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의 풍경

[스크랩] 봄의 전령사,600년된 매화가 피었어요-정당매

구봉88 2008. 3. 12. 17:13

                                 “ 춘설이 난분분亂紛紛하니 필똥 말똥 하여라”

                      평양기생이자 여류시인인 매화의 시 중 일부이다. 평양감사인 유춘색이라는 사람이 자기를 사랑하다 춘설이라는 기생을 가까이하자

                     이를 원망하여 지었다.


                                                                      ‘매화’ 

                    사군자의 하나로 예부터 사대부의 사랑을 독차지한 꽃이다. 그 꽃은 향기 그윽한 화차로, 그 열매는 몸을 보하는 매실로 소용되었다.

                    임금의 똥을 ‘매화’라 부르기도 하였으니 더럽다 하여도 최상의 의미로 통하였다고 볼 수 있다.

 

 

                 매화의 이름도 다양하다. 매의 옛 글자는 모자인데, 매실의 맛이 달고 시콤하여 그렇게 표기되었다. 그 이름도 학문에 빗대어 호문목好文木,

                냉철한 정신을 가졌다 하여 빙혼氷魂, 겨울 눈속에서 핀다하여 빙자옥골氷姿玉骨, 퇴계선생이 흰 매화의 고결함과 탈속의 경지를 일러 옥선玉仙

                이라 부르는 등 그 이름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매화하면 뭇사람들은 섬진강 다압마을을 얘기한다. 여행자도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아름다운 섬진강과 한적한 매화마을을 몹시 사랑하여

                 번질나게 찾았었다. 그러나 지방축제가 전국적으로 요란하게 앞다투어 벌어지고 한적한 매화밭이 난장판이 되어갈 무렵 미련없이 발길

                 돌려 버렸다. 그 후 찾은 곳이 이곳 정당매와 선암사의 백매와 홍매, 금둔산의 홍매를 즐겨찾곤 하였다. 매화나무가 무리지어 있지 않아서

                 화려함은 없지만 족히 수백 년은 된 나무의 연륜이 봄밤에 묻혀오는 은은한 그 향기는, 쉬이 사라지지 않는 바람의 흔적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매화로는 이곳 단속사지 정당매와 산청 남사의 분양재, 강릉 오죽헌의 율곡매, 선암사의 백매와 홍매 등이

수령 600여년을 자랑한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매화는 1276년에 심어 수령 730여년 된 나무로 호북성 무한에 있다.

 

 

                 정당매는 고려 말기 문신인 통정공 강회백이 소년시절 지리산 단속사에서 공부할 때에 심었다고 한다. 그 후 벼슬이 정당문학에 이르렀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여졌다. 그가 46세  되던 해에 자신이 직접 심은 정당매를 찾아와 읊은 시가 전해지고 있다.


                                                                단속사에서 손수 심은 매화를 보며


                                                         우연히 옛 고향을 다시 찾아 돌아오니

                                                         한 그루 매화 향기 사원에 가득하네

                                                         무심한 나무지만 옛 주인을 알아보고

                                                         은근히 나를 향해 눈 속에서 반기네.

                                                         계절이 바뀌어 겨울이 가니,

                                                         천심을 매화에게서 볼 수 있네.

                                                         다만 솥을 가지고 매화 열매 조리할 것인데,

                                                         부질없이 산 속을 향해 지었다 또 피네

 

 

               이 정당매는 통정공의 나이 열두살인 1372년에 심었다고 한다. 올해로 636년이 되었으나, 원래의 나무는 심은 지 100여 년 만에 죽어 다시

              10년생의 묘목을 심었다고 하니 수령 550여년으로 보면 되겠다. 탁영 김일손이 한때 실의에 빠져 지리산을 유람할 때 이곳 단속사에 들러

             정당매를 보았다고 한다. 김일손이 정당매를 보았을 때에는 썩은 등걸만 남아 있었다. 다행히도 그 옆에 어린 매화 두 줄기가 자라고

             있었다고 한다. 통정공의 손자인 강희맹이 아들 용휴를 시켜 심은 것이라고 한다.  이때가 강회백이 죽은 지 백여 년이 되던 때였다.

             1999년 한국매화연구원에서 가지의 한 부분을 잘라 접목에 성공하여 대를 이어갈 수 있도록 대비하였다.

 

 

 

 

                 정 당 매政堂梅  지리산 단속사지에 있으며, 고려 말기 문신인 강회백이 어린 시절에 심은 매화나무이다. 나무 옆에는 매화나무를

                                       잘 보전하기 위해 후손들이 정당매각과 비석을 세웠다.  

 

                매화에 대한 시로는 단연 임포林逋의 ‘산림소매山林小梅’가 아닐까 싶다. 북송의 시인으로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은거하면서 불구의 몸으로

                평생 홀아비로 살았다. 초당 주위에 수많은 매화나무를 심고 학을 기르며 살았다. 이러한 임포를 두고 사람들은

                 ‘매화 아내에 학 아들을 가졌다’고 하여 매처학자(梅妻鶴子)라 불렀다.


                                                              모든 꽃 떨어진 후 홀로 피어나서,

                                                              바람이 그치자 조그만 정원을 향하였네.

                                                              성긴 그림자는 옅고 얕은 물 위에 비끼고,

                                                              은은한 향기는 황혼녘에 짙어 오네.

                                                              흰 학은 앉으려다 먼저 바라보고,

                                                              고운 나비 알았다면 넋이 빠졌으리.

                                                              다행히 읊조리며 너와 함께 즐기니,

                                                              단판檀板없어도 술잔을 함께 하리라.

                                                                                                                      ------ 임포의 산림소매 山林小梅

 

 

               우리나라도 고려 말 성리학의 보급과 더불어 송대 매화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매화의 고결함과 그 한가로운 자태를 사랑하여 선비들은

               항시 책상머리에 꽃을 두고 완상하였다. 특히 이른 봄밤의 적막 속에 오시(저녁 7시) 이후 꽃망울이 터지고 향기가 멀리 퍼지니

               그 즐거움이야 무엇으로 표현하겠는가!


               목은 이색, 춘정 변계량, 매월당 김시습, 퇴계 이황 등은 매화를 늘 가까이에 두고 시를 지어 그 사랑을 표현하였다.

               절개와 지조의 상징이라고 간단히 치부해 버리기에는, 매화가 인간의 정신에 깊이 관여되어 왔다는 것을 이들의 행적만 봐도 알 수 있다.

 

 

               매화에 관한 일화와 전설은 많으나 퇴계선생의 매화사랑은 남달리 유별났다. 방 안에 분매盆梅(화분에 심은 매화)를 두고 매화와 더불어

               ‘매형 한 잔 , 나 한잔’ 하며 밤새 술을 마시며 시를 짓는가 하면, 매화 여덟 그루가 겨울 추위에 죽자 그 혼백을 위로하기도 하였다.

               한겨울에 뜰의 매화를 감상하고자 도자기를 데워 앉을 수 있는 의자를 고안하기도 하였다. 70세 되던 해에 이질로 병을 얻자 매화가 청정한

               기운을 잃을까 염려하여 방에 있던 매화를 옮기도록 하였다. 그 해 12월 병이 깊어지자 주위의 부축을 받아 자리에 좌정하였다.

               이윽고 방안에 있는 매화를 가리키며 마지막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

                                                                          

                                                                                    “ 매화에 물을 주라命淮盆梅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개인사정으로 그동안 블로그를 쉬었습니다. 격려해 주신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출처 : 김천령의 바람흔적
글쓴이 : 김천령 원글보기
메모 : 600년된 매화 움터지는 소리!!

'■ 자연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이만든 정원  (0) 2008.03.22
[스크랩] 해파리의 아름다운 세계  (0) 2008.03.13
고로쇠 의 비밀  (0) 2008.03.10
풍경1  (0) 2008.03.07
봄 의 노래  (0) 2008.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