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번호 | 2017-디지털콘텐츠-06 | (지정공모형) | |||||||||||||||||||||||||||
과제명 | 복합생체반응 정보기반 지능형 VR Life Care 기술 개발 | ||||||||||||||||||||||||||||
1. 개념 |
| ||||||||||||||||||||||||||||
ㅇ 급격한 사회변화와 경쟁심화를 원인으로 현대 사회에서 야기되는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는 정신적 생활약자를 위해, 해당 사용자의 인지/감성/신체 특성에 대한 유효 반응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해소할 수 있는 Life Care 서비스 모델 개발 - 다양한 웨어러블/IoT 기기를 통한 복합 생체반응정보 취득 수단으로 활용 - 머신러닝 기반 복합 생체반응정보 분석 및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유효 특성 도출 - 복합 생체반응정보 기반 VR 콘텐츠 평가 지표 개발 및 VR 콘텐츠를 이용한 Life Care 서비스 모델 제시 - 정신건강 문제 완화/해소를 위한 VR 환경 기반 점진적 노출을 통한 Life Care 서비스
| |||||||||||||||||||||||||||||
2. 필요성 |
| ||||||||||||||||||||||||||||
ㅇ (정부 지원 필요성) 초고령화 사회진입 및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현대 사회에서 야기되는 정신건강에 대한 국가/사회적 문제를 VR 기술로 해결하고자 하는 공공재적 성격으로 정부지원이 필요 - 급격한 사회변화와 경쟁 심화로 인해 전체 국민의 상당수가 정신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국가/사회적 문제로 정부 지원 필요 * 최근 1년 동안 한번 이상의 정신질환을 경험한 성인(18세 이상) 인구가 577만명(전체 인구의 16.0%)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06년 8.3%의 유병률이 `11년 10.2%로 점차 증가(22.9% 증가) * 평생 동안 한번 이상의 정신질환을 경험한 성인(18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27.6%로 추정되고 있어 적어도 성인 10명중 3명은 정신질환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06년 12.6%의 유병률이 `11년 14.4%로 점차 증가(14.3% 증가) - ‘90년대 초반부터 세계 주요 선진국은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정신 질환 및 장애의 원인 규명과 치료, 예방 등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국가/사회적 문제로 정의하고 적극적 투자를 추진
ㅇ (기술성) 복합 생체반응정보를 기반으로 한 객관적 정신질환 치유 콘텐츠 평가 기술 및 임상적 실증의 부재 - 객관적 콘텐츠 평가 시스템 개발 필요 * 대다수 콘텐츠의 평가방법은 주로 시청 후 주관적 설문지나 인터뷰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는 주관적 의견의 개입으로 객관적 콘텐츠 평가 방법 필요 - 임상적 결과의 객관적 실증 부재 * 우울증, 대인기피증, 외상후장애, 고소공포증 등의 VRT(Virtual Reality Therapy) 효과에 대한 임상적 실증이 주관적 설문지나 인터뷰 및 HR(Heart Rate) 등의 단일 생리지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실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방법 필요
ㅇ (경제성) 정신질환 관련 사회/경제적 부담 가중 - 정신질환 문제는 주로 생애주기의 초기에 발생하고 다른 질병에 비해 유병기간이 긴 경우가 많아 의료비 등의 직접적 비용이 크고 소득 상실 및 인적 손실 등의 간접적 비용에 대한 부담 또한 매우 큼 - 우리나라의 경우 정신질환과 관련된 진료비의 총액이 `11년 2조 480억원으로 `02년도에 비해 3.8배로 크게 증가하는 추세(건강보험공단, `12) - 사회적 비용 또한 4조원(GDP의 0.5%)에 육박하며 이는 정신건강 치료 관련 의료비의 6~7배로 추정 - `11년부터 `30년까지 세계 5대 만성질환(정신질환, 심장질환, 암, 만성호흡기질환, 당뇨병)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47조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중 정신질환의 경제적 부담은 16조 3천억 달러로 5대 만성질환 중에서도 경제적 부담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 | |||||||||||||||||||||||||||||
3. 연구목표 |
| ||||||||||||||||||||||||||||
ㅇ 최종목표 : 다양한 콘텐츠 환경에서 복합생체반응 신호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인지, 감성변화를 측정/판단하고 객관적 평가 지표를 통한 지능형 VR Life Care 서비스 기반 및 콘텐츠 개발
ㅇ 정량적 개발목표
(주1) 각 종은 DSM-5에서 분류된 정신질환을 기반한 종류 (주2) 3개 종에 해당하는 VR 콘텐츠와 각 종별로 필요한 5개 이상의 시나리오로 구성 | |||||||||||||||||||||||||||||
4. 연구내용 |
| ||||||||||||||||||||||||||||
ㅇ 개발 기술 내용 ①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통한 복합생체반응정보 수집/분류/관리 기술 개발 - 다양한 생체신호/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복합생체반응정보 측정기술 개발 - 머신러닝 기반 복합 생체 반응 정보 특성 추출 및 학습 기술 개발 - 복합생체반응정보 분류 및 관리 기술 개발
② 복합 생체 반응 정보 분석 및 콘텐츠 평가 지표 개발 - 복합 생체 반응 정보 분석 알고리즘 개발 - 콘텐츠 평가를 위한 복합생체반응 정보의 인지/감성/공감 지표 개발 - 평가 지표 별/간 정규화 모델 개발 및 정규화 수행 - 복합생체반응 정보 시각화 기술 개발 - 임상적 실험 및 실증 (2개 기관 이상)
③ 복합생체 반응 정보기반 Life Care VR 콘텐츠 개발 및 실증 - 복합생체반응 정보기반 Life Care VR 콘텐츠 설계 - 기 개발된 고소공포증, 대인기피증 제외한 3종 이상의 Life Care VR 콘텐츠 개발 (예: 스트레스 해소, 우울증 치료, 기억력증강 등) - 복합생체반응 및 지능형 개입 전략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콘텐츠 개발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라이프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개발 - 임상적 실험 및 실증 (2개 기관 이상)
④ Life Care VR 콘텐츠 실증 데이터베이스 구축 - VR 콘텐츠 적용전/후 취득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공개
ㅇ 기술 및 시장동향 연구 - 사업 선정 이후, 관련 기술 및 시장동향 보고서를 중간점검시 별도 제출
ㅇ 기존 보유 기술 ① 단일 생리반응 분석 기술 ② 정신건강 문제(우울증, 대인기피증, 고소공포증, 외상후 장애)에 대한 VR 기반 치료 콘텐츠 | |||||||||||||||||||||||||||||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
| ||||||||||||||||||||||||||||
ㅇ 기간 : 3년 이내 ㅇ 정부출연금 : ‘17년 7억원 이내(총 정부출연금 27억원 이내) ㅇ 주관기관 : 대학 ※본 과제는 가상현실 5대 선도 프로젝트 협력과제로, 협약체결 시 선정기관(주관기관/참여기관)은 5대 선도 프로젝트 과제와 (대구)휴먼케어기술센터와의 연계방안을 연차목표에 반영하여야 함 | |||||||||||||||||||||||||||||
주관유형 | 전략기획 ( ), 창의기획 ( √ ), 혁신기획 ( ) | TRL | |||||||||||||||||||||||||||
연구유형 | 기초 ( √ ), 응용 ( ), 개발 ( ) | ( 3 ) ∼ ( 4 ) | |||||||||||||||||||||||||||
과제특징 | 정책지정( ), SW자산뱅크등록대상( ), 기술사업화 활동기간 적용( ) 경쟁기획( ), 후불형( ), 표준화연계( ), 기술료징수( ), 공개SW( ) |
'◘ LITT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제 RFP (0) | 2019.09.05 |
---|---|
산학협력 파트너를 찾습니다 (0) | 2019.08.13 |
VR콘텐츠 평가지표설정 참고자료 (0) | 2019.04.02 |
디지털 건축 문화재 체험콘텐츠 기술 (hBlock) 기술이전 정보 (0) | 2019.03.20 |
2019 제품서비스기술개발 지원 사업공고 (0) | 2019.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