럼 돈을 벌 수 있는 확실한 투자 수단을 선택하되 일단 선택하면 루비콘 강을 건너면 되돌아올 수 없듯이 어떤 위험이 닥친다고 하더라도 초지일관 밀어붙인다. 이 원칙은 이번 금융위기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 

경제전망은 과학과 예술의 경계선… 전문가의 미래 통찰력 필수



[서울신문]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는 것만큼 어려우면서도 꼭 필요한 일은 없을 것이다. 미래의 거시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경제 전망도 그렇다. 경제 전망은 정부의 예산 편성이나 노사 간 임금 협상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할 뿐 아니라 주택 매매나 생산시설 투자 등의 경제적 의사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경제 전망을 발표하는 기관들은 전문인력 양성, 방대한 데이터망 구축 등을 통해 전망의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미래의 예측이 다 그렇듯이 전망은 틀리기 마련이다. 경제현상은 인간의 지적 능력으로 설명하기에는 지나치게 복잡하고 끊임없이 예기치 못한 사건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일기예보도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것은 5일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년 후의 거시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경제 전망은 사정이 더 어렵다.

경제 전망은 왜 틀리나.

최상의 경제분석 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전망 오차는 발생한다. 가장 큰 이유는 경제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경제 전망의 기초를 제공하는 경제이론은 경제현상을 단순화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경제이론은 경제주체들이 모든 관련 정보를 충분히 숙지한 상태에서 합리적으로 경제 선택을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인간의 경제 선택이 때로는 기분에 좌우되거나 주도적 판단보다 남의 행동이나 의견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인간의 경제 선택이 항상 합리적이지 않으며 경제 선택에 필요한 정보 취득이 상황 인식능력의 제약이나 정보의 비대칭성 등의 이유로 쉽지만은 않음을 의미한다. 단순화에 따른 이론과 현실 간 괴리는 평상시에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경제 불안이 높거나 경기국면이 전환되는 시기에는 예기치 못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경제 전망은 경제이론과 계량분석 기법의 발전에 힘입어 과학화되어 왔다. 그러나 인간의 경제행위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완전하지 않는 한 과학화만으로 경제 전망의 정도(精度)를 높일 수 없다. 앞으로도 상당기간 경제 전망은 과학과 예술의 경계선에 서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경제 전망에는 경제모형도 필요하지만 훈련 받은 전문인력의 미래에 대한 통찰력이 필수 요소로 남을 것이다.

경제 전망 성과, 어떻게 평가할까?

전망의 오차가 불가피하더라도 전망기관의 역량이 높을수록 오차는 작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망기관의 성과를 평가하는 일반적 방법은 전망 오차가 일정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기준은 정부의 예산 편성과 같이 경제성장률의 절대 수준이 중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경제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통화정책의 경우 전망 오차의 크기를 줄이는 것 못지않게 경기 흐름의 방향과 경기 변동의 일시성 여부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내년 경제성장률이 금년보다 높을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실제 성장률이 금년보다 낮아서는 안 될 것이다. 경기 흐름의 방향을 잘못 예측할 경우, 금리를 내려야 할 때 올리거나 올려야 할 때 내려 경기 변동이 심화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경기 변동의 일시성 여부에 대한 판단도 중요하다. 경기 변동의 원인이 일시적 요인에 있다면 정책대응을 하지 않는 것이 최상이다. 일시적 요인에 의한 경기 변동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안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정책 대응을 통해 굳이 불필요한 경기 변동을 유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 성과를 평가함에 있어 전망 오차가 기조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 무엇을 볼 것인가?

경제 전망이라고 하면 흔히들 경제성장률이나 물가상승률과 같은 거시경제 지표에 대한 예측치를 떠올린다. 크게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경제 전망이 불확실한 미래의 예측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전망기관의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도 같이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전망기관들은 경제 예측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경제성장률에 대한 예측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예측모형에 설명변수로 들어가는 변수에 대한 가정이 필요하다. 가정은 한 가지일 수도, 여러 가지일 수도 있다. 최근에는 경제 전망에 내포된 불확실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본적 상황 외에 낙관적 상황과 비관적 상황을 반영하는 가정들을 상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예측치를 구간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과거 데이터를 통해 설명변수의 확률분포를 추정한 뒤 모형을 통해 전망 대상 변수의 예측치 확률분포를 구하고 이를 팬차트(fan-chart·그림) 형태의 그래프로 나타내기도 한다. 하나의 가정만 상정할 경우에도 경제 전망과 관련된 위험을 상방위험과 하방위험으로 나누어 수치 대신 정성적(定性的) 설명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다.


이런 형태의 정보 제공은 수요자, 특히 확률 분포에 대한 이해가 낮은 일반인에게는 복잡하게 느껴질 것이다. 외부 전문가에게 서비스를 의뢰할 때 간결하고 확신에 찬 자문을 기대하는 것이 인지상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 전망의 목적이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는 데 있는 만큼 단순화를 통해 수요자에게 그릇된 확신을 심어주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경제불안이 가시지 않았거나 경기국면이 전환기에 있어 경기의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일수록 여러 시나리오를 준비해야 한다.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을 어떻게 봐야 하나.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은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수단이다. 통화정책인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은 소비지출이나 투자행위로 파급되기까지 1년 반 정도의 시차가 있다. 통화정책을 자동차 운전에 비교한다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이고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은 가속페달을 밟는 것이다. 다만 통화정책이 자동차 운전과 다른 것은 실물경제에 파급되기까지 시차가 있다는 점이다.

이런 시차 때문에 중앙은행은 현재의 경제 상황보다 미래의 경제 상황을 기준으로 통화정책을 세운다. 즉,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은 통화정책의 나침반이다. 또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 간 긴밀한 연계성을 대외에 알림으로써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을 경제주체들이 예견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경제 전망을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인식할 때 우리는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에 대한 또 다른 평가기준, 즉 통화정책이 일관되게 수행되었는지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에도 불구하고 왜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았을까? 어떤 불확실성이 중앙은행으로 하여금 기준금리 인상을 유보하도록 하였을까? 이러한 질문들은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을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인식하였을 때에만 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중앙은행의 경제 전망을 바라본다면 경제 전망의 오차 그 자체보다는 전망에 내포된 경기의 기조적 흐름과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질 것이다.

박진수 커뮤니케이션국 부국장·미 UC 샌타바버라 경제학 박사

[쏙쏙 경제용어]

■한국은행의 경제전망

1월, 4월, 7월, 10월 등 매년 4차례 발표된다.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고용률, 경상수지 등 주요 거시경제지표에 대해 최대 2년 후까지의 예측치들을 담고 있다.

■기준금리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의도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금융기관과 공개시장 조작이나 예금·대출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매월 둘째주 목요일 회의를 열어 결정, 공표한다.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독립적인 정책기관으로서 책임성을 높이는 한편 통화정책 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화정책의 목표, 기준금리 결정 내용 및 배경 등이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을 이룬다. 주요 수단은 정책 결정 내용 공표, 총재의 기자간담회, 강연 및 연설, 경제전망, 통화신용 정책보고서 등이다.

 

........................................................................................................... 

“한국인의 문화 DNA로 만든 콘텐츠산업이 창조경제 핵심”

[서울신문]

현 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인 창조경제의 주요 동력은 문화 콘텐츠 산업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한콘진)은 방송, 게임, 음악, 애니메이션 등 문화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기관으로 그 어느 때보다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 사옥에서 만난 홍상표(56)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은 “콘텐츠 진흥 기관의 장으로서 어깨가 무겁다. 요즘 주목을 받아 좋지만 그만큼 부담도 크다”며 말문을 열었다.

→한콘진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데 문화 콘텐츠 산업이 중요한 이유는.

-창조경제는 인간의 창의력과 상상력이 기술이나 기존의 문화 현상과 결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은 1970~80년대 산업경제, 1990년대 정보경제에서 2000년대부터 창조경제로 바뀌었다. 콘텐츠 산업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성장의 한계를 겪는 다른 산업과 달리 첨단기술이나 다른 산업과 결합해 끊임없이 성장할 수 있는 무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이 영국, 일본, 독일, 중국 등이 전략적으로 콘텐츠 산업 육성에 나서는 이유다.

→콘텐츠를 활용한 창조경제의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나.

-영국의 경우 1997년 ‘쿨 브리태니아’(Cool Britania)라는 기치를 내걸고 문화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한 결과, 6년 만인 2003년에 국민 소득이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로 증가했고 3년 뒤 4만 달러를 돌파했다. 여기에는 1997년에 나온 ‘해리 포터’ 시리즈가 큰 몫을 했다. ‘해리 포터’는 정부 보조금을 받을 정도로 가난한 미혼모였던 조앤 롤링이 영국 에든버러의 작은 카페에서 자신의 상상력만으로 쓴 판타지 소설이다. 이 소설은 전세계에서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팔린 책’이 되었고, 총 7편의 영화 시리즈로 제작되었으며, 영화의 배경이 된 지역에 테마파크가 들어섰다. 게임이나 캐릭터 상품으로도 개발됐다. ‘해리포터’ 시리즈 하나가 영국에 미친 경제 효과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30억 파운드(5조 7000억원)에 달한다. 일정 수준의 자원이 투입돼야 성과가 나는 제조업과 비교할 때 엄청난 결과다. 한편 우리에게는 창조경제의 모델로 싸이의 사례가 있다. 나는 싸이 현상이 싸이 혼자만 연구해서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동안 쌓인 문화 현상에 기획사의 노하우, 세계 최대의 플랫폼인 유튜브 등 재능과 첨단기술이 결합된 결과다. 결국 엄청난 국가 브랜드 홍보 효과를 가져왔고 우리 문화의 저력을 전 세계에 보여줬다. 경제효과로 따지면 1조원이라고 하는데 그 이상의 효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인 한류가 확산된 지 올해로 10년을 맞았는데.

-한류는 지난 1997년 중국의 CCTV에서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방송된 뒤 촉발됐고 2003년 드라마 ‘겨울연가’와 ‘대장금’이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본격적으로 불이 붙었다. 한류는 지역적으로 동남아, 중국 등 중화권은 물론 서남아시아에까지 완전히 정착됐다. 유럽과 북미에도 어느 정도 뿌리를 내렸고, 중남미 쪽으로 확산해 나가는 단계다. 장르도 이전에는 드라마와 K팝에 국한됐지만 이제는 게임, 패션, 음식까지 다양화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류가 위기를 맞고 있다는 분석도 있는데.

-한류가 5~6년 내 소멸한다는 신문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동의하지 않는다. 장애물도 있겠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꾸준히 앞으로도 확산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빅뱅이 일본의 5개 돔에서 유료 관객 80만명을 동원했고, 멕시코 등 중남미의 K팝 현장의 열기를 보면 한류가 하루아침에 사라지는 현상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있다. 일부에서 한류가 판에 박힌 듯 똑같은 것의 반복이고 비슷비슷한 연예인들의 춤동작에 식상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외의 한류 팬들이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반응을 살피면서 음악의 형식을 다양화해야 한다.

특히 똑같은 댄스뮤직 위주에서 벗어나 장르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콘진이 주최한 ‘2013 서울국제뮤직페어’를 통해 마돈나를 발굴한 세계적 음반 제작자 시모어 스타인 워너뮤직 부사장이 국내 록밴드 노브레인과 계약을 체결해 내년 1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음반을 녹음하기로 했는데 정말 뿌듯했다. 이것은 싱가포르, 미국 텍사스 등에서 꾸준히 K팝 해외 쇼케이스를 열고 다양한 국내 뮤지션을 소개한 결과다.

→서울국제뮤직페어 이외에 다른 분야는 어떻게 지원을 하고 있나.
-방송의 경우 단순히 제작 지원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재를 키우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작가를 양성하고 포맷 시장을 지원하는 등 창작 기반을 튼튼하게 하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게임 사업이 효자다. 우리나라 콘텐츠 수출액이 연간 약 5조원인데 그 가운데 2조 6000억~2조 7000억원이 게임 부문의 성과다. 수출국은 대부분이 중국이고 그 다음이 일본, 동남아다. 게임은 과거 콘솔에서 온라인·모바일 게임으로 진화 중인데, 모바일 게임은 기기는 물론 콘텐츠에도 강세를 보이는 우리에게 유리한 시장이다. 흔히 게임 과몰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있지만 규제 일변도의 정책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 애니메이션도 가능성이 큰 분야로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과거에는 미키 마우스, 헬로 키티 등 해외의 캐릭터가 대세였지만 요즘에는 국내에서 만든 뽀로로, 폴리, 뿌까 등이 대세가 됐다. 중국에서만도 뿌까의 라이선싱 수수료가 200억원에 이르고 동남아와 유럽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다.

→현재 한콘진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사업은.

-콘텐츠 코리아 랩이다. 이 사업은 누구나 열린 공간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마음 맞는 사람들과 함께 자유롭게 콘텐츠를 창작하고 이것을 다시 창업으로 연결하는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 창작자와 기업을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다. 지금까지의 콘텐츠 지원 사업은 법인체나 회사 단위로만 지원됐지만 콘텐츠 코리아 랩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만 있으면 창작에서 창업까지 도와준다는 콘셉트다. 내년에 대학로에 제1센터를 개소하는 것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전국에 모두 8개소를 문 열 예정이다.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책은.

-한국의 콘텐츠 산업 시장 규모는 약 451억 달러로 세계 7위를 차지하고 있다. 7위라고 하나 비중으로 보면 2.8%에 불과하기 때문에 갈 길이 멀다. 현재 한국 콘텐츠 산업의 가장 큰 문제는 ‘산업의 영세성’이다. 국내 콘텐츠 기업의 90% 이상이 매출액 10억원 미만, 종업원 10인 이하인 영세기업으로, 좋은 창작아이디어가 사장되기도 하고 자금이나 투자 문제로 제작과 유통,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 단순히 규모의 크기를 떠나서 ‘작지만 강한 콘텐츠 기업’이 많이 생겨나야 한다. 이를 위해 오는 31일 콘텐츠공제조합을 출범시킨다. 2016년까지 금융권과 대기업의 협조를 받아 1000억원의 재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 기금을 시드머니로 은행에 맡겨 운용하면 약 1조 2000억~2조원의 자금이 콘텐츠 시장에 풀릴 것으로 기대한다.

→전세계의 문화 콘텐츠 흐름에 비춰 봤을 때 한국이 문화 강국이 되기 위한 요건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이제는 선진국이 되려면 문화가 앞서가야 한다. 하드 파워가 아닌 소프트 혹은 스마트 파워가 지배하는 세상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민족은 끼와 신명이 많고 다른 사람들을 공감시키는 문화적인 DNA가 우수하다. 이를 바탕으로 좁은 내수시장보다는 넓은 글로벌 시장으로 우리의 문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확산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공감과 교류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 문화는 예민하기 때문에 무조건 뿌린다고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문화는 그 나라 사람의 마음을 얻어야 하는 것이어서 자금이나 물량을 앞세우기보다는 정밀하게 소통하고 교류해야 한다. 이와 함께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걸맞은 창작, 유통, 플랫폼 등의 변화도 앞서야 한다.

→언론인 출신으로 한콘진 원장을 맡은 것이 도움이 되나. 특별히 관심이 있는 분야가 있다면.

-28년의 언론인 생활 가운데 15년을 평기자로 활동했다. 기자 업무가 사실을 기반으로 출발하지만 이를 한 단계 진화시켜 자신의 시각으로 기획을 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콘텐츠 창출 과정과 맥이 닿아 있다고 생각한다. 특정 분야에 관심이 있다기보다는 평범하고 상식적인 눈높이로 일하려 노력한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홍상표 원장은 ▲1957년 충북 보은 출생 ▲휘문고, 한국외국어대 정치외교학과 ▲연합통신 기자 ▲YTN 보도국장, 경영기획실장, 상무이사 ▲한국외국어대 겸임교수 ▲대통령실 홍보수석비서관

.............................................................................................................

 

우주 조난 다룬 영화 ‘그래비티’ 속 과학과 허구


우 주 관측을 위해 지구 주변을 돌고 있는 허블망원경은 고도 559㎞에 경사각 28.5도이며, 국제우주정거장(ISS)은 고도 417~420㎞에 경사각 51.65도이다. 영화 <그래비티>에서 허블망원경과 우주정거장이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여준 것은 영화적 설정이다.

ㆍ중력 약한 우주선 안 ‘단정한 머리 장면’ 옥에 티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라이언 스톤 박사(샌드라 블록 분)와 베테랑 우주비행사 맷 코왈스키(조지 클루니 분)는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허블망원경을 수리하다 조난을 당한다. 우주 쓰레기더미가 덮쳐오면서 지구와의 교신은 끊어지고 이들의 우주선도 망가져버렸다. 스톤 박사와 코왈스키 비행사는 허블망원경에서 인근 국제우주정거장(ISS)이나 중국의 우주정거장 ‘톈궁’까지 이동해 무사히 지구로 돌아갈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두 사람의 지구 생환은 불가능하다. 지난 17일 개봉해 1주일 만에 100만 이상의 관객을 끌어들인 영화 <그래비티>에서 주인공 스톤 박사는 천신만고 끝에 지구로 돌아오는 데 성공했지만 과학자들은 “현실은 다르다”고 말한다. 영화 속 설정과 달리 허블망원경과 국제우주정거장이나 톈궁이 가까이 붙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허블망원경은 고도 559㎞에서 경사각 28.5도를 유지한 채 지구 궤도를 돌고 있지만, 국제우주정거장은 고도 417~420㎞에서 경사각 51.65도로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 높이 차만 해도 140㎞에 달해 우주복에 달린 추진장치로 이 거리를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톈궁 역시 고도 400㎞ 정도에서 궤도 운동을 해 마찬가지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IT융합기술팀장 김해동 박사는 “허블망원경과 국제우주정거장, 톈궁이 가까이 있는 것처럼 그려지는 것은 영화적인 설정”이라며 “우주복의 추진장치에는 인공위성 수리 등을 위해 잠시 동안 이동이 가능한 양만큼의 연료만 들어있다. 그 정도로는 영화처럼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코왈스키 비행사의 우주복에만 추진장치가 있고, 스톤 박사의 우주복에는 추진장치가 달려있지 않아 스톤 박사가 위기에 처하는 것도 극중 긴장감을 높이기 위한 설정이다. NASA 우주인이 입는 우주복에는 모두 추진장치가 달려 있다. NASA에서 소유스 우주선의 조종 교육만 받은 스톤 박사가 중국의 지구 귀환용 우주선을 조종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로 분석됐다. 김 박사는 “중국 우주선의 장치 설명이 거의 중국어로만 돼있는데 긴박한 상황에서 어떤 버튼인지 짐작해서 세밀하게 조정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자동차에 쓰여있는 언어가 다르다고 시동을 켜지 못하는 것은 아니므로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닐 수 있다”고 덧붙였다.

샌드라 블록의 머리가 중력이 약한 우주선 안에서도 단정한 모습을 유지하는 것도 오류다. 중력이 약하거나 없을 경우 머리카락은 위로 솟구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옥에 티’들이 보임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대체로 이 영화가 우주공간에서의 물리법칙이나 우주선, 인공위성 생김새를 극히 사실적으로 묘사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영화의 핵심 설정 중에 러시아가 미사일로 첩보위성을 파괴하면서 발생한 우주쓰레기가 허블망원경·국제우주정거장·톈궁을 덮치는 장면은 실제 발생한 수 있는 일이다. 김 박사는 “2007년 중국이 자국의 폐기된 기상위성 ‘Fengyun 1c’를 미사일로 요격하면서 생긴 우주쓰레기들을 피하기 위해 2011년과 2012년 국제우주정거장 궤도를 수정한 바 있다”며 “2007년 당시 지름 10㎝ 이상의 우주쓰레기가 4000개가량 발생했고, 지름 10㎝ 이하는 수만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우주쓰레기들이 다른 인공위성을 파괴하고, 이때 생겨난 파편이 다른 위성을 덮치는 연쇄작용을 낳아 지구 궤도에 인공위성을 띄울 수 없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케슬러 증후군’으로 불리는 현상이며, 이미 지구 궤도에는 지름 10㎝ 이상 파편만 2만개가 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톤 박사가 우주 공간에서 소화기를 추진장치 삼아 우주선 쪽으로 이동해 생환하는 장면도 완전히 불가능한 장면은 아니다. 김 박사는 “우주에서는 소화기를 누르면 나오는 가스의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우주 공간에는 마찰력이나 공기 저항이 없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마지막 장면에서 지구로 귀환한 스톤 박사가 누운 상태에서 일어나려 할 때 지구의 중력을 느끼는 장면도 과학적으로 타당한 내용”이라며 “실제로 우주에서 중력이 약한 상태에 적응하면 지구로 돌아왔을 때 쉽게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지구에 돌아오면 1주일 정도는 지구 중력에 적응하는 시간을 가져야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해진다”고 덧붙였다.

스톤 박사가 우주 공간에서 소화기를 추진장치 삼아 우주선 쪽으로 이동해 생환하는 장면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김 박사는 “우주에서는 소화기를 누르면 나오는 가스의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우주 공간에는 마찰력이나 공기 저항이 없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마지막 장면에서 지구로 귀환한 스톤 박사가 누운 상태에서 일어나려 할 때 지구의 중력을 느끼는 장면도 과학적으로 타당한 내용”이라며 “실제로 우주에서 중력이 약한 상태에 적응하면 지구로 돌아왔을 때 쉽게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지구에 돌아오면 1주일 정도는 지구 중력에 적응하는 시간을 가져야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해진다”고 덧붙였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

 

세계 전시산업의 올림픽 'UFI 총회' 내달 열린다

지난해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세계전시협회(UFI) 총회 모습. 한국전시산업진흥원 제공
마이스 산업

‘전시업계의 올림픽’ 격인 국제전시협회(UFI) 총회가 다음달 13~1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서울 총회는 한국전시산업진흥회가 2011년 UFI 회장국인 중국을 비롯해 일본, 말레이시아 등 5개국과 치열한 경합 끝에 유치권을 따내 성사됐다. 1968년 국내 첫 무역전시회였던 ‘한국무역박람회’가 열린 이래 45년 만의 쾌거다.

UFI는 각국의 전시컨벤션센터와 전시 주최자, 국가별 전시협회 등 세계 85개국, 625개 회원사를 보유한 국제기구다. 글로벌 전시산업계에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가장 큰 단체인 셈. 국내에서는 한국무역협회, KOTRA, 코엑스, 킨텍스 등 18개사가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번 총회는 55개국 500명 이상의 글로벌 리더와 산업전문가 등이 참석하며, 글로벌 전시산업의 ‘미래경영’을 주제로 연례회의와 강연, 소규모 비즈니스 미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개막일인 13일에는 지속가능한개발위원회 회의에 이어 ‘중국’ ‘대형 전시장’ ‘가족 비즈니스’ 등 3개 특별주제를 놓고 소규모 그룹미팅이 열린다. 전시산업의 세계적인 추세를 감안한 특별 주제여서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비즈니스의 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격적인 회의는 14, 15일 이틀간 펼쳐진다. 14일 공식 총회에 이어 진행될 연사 강연에는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은 틀렸다’의 저자로 알려진 스웨덴의 트렌드 컨설턴트 매그너스 린드비스트가 격변하는 글로벌 산업 환경에서 불확실한 미래를 예견하고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그 밖에 UBM과 Reed 등 세계적인 전시회사의 대표자와 차세대 주자들이 연사 및 패널로 참여하는 세션별 토론회가 열린다.

15일에는 최근 단일 전시회 관람객 ‘34만명’이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달성하면서 세계 최고의 전시컨벤션센터로 입지를 굳히고 있는 독일 쾰른메세(Koelnmesse GmbH)의 크리스티안 클라스마커 부사장이 패널로 나서 글로벌 전시산업의 트렌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세계 전시업계를 향한 한류 알리기도 곁들여진다. 공식 회의 일정을 마친 16일에는 국립민속박물관과 경복궁 등 전통 관광지를 둘러보는 포스트투어와 함께 한류를 대표하는 문화공연인 ‘난타’ 관람 등을 통해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린다는 방침이다.

주최 측과 관련 업계는 이번 행사를 통해 해외 주요 전시사업자와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한편 국내 전시산업의 인프라와 운영 능력, 한국형 전시산업의 비전 등을 적극 알릴 방침이다. 정양환 전시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은 “이번 총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해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전시의 장점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수출 1조달러 달성과 경제규모 10위권 국가로서 무역전시회의 잠재적 가능성을 세계무대에 인식시키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유정우 한경닷컴기자 seeyou@hankyung.com

"미래 성장동력 이끌 융·복합 스포츠산업 모색해요"


마이스 산업

글로벌스포츠마케팅포럼 개최


“기대수명 100세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 스포츠는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좌우한다. 스포츠와 산업, 문화 기술을 융합한 스포츠산업 지원 시스템을 강화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누구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건강한 나라를 만들겠다.”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제9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사에서 한 말이다. 스포츠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8월 향후 5년간 스포츠산업 규모를 37조원에서 53조원으로 키우는 것을 골자로 한 스포츠정책 5개년 비전을 발표했다. 조만간 세부 실행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단순히 즐기고 국위 선양에만 머물지 않고 융·복합 시장을 창출해 경제를 살리고 ‘국민행복 시대’의 성장동력이 되도록 산업적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해 문체부는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산업협회 등과 함께 국내 스포츠산업을 진단하고 미래 스포츠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기 위해 글로벌스포츠마케팅포럼을 연다. 다음달 20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3층) 특설무대에서 열리는 이 행사에는 세계적인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 다빈치연구소장과 짐 스몰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아시아 담당 부사장, 조지 테일러 스포츠아트플러스 대표, 정병기 SK플래닛 그룹장 등이 초청 강연을 펼친다.

기조연설에 나서는 프레이 소장은 지난해 구글이 선정한 세계 최고의 ‘혁신적인 미래예측 연사’다. 그는 15년 동안 IBM 엔지니어이자 디자이너로 일하면서 270여종의 상을 받았을 만큼 융·복합 산업 분야의 천재성을 인정받은 인물이다. 한국을 처음 방문하는 그는 스포츠가 가진 독특한 매력과 장점을 통해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스포츠산업의 가치와 비전, 지속성장을 위한 글로벌스포츠 융·복합산업에 대한 미래예측 모델 등을 제시할 전망이다.

스몰 부사장은 세계 최고의 스포츠산업 무대로 손꼽히는 메이저리그의 글로벌 마케팅 전략에 대한 아이디어를 들려준다.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융·복합 사례도 소개한다. 테일러 대표는 스포츠마케팅의 세계적인 추세를, 정병기 그룹장은 스포츠산업의 융·복합 상품 사례를 주제로 발표한다.

행사 기간에는 국내 스포츠산업을 아우르는 다양한 행사가 동시에 열린다. ‘스포츠가 미래다’를 주제로 열리는 ‘제3회 대한민국 스포츠산업 잡페어’는 스포츠 산업 전문인력들이 관련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고 취업 기회를 잡도록 마련됐다. 행사장에는 스포츠 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직업군을 소개하고 인력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테마관과 특별채용관 등이 운영된다.

‘대한민국 스포츠산업대상 시상식’도 열린다. 산업 발전에 공헌한 스포츠산업체를 발굴해 격려하는 상으로, 대상 업체에는 대통령표창을 준다. 최우수상엔 국무총리표창, 우수상과 프로구단상, 우수 지자체상엔 문체부장관상, 개인상엔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상이 수여된다.

유정우 한경닷컴기자 seeyou@hankyung.com

"카지노가 핵심 아냐…한국형 복합리조트 찾아야"


황혜진 복합리조트산업발전포럼 위원장(이화여대 교수)이 마이스 복합리조트 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변성현 한경닷컴 기자 byun84@hankyung.com

마이스 산업

황혜진 복합리조트산업발전포럼 위원장


“카지노가 마이스(MICE) 복합리조트 개발의 핵심은 아닙니다. 복합리조트의 일부분일 뿐이죠. 카지노 때문에 복합리조트 개발을 반대하기보다는 어떻게 한국형 모델을 찾아 나갈 것인지 고민해야 합니다.”

황혜진 복합리조트산업발전포럼 위원장(57·이화여대 교수)은 지난 25일 “마이스 복합리조트 개발이 시급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황 위원장은 “국내 마이스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글로벌 수준의 인프라 확보가 시급하다”며 “싱가포르의 마리나베이샌즈를 뛰어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마이스 복합리조트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7월 청와대에서 대통령이 주재한 제1차 관광진흥확대회의에서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10대 중점 개선과제의 하나로 세계적 수준의 복합리조트 개발을 위한 지원시스템 마련을 제시했다. 복합리조트 개발에 대한 정부와 산업계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지난 9월 출범한 복합리조트산업 발전포럼의 황 위원장으로부터 한국형 마이스 복합리조트 개발에 관한 의견을 들어봤다.

▷마이스 복합리조트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복합리조트는 세계적인 추세다. 미국 라스베이거스, 싱가포르, 마카오 등의 사례를 통해 복합리조트의 경제적 효과는 이미 확인됐다. 싱가포르는 복합리조트 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1.5~2%를 차지하며 6만여개의 일자리를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50만명, 면적은 여의도의 3.5배에 불과한 마카오도 복합리조트 개발로 연간 관광객이 2800만명에 이르고 실업률은 2%대의 완전고용 수준이다. 복합리조트 개발은 고부가가치 관광인프라를 갖는 것 이상의 확산(spill over)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해외관광객 유치와 일자리 창출효과는 물론 운영과 관련된 각종 물품, 용역 등 중소기업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특별세와 같은 세금으로 정부의 안정적인 복지재원을 마련할 수도 있다.”

▷복합리조트 내 카지노 시설 때문에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복합리조트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복합리조트는 컨벤션, 숙박, 쇼핑, 공연 등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해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다. 마이스 복합리조트에서 카지노의 비중은 5% 미만이다. 싱가포르의 경우 병적 도박자 비율이나 범죄율 등이 복합리조트 개발 이전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스 복합리조트에서 카지노는 안정적인 시설 운영을 위한 수단으로 봐야 한다. 컨벤션, 공연장 등 공공 성격을 지닌 문화시설은 건립과 유지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지만 수익창출 효과는 낮기 때문이다.”

▷복합리조트 개발에 카지노는 필수적이란 말인가.

“다른 방안도 있을 수는 있다. 다만 기회를 살리자는 것이다. 미국 샌즈그룹, 엠지엠(MGM), 윈(Wynn), 홍콩의 멜코그룹 등이 최근까지 한국시장을 주목하며 투자의향을 밝히고 있다. 이들이 한국시장에 호의적일 때 잡아야 한다. 일본은 해외관광객 유치, 재정비용 마련을 위해 복합리조트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15년 전후로 복합리조트 개발을 위한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베트남 대만 필리핀 스페인 등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자칫 우리는 논쟁만 벌이다 이들과의 경쟁에서 뒤처질 수도 있다.”

▷카지노 관련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인가.

“복합리조트는 글로벌 시각을 갖고 추진해야 한다. 전 세계 누구나 한 번쯤 와보고 싶어하는 최고의 복합리조트 개발을 목표로 해야 한다. 무작정 관련 규제부터 풀자는 것이 결코 아니다. 싱가포르도 2010년 마리나베이샌즈를 개장하면서 입장료 부과, 출입금지 대상자 지정, 감독관 파견, 감독위원회 설립 등 내국인의 카지노 출입을 제한하는 엄격한 규제를 마련했다. 우리는 규제를 더욱 세분화하고 강화해야 한다. 오히려 엄격하고 실질적인 규제를 우리의 강점인 ICT기술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해 복합리조트 개발과 운영의 새로운 성공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사회문제 등을 우려해 머뭇거리기보다는 주어진 기회를 살리고 경제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복합리조트 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복합리조트는 건립보다 운영이 더 중요하다. 결코 자금력만 믿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이스 복합리조트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험과 노하우가 있어야 한다. 국내 투자의향을 밝힌 샌즈그룹이나 엠지엠, 윈 등은 모두 이 분야에 경험과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 마이스 복합리조트가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상품이 되려면 이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 고유의 콘텐츠를 발굴하는 노력도 중요하다.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K팝, 전통문화, 음식, 의료관광, 공연 등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 그래야만 진정한 한국형 복합리조트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선우 한경닷컴 기자 seonwoo_lee@hankyung.com

 

전시산업, 창조경제 새 원동력


마이스 산업

기고 이한철 한국전시산업진흥회장


지금 대한민국의 최대 화두는 창조경제다. 창조경제의 핵심 요소는 창의성과 고부가가치, 두 단어로 압축할 수 있다. 흔히 ‘굴뚝 없는 황금산업’으로 불리는 전시산업은 세 가지 측면에서 창조경제가 요구하는 바에 부합한다.

첫째, 전시산업은 지식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창의성과 맞닿아 있다. 전시산업에는 경계가 없다. 어떤 품목도 전시회 속에서 융합된다. 세계 최고의 전시회로 불리는 라스베이거스가전박람회(CES)에서는 향후 10년 뒤의 정보기술(IT) 세상을 말하고, 세계 최고의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는 차량을 ‘모바일 기기의 총아’로 탈바꿈시킨다.

둘째, 전시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세계 최고의 전시 강국인 독일은 전시산업만으로 2005년 이후 매년 평균 120억유로(약 17조4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생산효과 제외)와 22만6000명의 연고용 창출효과를 기록하고 있다.

셋째, 전시산업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도구다. 독일전시협회(AUMA)가 밝혔듯 독일이 수출강국의 위치를 지킬 수 있는 이유도 세계 최고의 산업·무역전시회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특히 독일의 중소중견기업은 자국의 산업·무역전시회가 없었더라면 국제적인 잠재 고객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같은 전시산업의 효과성을 인식한 세계 각국은 앞다퉈 전시산업에 투자하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중국이다. 전시장 총면적이 4400만㎡로 독일(2700만㎡)을 훌쩍 넘어섰다. 또한 제12차 5개년 경제계획에서 ‘전시산업을 통한 관련 산업의 발전과 지역의 산업구조 개선’을 목표로 삼을 정도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전시산업을 대한민국 창조경제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우리도 정부가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음달 한국에서 국제전시협회(UFI) 제80차 총회가 열린다. 세계 전시업계의 중요 인물들이 모두 찾는 국제행사로, 국내 전시산업의 수준을 크게 도약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인 만큼 정부, 국회, 국민 모두의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

 

[29일 '저축의 날' 50주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저축률 반짝 끌어올렸지만…

복지축소 우려로 여유자금 비축

위기 진정된 2009년 이후 다시 하락세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가계저축률이 2008년 미국에서 비롯된 금융위기 기간에 대부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6월 발표한 ‘국가별 가계저축률과 전망’ 자료를 보면 OECD 23개국 평균 가계저축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에는 4.0%에 머물렀다. 하지만 2008년 4.4%로 높아진 데 이어 2009년에는 6.6%까지 상승했다. 금융위기에 이은 유럽 재정위기로 인해 복지혜택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가계들이 소비를 줄이고 여유자금을 비축한 데 따른 것이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유로존 17개국의 평균 가계저축률도 2007년 8.9%에서 2008년 9.3%, 2009년 10.0%로 높아졌다. 가계저축률은 가계의 가처분소득 중 가계순저축의 비중이다. 국민소득 통계상 세금 국민연금 등 사회부담금을 제외하고 가계가 쓸 수 있는 모든 소득 가운데 소비(최종 소비지출)하고 남은 금액의 비율이다.

그러나 2009년 이후 가계저축률은 다시 하락했다. OECD 23개국 평균은 2010년 5.7%에서 2011년 5.0%로 떨어졌다. 지난해는 5.1%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같은 기간 유로존 15개국의 평균 저축률도 8.4%, 7.8%, 7.2%로 계속 낮아졌다.

국가별로도 최근 6년 중 2008~2009년 사이에 가계저축률이 정점을 찍은 나라들이 많다. 독일(11.5%)과 미국(5.4%)은 2008년 저축률이 큰 폭으로 치솟았고, 캐나다(5.6%) 일본(2.4%) 스웨덴(11.0%) 등은 2009년이 가장 높았다.

2007년과 2008년 각각 2.6%이던 한국의 가계저축률도 2009년 4.1%를 찍고 하락했다. 지난해 기준 3.4%는 OECD 23개국 평균(5.1%)과 유로존 17개국 평균(7.2%)에 못 미친다. 독일은 10.3%로 10%대를 유지하고, 미국도 3.9%로 한국을 웃돈다.

한국은 뉴질랜드(0.3%) 일본(0.8%) 이탈리아(3.4%) 등과 함께 가계저축률이 가장 낮은 국가군에 속한다.

OECD는 올해 한국의 가계저축률이 4.1%, 내년엔 4.2%로 소폭 올라갈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가 회복되면서 가계소득도 증가할 것이라는 전제에서다.

임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OECD 국가 중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며 “OECD 국가 중 한국처럼 가계저축률이 급격히 하락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

[29일 '저축의 날' 50주년] 경제 혈액 vs 소비 장벽, '양날의 칼' 저축

순저축률 24년만에 21%P 급락…소득 줄고 가계부채 갈수록 증가

"모으고 싶어도 여력이 없다"

불황일수록 아쉬운 게 저축…저소득층에 다양한 상품 제공해야


“국민 한 명이 하루 10원씩 1년 저축하면 1000억원이 국가에 쌓인다.”

1969년 9월25일 서울시민회관에서 열린 ‘저축의 날’ 기념식. 푼돈을 모아 어선 두 척을 산 해녀에게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국민훈장을 달아줬다. 저축왕들의 미담이 신문 1면을 장식하던 때였다. 미국 무상원조 종료를 앞두고 저축으로 자립하자는 대국민운동은 1970~80년대 고속성장의 디딤돌이 됐다. 29일은 ‘저축의 날’이 탄생한 지 50주년이 되는 날이다. 떠들썩한 분위기는 사라졌다. 금과옥조였던 저축은 ‘양날의 칼’로 바뀌었다. 때로는 투자를 일으키는 ‘경제 혈액’이 되지만, 때로는 소비를 막는 천덕꾸러기가 된다.

○빚 권하는 사회의 후유증

국민경제에서 저축이란 일정 기간 번 소득에서 미래에 대비해 쓰지 않고 남긴 부분을 말한다. 특히 가계 저축은 국민의 소비여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가계가 남은 돈을 예금으로 쌓아두면 경제순환에도 도움이 된다. 기업이 외채에 기대지 않고 투자와 생산을 확대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이것도 고속성장기 때 이야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세금 등을 내고 가계가 쓸 수 있는 전체소득 가운데, 소비하고 남은 금액의 비중인 ‘가계순저축률’은 1988년 24.7%에 달했다. 이후에도 15% 선을 웃돌던 가계순저축률은 외환위기 직후 급락해 지난해 3.4%에 그쳤다.

경제가 성숙해지면 금리가 안정되면서 저축 유인도 줄어든다. 하지만 저축을 하고 싶어도 여력이 없다는 게 문제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거시경제실장은 “성장률과 고용률이 동반 하락하는 ‘고용 없는 성장’ 속에 가계 소득이 줄었다”며 “사교육비 통신비 등 필수소비항목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후 5년이 지났는데도 저축률 회복이 더딘 것은 지난 6월 말 현재 980조원으로 가구당 6190만원에 달하는 가계부채가 가장 큰 원인이다. 빚을 내 집을 샀던 하우스푸어들은 이자를 갚느라 허덕이고 있다.

○강제저축의 착시

저축률 하락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기도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세금과 사회보험 등 의무적으로 내는 비소비지출 비중이 1990년 소득 대비 15.6%에서 지난해 18.8%(도시 2인 이상 가구)로 높아졌다. 저축률 급락이 시작된 1999년은 국민연금 가입대상자가 5인 미만 도시 근로자로 확대된 시점이기도 했다.

임일섭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금융분석실장은 “복지가 확대되면서 사회보험과 연금 등 국가 차원의 ‘강제저축’ 부담이 급증했다”며 “개인적인 저축 여력이 떨어진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더 큰 문제는 심리적인 데서 온다. 김영봉 세종대 교수는 “내가 따로 저축하지 않아도 국가가 미래를 책임져줄 것이라는 오해가 퍼졌다”며 “문제는 현 복지 수준이 노후를 맡기기엔 부족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저축이 부족한 젊은 층으로 인해 미래에 사회적 비용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저축과 소비는 동전의 양면

저축을 위해 소비를 무조건 줄이는 것도 답은 아니다. 가계의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올 2분기 73.1%로 9분기 연속 하락(전년 동기 대비)했다. 불확실한 미래 탓에 다들 허리띠를 졸라맸는데, 소비를 더 줄이면 경제의 ‘돈맥경화’가 심해진다.전문가들은 저축을 소비의 반대말이 아니라 ‘마중물’로 보는 지혜를 요구한다.

임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불황일수록 아쉬운 게 가계 저축”이라며 “저축률이 좀더 높았다면 최근 고용호조에 따라 소비도 빠르게 늘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소득층에는 다양한 금융상품과 인센티브를 제공해 저축률부터 끌어올려 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

 

대표적 ‘특수통’… 불교·한학 조예 깊어

작년 초유의 ‘檢亂’ 수습

“막중한 책임감 느낀다”
검찰총장 후보로 지명된 김진태 전 대검 차장은 검찰 내에서 손꼽히는 ‘특수수사통’이다.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수사,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현철씨 사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 홍업씨 비리 사건 등 그야말로 지축을 뒤흔들 만한 사건 수사를 강단 있게 처리해 이름을 떨쳤다. 이 때문에 평검사 시절부터 ‘김진태가 하면 다르다’는 얘기를 들었다.

1952년생으로 나이로만 보면 황교안(56· 연수원 13기) 법무부 장관보다 5살이나 많다. 진주고를 중퇴하고 검정고시로 서울대 법대에 입학했으며, 졸업 후 한국은행에 잠시 다니다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한국은행 근무 경험을 살려 서울중앙지검 근무 때는 특수부 검사들을 불러놓고 계좌추적에 대한 강의를 한 적도 있다.

김 후보자는 검찰 내 대표적 원칙론자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한상대 검찰총장 당시 잇따른 검사 비리 등으로 사상 초유의 검란(檢亂) 사태가 발생해 검찰이 흔들렸을 때 서울고검장에서 대검 차장으로 전보된 뒤 업무매진을 강조하며 기강이 흔들리던 후배들을 다잡았다. 당시 ‘김진태가 구원투수로 가지 않았으면 검란 여파가 더 컸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였다.

김 후보자는 불교와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경허 대사의 제자인 수월 스님의 일대기를 다룬 ‘물을 듣는 강물’ 등 책을 펴내기도 했고, 효당 스님에게서는 ‘봉당’(鳳堂)이라는 법명도 받았다. 불교와의 인연은 김 후보자가 1973년 유신 반대운동을 벌이다 사찰에 피신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자는 “검찰이 위기를 맞고 있는 때에 검찰총장 후보자로 지명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더욱 겸허한 마음으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준 기자

프로필 ▲경남 사천(61·연수원 14기) ▲서울대 법대 ▲대검 범죄정보 1담당관 ▲대검 중수2과장 ▲부산지검 1차장 ▲서울고검장 ▲대검찰청 차장

 

또 코드인사에 밀린 대탕평… 朴정부 권력기관 ‘PK편중’

새 검찰총장에 김진태… 5대 기관장 중 2명 PK

靑 “전문성 중시”… 野 “검찰 중립성 훼손 우려”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새 검찰총장 후보자에 김진태(61·사법연수원 14기·경남 사천) 전 대검 차장을 내정했다. 지난 25일 지명된 경남 마산 출신의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에 이어 PK(부산·경남) 출신 법조인이 발탁되면서 지역편중인사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두 후보자가 경남 거제 출신인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의 지연·학연을 들어 사정당국의 중립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태 전 대검차장
청 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은 검찰조직을 하루빨리 정상화하고 현재 현안이 되고 있는 사건들을 공정하고 철저히 수사해 마무리하며 국민의 신뢰를 받는 검찰을 만들기 위해 새 총장 후보자에 김 전 대검 차장을 내정했다”면서 “김 후보자는 경험과 경륜이 풍부하고,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검찰 내 신망이 두터운 분”이라고 인선배경을 설명했다.

김 후보자 지명으로 PK 출신 법조인의 요직 등용이 두드러진다. 5부 요인 중 정홍원 국무총리(경남 하동)와 양승태 대법원장(부산), 박한철 헌법재판소장(부산)이 PK 출신이다. 5대 권력기관 중 황 감사원장 후보자와 김 후보자가 PK 출신이며, 남재준 국정원장과 이성한 경찰청장이 서울 출신, 김덕중 국세청장이 대전 출신이다. 역대 정권이 권력기관장 인사에서 지역안배 기준을 중시했던 것과 달리 박근혜정부에서 호남 소외론이 나오는 배경이다.

청와대 측은 ‘지역 안배보다는 전문성’을 우선한 인사라는 입장이다. 이 수석은 “새 정부는 지역과 학연이나 그 밖의 다른 사안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며 “그 직을 제대로 수행할 적임자를 가장 우선적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가 검찰 내 대표적인 특수통 검사인 데다 사법연수원 기수도 높아 최근 불거진 검찰 내 갈등을 수습하고 조직안정을 꾀할 적임자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강력한 친위 사정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대탕평’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양건 전 감사원장과 채동욱 전 검찰총장이 각각 4대강사업 감사와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수사 ‘외풍’ 논란을 일으키며 정권과 마찰을 빚은 점을 감안해 ‘정권코드’가 맞는 인사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특히 김 후보자는 김 비서실장과 각별한 인연을 맺고 있다. 그는 김 실장이 법무부 장관이었던 1991년 법무부 법무심의관실 검사로 함께 근무했다. 김 실장은 사석에서 “내가 아는 검사는 김진태뿐”이라고 말할 정도로 김 후보자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민주당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김 후보자가 김기춘 실장의 최측근이라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김 실장이 또 한 명의 대리인을 검찰총장으로 보내 검찰을 장악하려는 시도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

 

손병두 “차라리 유신시대가 좋았다고…”

“유신 폄훼에 각하 심기 불편”

박정희 34주기 추도사 논란

野 “독재 찬양 민주주의 훼손”
“우리 서민들은 ‘간첩이 날뛰는 세상보다는 차라리 유신시대가 더 좋았다’고 부르짖는다.”(손병두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

손병두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
“‘아버지 대통령 각하’라는 극존, 찬양 호칭은 (북한) 부자세습 정권의 ‘어버이 수령’이란 신격화 호칭과 매우 닮아 있다.”(민주당 김한길 대표)

꼴 사나운 험구 경쟁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손 이사장은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34주기 추도식 추도사를 통해 유신시대 찬양가를 부르며 “최근 국가반란 음모를 꾸민 종북좌파 세력이 적발됐는데 이들을 척결하려는 공권력의 집행을 두고 유신회귀니 하는 시대착오적 망발이 나온다. 아직도 5·16과 유신을 폄훼하는 소리에 각하(박정희 전 대통령)의 심기가 조금은 불편할 것으로 생각하나 마음에 두지 말라”고 주장했다. 이어 “무지한 인간들의 생떼와는 상관없이 대한민국은 조국 근대화 완성의 길로 매진하고 있다”며 “오늘은 당신(박 전 대통령)의 따님 박근혜 대통령 정부 아래서 마음껏 당신을 추모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니 당신을 향한 그리움이 더욱 간절하고 사무친다. 당신께서 만들고자 했던 대한민국을 박 대통령과 함께 반드시 건설하겠다”고 다짐했다. 손 이사장은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박 대통령의 모교인 서강대 총장, KBS 이사장 등을 지냈다.

김 대표는 27일 긴급 의원총회에서 “이러한(아버지 대통령 각하) 호칭은 우리를 섬뜩하게 한다”며 ‘박정희-박근혜’ 부녀 대통령을 북한 세습체제에 빗대어 손 이사장을 거세게 비난했다. “(추도식에서) ‘유신시대가 더 좋았다’, ‘한국에는 독재가 필요하다’ 등 온갖 망언들이 쏟아졌다고 한다”며 “이 땅에서 다시 영구집권을 꿈꾸는 유신잔존세력들이 독초처럼 우리 사회에 자라나는 건 아닌지 심히 우려스럽다”고도 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헌정질서를 유린한 독재체제가 더 좋았다는 발언이다. 헌법 불복세력이 판을 치고 민주주의 기본질서가 훼손되는 현 상황을 환영하는 세력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지적했다.

박 전 대통령 34주기 추도식은 2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의 박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엄수됐다. 박 대통령 취임 후 처음 맞는 이번 추도식은 유가족과 정·관계 인사, 박 전 대통령 지지자 등 5000여명(경찰 추산)이 참석한 가운데 민족중흥회 주관으로 치러졌다. 박 대통령은 수일 전 미리 묘역을 찾아 참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 남동생 지만씨 부부는 불참했고 여동생 근령씨 부부는 참석했다. 정치권에서는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최경환 원내대표,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박준우 청와대 정무수석 등이 참석했다.

 

정치권, '일부 인사 10·26발언' 놓고 '시끌'

野 "유신시대 망령 부활…'유신교 광신도들'"

與 "개인발언일 뿐…말꼬리 잡지 말라"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안용수 기자 = 정치권은 27일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 34주기 추도식에서 나온 일부 인사들의 발언을 놓고 입씨름을 벌였다.

손병두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은 전날 서울 국립현충원에서 거행된 박 전 대통령 추도식에 참석, 추도사를 통해 현 정부의 국정운영을 야권 일부에서 '유신회귀'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 손 이사장이 전날 "우리 서민들은 '간첩이 날뛰는 세상보다는 차라리 유신시대가 더 좋았다'고 부르짖는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경북 구미갑 출신의 새누리당 심학봉 의원은 경북 구미시의 박 전 대통령 생가에서 박정희대통령생가보존회 주관으로 열린 추도식 추도사에서 "아버지 대통령 각하"라며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34년이 됐다", "아버지의 딸이 이 나라 대통령이 됐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유신시대의 망령이 부활했다"며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국정원을 비롯한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 대여(對與)전선을 확대하려는 시도로 분석됐다.

김한길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심 의원이 박 전 대통령을 '아버지 대통령 각하'로 호칭한 것을 두고 북한이 고(故) 김일성 전 주석을 신격화하기 위해 쓰는 '어버이 수령'에 빗대기까지 했다.

김 대표는 "'아버지 대통령 각하'라는 극존·찬양 호칭은 (북한) 부자세습 정권의 '어버이 수령'이란 신격화 호칭과 매우 닮아있다"며 "다시 영구집권을 꿈꾸는 유신잔존세력이 독초처럼 자라나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관영 수석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역사의 수레바퀴가 거꾸로 돌아 유신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 민주주의 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도 민망할 정도의 '박비어천가'를 쏟아냈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유신교의 광신도들'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원색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민주당이 발끈하고 나선 데 대해 새누리당은 격한 반응을 자제하며 '김빼기'로 대응했다.

새누리당은 "고인을 추모하는 차원이었다"며 파문 확산을 경계했다. 김 대표를 향해서도 "말꼬리 잡지 말라"고 반격에 나섰다.

홍지만 원내 대변인은 "역사적 판단을 떠나 추도식에 모인 사람들은 박 전 대통령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사람들 아니냐"며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애착심을 표현하기 위해 쓴 호칭을 놓고 말꼬리잡으며 딴죽 걸지 말라"고 응수했다.

그러면서 "제1야당 대표가 할 말은 아니다. 적절치 않은 표현"이라고 꼬집었다.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심 의원은 고향 사람들이 모인 추도식에서 우리나라 고도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받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해 개인적으로 업적을 기린 것"이라면서 "고인을 추모하는 것까지 정치적으로 문제 삼는 데 대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