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125호 |
|
|
|
|
|
’18년도 제조업소프트파워강화지원 사업 시행계획 공고 |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일환으로 ‘제조업 소프트파워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2018년도제조업소프트파워강화지원 사업' 시행계획을 공고하오니,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8. 3. 6.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1 |
| 사 업 목 적 |
□ 제조-소프트파워 영역 간 융합을 촉진하여, 중소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 실현
ㅇ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 지원)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우수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을 촉진하여, 제조기업과 소프트파워 기업 간 상생협력 기반 구축
ㅇ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 지원) 소프트파워 전문기업의 생산․제조 아웃소싱을 지원하여, 글로벌 제조업 新트렌드인 ‘공장없는 제조기업*’의 활성화 도모
* 부품, 완제품 조립은 아웃소싱으로 조달하고 제품의 기획·설계 등 소프트파워 역량에 집중하는 기업
< 제조업 소프트파워의 개념 >
◆ 지식자본 중 제품 부가가치의 많은 부분을 창출하는 무형의 생산요소인,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디자인 분야 등을 의미
* 소프트파워 전문기업이란 제조업 소프트파워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
2 |
| 지 원 내 용 |
Ⅰ |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지원 |
|
□ 지원대상 : 소프트파워 역량 강화가 필요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 ‘중소기업’이란「중소기업기본법」제2조 및 동법 시행령 제3조에 따른 기업
** ‘중견기업’이란「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제2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기업
***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 지역은 국내로 제한
□ 지원분야
유형 | 지원 분야 |
엔지니어링 | ㅇ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기계・장비・제품 개발을 위한 엔지니어링 전반 - 제품기획, 기본설계(해석), 상세설계(제품, 공정설계), 엔지니어링 SW 활용(라이선스*) 및 활용기술, 설비제어 등 * 라이선스 구입에 대한 지원이 아닌, 해당 라이선스를 보유한 전문기업(기관)의 서비스 활용을 지원 |
소프트웨어 | ㅇ (임베디드 SW) 기계・장비・제품에 내장되는 SW 전반 - 제품별 응용 S/W, 미들웨어(middleware) 개발 등
ㅇ (정보보호 SW) 제품 및 기업 내부시스템 정보보안을 위한 SW 전반 - IT기반 디바이스 및 IoT기기의 보안솔루션 개발 - 제조기업 생산․공정관리시스템의 보안플랫폼 구축 등 |
디자인 | ㅇ 기계・장비・제품 관련 디자인 전반 - 제품 컨셉, 부품‧제품의 UI/UX 디자인 등 |
□ 지원내용 : 지원분야 內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아웃소싱 및 컨설팅 등) 비용 지원
* ’15∼’17년 旣지원받은 기업의 경우, 기존과 다른 유형으로 지원할 시에만 접수 가능
(ex)’17년 엔지니어링 과제 수행 → ’18년 소프트웨어또는디자인 유형만 지원 가능)
** 소프트파워 서비스 제공기관(전문기업, 공공연구기관)은 2개 이상의 과제에 참여 가능
<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 지원 예시 >
|
□ 지원기간 : 7개월(협약기간 : 2018.6.1∼2018.12.31)
□ 지원금액 : 기관당 정부출연금 3∼5천만원 이내(과제별 차등 지급)
* 총 23개 내외 중소․중견기업 지원 예정
** 기술료 비징수
ㅇ 총 사업비는 정부출연금과 민간부담금(현금 및 현물)으로 구성
-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구분 |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 민간부담금 중 현금부담 비율 |
중견기업 |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50% 이하 | 민간부담금 중 현금 부담비율 15%* 이상 |
중소기업 |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60% 이하 |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제25조(민간부담금) 제4항에 근거
□ 지원방법 : 자유공모
구분 | 신청방법 |
소프트파워 전문기업 서비스 활용시 | ㅇ (신청 주체) 제조기업 단독 신청
ㅇ (기업 정보확인) 신청기업은 소프트파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기업 DB를 별도 온라인 플랫폼(www.softpowerup.or.kr)을 통해 확인 - 지역‧전문분야‧사용SW 등을 확인하여, 과제와의 적합성 검토
ㅇ (과제 신청) 소프트파워 전문기업 매칭 희망 순위(1∼3순위)를 사업계획서에 작성하여 과제 접수 - 과제 내용에 따라 1개 분야 다수 전문기업(3개 이하) 매칭 가능 |
ㅇ (매칭기업 확정) 선정평가를 통해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기업은 기재한 1∼3순위 소프트파워 전문기업 중 개별 협의를 통해 매칭기업 확정 - 협약 전까지 매칭기업의 참여확약서 제출 必(미제출시 선정 취소) | |
공공연구기관 서비스 활용시 | ㅇ (신청 주체) 제조기업과 공공연구기관의 컨소시엄으로 신청 - (주관기관) 제조기업, (참여기관) 공공연구기관
ㅇ (과제 신청) 신청기업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공공연구기관 정보를 사전에 확인하고, 직접 컨소시엄을 구성한 후 과제 접수(별도 매칭지원 없음) |
* 소프트파워 전문기업으로, 동 사업에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온라인 플랫폼(www.softpowerup.or.kr)에 공급자 가입(문의처:한국생산기술연구원 / 031-8040-6785)
Ⅱ |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지원 |
|
□ 지원대상 : 생산·제조 서비스 활용이 필요한 중소 소프트파워 기업
* ‘중소기업’이란「중소기업기본법」제2조 및 동법 시행령 제3조에 따른 기업
** 생산․제조 아웃소싱 서비스 활용 지역은 국내로 제한
□ 지원내용 : 신규 제품(시제품 등) 생산과 관련된 생산․제조 아웃소싱 비용 지원
* 별도 지원분야 구분 없음
** ’15∼’17년 旣지원받은 기업의 경우 지원 불가
*** 생산․제조 아웃소싱 제공기관은 2개 이상의 과제에 참여 가능
< 공장없는 제조기업 활성화 지원 예시 >
|
□ 지원기간 : 7개월(협약기간 : 2018.6.1∼2018.12.31)
□ 지원금액 : 기관당 정부출연금 3∼5천만원 이내(과제별 차등 지급)
* 총 10개 내외 중소기업 지원 예정
** 기술료 비징수
ㅇ 총 사업비는 정부출연금과 민간부담금(현금 및 현물)으로 구성
-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구분 |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 민간부담금 중 현금부담 비율 |
중소기업 |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80%* 이하 | 민간부담금 중 현금 부담비율 15%** 이상 |
* 지원기업 상당수가 창업초기 기업임을 고려,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 분야에 비해 높게 설정
**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제25조(민간부담금) 제4항에 근거
□ 지원방법 : 자유공모
신청방법 |
ㅇ (신청 주체) 소프트파워 전문기업(공장없는 제조기업) 단독 신청
ㅇ (기업 정보확인) 신청기업은 생산․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기업 DB를 별도 온라인 플랫폼((www.softpowerup.or.kr)을 통해 확인 - 지역‧전문분야 등을 확인하여, 과제와의 적합성 검토
ㅇ (과제 신청) 생산․제조 전문기업 매칭 희망 순위(1∼3순위)를 사업계획서에 작성하여 과제 접수 - 과제 내용에 따라 다수 전문기업(3개 이하) 매칭 가능 |
ㅇ (매칭기업 확정) 선정평가를 통해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기업은 기재한 1∼3순위 생산․제조 전문기업 중 개별 협의를 통해 매칭기업 확정 - 협약 전까지 매칭기업의 참여확약서 제출 必(미제출시 선정 취소) |
* 생산․제조 전문기업으로, 동 사업에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온라인 플랫폼(www.softpowerup.or.kr)에 공급자 가입(문의처:한국생산기술연구원 / 031-8040-6785
'█ MV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년도 K-Brain Power(두뇌역량우수전문기업) (0) | 2018.03.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