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생활문화

중국의 전통 결혼풍습

구봉88 2010. 4. 10. 11:48

중국의 전통 결혼 풍습

 

1.중국의 혼인의 단계

근래에는 변화도 있읍니다. 종족별로 일부 차이도 있지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국의 전통적인 혼인은 우리의 고대사회와 마찬가지로 완전히 부모의 의지에 따

라 결정되는 것이었다. 부모가 한번 결정한 혼사에 대해서는 당사자의 동의 여부에 관계 없이 성사되었으며, 부모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당사자의 사랑 여부에 관계없이 성혼될 수 없었다.

 

중국은 일찍이 서주(西周)시기에 혼인 절차에 대하여 엄격한 규정이 있었는데,

한대(漢代)에 이르러 "육예(六禮)"라는 완전한 절차가 형성되면서부터 그것은 수

천년간 중국 민족의 전통적인 혼인 풍속으로 자리잡아 왔다. "육예(六禮)"란 무엇

인가? 그것은 바로 남녀가 혼인 관계를 맺기 위한 여섯 단계의 절차이다.

 

   ①제1단계 : 납채(納采)

납(納)은 받아들이기를 희망하는 것이고 채(采)는 선택한다는 뜻이니 납채(納采)는 바로 구혼(求婚)이다. 이 예절은 남자집에서 중매쟁이에게 부탁하여 예물을 여자집으로 가져가서 구혼하는 것으로 만약 여자집에서 그의 예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거절한다는 의미이다.

 

   ② 제2단계 : 문명(問名)

납채(納采)가 통과된 이후에 남자집에서 초대장을 써서 중매쟁이에게 초대장과 예물을 여자집으로 보내면, 중매쟁이는 여자쪽의 성명과 출생 연월 시진(時辰)을 받아 돌아온다.

 

   ③ 제3단계 : 납길(納吉)

신부를 맞아들이는 것은 온 집안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남자집에서는 반드시 받아 온 여자쪽의 성명과 출생 연월 시진(時辰)을 가지고 자기집의 조상 위패 앞에서 점을 친다. 결과가 "길(吉)"이든 "불길(不吉)"이든 관계없이 예물과 함께 중매쟁이를 여자집으로 보내어 사실을 통보한다.

 

   ④ 제4단계 : 납징(納徵)

만약 점괘의 결과가 좋으면 남자집에서는 비교적 귀중한 예물을 준비하여 중매쟁이와 함께 여자집에 보내면 정식으로 정혼된 셈이다.

 

   ⑤ 제5단계 : 청기(請期)

혼인 관계가 결정된 이후에 남자집에서는 길일을 택하고 이 길일을 잘 적어 예물과 함께 중매인을 여자집으로 보낸다. 만약 여자집에서 남자집의 정한 날짜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날짜를 다시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청기(請期)"는 상대방의 결정을 구한다는 것으로 상의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⑥ 제6단계 : 친영(親迎)

결혼하는 날이 되면 신랑은 직접 중매쟁이와 함께 예물을 가지고 여자집으로 가야 한다. 먼저 신부의 부모를 만나 뵙고, 다시 신부집의 조상 사당을 배알하여 예물을 올린 후에 신부에게 수레에 타도록 권한다. 남자집에 도착하면 신랑은 먼저 문 밖에서 기다렸다가 신부에게 수레에서 내려서 집으로 들어가도록 권한다. 이때에 이르면 "육예(六禮)"가 모두 끝나게 되어 신부를 비로소 정식으로 집으로 맞아들이게 된다.

 

"육예(六禮)"의 모든 과정으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제일 마지막 "친영(親迎)" 때 외에는 남녀 당사자는 줄곧 서로 만나지 못하고, 본인은 근본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없고 완전히 부모에 의해서 결정되며, 중매쟁이의 왕래에 의해서 진행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혼인이 맺어지는 것을 "중매쟁이를 통한 정식 결혼(明媒正娶)"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고 남녀가 직접 만나서 자유롭게 연애하면 "풍기를 문란하게 하고" "법도에 어긋난 행위를 한" 것으로 인식되어 가정과 사회로부터 매우 큰 압력을 받거나 심지어 준엄한 처벌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봉건적이고 독단적인 혼인에서는 남녀 쌍방이 근본적으로 연애를 하지 못하고 오직 혼인하는 날이 되어야만 비로소 서로를 알게 된다. 따라서 여자는 시집가면 오직 운명에 순종하면서 남편에게 복종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을 중국에서는 "닭에게 시집가면 닭을 따라야 하고, 개에게 시집가면 개를 따라야 한다(嫁鷄隨鷄, 嫁狗隨狗)"라고 한다.

 

중국의 봉건사회에서 혼인은 부모의 독단에 의해 엄격하게 "육예(六禮)"에 따라

진행될 뿐만 아니라 신분 차별이 엄격하여 두 집안의 비슷한 환경을 강조한다.

 

다시 말하면, 지위가 높은 집안은 지위가 높은 집안을 찾아야 하고, 지위가 낮은 집안은 지위가 낮은 집안을 찾아야 하며, 부유한 집안은 부유한 집안을 찾아야 하고, 가난한 집안은 가난한 집안을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두 집안이 맞지 않아 어울리지 못한다. 이로 인하여 많은 청춘남녀들은 비록 진실하게 서로 사랑할지라도 가정환경의 차이로 가장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좋은 인연을 맺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인생의 비극을 낳게 되어 봉건 혼인제도의 희생양이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과거 불평등한 사회구조 속에서는 남녀간의 지위 역시 불평등하였고,

특히 여성의 지위가 매우 낮아 겁탈혼( 婚)·매매혼(賣買婚) 납첩(納妾) 강제결혼(逼婚) 등의 현상이 존재하였다.

 

권세와 지위가 있고 재산이 많은 남자는 마음대로 일반 여성을 차지할 수 있었으며, 여러 명의 아내를 둘 수 있어 첩이 많았다.

 

봉건 제왕은 더욱이 "3궁(三宮)" "6원(六院)" "72빈비(七十二嬪妃)"를 소유하였다.

그렇지만 여자는 어떠했는가? 자유롭게 남편을 선택할 권리도 없었고 재혼할 권리도 없었다. 일단 남편이 죽거나 남편에게 버림받으면 반드시 죽을 때까지 과부로 수절해야 하고 다른 사람에게 시집갈 수 없었다.

 

중국 봉건 혼인제도의 잔재는 근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로 인하여 근대 이래 중국의 혁명사상에서 혼인의 자유와 남녀평등을 제창하고 부모의 독단적인 혼인과 여성 박해를 반대하여 여성해방을 쟁취하는 것은 줄곧 혁명의 중요 내용이 되었던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1950년 4월 13일, 중국 정부는 혼인법을 공포하였는데, 제1조에서는 "부모의 독단적인 강요와 남존여비, 자녀의 이익을 경시하는 봉건주의 혼인제도를 폐지한다. 남녀 혼인의 자유, 일부일처, 남녀 권리 평등, 여성과 자녀의 합법적인 이익을 보호하는 신민주주의 혼인제도를 실행한다"라고 명확히 규정하였다.

 

현대중국의 혼인법은 중국에서 수천년간 지속되어 왔던 봉건 혼인 가정제도가

철저하게 폐지되고 새로운 형식의 혼인 가정이 법률의 보호하에서 수립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0년 9월, 중국은 1950년에 제정한 혼인법의 기초 위에서 다시 새로운 혼인법을 공포하여 원래의 규정을 더욱더 강조하고 아울러 적당한 수정과 보완을 가하여 결혼 연령을 남자 20세와 여자 18세에서 각각 남자 22세와 여자 20세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 현대 중국의 청춘남녀가 자기의 결혼 대상을 선택하는 기준은 어떠한가?

 

일반적으로 말해서, 감정상의 욕구 외에는 주로 외모 직업 학력 성격 수입 가정 등을 고려한다.

 

남자쪽에서 중시하는 것은 여자의 외모가 비교적 아름답거나 단정하고 마음씨가 부드럽고 자상해야 하며, 키는 자기보다 작아야 하고 나이는 자기보다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자쪽에서 중시하는 것은 남자의 직업이 좋고 키가 비교적 커야 하며, 학력이 비교적 높거나 어느 정도 있어야 하고 경제적 수입이 비교적 많아야 하며, 사상이 올바르고 신체가 건강하며 사업에 대한 성취감이 강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 중국은 연애의 자유와 혼인의 자주(自主)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청춘남녀들이 연애와 결혼 대상을 선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자신이 결정권을 가진다.

동시에 일반적으로 부모의 의견을 구하기도 하는데 가장이 동의하지 않아서 둘의 관계가 끝나버린 경우도 있다.

 

세계의 결혼 형식에는 주로 예의결혼, 종교결혼, 법률결혼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예의결혼은 고대 중국에서 실행한 것으로 절차가 복잡하다. 현대사회에서의 결혼 절차는 크게 간소해졌으며 관건은 법률 수속을 이행해야 하는 것이다. 즉 결혼한 남녀는 쌍방이 반드시 함께 그 지역의 관계 기관에 가서 결혼 등기를 해야 한다.

결혼증명서를 발급받은 후에는 바로 합법적인 부부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불법적이다.

 

결혼증명서를 발급받은 후에는 일반적으로 모두 결혼 의식를 거행해야 하는데,

형식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 결혼 축하연(喜宴)을 연다.

식당이나 집에 약간의 연회석을 마련하여 친척과 친구들을 초대하여 식사를 하며 축하주(喜酒)를 마신다.

연회석상에서 간단한 결혼 의식을 거행하는데, 신랑 신부는 손님들에게 축하주를 따르고 축하 담배(喜煙)의 불을 붙이며, 참석한 사람들은 모두 신랑 신부에게 술을 권하는 등 기쁨이 흘러넘치고 대단히 떠들썩하다.

 

연회의 절차와 규모는 통일된 규정이 없으나, 사회의 여론에 따르면, 절약과 간소화를 제창하고, 거창하게 차려서 지나치게 낭비하는 것을 반대한다. 연회를 차리는 기풍은 일반적으로 노동자 농민들 속에서 비교적 성행한다.

 

   둘째, 다과회(茶話會)를 연다.

결혼 때에 연회를 거행하지 않고 단지 친구와 직장 동료들을 한자리에 초대하여 사탕 과일 담배 등을 사서 간단한 혼례 의식을 거행한다. 그렇게 한 다음에 신랑 신부에게 연애 과정을 이야기하게 하거나 오락 발표를 시키는 등 모두 떠들썩하게 즐기며 축하를 보낸다. 이러한 형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하며 비용이 절약되어 일반적으로 기관 간부와 지식인들 속에서 비교적 유행한다.

 

   셋째, 합동결혼(集體婚禮).

기관이나 혹은 유관 대중단체에서 직접 나서서 주관하는데, 몇 쌍에서 몇 십 쌍에 이르는 신랑 신부가 동시에 결혼식을 올리며, 기념품을 주고 노래 춤 오락 등을 진행한다. 이러한 형식은 간단하고 비용이 절약되면서도 분위기가 장중하고 진지하지만 마련될 기회가 비교적 적다.

 

   넷째, 여행결혼.

즉 신혼부부가 결혼 휴가 기간을 이용하여 외지로 여행갔다가 돌아오면 바로 결혼한 셈이 된다.

여행 전에 간단한 혼례를 치르기도 하고, 때로는 혼례를 전혀 치르지 않기도 하는데, 여행에서 돌아온 후에는 친척 친구 이웃 직장 동료들에게 축하 사탕(喜糖)을 보내준다. 이것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시작된 결혼 방식의 일종으로 간편하며 신혼부부도 휴식과 오락을 즐길 수 있다.

 

2.중국인들의 결혼준비물 변천사

우리나라도 옛날에는 결혼 준비물이 간단했다. 장남일 경우 남자 집에서 사는 것은 당연하였고, 이에 맞는 결혼예물 또한 간단했었다.

중국도 이와 다름이 없다. 단지 다른 것은 우리나라보다 늦게 경제가 발전하여서 최근에서야 제대로 된 결혼식과 준비물을 갖추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결혼 시 준비물을 세 가지 중요한 물건이라 하여 삼대건(三大件)이라고 한다.

 

중국 사람들은 대부분을 남자가 결혼시 필요한 것을 준비한다. 여자는 그냥

남자의 예물만 준비하고 가면 된다. 지금은 서로가 상의해서 각자 돈을 모아서

준비를 하는 사람도 있으나 대부분은 남자가 준비를 한다. 시대별로 결혼 준비물을 보면....

 

50년대에는 결혼 시에 기본적으로 준비하는 물건이 없었다. 그냥 이불보따리 한 개와 간단한 술(酒)로서 회식을 하는 것으로 준비가 되었다.

 

60년대에는 대량 생산이 없었기에 목수가 직접 만든 커다란 침상, 커다란 옷장

(장롱), 의자 등의 목제품이 고작이었다.

 

그러다가 70년대에 와서는 개혁개방시기가 오게 되자 결혼 시에는 반드시 시계,

자전거, 재봉틀은 준비하여야 했다.

시계는 상해 제품(上海表), 재봉틀은 밀봉표(蜜蜂表)또는 비인표가 제일이었고

자전거는 비합(나르는 비둘기), 영구(永久)의 표가 이름 있는 제품이었다.

 

이유는 당시에는 시계를 차고 지금 몇 시 인지 자랑을 하였고, 재봉틀은 당시 유행하였던 식탁보를 만드는데 유용했고, 자전거는 자전거 종소리를 띵링링 거리며 달리는 것이 유행이었다. 가격은 이 세 가지는 하나당 100위안정도로 당시에는 굉장히 비쌌다.

 

80년대에는 동려군의 노래(중국 치고의 대중가수-우리나라의 당시 이미자씨 정도로 생각하면 됨) 가 거리에 울려 퍼질 때였는데 전자제품이 시작되는 해였다. 이때는 컬러TV, 냉장고, 세탁기가 필수품이었다. 80년대 초에는 흑백TV가 후반에 와서 컬러TV로 바뀌었다.

 

90년대에 와서는 중국이 한창 인생 중에서 피어나는 시절이라서 컬러 TV 、세탁기(洗衣机), 비디오가 필수품이었고 그밖에도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오토바이(摩托)、해신(海信)벽걸이 에어콘, 파이오니어 전축을 준비하였고 후반기에는 컴퓨터도 이때부터 준비물이 되기 시작했다.

 

2000년에 들어서서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가정소비 역시 기술적인 면이 늘어남에 따라 집(房子), 자동차, 돈(票子-지참금)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TV도 벽걸이 액정으로 바뀌고 집도 방 셋에 거실이 있는 40평은 있어야 한다. 주방에는 양문 냉장고가 있어야 하고 노트북도 있어야 한다.

최근의 행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나 봄직한 공개구혼, 초호화판 결혼식, 결혼 예물등 심심챦은 뉴슷거리들이 등장한다.

 

이렇게 변하는 가운데서도 가장 큰 변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남성의 가장 큰 매력이고 여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신랑감은 집이 있고, 차가 있어야 하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모두 사망한 남자가 최고의 순위를 차지한답니다.......

 

시부모가 귀찮은 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 같은 며느리들의 마음인가보다.^^

 

 

3.중국의 한족(漢族)과 만족(滿族)의 결혼 풍습차이

중국민족은 56개의 소수 민족과 대표적인 한족, 만족의 다수민족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각각의 민족에 따라 결혼 풍속도는 차이점도 있다.

 

  3-1.漢族의 혼인풍속

   1)성인식의 예

한족은 남자가 20세 여자가 15세가 되면 성인례를 행한다. 성인례란 성인이 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예로서 남자는 관례, 여자는 계례라고도 한다. 관례와 계례는 송대 까지 계속 이어 내려오다가 원대에 자취를 감추었으나 명대에 다시 회복되어 청나라 말기까지 계속 행해진다. 그러나 청말 서양 풍속이 몰려오면서 관례와 계례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옛날 미성년자들은 색깔이 있는 채의를 입었다. 성인례 후에야 이 채의를 벗어버리고 성인의 옷을 입혀 주고 冠(모자)을 씌워 준다. 또한 각각 다른 장소에서 입을 옷을 세벌을 입혀 주고 세 가지 모자를 씌워 주면서 연장자가 축사를 한다. 처음 채의를 벗기고 심의(성인들이 입는 옷)를 입혀 주고 모자를 씌워 주는 것을 시가라 하는데 이때 연장자는 지난날의 동심을 버리고 성인의 생각과 표준에 따라 생각하라고 격려한다. 연장자는 재가때 당사자에게 몸가짐을 단정하게 하고 위의를 갖추라고 말하고 삼가 때 건강하게 장수하라고 한다. 성인 의식이 끝나면 연장자는 그에게 자를 지어 준다.

 

   2) 혼례의 유래

결혼식을 혼례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계집녀 변이 없는 저물 혼자를 썼다. 그것은 아내를 황혼에 맞이했기 때문이다. 민속학적으로 인류 원초의 혼인 방식은 약탈혼이어서 신랑이 친구들을 데리고 신부 감을 빼앗아 왔다. 황혼때 땅거미가 깃들면 신부 감을 뺐기에 가장 적절한 시간이었으므로 저녁 昏자를 쓰다가 후에 계집 女변을 가하여 오늘날과 같이 혼인할 婚자를 쓰게 되었다.

 

   3) 사주 교환

남자 집과 여자 집에서 혼인 당사자의 성명과 생년월일시를 붉은 종이에 적어 중매인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준다. 이 사주를 적은 붉은 종이를 조상 위패 앞에 올려놓아 둔다. 만약 3일 내에 집안에 별고가 없으면 조상이 그들의 약혼을 묵인한 것으로 인정한다. 남자 집에서는 다시 두 사람의 사주를 가지고 궁합을 본다. 조상을 통하는 것은 혼인 대사를 가장이나 혹은 당사자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점쟁이까지 궁합을 보는 것은 더욱 신중하게 함으로써 혼인의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구실을 한다.

  

   4) 영친

예컨대 중국 흑룡강성, 길림성, 요녕성 지방에서 유행되는 한족 혼인 풍속을 말한다.

이 지방에서는 신랑이 친구들과 같이 직접 여자 집에 가서 신부를 맞아 온다. 신부를 맞아 오는 의식을 영친이라고 하는데 점쟁이를 찾아 길일을 택한 후에야 진행된다. 결혼 날짜는 남자 측에서 정하고 여자 측의 동의를 얻은 후 정식으로 정해진다.

신랑은 어깨에 붉은 띠를 두르고 모자에 꽃을 꽂고 말을 타거나 가마에 앉아서 여자 집으로가 신부를 맞아 온다. 남자 집이 여자 집에서 10여 里 혹은 30∼40里 이상 떨어져 있으며 신랑은 전날에 신부집에서 자고, 이튿날 아침에 신부를 데려간다. 거리가 가까우면 전날에 말을 타거나 가마에 앉아서 거리를 한 바퀴 도는데 이것을 양교라고 한다.

 

이튿날 아침에 여자 집에 가서 신부를 맞아온다. 만약 돌아오는 도중에 다른 신혼 대오를 만나면 신랑은 반드시 가마에서 내려 선물을 교환한 후 다시 길에 오른다.

우물, 무덤, 사창가를 만나면 붉은 담요로 시선을 가린 채 간다. 신랑은 말을 타고 가면 8사람이 말을 타고 앞장서서 길을 안내하고, 가마에 앉아 가면 신랑이 앉은 검은 가마가 앞에 서고 신부를 맞이할 꽃가마가 뒤를 따르는데 가마 안에 "어린애"가 앉고 신부를 영접하는 아주머니가 마차에 앉아서 간다.

신부집에 도착하면 그 "어린애"에게 돈을 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마에서 내리지 않는다.

 

신부의 집에서는 사위를 방안으로 안내하고 사위와 상객에게 상을 올린다. 그 상에는 네 접시의 떡과 네 접시의 과일 그리고 술과 안주, 젓가락이 놓인다.

식사도중 상객은 다른 사람이 보지 않게 젓가락 두모를 훔쳐 품속에 감추었다가 집에 돌아와 신방에 놓는다. 젓가락은 중국말로 쾌자(콰이즈)로서 그 음은 빠를 쾌(快)와 마찬가지로 빨리 아들을 낳으라는 뜻이다.

 

신부가 가마에 앉기 전에 개검식(開瞼式)을 거행한다. 다시 말하여 얼굴과 이마의 솜털을 뽑아주는 의식이다. 개검식이 끝나면 머리를 얹고 비녀를 꽂아준 후 푸른 바지에 붉은 웃을 받쳐 입힌다. 그리고 액막이를 한다는 뜻으로 품속에 구리 거울을 품어준다. 다음에 수줍어하는 얼굴을 가린다는 뜻으로 머리에 붉은 수건을 덮어준다.

 

이런 모든 준비가 끝나면 신부가 담요 위에 앉고, 친정오빠가 가마 위에 올려 놓는다. 이것을 포교(抱轎)라고 한다.

 

돌아올 때 꽃가마가 앞에 서고 신랑이 앉은 검은 가마가 뒤에 선다. 꽃가마가 신랑집에 이르면 남자 측은 일부러 대문을 늦게 연다. 그러면 결혼 후 신부의 마음이 온화해 진다고 한다.

신부가 집을 떠날 때 어머니가 동전 한 사발을 침대위에 뿌려놓고 딸더러 줍게 한다. 이것을 민간 풍속에서 "복을 줍는 것"이라고 한다. 딸이 많이 집으면 시집에 마음이 쏠려 복을 시집으로 가져간다고 하고 적게 집으면 본가에 마음이 쏠려 복을 본가에 두고 간다고 한다.

 

   5) 꽃가마를 진행을 막는다.

꽃가마를 막아서는 것은 하남성(河南省-허난셩) 단성 일대의 한족들 가운데서 유행되는 독특한 혼인 풍습이다. 잔치 손님들이 꽃가마를 막아서는 것은

 

첫째로, 신부의 예쁜 모습을 보려는데 있다.

둘째로 교군꾼들의 快板-두개의 竹板으로 박자를 치며 노래하는 중국 예능의 한 가지-을 들으려는데 있다.

 

 잔치 날 남자 집에서 가져온 꽃가마에 신부가 화장하고 오르면 가마를 큰길가에 내다놓고 문을 열어 사람들이 구경하게 한다. 이때 교군꾼들은 快板으로 "꽃가마 찬송가"를 멋들어지게 부른다. 노래가 끝나면 교군꾼들은 가마를 메고 서서히 길에 오른다. 그러면 구경꾼들은 가마가 가지 못하게 길가에 장애물을 설치한다. 교군꾼들은 잔치손님이 설치한 장애물을 보고 즉흥 가사를 읊으며 길을 비켜 달라고 快板조로 노래 부른다.

 

 

  3-2.만족(滿族)의 혼인

 

    1)고대 만족의 혼인 풍속

'팔기인'이라고도 하는 만족의 고대 혼인 풍속은 특이하다.

〈진서·열전67(晉書 列傳六十七)〉에는 "숙신씨(肅愼氏- 여진, 말갈의 전신)는 혼인 때 총각이 처녀의 머리에 깃털을 꽂아주며…… 결혼한 후에는 부인은 정조를 지키나 처녀는 방탕하였으며……"라고 하였다.

 

〈위서·열전 88(魏書·列傳八十八)〉에는 "첫날 저녁에 남자가 여자 집에 가서 여자의 젖을 만지면 부부가 된다."고 하였다.

 

남자가 여자의 머리에 깃털을 꽂는 법, 여자의 젖을 만지는 방법은 예스러우면서도 아주 특이한 풍속이다. '부인은 정조를 지키고 처녀는 방탕하였다.'는 말에서 우리는 그 시절에 젊은 사람들이 연애를 자유롭게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금사·본기(金史·本記)〉에 "세종때 발해 사람들은 여자를 도둑질하는 것을 금지하며 만약 도둑질하는 자가 있으면 간음으로 취급한다." 여기서 '여자를 도둑질한다.'는 말은 약탈혼을 가르킨다. 〈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會編)〉에는 처녀, 총각들이 시집갈 연령이 되면 사랑노래를 불러 서로의 사랑을 속삭이었다고 한다.

 

2. 현대인의 혼인 풍속

고대 뿐만 아니라 현대에도 만족의 혼인 풍속은 민족적 특징을 띄고 있다. 옛날부터 만족은 한족과 결혼하지 않았고 성씨가 같아도 결혼 할 수 없었으며 젊은 남녀들 간에 연애의 자유가 없었으며 혼인도 부모의 의사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2-1) 약혼식

우선 쌍방의 부모가 중매인을 통하여 상대방을 이해한 후, 먼저 총각이 처녀 집에 가서 선을 보이고 처녀와 대면한다. 서로 뜻이 맞으면 정식으로 약혼한다. 약혼식 때 총각은 여자 집에 돼지 한 마리 술 한말뿐 아니라 처녀가 사시사철 입을 옷가지와 장신구를 가져간다.

  

    2-2) 택일과 결혼 준비

중매인의 주선에 의하여 양가에서는 결혼 날짜를 정하고 예식을 거행할 때 남자 집에서는 또 담배, 술, 사탕, 차 등 네 가지 예물을 가져간다. 예식이 끝나면 결혼 준비를 한다. 꽃가마는 말이 끌기 때문에 꽃가마를 수레에 올려놓고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어 맨다. 가마는 붉은 비단으로 장식한다. 신부를 데리러 갈 어린애와 할머니는 8∼9세 되는 남아와 남편이 살아있고, 아들 딸이 많은 사람으로 결정한다.

 

    2-3)친영(親迎)

모든 준비가 다 끝나면 친영 행렬은 결혼 전날에 떠난다. 親迎행렬 앞에는 깃발 든 가람, 징을 치는 사람 등(燈)을 든 사람 吹樂과 鼓手등이 서고 그 뒤에 12쌍의 말이 따른다. 젊은 영준한 신랑 들러리가 말을 타고 그 뒤에는 신랑이 따른다. 그리고 신부의 가마에 따르는데 거기에는 신부를 데려올 할머니가 앉는다.

 

친영 행렬은 도중에 친척과 친구들의 집에 들린다. 거기서 여러 가지 물품들을 받고 처가로 간다. 신랑은 처가에 도착하면 곧바로 말 등에서 내리지 않는다.

처남이 신랑의 말고삐를 끌고 장인 앞으로 가면 장인은 신랑에게 돈을 준다.

돈 액수는 형편에 따라 다르다. 어떤 장인은 신랑에게 금가락지를 끼워주기도 한다. 이 절차가 끝나면 신부집에 갖다 놓는다. 그러면 신랑이 걸상에 딛고 말 등에서 내린다.

 

처가 집에서는 손님들을 성대한 연회장으로 초대하며 신랑을 안방으로 안내한다.

신랑은 신부를 대면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이날 밤중에야 신부가 가마에 오른다.

가마를 탈 때 오빠나 삼촌이 안아 올린다. 신부가 가마에 오르면 수레가 떠난다.

친영 행렬은 대체로 오전에 신랑집에 도착한다. 만약 신랑집이 멀면 우선 신랑이 사는 마을의 친척집에 신부를 데려다 두었다가 결혼 당일 데려온다.

 

 

4.기타 소수 민족의 혼인풍속

      4-1.중국 남방 지역의 까오산족

일부 다처제로 한 명의 추장이 30여명의 부인을 데리고 산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수 민족은 일부 일처제의 결혼 풍속을 유지하고 있다. 결혼은 당사자의 의사보다 대개 양측 부모 의사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결혼 적령기의 아들을 두고 있는 부모는 중매쟁이를 통해 며느리 감을 물색하는데, 여자 측 부모와 우선 교섭을 가지고 나서 중매인과 합의가 이뤄진 후, 양측이 결혼 승낙을 하는 방법이 대부분이 선호하는 결혼 방법이다.

배우자 선택 기준은 주로 생활 정도와 신분 관계 등이 우선 고려된다. 예나 지금이나 생활 정도가 낮은 가난한 집안과 부자 집안과의 혼사는 거의 드물다.

 

     4-2.특히 티벳족의 경우

전통적으로 지켜져 내려오는 신부 내혼제를 내세워 귀족 출신은 지금도 평민과의 혼사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환경과 신분이 다른 집안과의 혼사뿐만 아니라 피부색이 다른 민족과의 결혼도 금기시 되어 있으며, 만약 이를 어겨서 당사자간의 연애 결혼으로 혼인된 사실이 알려지면 동네 사람들이 일방적으로 처치해 버리는 관습이 아직도 남아 있다.

 

    4-3.서남 지역의 칭뽀족

신분 내혼제를 고집하고 있어 관리는 관리 집안끼리, 상인은 상인끼리, 농민은 농민 자녀끼리 혼사를 하고 있다. 만약 농민의 아들이 관리의 딸을 아내로 맞아들이고 싶으면 딸을가진 부모가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받아들여야 결혼을 할 수 있다.

 

    4-4.같은 서남 지역에 사는 라족은

마을 어귀의 한적한 곳에 '팡쑤'란 원두막 같은 방갈로를 여러 개 설치하여 결혼 적령기에 이른 아가씨들을 그곳에서 살도록 하고 있다. 혼기에 있는 총각들은 자기가 점찍어 둔 아가씨가 어느 팡쑤에 있는지 찾아가 팡쑤 문 앞에서 전통적인 긴 코피리(피리를 콧구멍에 대고 분다)를 불고 난 뒤 바로 노래를 부르면서 구애를 한다. 팡쑤 속의 아가씨가 피리와 노랫소리를 듣고 마음에 들면 팡쑤의 문을 열어 주고 결혼을 약속하게 된다.

 

    4-5.역시 같은 서남 지역에 거주하는 지노족, 푸랑족, 창뽀족, 수이족

미혼 남녀가 자연스럽게 구혼할 수 있도록 마을에 별도의 장소를 마련하는데, 여기서 임신이 되면 사위 될 사람과 함께 여자 측 부모에게 찾아가 두 손을 머리에 얹고 꿇어앉아 인사만 하면 혼인이 끝난다.

 

    4-6.광동성 북부 지역에 사는 야오족

'방녀출란'이란 풍습을 지니고 있다. 이는 매년 음력 대보름날부터 3일 동안 미혼 남녀들이 함께 모여 즐기는 축제일로서 서로 마음에 드는 사람과 짝을 지어 산기슭이나 논밭의 언덕 밑에서 노래를 부른 뒤 사랑을 나누는 풍습이다. 대부분 짝짓기 축제일인 '방녀출란'때에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4-7.미아오족 등 일부 소수 민족은

'혼세 교차제(婚歲 交差制)'(겹사돈 맺기)를 전통적으로 지키고 있다. 즉, 아버지 자매(고모)측의 처녀를 어머니 형제(이모) 측의 총각과 결혼을 시키는 풍습이다. 총각측에서 친척을 통해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다고 하면 딸을 가진 친척은 절대 다른 곳에 시집 보낼 수가 없다.

만약 어머니 형제 중에서 마땅한 총각이 없을 경우에는 다른 집안과 혼사가 가능

하다.

 

    4-8.이와는 반대로 뚱족이나 칭뽀족은

인척간의 혼인을 절대 금지하고 있다. 이들 민족은 어머니 형제나 아버지 형제를 같은 씨족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혼인을 절대 못하도록 하고 있다.

 

    4-9.중국 대륙 서남 지역의 러빠족은

혼세 교차제(婚歲 交差制-겹사돈 맺기)의 혼인을 유달리 장려하고 있는 민족이다. 이 민족은 인척간의 통혼이야말로 '금화하고도 바꿀 수 없는 혼인'이라고 여기고 있다. 가령 남편이 사망하면 그 부인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한다. 반대로 부인이 먼저 사망하면 남편은 결혼하지 않은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도록 되어 있다.

 

    4-10.이와 비슷한 풍습을 가진 민족이 서북 지역의 하사크족과 원크족

이들 근친 결혼을 '차윤팡'이라 부르고 법으로 "남편이 먼저 사망했을 경우 죽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하며, 그 권리와 의무를 지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부분 친인철 끼리만 결혼해야 되므로 이들이 집단으로 살고 있는 곳을 가보면 모두가 가까운 친척들이다.

대륙의 청해성 몽골족. 하사크족 거주 지역에 들렸더니 70여 가구 전부가 가까운 친척들이었다. 어느 한 집은 친사촌과 결혼하여 두 딸과 아들 하나를 두었는데 위의 두 딸중 하나는 이모네 집으로 또 하나는 고모네 집으로 시집을 보냈고, 아들은 삼촌 집 막내딸과 결혼하기로 결정되었다고 설명하였다.

 

    4-11.두룽족의 경우는

부인과 사별했을 경우 부인의 자매와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나이가 어리면 적령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때 남자는 미리 칼, 삼베, 소, 돼지 등을 사전에 혼약의 표시로 여자의 집에 갖다 주어야 한다.

 

    4-12.이마오족과 위구르족

부인이 사망하면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는 오랜 풍습이 있다.

티벳족 가운데 청해성에 거주하는 황남 티벳족 자치 지구에서는 '형제 일처혼'이란 세계에서 기이한 풍습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이것은 옛날부터 장원가(莊園家)에서 해온 결혼 풍습으로, 즉 장남이 결혼하면 그 집 형제 모두가 동시에 결혼하는 것이며, 한 명의 여자를 공동의 아내로 공유하는 풍습이다.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연장자인 맏형만이 아버지가 되며, 동생들은 전부

'리로이'로만 부르게 하고 있다.

 

    4-13.운남성의 리장 유역에 살고 있는 나씨족

'아주혼(阿州婚)'이란 결혼 풍속을 갖고 있다. 이 풍속은 남자가 밤에 처갓집에 가서 노동에 종사하는 생활 풍속이다. 그래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이 끝난 뒤인 밤 시간 이외에는 처갓집에 함부로 찾아갈 수 없다.

 

    4-14.운남성 린창지역 와족자치지역인 푸롱, 쓰마오지구의 와족과 라후족

모계 가족제를 유지하고 있다. 모든 재산은 여자에게만 상속되며, 결혼한 남자는

자기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 등을 모두 처가에 두고 살아야 하는 풍속이다.

만약 이혼을 하게 되면 남자는 자신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만 가지고 나가야 하며, 자녀들이 있을 경우, 모두 여자 측에서 맡도록 되어 있다. 아이들의 성은 어머니의 성을 따른다.

 

    4-15.대륙의 남방 지역에 사는 뚱족, 푸이족, 야오족, 칭뽀족

다소 차이는 있지만, 결혼후 여자는 아이가 둘이 될 때까지 시댁에 가지 않고 친정에서 생활한다, 이 가운데 뚱족은 제삿날에만 자기 아내를 잠시 시댁에 데리고 올 뿐 대부분 처갓집에서 생활한다--데릴사위

   

    4-16.푸이족

결혼 당일 신부가 신랑집에 가서 인사만 하고 돌아온 후 계속 친정에서만 생활한다. 또 신랑집에 특별한 일이 생겨 들리게 되어도 절대 같은 방을 쓰지 않는다.

 

미아오족, 칭뽀족, 나씨족 거주 지역에는 '약탈혼'이란 것이 아직 남아 있다. 중국의 옛 기록을 보면 1,000여년 전 "북방의 말갈족은 신부 감을 약탈하는 혼인 풍습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바로 이러한 약탈혼 풍습이 남방지역 민족에게도 남아 있다.

남녀가 서로 좋아하면 부모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남자 친구들과 함께 처녀가 있는 집에 몰래 가서 여자를 납치해 와 결혼해 사는 풍습이다.

 

딸을 가진 부모는 자기의 딸이 납치된 것을 알고 신랑감으로서 마음에 들면 중개인을 통해 결혼 승낙을 뜻하는 오색 끈을 보내는데, 이때 사위가 될 남자는 여자집 부모에게 술 두잔을 따라 들이면 된다.

 

만약 부모가 결혼을 동의할 수 없으면 창을 들고 끝까지 추적하고, 그래도 딸을 찾을 수 없으면 중간에 사람을 넣어 담판을 한다. 남자 측에서 적극적인 구혼 요청을 하면 대게 원만하게 타결된다.

그러나 도저히 타협이 불가능하게 되면 남자 측에 처녀를 돌려보내고 돼지 두 마리를 잡아 받치고 용서를 빌면 된다.

 

     4-17.중국 대륙 서남 지역에 거주하는 두룽족

신부를 맞아들이는 것을 '푸마'라고 부르는데, 이 말은 여자를 사 온다는 의미이다. 여자의 값은 솥, 냄비 1개, 화로 1개, 돼지 2마리나 소 1마리 값으로 환산하여 여자 측 부모에게 주면 된다. 그러나 린창 지역의 누족, 이족, 수이족, 와족은 여자의 값을 신체 조건과 용모에 따라 차등을 둔다.

 

이들 민족이 말하는 가장 아름다운 신체 조건이 좋은 여자는,

손과 발이 커야 하고, 발목이 가늘며, 엉덩이가 큰 여자이다. 이유는 손발이 큰 여자는 일을 잘하고, 발목이 가는 여자는 성에 비교적 약하며, 엉덩이가 크며 아이를 잘 낳기 때문이라고 이 곳의 안내자는 설명한다.

 

남자는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진 여자에게 소 10마리의 값으로 환산해 돈을 주든지, 아니면 암소 9마리에 황소 1마리를 여자 측 부모에게 받쳐야 한다.

   

    4-18.티벳 자치구의 와족

남자는 소만 있으면 여자를 얼마든지 살수가 있다. 이들은 자기 집에 소가 몇 마리 있는지를 자랑하는데 소가 세 마리 이상 되면 아주 잘 사는 부잣집에 속한다.

중국 대다수 소수 민족은 부모의 뜻에 따라 혼인을 결정하지만, 상당수의 소수 민족은 지금도 고가 품의 예물을 제공하고 결혼을 한다. 특히 1978년부터 개혁과 개방화 바람이 이 지역에서도 거세게 불어 문명의 四神器 가운데 어느것 하나만 있어도 쉽게 장가를 갈 수 있다.

 

어떤 누족의 젊은 청년은 광쩌우 개발 특구에서 6개월 동안 노동하여 번 돈으로 선풍기, 흑백TV, '영웅'마크의 세탁기를 들고 와 3명의 부인과 살고 있다고 한다.

개방화 이후 이들 지역의 젊은이들은 본인의 희망대로 혼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모와 자식간에 많은 갈등을 겪고 있다고 한다.

 

소 한 마리도 갖지 못한 가난한 젊은이들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장가도 못 가고 평생 홀아비로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 민족은 목매어 죽은 곳에 허수아비처럼 만든 큰 인형을 1년동안 달아 두는데, 이 지역을 여행하다 보면 곳곳에 허수아비 인형이 매달려 있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젊은이들의 상당수가 결혼이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자살을 선택한다고 한다.

 

    4-19.나씨족은

부모가 결혼을 반대하면 비밀리에 도망을 가거나 최후의 수단으로 아이를 낳아 돌아오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4-20.중국의 소수 민족 가운데 위구르족의 지도층에 있는 사람은

대부분 여러 명의 첩을 두고 있다. 본처가 보아 첩 가운데 거슬리는 사람이 있을 경우, 3번 연속으로 "타라크'라고 큰 소리로 말하면 첩은 짐을 싸서 집을 떠나야 하는데, 이런 고유의 풍습이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고 이듬해 새로운 혼인 법이 제정되어 "결혼은 본인의 의사를 존중하여 자주적으로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자손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그들 고유의 오랜 관습은 깨지지 않고 오히려 유지되어 내려오고 있다.

 

그 이후 운남성의 다이족은 1978년 개방화 이후부터 결혼 의식이 약간 바뀌었다.

결혼식은 신부집에서 하는데, 신랑 신부는 흰 면사포로 팔을 연결시키는 것을 수수한 마음이 하나로 합친다는 뜻으로 개량된 새로운 결혼의 일종이다.

 

이들 민족은 결혼 후 남자는 대게 3년 동안 처가에서 살다가 자기 집으로 데려갈 수 있으나 처갓집에 남자가 없다든가 노동력이 부족하면 계속 처가살이를 해야 한다.

처가살이에서 벗어나려면 사내아이를 여러 명 낳아 그 중에서 하나를 처갓집에 주고 가는데, 이 사내아이가 물동이를 들 수 있는 나이가 되어야 완전히 자기 마음대로 독립해서 살 수 있다.

 

중국이 개방화되면서 이상하게도 민족주의 바람이 불어 그들 고유의 언어와 풍습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곳곳의 소수 민족 사회에 팽배해 정부에서 한족 부부는 한 자녀, 소수 민족은 두 자녀를 갖도록 강력하게 권장하고 있지만 대부분 한 집에 6∼7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다.

 

옛날보다는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하지만 소수 민족 대부분이 지식수준이 낮고, 또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그들의 옛 풍습을 지키려고 하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참고자료출처: 중국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