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Academy

영문법 핵심요약

구봉88 2009. 4. 26. 19:01

영문법을 이해하자?

 

1. 대명사에 관련된 문제는 거의 대부분이 그 대명사가 선행사와 수나 인칭, 또는 성이 일치하는 지를 물어봅니다.

 

따라서 대명사가 나오면 항상 선행사를 확인해 보는 습관을 길러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독해를 할 때에도, 대명사를 그냥 해석하지 말고, 반드시 선행사를

대입해서, 구체적인 단어로 해석해야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종류의 대명사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아주 유용한 충고입니다.

 대명사를 많이 쓰면, 문장이 애매해 질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하면 대명사보다는 동의어를 활용해서 표현하는 것이

좋은 문장을 만드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2. 인칭 대명사의 주격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로 쓰일 때 사용하고, 목적격은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 또는 목적 보어로 활용될 때 사용합니다.

3. 재귀대명사는 강조 용법과 양보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강조 용법일 때는 주어나 목적어를 강조하기 때문에, 재귀대명사는 그

런 어구들 다음이나 문장 뒤에 오게 됩니다.

반면에 재귀대명사가 재귀 용법인 경우는 주로 목적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타동사나 전치사 다음에 나오게 되고요.

 

리고 강조 용법일 때 재귀대명사는 그 강조 받는 어구와,

그리고 재귀 용법일 때는 주어와 목적어인 재귀대명사는 반드시

수나 성이나 인칭 등이 일치해야만 합니다.

4. this는 가까이에 있는 대상을 받아주고, 이런 점에서 다음에 제시되는 문장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또 시점을 나타낼 때, this는 가까이 있는 시점, 즉 현재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that은 앞에 제시된 문장을 지칭하거나, 시점상 과거를 나타냅니다.

 

또 명사가 반복되면 인칭대명사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과거분사, 전치사, 또는 관계대명사와 같은 형용사 어구들의 수식을 받게 되면, 인칭 대명사가 아니라,

that이나 those라는 지시대명사를 써야 합니다.

5. no와 other는 다음에 명사가 와야 하지만, none과 others는 대명사이기 때문에 다음에 명사가 오지 않습니다.

 단 the other와 each other는 명사 없이 쓸 수 있습니다.

6. anybody, nothing, something 등은 원칙적으로 단수로 취급합니다.

그리고 every는 한정사로만 쓰이고, 단수의 의미이기 때문에

다음에는 항상 단수 명사와 단수 동사가 옵니다.

 

마찬가지로 each, either, neither도 단수의 개념이라는 점에서

every처럼 단수 명사, 단수 동사와 결합합니다.

 

하지만 every와 달리 이 어구들은 형용사와 대명사, 양쪽으로 모두 쓸 수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그리고 이 어구들이 대명사로 활용되면 다음에 전치사 of와 연결이 되는데, 그 뒤에 오는 명사는 의미상 항상 복수이지만, 동사는 단수형을 써야 합니다. 이에 비해 both는 "둘 다 모두"라는 뜻이기에 항상 복수 명사,

복수 동사와 결합합니다.

7. all, some, any, many, much, most, each, one, either, neither both와 같은 대명사 다음에 'of + 일반 명사'가 오는 경우,

이 명사는 언제나 한정된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이 명사에는 한정된 대상임을 표시하는 정관사, 소유형용사, 또는 지시형용사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8. it이 정관사와 비슷하게 동일한 대상을 대신해서 쓰이는 반면,

one은 부정관사와 유사하게 쓰이는 대명사입니다.

그래서 one은 셀 수 없는 명사 대신 쓸 수 없고,

또 소유격이나 기수사 다음에 곧장 쓸 수 없습니다.

9. another는 other에 부정관사가 결합한 형태로 "하나 더"라는

추가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리고 부정관사와 결합된 표현이라는 점에서 셀 수 없는 명사나

복수명사 대신에는 쓸 수 없습니다.

 

또 이미 한정사인 관사가 있기 때문에, 한정사인

소유 형용사 다음에도 쓰지 못합니다.

 

또 another는 자체의 의미상 기본적으로

대상이 셋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both, either, neither는 대상이 둘인 경우에만 씁니다.

10. 대명사와 형용사로 고루 쓰이는 most는 정관사와 결합하면, "가장 ~한 (것)"이라는 최상급의 의미로 해석하고, 정관사가 없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것, 사람들)"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영어 Ac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원에서 못배우는 길거리 생활영어  (0) 2009.10.02
영어일기 쓰기로 하는 영어공부법  (0) 2009.09.11
영어학습 성공기  (0) 2009.04.26
성인 영어 학습의 이해  (0) 2009.04.26
토익용 필수 500단어  (0) 2009.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