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rry Tex

19년 추경과제 제안요구서(RFP) 5G 기반의 패션 제조(봉제) 융합서비스 개발 및 실증

구봉88 2019. 11. 25. 08:44

‘19년 추경과제 제안요구서(RFP)

관리번호

2019-기가코리아-1

(품목지정)

품목

(5G-Fashion) 5G 기반의 패션 제조 융합서비스 개발 및 실증

성장동력

스마트공장

기술분야

ICT융합

1. 정의

 

(개념) 기존 인력의 고령화·신규인력 유입단절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4차 산업혁명에 요구되는 생산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5G 기반의 패션 제조(봉제) 융합서비스 개발 및 실증

 

(예시) 아래와 같은 서비스기능 예시를 참고하여 자유롭게 창의적인 5G 기반의 패션 제조 융합서비스를 제안하고 실증 시범사업을 위한 상세한 계획을 제시하기 바람

- 2개 이상 사이트 구축이 요구되며, 제안시는 1개 사이트에 대한 상세 구축계획만 제시

* 5G망 활용(또는 구축) 계획 포함

 

상기 개념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과제를 제안하되, 과제의 명칭(과제명)은 품목명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자유롭게 과제명 부여 가능

구분

세부 내용 예시

5G 기반

스마트 봉제 기술

- ICT 기술(5G, AI, 클라우드 등)과 봉제자동화 설비, 봉제로봇 등을 융합하여 단순 반복적이거나 위험한 작업을 대체

 

- 의류 봉제 전체 공정이 아닌 필요한 부분 공정에만 제안 가능

) 패턴만들기, 원단커팅, 끝단처리, 천이음박기, 뒷호주머니달기, 다림질, 물류이동 등

5GMEC*를 이용한 패션 제조 SaaS

- 봉제 공장의 생산/관리/예지정비 등을 위한 초기 구축비용 및 운용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제공

 

- 봉제기기 운용·관제·유지보수를 위한 서비스 제공

 

- 개별 공장의 독립적이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안 기능 제공

 

* Multi-access Edge Computing(MEC)

5G 기반 유연한 패션 제조 공정 자동화 시스템

소비자 니즈에 맞춘 패션 제품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한 유연성을 갖는 시스템 개발·구축

 

글로벌 기업들의 자동화 요건을 벤치마킹 후 국내 봉제공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 (기업규모, 자동화 수준 등 고려)

5G 기반의 패션 스마트 공장물류 융합 서비스

- 중소기업 패션 기업의 디자인/생산/물류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공장물류 융합 서비스 시스템

 

-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여러 중소기업들의 소규모 생산/물류 설비들을 5G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이들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가상 공장·물류융합센터를 클라우드에 구축·운영하여 대기업의 생산/물류 시스템에 가까운 성능과 효율을 실현

공통

(권고사항)

- 범부처 Giga KOREA 사업 결과물 활용 방안 제시(5G, MEC, 컴퓨터비전 등)

세부사항은 별도 목록 및 사업단 홈페이지(www.gkf.kr) 참고

2. 추진배경, 필요성 및 현황

 

 

(배경)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5G+전략(‘19.4.8 관계부처 합동)에 따라 5G 기반의 새로운 산업과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유망 분야*에 대한 5G 융합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필요

*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 지역 중심의 5G 스마트공장 보급체계 강화를 위해 현장수요를 반영한 보급·확산 추진 및 향후 스마트 시티 도시재생사업 연계하여 노후 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전환

 

(필요성) 패스트-패션* 비중의 확대, 기존 종사자의 고령화 및 신규 인력 유입 단절로 인해 국내 패션 제조(봉제) 산업의 노동력 부족, 온라인 쇼핑 급증 등에 따른 스마트 생산물류 혁신이 필요

* 패스트-패션(fast-fashion): 최신 트렌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제조·유통하는 의류

 

(시장 현황)

- 국내 패션 시장은 ‘1643.1조로 정점을 찍은 후 ’1742.5조원, ‘1842.4조원으로 정체되고 있으며, 패스트-패션의 성장 및 라이프 스타일의 캐주얼화에 따라 전체 시장에서 캐주얼복 비중이 ’1011.1%에서 ‘1817.1%로 증가

* 출처: 섬유패션산업동향(‘18.2분기), 한국패션마켓트렌드(2018) 한국섬유산업연합회 등

 

- 국내 의류업체는 ‘97년 외환위기 이후 인력감축을 통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중견업체가 중소업체로, 중소업체가 영세업체로 전환되면서 영세업체 위주로 재편

 

- ‘17년 봉제업체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5,410개 기업 중 업태기준* 4,629개 기업이 봉제업체이며, 이들 중 10인 이하 기업이 87.9%

* 업태종류: 의류봉제, 프로모션, 샘플, 패턴, 재단전문, 마무리/완성

 

(기술 개발 현황)

- ‘15년 독일 지멘스는 IoTCPS를 기반으로 설계, 생산공정, 예지정비, 물류 및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시범 구축운영 중

 

- ‘18.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기반 생산/물류관리 서비스 및 Cloud향 제조특화 ML(Machine Learing) 플랫폼 개발실증사업 지원

 

- ‘18.12월 초고속실시간초연결 5G 이동통신 국내 서비스 시작

 

- ‘19년 미국 봉제로봇 전문기업 SoftWear Automation(SWA)사는 ’SEWBOT-as-a-Service‘를 발표하며 봉제로봇 렌탈/리스 서비스를 시작

3. 기대 효과

 

 

5G 기반의 유연생산 자동화 체계를 구축하여 인력 이탈을 방지하고, 급변하는 패션 제조시장에서의 능동적 유연 환경을 구현하여 산업 경쟁력 확보

초기 단계인 5G 융합 서비스 시장 중 패션 제조(봉제) 시장의 선제적 실증을 통해 신사업 모델 발굴 및 육성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지원기간 : 9개월 이내

 

정부출연금 : ‘1937.98억원 이내

- 연차별 총 정부출연금 중 60% 이상을 중소·중견기업에 배분

 

주관기관 : 산업체

- 수행기관 컨소시엄 내 5G 및 패션제조 관련 기업 참여 필요

 

연구유형

기초연구 ( ), 응용연구 ( ), 개발연구 ( O )

TRL

( 6 ) ~ ( 7 )

과제특징

경쟁형( ), 혁신도약형( ), 표준화연계( ), 기술료비징수( ), 공개SW( )

기술사업화 연계(O), 일자리 연계( ), SW자산뱅크등록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