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인 경영

니트의류산업 경쟁력조사

구봉88 2014. 4. 19. 00:57

무역구제 종합 DB > 산업경쟁력조사보고서 > 니트의류산업 경쟁력조사 The Competiton Analysis & Leading Strategy in Knitted Apparel Industry 2005
목 차
1. 조사연구의배경
2. 조사연구의 범위
3. 조사연구의 방법
3.1. 조사연구방법의 체계
3.2. 조사연구의 실사방법
3.3. 조사연구기관 운영체계
1. 니트의류제품의 개요
1.1. 니트의 개념
1.2. 니트의 역사
1.3. 니트의 디자인 변화
2. 니트의류산업의 특성
2.1. 니트의류산업의 특성
2.2. 니트의류산업의 분류
2.3. 니트산업계의정보활용 및 기획방법
3. 니트의류제품의 신기술 동향
3.1. 니트 원료및 제조기술의 발전
3.2.니트 원사의 신기술 동향 : 이태리 니트제품 박람회(Fitti Filatti)
■ Design Studio' Design Proposal
3.3.니트제품의 신기술 동향: 독일 스포츠의류 및 용품 박람회(ISPO)
■ 세계 최대의 스포츠 의류제품 및 용품 전시회
3.4.니트제품의 디자인트렌드 동향 프랑스 : 파리의 스트리트 패션
1. 국내 니트의류산업현황
1.1. 국민경제상의 위상
1.2. 업체현황
1.3. 시설현황
1.4. 원료사 소비현황
1.5. 고용현황
2.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수급동향
2.1. 생산동향
2.2. 수출동향
2.3. 수입동향
2.4. 소비동향
2.5. 수급동향에 대한 전망
3.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기업경영현황
3.1.전반적인 경영현황
3.2. 니트의류기업의 생산운용형태
3.3. 미래생산운용계획
3.4. 자금운용현황
4. 니트산업의 경로구성원간의 업무네트워크 수준
1.세계 니트의류산업의 동향
1.1. 섬유무역환경의 변화
1.2. 니트산업의 수급동향
2.1. 유럽지역
2.2. 아시아지역
2.3. 미주지역
3. 주요국의 니트의류산업 동향
3.1. 중국
3.3. 이태리
무봉제 니트생산기업 Stilnovo
세계 최대의 니트유통점을 보유한 Benetton Group
세계 최고급 캐시미어 니트의류제품 「Malo」
3.4. 일본
3.5. 미국
1. 산업경쟁력
1.1. 산업경쟁력 분석
1.2. 생산관리수준 분석
2. 원가경쟁력
3. 기술경쟁력
4. 제품경쟁력
4.1. 제품수준 분석
4.2. 소비자가격 분석
1. 무역구제제도의 개요
1.1. 무역거래상의 산업피해 요인
2. 니트의류산업의 무역구제조치 발동 사례
2.1. 세이프가드
2.2. 반덤핑
3.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에 의한 산업피해실태 분석
1. SWOT 분석
2. 사업혁신과제 및 목표
3. 단기적 전략 수입증가 억제 정책차원에서 무역구제제도 : 적용
4. 중장기적 전략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 전략
각 주
< 부 록 >
부록 1. 설문조사양식
부록 2. 니트산업 지원정책 편람
1. 자금지원
1.1 중소기업 구조개선 자금
1.2. 중소․벤처창업자금
1.3.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개선자금
1.4. 중소기업 기술개발 및 특허기술 사업화자금
중소기업 1.5. 수출금융 지원 자금
1.6. 중소기업 협동화자금
1.7.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
각 지방중소기업청 신․기보 (신용보증기금 ․ 기술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2. 인력지원
2.1. 외국인산업연수제도 운영
2.2. 해외고급기술인력도입지원사업
2.3.대학생 중소기업 현장체험활동(중활)사업
2.4. 중소기업 청년채용패키지 사업
2.5. 부품·소재 종합기술지원사업(인력, 장비)
2.6. 중소기업의 인력활용 지원금 제도
3. 인프라 지원
3.1. 중소기업 공정혁신사업
3.2. 중소기업 생산현장 직무기피요인 해소사업
3.3. 중소기업 관계자 연수지원사업
3.4. 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위한 중소기업 우대지원
3.5.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국민주택 우선공급
3.6. 산재예방시설 보조금 지원 (CLEAN 사업)
3.7. 노사협력을위한 보조금 지원
3.8. 구조조정에 따른 장려금 등 보조금 지원
3.9. 기업성장지원단 운영
4. 기술지원
4.1.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육성사업
4.2. 신기술아이디어 사업화 타당성 평가사업
4.3.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4.4. 기업협동형 전략기술개발사업
4.5. 중소기업 이전기술개발사업
4.6.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
4.7.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4.8. 개발 및 특허기술 사업화 지원
4.9.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 사업
4.10. 산업현장 애로기술지도
4.11. 시험연구장비 이용개방
5. 정보화지원
5.1. 중소기업 정보화 구축사업
5.2. 중소기업 정보화 혁신 종합컨설팅 지원사업
5.3. 중소기업 정보화교육사업
6. 판로지원
6.1.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제도
6.2. 신기술개발제품 등에 대한 우선구매제도
6.3. 중소기업제품 홍보지원사업 안내
6.4. 중소기업 공동상표 세계화지원
6.5. 중소기업 전문전시회 육성·지원 사업
6.6.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사업
6.7. 중소기업 수출대행 지원
6.8. 해외시장개척요원 양성사업
6.9. 중소기업 무역촉진단 파견사업
6.10. 해외유통 및 조달시장 진출지원
부록 3. 기술지원 및 인력양성 기관
1. 기술지원센터
1.1. 의류․스웨터 기술지원센터
□ 개요 및 역할
동 센터는 관련 최신기술 개발에서부터 시제품 제작, 품질관리, 생산기획 지원, 정보제공, 현 장 애로기술 상담․자문, 기술인력 양성에 이르기까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체계를 구축하 고 봉제의류 및 스웨터제품 고급화를 통한 수도권 의류․패션산업의 세계화 추진하고 있다. 본문_제목[□ 주요 사업
1.2. 한국니트산업연구원
1.3.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의 니트시제품센터
□ 개요 및 역할
□ 주요 지원사업
2. 인력양성지원
2.1. 한양여자대학교 니트패션디자인과
□ 개 요
교육목표
특성화방향
운영방안
2.2. 섬유패션기능대학 니트디자인과
□ 개 요
교육목표
□ 교과내용
▷ 전공이론필수
2.3. 호남대학교의 니트디자인
□ 교과 내용
2.4. 한남직업전문학교
2.5. 의류․스웨터기술지원센터 교육사업
□ 개 요
3.니트산업관련 기관 및 협회
3.1. 대한니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
□ 개 요
□ 연락처
3.2. 서울경인스웨터공업협동조합
부록 4.우리나라의 무역구제제 도
1. 무역구제제도 개요
1.1. 개 념
1.2. 종 류
2. 무역구제제도 유형별 세부내용
2.1. 반덤핑관세제도(Anti-Dumping Duty System, AD)
가. 개요
나. 조사신청
□ 조사신청
다. 조사절차
□ ․ 예비조사판정 및 잠정조치 ( 무역위원회)
□ 본조사 및 최종판정(무역위원회)
라 조사시 검토사항
□ 덤핑수입사실
□ 동종물품을 생산하는 국내산업의 실질적 피해 유무
ㅇ 국내산업의 실질적인피해
ㅇ 국내산업의 실질적인 피해 우려
ㅇ 국내산업 확립의 실질적 지연
□ 덤핑수입과 실질적 피해 등과의 인과관계
ㅇ 덤핑수입과 국내산업피해와의 인과관계 분석은 일반적으로 조사대상기간 동안의 자 료를 연도별 또는 분기별로 추세분석(trend analysis)하는 방법을 이용
ㅇ 인과관계분석 지표
마 반덤핑관세 및 가격약속의 . 재심사
□ 재심사요청 요건
□ 재심사요청 기한
□ 재심사 절차
□ 일반원칙
2.2. 상계관세제도(Countervailing Duty System, CVD)
가. 개요
ㅇ 조사신청
2.3. 세이프가드제도(Safeguard, SG)
가. 개요
나. 조사신청
□ 신청요건
□ 신청자격
나. 조사개시결정(무역위원회)
다 피해조사 및 세이프가드조치 건의 무역위원. ( 회)
ㅇ 조사개시일로부터 4개월 이내에 산업피해 유무를 판정
ㅇ 긍정판정의 경우 1개월 이내에 관계행정기관의 장에게 세이프가드조치 건의
라. 세이프가드조치 확정 및 시행(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마. 기타 주요사항
□ 잠정조치
□ 중간재검토
□ 기간연장 검토
□ 재발동
2.4. 불공정무역행위조사제도
가. 개요
나. 유형
□ 지적재산권 침해행위
□ 원산지 표시 위반행위
□ 수출입질서 저해행위
다. 조사절차
ㅇ 조사신청
ㅇ 조사개시결정(무역위원회)
ㅇ 잠정조치 ( 무역위원회)
ㅇ 조사의 중지․종결
ㅇ 제재조치
<과 징 금>
2.5. 불공정무역제재조치
가. 개요
섬유산업연합회 무역구제지원센터
니트의류산업 경쟁력조사 The Competiton Analysis & Leading Strategy in Knitted Apparel Industry 2005
2005.10
1. 조사연구의배경
■ 니트의류제품의 수요는 레저문화의 지속적인 발달로 급속히 증가될 것으로 전망
한국 패션마켓은 년부터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대의 낮은 성장률이 예상된2000 , 2% 다. 20 02년부터 침체된 한국 경제와 함께, 소비심리 저하 등에 의해 패션산업의 경기는 최악의 상황을 거듭한 결과 2 004년도 패션시장의 규모는 19조 2천억을 달성하였다. 이는 지난 1 996 년 22조 2천억 수준과 비교할 때 87% 수준에 불과하며, 향후에도 시장성장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국패션산업의 총체적인 질적 변신을 요구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이 편안함과 여가를 추구하게 되면서 니트의류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캐주얼웨어 및 스포 츠웨어 시장도 급속히 상승하고 있다.
[ 그림 1] 한국의류시장 규모 및 시장 성장률
[ 그림 2 ] 한국 의류세분시장별 Market Share 추이
■ 국내 생산기반의 고도화 미흡으로 해외에서의 제품수입이 가중
그러나 니트의류제품의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섬유산업을 주도하던 니트의류 산업은 최근 들어 임금인상 기능인력 부족 등 기업의 경영환경 악화와 더불어 가격 , , 면에서 는 중국의 중저가품 위주의 니트제품들에, 품질과 디자인 면에서는 패션 선진국 제품들에 의해 경쟁력을 상실해 가고 있다. 또한 섬유산업의 기능 인력이 서비스 산업의 발달과 손쉽 게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업종으로 인력의 이적현상도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니트산업 생산실적은 1962년부터 수출이 시작되면서 질적․양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한국 의류 수출을 주요 품목이었다. 그러나 90년대를 전후하여 신소재 의류의 출현으로 급격히 니트의류시장 이 위축되어 니트의류 전 업계가 규모 감소와 생산 시설을 축소하게 되었고, 급기야는 지난 2002년 을 기점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여, 2005년에는 니트의류제품 6.2억매, 니트원단 19.4억㎢, 니트제품 (장갑 및 양말류) 12.9억족으로 전망된다. 이는 2002년을 기준으로 각각 40.8%, 17.7%, 14.6% 감소된 것으로, 이러한 생산실적 감소는 생산기반력인 업체수와 종사자 수도 감소를 가져와서, 2003년 현 재 업체 수는 1,470개, 총 종사인구는 25,651명으로 집계되었다
[ 그림 3 ] 한국 니트제품 생산 추이
니트의류 기업체는 서울, 경인 지역을 비롯하여 부산, 대구, 전주등지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국내 총생산업체 중 99%가 중소기업으로 이중 50인 이하인 영세 소기업들이 9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확대되는 내수소비시장은 해외 수입품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
특히, 전형적인 수출 주도형 업종으로 성장해온 국내 니트산업은 중국 등 후발 개도국들의 저 가품에서부터 프랑스, 이태리, 일본 등 선진국의 고가의 니트제품에 이르기까지 최근 2년간 2~3배 규모로 급증하는 수입 니트 때문에 중소 하청업체들이 연쇄 도산하면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하청 라인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 점도 향후 수출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으 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나라의 니트 산업은 급속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발맞 추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경쟁 우위를 모색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따라 국내 니트의류 산업의 피해발생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산업 공동화로 인한 국 민 경제기반 상실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무역구제조치 적용 가능성 조사를 통 해 수입을 억제시키고, 장기적으로 주요 수입국 대비 경쟁력 차이분석을 통해 국내 산업기 반의 고도화가 요구된다.
본 조사연구 보고서는 「T he Strate gy on th e T rad in g R elief S tep s in th e K nitted A pp arel In d u stry 2 005」로서, ▷ 한국 니트의류 산업의 경쟁력 분석 ▷ 세계 니트의류산 업의 경쟁강도 분석 ▷ 국내 니트의류 소비시장의 미래 수요분석과 수입품 시장대체 가능성 평가 ▷ 무역거래상 산업피해요인을 결정하는 기준 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후 본 조사연구가 국내 니트의류 산업의 산업기반 강화를 위해 정부 및 업계의 통상․무역․ 산업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조사연구의 범위
■ 조사제품의 범위
니트의류제품은 관세 통계통합품목 분류 에서 (H SK -H arm on ized Sy stem K o re a) 61류에 속하는 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로 된 의류와 그 부속품 1 7종으로, 경편기, 횡편기, 그리고 환편기로 편직된 원단으로 봉제를 통해 완성되는 남․여성 의류제품 및 장갑, 양말 등 을 일컫는다. 그러나 니트의류업계를 대표하는 대한니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1 962년 설립)의 회원으로는 HS 60류의 파일 편물(6 001 ), 기타 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게질 편물(6 002 ) 및 H S 6 2류의 보정내의류 제품군을 생산하는 기업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광의의 의미로는 이 들 제품을 포함한 20종을 니트의류제품이라고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의의 니트의류제품류인 20종에 대한 통합적 연구를 통해 산업의 가치사 슬에 대한 경쟁력을 측정하였고, 본 연구의 주목적인 수입제품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산업 피해 실태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지난 5년간의 수입실적을 분석한 결과 향후 지속적인 수 입증가가 예상되는 제품군 중에서 성인 외의시장(O ute r M arke t fo r A d u lt)을 위한 11개 품 목군(61 01 남성외의, 6 102 여성외의, 610 3 남성상하, 61 04 여성상하, 6 105 남성셔츠, 610 6 여 성셔츠, 61 09 티셔츠, 611 0 가디건, 6 112 스포츠의류, 6 113 가공의류, 611 4 기타의류)을 중심 으로 연구를 집중하였다.
[ 표 3 ] 니트의류제품의 HS 4단위별 수입 현황
■ 시간적범위
연구 수행기간은 2 005년 4월 1일부터 10월 3 1일까지 7개월이며, 연구 기준년도는 200 4년이 다. 그러나 일부 연구조사 자료는 2 004년 이전년도도 포함되었다.
3. 조사연구의 방법
3.1. 조사연구방법의 체계
[ 그림 4 ] 조사연구의 체계
3.2. 조사연구의 실사방법
■ 경쟁력 수준 조사
경쟁력 수준조사는 美ITC(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관세법 제332조에 의한 산업경쟁 력 조사방법 및 조사사례 참조하여 경쟁여건의 변화 추이 및 경쟁력 수준을 가격 및 비가격 요 인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보조수단으로 산업자원부에서 시행하는 ‘중국 산업 및 산업기술경쟁 력 정보구축사업(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으로 한국기술재단이 수행)’에서 본연구의 참여기관이 수 행하였던 한국, 중국, 이태리의 기술경쟁력 경쟁지수 결과자료(2002년 및 2004년)를 활용하였다. 산업경쟁지수로는 ▷ 산업경쟁력 비교 : 생산, 가격, 품질, 노동 및 조직 부문의 경쟁력, ▷ 기술경쟁력 비교 : 기계설비, 품질관리, 인력, 생산시스템, 정보화, 디자인부문의 경쟁력, ▷ 제품경쟁력 비교 : 원료, 편직 및 봉제, 가격대비 품질, 디자인, 브랜드 부문 등 3가지 경 쟁력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제품의 경쟁력 수준 비교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내외 제품 에 대한 인식조사 및 산업 전문가로 구성된 제품경쟁력 평가단원이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기타 가격경쟁력에 대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비교분석을 하였다.
■ 수입증가에 따른 산업계 실태파악을 위한 설문지 조사
조사대상은 니트의류제품 생산업체, 수입업체 및 유통업체(한국의류산업협회 및 대한니트 공업협동조합연합회 소속 회원사)로 층화추출방식으로 표본 추출하였으며, 지난 200 5년 5월 1 3일부터 6월 3 0일까지 표준화된 설문지에 자기기입방식을 적용하여 직접방문 및 우편(FA X ) 으로 회수 목표 20 0개 업체의 2배인 400개 업체에 전송하였다. 그리고 7월 1일자로 회수된 설문지는 수거율 50.8% 인 203개 업체로부터 조사된 것이었다. 조사된 2 03개 업체 중에서 니 트의류생산기업은 전체의 72.4% 에 해당되는 147개 업체였고, 기타 2 7.6% 에 해당되는 5 6개 기업은 의류유통기업이었다. 이 들 기업에게 질문된 내용은 기업 생산 및 경영실적 현황, 기 술연구투자 현황, 수입증가에 따른 기업피해 실태, 수입제한 정책제언, 산업고도화 정책제언, 기업의 미래신제품(기술) 개발 현황 및 계획 등이었고, 설문응답내용은 부호화 및 데이터 입 력, erro r ch e ck 과정을 거쳐 S P SS 10.0 fo r W in d ow 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 수입제품 대비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 평가 및 수입증가에 따른 산업계 실태파악을 위한 심층면담조사
니트의류제품 생산업체, 수입업체 및 판매업체 중에서 산업 선도기업 약 40여 업체를 대상(생 산업체 20개, 수입업체 및 판매업체 20개)으로 표준화된 질문지에 따라 조사 연구자가 직접 개 별 면담을 통해 소비시장에서의 니트의류 Buying Key Factor 및 제품원산지에 대한 소비시장 영 향도 분석, 가격대비 만족도 및 국산제품의 적정 가격수준, 향후 제품개선의도, 수입증가 여부 및 수입증가에 따른 산업피해현황, 기업 구조개편 사례 및 정부정책지원 요청 등을 조사하였다.
■ 소비시장에서의 국산 니트제품이 수입제국가 제품과의 제품력 비교평가를 위한 관찰조사 및 실험조사
디자인 요소 색상 원료 외형디자인 및 디테일 착용도 수준 의 평가 품질수준의 ( , , , ) , 평가, 브 랜드력 및 디자인력 등 무형가치수준 평가를 위해, 200 5년 출시된 국산 니트제품과 주요 수 입국의 니트제품으로, 환편기, 횡편기, 경편기에서 편직된 소재로 셔츠, 내의, 양말, 장갑 등 의 제품 중에서 한국産및 이태리産, 중국産제품, 미국産별로 약 4 0여 종류 제품(산업자원 부의 섬유산업기술력향상사업의 일환인 ‘2 005 의류완제품 기획정보제공사업’(한국의류산업협 회 주관)에서 세계 각 국에서 입수한 제품 5 00여 종 중심)을 선정하여, 총 40여개 항목으로 구성된 제품력 평가 표준 설문지에 T FT 및 전문가그룹이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다.
■ 문헌자료 조사
통계자료는 ▷ 산업기반 : 통계청, 한국은행 ▷ 산업특성 : 대한니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산업연구원 ▷ 소비특성 : 삼성패션연구소, 각종 섬유저널 ▷ 무역통 계 : KOT IS, 관세청, W TO, O ECD ▷ 무역정책 : 외교통상부, 산업자원부(무역위원회) 및 대 외정책경제연구소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그리고 대외적으로 발간된 정책자료, 연구자료, 학 위논문자료는 다음과 같이 수집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 표 4 ] 연구 문헌자료 목록
3.3. 조사연구기관 운영체계
■ 전문가그룹 운영체계
■ 자문위원회 운영
연구수행의 전문성을 위해 정부, 업계, 연구․학계 및 단체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9명을 본 연구의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연구수행기간 중 3회에 걸친 회의와 개별 미팅을 통해 자문을 받았다.
[ 표 5 ] 니트의류산업 경쟁력 조사연구를 위한 분야별 자문위원
1. 니트의류제품의 개요
1.1. 니트의 개념
■ 니트는 한 가닥의 실로 이루어진 루프(loop)를 기본으로 짜여 진 모든 것
니트(Knit)의 어원은 손뜨게를 뜻하는 영어의 ‘맨다’, ‘맨 매듭’을 위미하는 색슨어의 니타 (Nyttan)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므로 니트는 루프(loop)를 기본으로 이어진 한 가닥의 실로부터 이 루어지는 것으로 재료와 기법을 불문하고 실로 뜨는 모든 것을 일컫는다. 사실 실의 형태로 된 모든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구(혹은 기계)나 뜨는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조직이 형성 되며, 그 용도도 다양하다. 초기에는 수편물과 그 기법으로 한정되었으나, 17세기 이후 산업혁명 에 따라 일반적인 동력기계에 의해 다양한 편직기법(Knitting Skill)이 개발되었다.
니트는 그 신축성과 성형성 때문에 개발 초기에서 양말, 타이즈, 장갑 등에 주로 사용되었 으나, 점차 기술의 발전으로 신체에 밀착되는 내의류에도 적합한 기술로 사용되었으며, 최근 에는 스판덱스와 같은 고탄성사가 개발되면서 브래지어, 거들 등 보정내의류에도 활용도를 확장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실용적인 가치는 물론, 디자인 감각적인 특성 때문에 남녀성용 정장에서부터 셔츠 등에 이르기까지 외의부문으로도 사용용도가 확대되었고, 향후에도 이러 한 제품의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의류품목 외에도 커튼, 카페트 등의 인테 리어 분야와 전기 절연물, 곡물용 자류, 어망 등 산업용으로도 수요가 크게 신장되고 있다.
■ 니트제품은 메리야스 편물, 니트의류제품은 메리야스 편물로 된 의류와 그 부속품
현재 한국의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HSK -Ha rm on ized Sy stem K o rea )에서는 니트를 편물 (編物)로 통칭하고 있으며, 6 0류에서는 ‘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의 것에 제한된다‘고 하고 61류에서는 ‘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의 것에 제한된 의류과 그 부속품이다’로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메리야스는 포르투갈어의 ‘메리아스(m eias)' 또는 스페인어의 ’메디 아스(m ed ea s)'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래의 의미는 ‘긴 양말’로 영어의 스타킹(sto ck in g ) 또는 호스(h o se)에 해당하는 용어이다. 그러나 메리야스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신축성이 커서 대소 를 막론하고 입을 수 있다는 뜻의 ‘막대소(莫大小)’로 사용하던 것이 19 00년 전후에 우리나라 에 전해지면서 ‘긴 양말‘이라는 한정된 듯보다는 넓은 의미로 실로 뜨는 모든 것을 총칭하여 의미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처럼 니트와 관련된 용어로는 메리야스, 편포, 편성물, 편물, 편성, 제편, 편직, 니팅 등 여러 말들이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정리를 해 보면, 실로 뜨는 과정을 니팅(K n ittin g ), 제편(製編), 편성(編成)이라고 할 수 있고, 이 결과로 얻어 진 제품을 니트(K n it), 편포(編布), 편성물(編成物), 제편물(製編物), 편물(編物), 편직물(編織物), 편성물을 의류화한 제품을 니트웨어(K nit w ear) 또는 니트의류(K n it ap pa re l)로 정리될 수 있다.
■ 니트 제품은 짜는 용구나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
니트제품은 일반 직물의 조직이 경위사의 교차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에 비해 세로 또는 가로 가운데 어느 한 방향의 실을 이용하여 루프를 계속 연결해 나갈 수 있으므로 , 그 조직 기법이 훨씬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니트 제품에는 크게 가로로 짜는 위편 니트(w eft k n ittin g)와 세로로 짜는 경편 니트(wa rp k n ittin g )로 분류된다. 그러나 니트제품은 일반 직물과는 달리 편성기기(編機, 편직 하는 기 계)에 따라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편기를 사용하여야 다양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편기는 편성형식, 편기의 형상, 사용되는 편침, 편침의 동작 형식, 제품의 형태, 제품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편성의 형식에 따라 크게 위 편기(w eft k n ittin g m ach in e)와 경편기(w arp k nittin g ma chin e)로 분류되며, 일명 환편기로 불리는 원형편기(circu la r kn ittin g m ach in e)와 횡편기로 불리는 평형편기(flatted k n ittin g m ach in e ), 기타 트리코편기, 라셀 편기 등으로 미세하게 분류되고 있다.
[ 그림 5 ] 편성기기의 분류
횡편기는 바늘이 일직선상으로 가지런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바늘이 앞뒤로 이동하면서 편 성되며, 웨일과 코오스 수를 증감하여 별도의 재단이 필요 없는 풀패션(full-fa sh ion ) 제품을 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환편기는 바늘이 둥글게 배열되어 있어 원통형의 편성물이 얻어지며 직물과 같이 재단과 봉제에 의해 제품을 만들게 된다. 경편기는 필라멘트 합성섬 유의 발달과 함께 발전하였는데, 가는 데니어의 필라멘트 합섬사를 편물화하는 데는 편지(編地)가 촘촘한 파인게이지(Fine Ga ge )의 경편기가 적당하다. 여기서 게이지는 편기에서 단위 길이당 바늘의 수를 일컫는데, 편성물의 종류에 따라서 기준이 되는 단위길이가 다르다.
풀패션 위편성물에는 인치당의 바늘의 수를 나타내며 환편 양말 경편 트리코트에서1.5 , , , 는 1인치당의 바늘 수를, 라셀에서는 2인치당 바늘의 수를 나타낸다. 완성된 편성물에서의 밀도 는 1인치 내의 웨일수와 코오스 수(wa le× cou rse)로 나타낸다. 기계편의 경우는 게이지와 밀 도의 차이가 있으나, 수편의 경우는 게이지가 곧 밀도로 사용된다.
[ 표 6 ] 편성유형에 따른 편성기계와 편성물
■ 니트의류제품은 산업적으로는 신속한 생산력으로 인한 높은 생산 효율성, 소비시장에서는 제품의 신축성으로 높은 착용 효율성이 장점
니트는 작은 편침의 운동으로 루프를 형성하므로 편침을 고속화할 수 있어 제편 속도가 직물에 비해 3~ 5배나 빨라서,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편성에 생산되는 실은 직사(織絲)에 비해 꼬임이 적은 방적사나 보통 인조섬유의 필라멘트사 뿐만 아이라 벌 크사(b ulk y arn )나 텍스처사(tex tu re y arn )와 같은 유연한 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원가의 경쟁력이 높다. 더욱이 첨단 설비와 대형 공장 보다는 숙련된 기술자가 중요한 경영 자원이 되므로 노동 생산성이 높은 산업이며, 특히 횡편니트산업은 오염물이 전혀 없기 때 문에 도시 중심에 설비를 갖춘 공장이 설립되어도 좋은 도시형 산업인 것이다. 이러한 니트 의 산업적 경제성과 효율성이 매우 좋아서 많은 국가에서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한편 니트를 구성하는 루프는 곡선을 이루면서 헐겁게 연결되어 있어 우븐 보다 , , 높은 신 축성, 함기성, 유연성, 방추성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통해 인체에 어떠한 구속감 을 주지 않으면서도 인체의 실루엣을 잘 살릴 수 있고, 구김이 잘 생기기 않아 과격한 활동 에도 필수제품이 될 수 있으며, 더욱이 다림질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현대 소비시 장에서의 수요가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 표 7 ] 니트제품의 분류
■ 니트제품은 환편 횡편 경편 등의 패션의류제품과 양말 장갑 등 패션의류 부속품으로구분
니트제품은 환편니트, 횡편니트, 경편니트 등의 패션의류제품과 양말, 장갑 등 패션의류 부 속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편기에서 직조된 원통형의 편성물(일명 저어지 (Jersey ))은 의류제품이 되기 위해서는 의류 디자인에 따라 재단과 봉제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의류제품은 봉제니트(C ut& S ew K n it)라고 한다. 반면, 횡편기에서는 의류 디 자인에 따라 완성제품을 제편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의류 제품을 스웨터(Swe ater)라고 한다. 그리고 경편기에서 직조된 편성물(일명 트리코트, T rico t)도 재단과 봉제과정을 거쳐서 의류 완제품이 될 수 있는데, 보통 보정용 내의류를 생산할 수 있다.
[ 표 8 ] 편성물로 의류를 제작하는 방법
그리고 각각의 편직기와 편성물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4가지 제조방법을 통해 니트의류제 품을 제작할 수 있다. 첫째, 성형방법(fu lly fa shion ed m eth od )은 자르지 않고 모든 부품을 제편하는 것이다. 즉 몸통이나 소매, 깃 등을 편성할 때 디자인에 따라 편환을 늘이거나 줄 이는 조작을 의해 편환 수를 바꾸어 편성하여 성형된 부품을 만들 수 있고, 각각의 성형 부 품을 링킹 봉제(lin kin g Sewin g)로 완제품이 제작된다. 이 방식은 횡편기를 통해 직접 제편 할 수 있으나, 대체로 편성이나 링킹봉제를 하려면 상당한 기술과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선진국에서 지속적으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는 품목이다. 둘째는 풀리 컷 방법(fully cu t m eth od )으로 의류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각각 잘라서, 이를 봉제를 통하여 만드는 방법이 다. 이는 재단봉제제품이라고도 하며, 주로 환편기나 경편기에서 편성된 편직물을 주로 활용 하나 일부는 횡편기의 편직물도 활용되고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특 히 입체적인 의류 디자인을 살리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다. 세째, 스티치 쉐이프드 컷 방 법(stitch -sh ap ed cu t m eth od )으로, 봉제하여야 하는 부분은 잘라서 이들을 연결하는 방법인 데, 풀리 컷 방법의 또 다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환편기로 편성된 편직물을 디자인 에 따라 큰 몸통을 재단한 후에, 일부 부속품과 함께 횡편 링킹기나 일반 봉제기를 활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만들어진 환편제품은 고난도 기술의 횡편제품과 별로 . 차이가 없을 정도로 비슷하며, 생산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넷째는 완벌 편직(in teg rally k nitted m eth od )으로 하나의 의류로 제편하여 거의 봉제를 하지 않는 방법이다. 최근에 개발된 무봉 제 완제품 편직기(w h o le ga rm en t ma chin e)는 봉제선이 거의 없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자연스러운 니트의 신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부드럽고, 가볍고, 탄력적인 특 유의 성질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 환편과 횡편니트제품의 품목 수는 17종(HSK code 61류 限)
이러한 니트제품은 남성용의류, 여성용 의류, 아동용 의류 등과 같이 이용층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고, 외의류, 자켓, 바지, 스커트, 내의 등과 같이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HSK code 61류에 따른 분류체계를 살펴보면, ▷남성 외의류(외의, 상하, 셔츠), ▷여성 외의류 (외의, 상하, 셔츠), ▷티셔츠, ▷스포츠의류, ▷스웨터, ▷남녀성 내의, ▷유아의류 등의 의류제 품품목, 기타 ▷양말․스타킹, ▷장갑, ▷머플러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 표 9 ] HSK code 61류 분류체계
1.2. 니트의 역사
■ 구석기시대부터 니트제품이 사용
[ 그림 6 ] AD 2~3C 이집트에서
고대 시리아의 고도 D u ra-E u rop o s에서는 3세기 이전의 것으로 보이는 편성물이 발견되었 는데 이것은 현존하는 진짜 편성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아랍인들이 7세기 중반 이집트 를 정복하고 이때 편성물을 전했으며 이것이 8세기에는 리베리아 반도에도 전해 졌으며, 스 페인에서는 7∼8세기에 이미 두개의 봉침을 사용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 14세기에 기술 조합이 결성되면서 기술이 보급
[ 그림 7 ] AD 14C 뜨개질 하는
■ 16 세기에 최초로 편직기계가 발명 산업화로 발전
[ 그림 8 ] AD 16C 영국의 견사
[ 표 10 ] 니트편기의 발달과정
■ 한국은 년대 가내수공업으로 1870 발전
우리나라에 편성제품이 언제 어떤 경로를 밟아 들어 왔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 수 없 으나 여러 가지 조사를 통하여 볼 때 천주교가 우리나라에 전파된 178 0년대에 선교사들을 통해서 들어왔을 것이라는 추측이 지배적인 것 같다. 그리고 194 9년도판 ‘조선물산안내’에 의하면 편물제품 생산이 가내 수공업 형태로 시작한 것은 고종 9년(1 872년)으로 기록되어 있 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편기가 설치된 때는 1 910년 전후 일제 수동양말편기로, 양말의 손뜨개 질을 탈피할 수 있었고, 그 이후 양말 산업이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193 3년에 평양에 설립된 조선 메리야스 공장이 설립되면서 양말, 내의, 스웨터류 등 편물제품의 공정 화가 이루어져, 8.15 광복 전에 이미 수출이 이루어 질 정도로 급성장하게 되었다. 결국 지난 1 950년대 대구 금융철공소(現금융기계(주))에서 환편기 생산을 시작으로 수입되던 편직기계 를 국산으로 대체하면서, 니트제품의 국산화 및 산업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
[ 표 11 ] 국내의 니트 역사
1.3. 니트의 디자인 변화
기후풍토적으로 추위와 거친 파도, 비바람과 같은 자연환경에서 몸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 된 니트는 2 0세기 산업화시대에 들어서면서 기계의 발명과 새로운 원료의 개발은 물론, 소 비시장의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욕구에 따라 패션성을 표현하는 필수 품목이 되었다. 즉 활 동성, 보온성, 패션성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니트의 특성은 패션디자인의 다각적인 표현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급속도록 소비시장에서의 요구품목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 표 12 ] 20세기 니트디자인의 변천
2. 니트의류산업의 특성
2.1. 니트의류산업의 특성
■ 의류패션산업은 지식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
기존의 섬유산업이 직물, 부자재, 봉제 등 의류의 U p & D own S tre am 을 포괄하는 의미였 다면, 의류산업이란 의류제품의 생산에서부터 유통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상품 혹은 관련된 모든 산업을 지칭한다. 최근 의류산업은 제조개념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고부가가치 선진형 산업의 개념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섬유산업은 제조중심의 개념이며 저인건비, 대량생산, O EM 중심의 수출중점 산업의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나, 의류산업은 제조 개념에서 벗어나 보 다 고부가가치 개념의 지식 및 정보산업까지를 포괄하는 ‘의류패션산업’이라고도 한다.
즉 패션산업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독창적인 신소재나 디자인의 개발, 첨단 봉제기술의 접목 등을 바탕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가지는 기술과 지식이 집약된 산업이다. 그리고 의복 및 의복 부속품을 패션화하여 유행을 선도함으로써 다른 디자인 영역에 전반적 으로 영향을 주는 산업으로, 상품의 가격이 제조 원가 개념을 초월하여 디자인의 가치로 결 정되는 지식 기반산업이자 고부가가치 산업인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심리적 유행 추구를 빨리 파악하여 정확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사업의 성공을 좌우할 수 있다.
■ 제조경쟁력이 높은 산업
니트산업은 다변화되는 패션소비시장에서의 신속하고 다양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산업이다. 왜냐하면 니트는 편성과정에서 형태변형이 가능하며,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 을 가지고 있고, 신축성이 좋아 활동성을 추구하는 의류용 제품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특히 니 트산업은 보유기술과 편직기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는 산업이므로, 누구나가 기술과 기계를 구 입할 수 있는 소자본만으로 기업화 할 수 있는 소자본형 노동집약산업이고, 무공해 작업이 가 능하므로 도시형 업종이 된다. 더욱이 원자재 분야와 염색, 가공, 봉제 등 상․중․하류의 연 관업종의 지원과 상호연계를 통해 제품의 고급화 및 가치화가 추진될 수 있는 업종이다. 그리 고 이 들 각각의 생산자는 기계설비력, 원료구매력, 제품가공력, 제품기획력 등을 보유한 일괄 생산체제로 운영되어야 하지만, 각각의 업무별로 전문성을 보유한 소기업들과의 네트워크와 위탁생산체제(일명 하청체제)를 통해 경영효율성 및 생산효율성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니트 산업은 국민의 고용창출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국민 기본산업이라 할 수 있다.
■ 니트산업의 경로구성원
니트의류산업은 의류제품의 소재를 개발하는 원료업체 의류제품을 제조하는 생산업, 체, 제조된 의류제품을 소비시장에 판매하는 유통업체로 구성되어 있다. 원료업체는 니트의류 생산업체에 편직을 위한 원사를 제공하는 편사업체와 의류제품완성을 위해 의류 부자재를 납품하는 부자재 기업이 있다. 이 중에서 원사업체는 실의 원료구입부터 원사개발 및 가공, 염주로 원사업체나 제조업체의 주문에의하여 생산기업에 편직을 위한 원사를 개발하는 업무 가 주요 업무이다. 생산업체에는 보유한 생산설비 혹은 생산설비를 보유한 협력업체를 통해 니 트의류 제품을 생산하여 유통기업에게 납품하는 기업과 니트의류용 원단를 편직만 하는 편직 업체와 제조업체의 주문에 따라 편직된 원단으로 봉제생산만 담당하는 봉제업체가 있다. 그 런데 최근에는 자체 기획한 디자인을 유통업체가 요구하는 수량만큼 하청생산공장에게 위탁 생산케하여 납품하는 프로모션업체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통업체는 소비시장에서 전 개하는 브랜드 및 점포가 요구하는 제품을 디자인해서, 생산업체로 하여금 디자인된 제품을 편직, 봉제, 가공완성하게 하여, 판매까지의 역할을 담당하는 업태로서, 이 중에서 자가로 브 랜드를 운영하는 기업을 제조업체로 통칭하기도 한다.
[ 표 13 ] 니트의류산업의 업태 구분
[ 그림 9 ] 니트의류산업의 업무 프로세스
편직업체 및 가공업체가 포함된 편직산업은 니트의류산업의 가치사슬에서 생산자에 해당 하며 유통을 보유한 패션기업은 수요자에 해당된다 생산자는 국내외에 보유한 생산공장, . 이 나 혹은 영세 전문기업의 재하청을 통해 수요자로부터 위탁생산거래를 하거나 수요자의 요 구를 생산자에게 중개하는 프로모션으로부터 위탁생산거래를 하고 있다. 수요자는 대기업 일부를 제외하고는 국내외에 자가공장을 보유하지 않고, 대부분 생산자나 생산을 중개하는 생산프로모션에게 위탁생산을 의뢰하고 있으며, 최종 수요자인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제품 을 기획생산하게 된다. 그러므로 편직산업의 체질은 이들 유통업자의 요구 수준에 따라 변 화될 수 있고, 유통업자는 최종 소비체인 소비자의 구매력에 따라 체질이 변화될 수 있다.
최근에 생산거래과정에서 등장한 업태인 생산프로모션은 수요기업이 기획과 생산을 위한 전담업무를 외부에서 소싱할 때의 네트워크로, 디자인 기획력 및 원부자재 구매 자본력, 생 산력 등을 보유하고 있다. 해외 무역거래에서는 B u y in g O ffice의 역할과 유사할 수도 있다.
[그림 10 ] 니트 생산자와 니트 수요자와의 거래 경로
■ 생산업태의 위탁생산 거래유형
니트생산업체가 유통업체로부터 니트의류제품에 대해 위탁생산을 의뢰받을 경우 , 제품 생 산만을 담당하는 임가공 거래방식, 주요 원자재(편사나 환․경편직물)만 공급 받고 기타 자 재를 구매하여 생산하는 CM T (C u ttin g, M ea suring , T rimm in g ) 거래방식, 그리고 이미 유통 업체가 결정한 원부자재를 생산기업이 구매하여 제품을 완성한 후 납품하는 완사입 거래방 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니트의류에 대해 생산 능력은 물론, 디자인 기획력까지 보유한 프로모션업체가 니트의류산업의 생산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 기획까지 포 함하여 생산된 제품을 공급하는 프로모션 거래방식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기업의 핵심역량 인 브랜드력을 중시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니트의류제품을 디자인하는 전문가를 고용하는 대 신에, 프로모션 기업을 활용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디자인 기획제품을 공급받고 있으며, 이 를 통해 브랜드의 디자인력 강화는 물론, 기업내 인력 전문성에 대한 집중력을 마케팅과 유 통에 집중함으로써 선진적인 패션브랜드 경영을 전개하고 있다.
[ 표 14 ] 니트의류산업의 생산위탁거래방식
패션 산업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유행주기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패션 산업 구성원들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니트 산업은 원사기획의 기능에서 부터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제조업체 수준까지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원사업체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의 유기적인 관계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니트 산업 구성 원간의 어려운 점이나 불만요인을 상호 이해하고 이를 보완하는 노력을 찾는다면,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도모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2. 니트의류산업의 분류
■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의 니트산업의 세분 분류
의류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체계에서 제조업(D )에 포함된다. 제조업이란 원재료(물질 또 는 구성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 로 전환시키는 산업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즉 의류산업을 제조업에 국한시켜 볼 때, 이는 원 단 및 부자재라는 원재료를 이용하여 의류상품을 제조하는 산업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업 범주 중 의류산업에 포함되는 산업군은 크게 섬유산업과 봉제산업으로 구 분될 수 있는데, 섬유산업은 의류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섬유 및 직물을 제조하는 산업 활동 이며, 봉제산업은 이러한 원재료를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품을 만들어내는 산업 활동이다
섬유제품 제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 17에 해당되며, 섬유물질을 가공하여 생사 및 각종 섬 유사, 연사, 끈, 로프, 망 및 기타 끈제품 제조, 각종 섬유사로 광폭직물, 세폭직물, 편조원단 및 편 조제품, 카펫 등의 직물 및 편조물 제조, 각종 섬유사, 직물, 편조물 및 직물제품의 염색, 표백 및 가공 정리활동, 의복과 신발을 제외한 직물제품 제조, 직물에 다른 물질을 도포, 삼투, 방수 및 기 타 처리한 가공직물 제조, 부직포, 펠트, 충전용 솜 및 기타 섬유제품 제조하는 산업 활동이다. 이 러한 제조활동은 자기소유의 섬유재료로 특정제품을 직접 제조하거나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주문제품을 제조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섬유제품 제조업에서 니트의류산업과 관련 있는 품목은 173 편조업으로, 각종 섬유를 손이나 기계로 편조 또는 뜨개질 하여 편조원단, 편조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기타 편조물을 제조하는 산업 활동이다. 예로써 특정형의 레이스제품 편조와 편조원단을 생산하 는 사업체가 이를 직접 재단—재봉하여 의복 및 기타 제품을 제조할 경우에도 여기에 포함된다.
[ 표 15 ] 섬유제품 제조업 분류 체계
[ 표 16 ]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분류 체계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 18에 해당되며, 이 중에서 봉제의복 (181)은 구입한 각종 직물, 가죽 및 기타재료(모피 제외)를 재단 및 재봉을 통해 의복류, 모자 및 의복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일컬으며, 모피가공 및 모피제품 제조업(182)은 원모피 및 머리부분이 달린 기타 원피를 가공처리하는 활동과 그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일컫는다. 단, 편조의복 제조 또는 편조원단을 제조한 사업체가 이를 직접 재단—재봉하여 의복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섬유제품코드인 편조의복 및 기타 편조제품 제조업(1 732 )에 포함된다.
결국 니트의류제품을 제조하는 산업분류 코드는 섬유제품 제조업에서의 173 (편조업)과 봉 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에서의 18 1(봉제의복)로 한정되고 있다.
■ 한국직업분류체계에서의 니트 기술직 분류
니트의류산업의 업무 절차는 먼저 시장에서 요구하고 미래 유행을 추종하는 제품 디자인 이 개발되면 개발된 디자인을 편직기에서 설계하여 원사로 편직한 후 편직물을 봉제기계, , 를 사용하여 봉제가공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창의력을 지닌 디자이너, 디자인된 것을 편직하도록 설계하는 편직프로그래머, 프로그램된 것을 가지고 편직기에서 편직하는 단순편 직부, 편직물을 재단하는 재단부와 봉제하는 단순 봉제부, 그리고 편직기계를 조작하는 기술 원 등의 인력으로 직무가 구성되어 있다.
이를 한국표준직업분류(K SCO )에서 보면, 니트의류산업과 관련있는 항목은 기능원 및 관 련 기능 종사자가 있는 대분류 7항에 있다. 이 중에서 743 21 수편물원(손 또는 수동식 기계 를 사용하여 양모, 면화 및 기타 섬유를 방적하고 레이스 제조와 의복 및 가정용 섬유를 직 조, 편직 또는 자수하는 자)과 7 532 의복, 모자제조 및 관련 기능 종사자(재봉기를 이용하여 직물 및 기타 재료로 의복을 제조하는 자), 753 4 직물, 가죽관련 옷본 제조 및 재단 종사자 (직물, 가죽관련 옷본 제조 및 재단 종사자는 의복, 장갑 및 기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 옷본을 제조하고 직물, 가죽 및 기타 재료에 표시하고 재단하는 자)가 있다. 그리고 기계 등의 조작이 가능한 대분류 8항(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에서 826 2 직편조기 조작원 과 8 264 재봉기계 조작원이 있다. F_001)
[ 표 17 ] 한국 표준직업분류 (KSCO)
2.3. 니트산업계의정보활용 및 기획방법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유행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니트제품을 포함한 패션제품의 기획은 정확한 환경분석과 수요예측을 위해 패션정보를 수집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니트제품의 기획정보수집 경로
국내 니트산업계는 일반적으로 니트기획을 할 때에 우븐과의 코디네이션 개념으로 진행되므 로 우븐 트렌드 정보가 매우 중요시 되고 있으며, 우븐 트렌드에 맞춰 니트제품을 기획하고 있 는 실정이다. 또한, 패션유통업체는 제품을 기획하는데 무엇보다 판매시점 정보 및 전년도 판매 정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 다음으로 트렌드 정보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니트 정 보의 중요성 인식 측면에서, 편직업체와 가공업체들은 패션유통업체의 기획 및 주문에 따라 니 트를 생산하기 때문에 제품기획의 필요성을 거의 인식하고 있지 않으나, 원사업체나 프로모션, 그리고 패션유통업체의 경우는 니트 트렌드 및 소비자 정보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다음은 니트제품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원사, 색상, 편직 디자인, 트렌드 등의 정보를 어디 에서 수집하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첫째, 원사에 대한 정보는 원사업체, 프로모션, 제조업체 모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이며, 중요한 정보원으로는 이태리 원사 제조업체들이 모여 세계에 정보를 발신하는 P itti Imm ag in e F ila ti(피티 이마지네 필라티, 이태리 피렌체에서 매년 1월과 7월경에 개최)를 비롯 하여 국내․외 원사 컨벤션, 원사 수입업체, 국내 원사제조업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럽 컬렉션으로부터 니트 부분을 선별적으로 수집․분석하기도 하고, 인터넷을 통해 이태리 원 사회사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니트제품의 색상에 대한 정보는 대체로 유행색 협회에서 제안하는 색상을 비롯하여, 양모사무국이나 국내 원사제조업체에서 제안하는 원사샘플에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사업체의 경우 원사를 기획할 때 무엇보다 전년도 판매실적이 좋았던 색상을 중요하게 생각 하며, 편직업체나 가공업체는 주로 제조업체의 요구에 따라 생산이 이루어지므로 색상에 대한 별다른 기획은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프로모션의 경우, 제조업체의 각 브랜드 이 미지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상표이미지에 따라 조절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셋째, 편직 디자인에 관한 정보원으로는 Pitti Immagine Filati 등의 이태리 원사업체가 제안 하는 편직물이나, 이태리 편직공장의 샘플, 그리고 Maglieria(말리에리아, 이태리, 년 6회 발간), 일본 스웨터 전문 잡지 등 외국 니트전문잡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독일 스톨 과 같은 편직기계업체에서 개최하는 전시회나 그들 제품의 판매를 위해 기계의 유용성과 함께 다양하고 독특한 편직 디자인 샘플을 제안하는 설명회를 통해서도 정보를 얻고 있었다
넷째 니트 트렌드 정보는 프로모션이나 제조업체들이 우븐 트렌드 정보를 우선적 참고하, 여 니트 트렌드를 예측한다고 한다. 대부분이 니트 트렌드 정보에 대한 필요성을 실감하고는 있으 나, 니트를 위한 전문적인 트렌드 정보가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우븐 트렌드와 별개로 진 행될 수 없으므로 우븐에 대한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니트 트렌드 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실감하고 있는 프로모션이나 제조업체는 P ercle r(페클레르, 프 랑스), P romo style(프로모스틸, 프랑스)과 같은 해외 패션 트렌드 정보회사와 유럽의 우븐 컬 렉션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다. 또한, 유럽 컬렉션의 경우 2 0% 는 니트 관련 정보를 제시하므로 P rem iere V isio n(프리미에르 비죵, 프랑스, 3월과 1 0월에 개최)과 같은 소재 전시 회를 통해서도 중요한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정보원으로는 인터패션플래 닝과 삼성패션연구소가 주최하는 트렌드 설명회가 있다. 또한, 잡지로는 th e C o llectio n G ap (컬렉션 갭, 일본, 연 2회 발간), M a glieria , N on ․n o (논노, 일본, 연 1 2회 발간), P asse rella(파 스렐라, 이태리, 연 6회 발간), V og u e(보그, 프랑스, 연 12회 발간), 25a n s(25앙스, 일본, 년 12 회 발간) 등을 주로 언급하였으며, 부분적으로 해외시장에서 직접 샘플을 구입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최종 소비자 및 마켓관련 정보는 패션비즈와 같은 패션전문잡지나 섬유관련 신문을 주로 참고하며, 또한 판매사원으로부터 고객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스트리 트 패션을 통해 유행경향을 예측한다고 한다. 특히, 마켓관련 정보로서 인기 아이템 및 시장 의 흐름을 알기 위해 주로 백화점 및 동대문에 밀집되어 있는 의류상가들로부터 정보를 수 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니트관련업체의 소비자들에 대한 연령, 성별, 상황 등에 따른 체계적인 시장분석은 매우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기업의 정보화 실태
패션산업은 정보산업으로서, 소비자의 감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상품화하는 과정에서 패션정보원천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니트업계의 정보화 실태를 살펴보면, 인터넷을 통한 정 보 조사 및 분석은 조사업체 모두가 진행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30% 의 업체는 기업 홈페이 지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리고 조사된 업체에서는 주로 영업분야와 재무분야에 전산시스템 을 도입하고 있었으며, 원사업체와 편직업체 모두 컴퓨터에 의한 자동 생산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물류부문에서는 제조업체 모두 전산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원사업체에서 도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있었다.
그러나, 편직 디자인에 있어서는 디자인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으나, 그 활용 측면에서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들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편직디자인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나 세미 나가 단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3. 니트의류제품의 신기술 동향
3.1. 니트 원료및 제조기술의 발전
■ 인간사회와 환경과의 조화를 기반으로 한 원료의 개발
미래 신섬유는 인간사회 및 환경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전망이며, 기존 천연섬유를 능가하는 극한 기능성을 가진 섬유가 등장하고, 의료용섬유 등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로 발전이 예상된다. 특히 인텔리전트 섬유, 환경친화성 섬유, 첨단 의료용 섬유 등이 중점적으로 연구․개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기존 섬유의 개질 및 가공을 통한 새 로운 감성 섬유도 개발되어 환경, 의료, 건강, 실버 등에 응용될 것으로 보인다.
[ 그림 11 ] 세계 화섬소재의 발달과정과 전망
[ 표 18 ]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굵기 변화 추이
섬유의 방사속도 는 현재 분 수준으로 실용화되어 (M elt spinn ing ) 5 ,0 00~6,00 0m / 있으며, 실험적으로는 비행기의 속도(15 ,0 00m / 분)와 비슷한 수준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섬유의 굵기 는 일본에서 0.000 1d 급 섬유를 실용화하였으며, 우리나라는 0.00 1d 급의 실용화를 추진 중이 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N an o 섬유에 대한 대량생산 기술이 개발되어 응용제품 개발에 주력(미국 1 kg / 일, 한국 200 kg / 일)을 하고 있다. 섬유의 강도는 현재 1㎟당 7 00k g (승 용차)을 들어올릴 수 있는 수준으로 실용화되어 있으며, 초극한 강도(1,50 0k g, 버스)를 갖는 신섬유가 개발 중이다.
그리고 섬유공정의 무인화 및 성력화가 추진되고 있는데 이는 자동화 섬유기계 기술(메카 트로닉스)이 밑받침되어야 하고, FA (F acto ry A u tom ation ) 등 IT 기술을 접목하여 공장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섬유기술은 정밀화학(염료, 조제, 가공제, 첨가제, 고분자 등) 기술과 상호 보완관계에 있으며, 동반발전을 꾀하고 있다. 특히 섬유소재는 자동차(캐빈필터, 연료필터, 내장재, 안전벨트 등), 환경용(에어필터, 액체필터 등), 에너지 저장용(세퍼레이터), 의료용(수술용 봉합사, 생체 상처치료제, 인공신장 등), 건축․토목용 등으로 급속히 확산되 고 있어 관련 산업과의 기술융합이 시도되고 있다.
[ 그림 12 ] 고기능성 섬유의 다양한 용도
■ 신소재의 시장대체현상 증가
편직산업에서 살펴보면 최근 가격의 매력과 생산성 측면에서 인기 있는 아크릴 , 의류 (A cry lic ap pa re l)가 염색기술과 표면처리 기술이 발전되면서, 소비시장에서 폭발적 선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세계 소비시장이 저가 지향의 합리적 시장으로 변화되면서 원가 생산 에서 높은 수익을 주는 아크릴 의류에 기업이 아크릴 섬유가 가지는 섬유 회복율이나 손맛 의 향상, 필링의 감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드럽고 질긴 장점을 극대화하는 기술투자 를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이부문의 시장은 급속도록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분야에서도 횡편니트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시장은 향후 Po lytrimeth ylene terephthalate(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틸탈레이트, PT T 섬유의 개발속도 여부에 따라 발전속도 및 범위가 좌우될 수 있다. F_003)
그리고 19 20년대에 개발되었던 탄성사(E la sta n e y arn )는 전세계적으로 현재 약 1 70천톤 정 도를 생산․소비하고 있다. 이 탄성사는 주로 의류는 물론, 의료 및 위생용품에도 사용되며, 우븐 직조보다는 환편니트 직조에서 주로 사용되며, 그 물량은 전체의 약 70%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비시장의 트렌드가 활동성위주의 편안한 실루엣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이 시장은 지속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최근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의 혼합원사 나 폴리에스테르의 케톤원사, 혹은 P T T 가 개발되면서 탄성사를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 표 19 ] Elastane Yarn의 사용량 추정
■ 제조기술의 진화, 『Seamless Garments』
18 60년대의 재봉틀 발견이후 12세기에 접어 든 현재까지 의류제조 기술의 중심을 이룬 재 단과 봉제에 의한 제조 방식은 바늘과 가위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봉제선이 없는 의류( S eam le ss G arm en ts) 제조 공정으로 진화하고 있다. 의류제조의 Se am less T ech n iq u e은 오랫 동안 양말제품 제조에 이용되었던 방법인데, 원사기술과 의류제조 시스템의 발전으로 다양 한 제품들과 스트라이프나 자카드 등의 다양한 패턴도 창조할 수 있다.
[ 표 20 ] Seamless Garments Technique의 원조인 이태리 Santoni社의 개발제품
Se am less G armen ts T e chn iqu e는 지난 20 00년에 S eam le ss Garm en ts T ech n olo gy 의 선구자 격인 이태리 Sa nto ni 社가 이태리 패션 디자이너인 Em ilio C av a llin i를 통해 Se am less C o llection 을 선보이면서 언론과 소비자의 관심을 집중시키며 산업계의 새로운 혁명으로 다 가왔다. 그리고 200 1년에는 전세계적으로 봉제선이 필요 없는 "S eam le ss C o nstru ction " 의 류아이템과 O n e P iece형 티셔츠가 기존의 내의 및 봉제 셔츠블라우스 시장을 대신하여 강세 를 보이고 있으며, 실제로 C h eristia n D io r과 같은 고급맞춤 디자이너 하우스에서는 블라우 스 대신 티셔츠 스타일의 무봉제 니트 탑을 선호한 것이다. 이는 스타일리시한 감각이 강 조되는 커리어마켓의 중요한 트렌드를 이루고 있으며, 향후 의류시장에서의 수익성 향상을 위해 몸을 구속하지 않는 착용감이 새로운 의류생산기술의 진보 수준에 있는 것이다.
[ 표 21 ] 이태리 디자이너 Emilio Cavallini의 무봉제 작품
해외 소재전문가들은 S eam le ss G arm en ts의 미래는 원사와 직물 그리고 직조기기의 엔지 니어그룹, 그리고 완제품을 유통시키는 B en e tto n과 같은 소매업체들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 션에 달려 있으며 이들의 역할이 향후 더욱 중요시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태리의 B en etton 은 추상적 패턴을 이용한 의류제품을 통해 Seamless G armen ts의 생산에 착수하였 으며 만화의 캐릭터나 스트리트캐주얼 스타일을 컨셉으로 한 제품을 중심으로 이 기술을 응 용하고 있다. 나이키와 같은 스포츠기업은 무봉제 의류가 무릎과 팔꿈치부분에 대한 형태안 정성이 뛰어나며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점에 착안, 스포츠스타와 세 계적인 챔피언들을 대상으로 여성 및 남성용 의류제조에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실제 로 S eam le ss G armen ts는 이미 수년전부터 세계 챔피언들의 수영복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1 00% 무봉제기술로 기능성의류와 일반 의류제품 모두를 포괄하는 제품들이 지난 20 03년 프 랑스에 개최된 L yo n M od e C ity T rad e F air에 소개되어 높은 시장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O n e-p ie ce B o d y Su it로 구성된 오토바이용 의류와 같은 스포츠의류시장의 니치마켓을 이용 한 시장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포츠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후크와 단추 등 의류의 여밈에 문제점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미국의 A lb a-W ald en sian 과 같은 업체는 대표적 란제리 회사인 V icto ria 's S ecret 그리고 S ears와 같은 대규모 소매업체와 같이 제품을 개발하고 있 다. 또한 이스라엘에 본사를 두고 있는 T e fron /A lb e는 무봉제 의류생산을 위한 전문업체로 서 무봉제 언더웨어시장의 30% 의 시장점유율 기록하고 있다.
1997년에는 전체 의류제품 생산에서 1%만을 차지했던 Seamless Garments는 2003년 현재 7%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작기술의 발전과 생산단가의 하락추세에 따라 생산점유율은 지속 상 승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수영복과 브라 등 스포츠웨어와 보정내의를 중심으로 새로운 인체측정 기가 개발됨에 따라 Seamless Garments의 기술개발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2.니트 원사의 신기술 동향 : 이태리 니트제품 박람회(Fitti Filatti)
■ 세계 최대의 편직원료 전시회
전시회의 최고 이벤트인 'Fa shion at W o rk '에서는 다양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니트 소재 개발로 인한 기술적인 이노베이션을 소개하였다. 'Fa sh ion at W o rk '에 참여한 4 2개의 브랜드 중 23개는 영국, 프랑스, 터키, 일본 등의 브랜드였다. 이 부문은 니트웨어 산업에 적용 가능 한 연구와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첨단 기술적 혁신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이 분야 에 새롭게 참가한 업체로는 영국의 M a d e in B righ to , D esign S o lu tion s, B ob b le, C o rio S tud io , 이태리의 C lam o re , Im ma gin e, N uo v a P ieg av e lo x 등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금번 P itti F ilati의 또다른 이벤트로는 이태리 최고의 니트원사생산업체인 Gru pp o L in eap iu (19 75-200 5)의 기념 회고전이 있었다. 'L in eap iu 의 3 0년간의 실의 역사'라는 제목으 로, 회사의 섬유, 원사, 니트 원단, 부속물에 관한 역사적인 발전을 보여주는 제품을 전시하 였다. 전시되는 아이템으로는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의 10 0주념 기념 의상, L in ea piu 원 사를 사용하여 제작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자이너의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전반적인 니트제품의 디자인 트렌드를 제공하는 'Spazio Ricerca(Space Researches)‘에서는 새 로운 기술과 시장에 관한 조사에 중심을 두기보다는 최근 부상하는 아방가르드한 패션트렌드와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벨기에의 Antwerp에 위치한 패션 인스티튜트 Flan ders가 총 기획하고, 국제적으로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Angelo Figus에 의해 제품이 개발되었다.
Sp az io R icerca 에서 제안한 테마 은 니트 "K n it-A rt : From th e p icture to th e y arn " 원사에 그림을 그리는 예술 분야를 보여주었다. 예술가의 아뜰리에로 박람회 참여업체의 관계자를 직접 초대하는 이벤트를 통해 기업은 제품 개발에 대한 영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한 Sp az io R icerca에서 제시한 제품개발에 대해 새로운 기술 표준을 마련하고자, 이태리의 유명 니트업체에게 수출과 기업 컨설팅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 표 22 ] 2006 Fall/Winter Pitti Filati 이미지관 “Spazio Ricerca”
■ Design Trend
신소재에서는 외관상 심플해 보이지만 L ig ht한 볼륨감의 C h u n ky Yarn , 얇은 Vo ile에 정교 한 감성을 표현하는 L ig h t Ya rn 등 기술 혁신으로 새롭고 복잡하게 믹스되어 실제로는 미묘 한 느낌을 준다. 또한 C op pe r, B ron ze 등의 메탈릭 컬러로 악센트를 주거나 M ulti-p lied 트 위드 얀, 정교한 셔닐 얀, 스포티한 폴리에스터 얀 등은 주요 트렌드 소재로 부상하였다.
기본 편직사인 모(w o o l)는 Fa ncy 감을 주거나 M ulti Y arn 배열로 입체 조형효과를 가미하 여 와일드하면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였고, 최근 친환경소재와 고급소재로 각광받고 있 는 면, 캐시미어, 앙고라, 알파카, 모헤어 등도 중요한 원료가 되고 있다. 색상에서는 전반적으로 밝은 느낌보다는 따뜻한 내추럴한 컬러와 차갑고 안개 자욱한 느낌의 파스텔 컬러 등 친숙하고 정직한 느낌과 조용하고 내성적인 컬러감이 내재되어 있다. 주요 색상으로는 쿨한 Watery 컬러, 흐릿한 느낌의 컬러군, Washed-out 블루, 아쿠아 그린, 핑크가 가미된 바이올렛 컬러 등과 고급 스러움을 표현하는 Black, Black & White, Burnt Browns, Charcoal Grey 등이 있다.
■ New Knitting Technique
Gossamer lightness : 초경량적 섬세 기법
니트의 편사소재가 더욱더 정교하면서 가늘어져서 거즈 보일(g au zy v o ile)과 같은 니트제 품 개발이 가능해 졌다. 특히 앙고라나 모헤어와 같은 겨울용 특수 편사도 레이스 제품과 같이 정교하게 편직 하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비대칭적인 자카드 문양, 잡아 당기거나 비틀거나 주름을 잡거나 구겨지게 하는, 그리고 엠보싱 처리를 더하는 등의 다양 한 표면 가공기법의 개발로 니트제품의 입체적인 감도를 증가시키기도 하였다. 그리고 18게 이지까지 가능한 공기함축 편사(air-spu n rov in g y arn s)가 개발되어 레이스나 메쉬와 같은 고도의 편직기술을 선보였고, 더욱이 비대칭적인 아트워크나 패츠워크 편직 기법은 니트제 품의 새로운 고감도를 제공하였다.
Voluminous texture : 풍성한 표면
크로켓(C ro che t)이나 수공예 니트 스타일은 지속적인 유행을 보였으며, 특히 서로 다른 조 직을 편직하여 패치워크 처럼 스티칭하는 디테일적 기술은 더욱 발전되었다
그리고 많은 제품들이 볼륨감과 형유지를 위해 라운딩 니팅기법("th e rou nd ")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전반적인 편직상태가 둥그스럼하고, 비대칭적이며 비구조화 된 형을 확장시키기 위해 스티칭과 캐이블, 버블, 혹은 주름 스티치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코 쿠닝 스타일의 니트는 랩핑 드레스, 가디건 등에 주요한 유행경향으로 부상되고 있다.
Cultural and historical pattern
패턴 니트는 과거의 향수를 자아내게 하는 주요한 작업이다 빅토리안시대의 예술적 . 영감 과 수공예적 꽃문양은 스타일리쉬한 감도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자연스러은 그래 픽과 다양한 편사와 편직기술을 활용한 편직물을 상호 교합시켜 풍성한 패치워크를 보이는 기법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유행 기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동유럽의 러시안 및 보헤미안적 영감은 자카드 문양에서 많이 도용되었고, 특히 남성복에서는 아즈텍과 페루의 이미지를 현대화하여 5게이지 이상으로 편직된 제품이 개발되었다.
■ Design Studio' Design Proposal
디자인 스튜디오에서는 다양한 패턴으로 편직된 제품이나, 편직물을 패치워크하여 신선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품들이 많이 보였다. 이들 디자인 스튜디오는 과거와는 달리 직접 편 직한 편직물을 소형 미니어처로 제품을 제작하여 패션업계에 제공하고 있는데, 패션기업들 은 이러한 디자인을 통해 니트제품의 디자인력 증진이 배양되고 있다.
[ 표 23 ] 니트의류 전문 디자인스튜디오의 제안 작품
C o d e Stu d io 는 주로 패턴 니트부문에서 월등한 디자인력을 보였으며 특히 핸드메이드 니트나 팬시트림을 사용한 니트 디자인의 판매가 좋았다. N ix e D esig n 은 전통적인 로맨틱 룩을 지향하는 디자인이 강세인데, 금번에는 빅토리안시대의 영감을 받은 장식물이나, 자수, 주름과 벨벳 트림 등에서 인기를 받았다고 한다. 구매고객의 선호색상은 블루, 와인, 자주와 보라, 그리고 실버 그레이 등이 강세였다고 한다. A qu ain t cou n try co llectio n은 예술적인 수공예적인 꽃패턴이 강세인데, 전통적인 아이즐 문양, 트위드나 프레이즈 등의 유럽피안 트 레디셔널 디자인이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G ary R o on e y Stu d io는 캐이블 편직을 혼용하는 기술이 뛰어난 스튜디오인데, 금번 고객들은 남녀성 공히 따뜻한 내추럴 솔리드 편사를 선 호하는 경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역시 파인게이지의 다양한 편직 제품이 최고의 인기를 끌 었다. So ph ie Steller Stud io는 민속풍 디자인(fo lk lo ok )에서 유명한데, 페루이미지의 민속품 패턴과 자수가 금번에도 주요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작은 벨벳 리본과 레이스, 그로켓 트림 을 목부문이나 가슴에 스모크 장식에 응용한 가디건이 제일 인기가 있었다.
■ 주요 편사기업의 신소재 개발 동향
B o tto Po ala는 방모사부문의 대표적 기업으로, 1 00% 캐시미어 원료에 여러번 꼬임을 준 파인 게이지용 편사와 2/ 48 s 캐시미어를 선 보였다.
B lu rin g 과 M ille filli는 스펀얀, 파인 부클레, 모헤어, 메리노와 아크릴 브랜딩 소재에 다양 한 프린팅과 색상을 보여주었고, 특히 비스코스와 혼방한 다양한 제품이 인기가 있었다. F ilati B e.M I.V a는 고급스러운 원료와 필라멘트사, 그리고 스트레치 얀을 혼합하여 착용성과 편직성이 좋은 신소재를 개발하였고, 특히 비스코스얀과 혼합된 제품이 인기가 있었다.
F ilp u cci는 소모 및 방모 편사에 새로운 혁신적 혼방기술을 보였는데, 슈퍼카드 모헤어 혼 방사나 비스코스와 앙고라 혼방사, 초극세 모사 등이 특히 인기가 있었다. L in ea più는 고급 성과 기술적 혁신을 한 편사를 제안하였는데, 초경량 극세 캐시미어사, 새털효과를 지닌 초 소형 부클레와 알파카 부클레 트위드, 메탈릭 광택 소재 등이 인기가 있었다.
L o ra & F esta는 고급 타소재와 혼방한 소모사부문이 강세인데, 금번에 새롭게 기술개발 된 캐시미어, 코튼, 스트레치사와의 혼방사, 메리노와 안고라 혼방사, 도네갈 트위드사가 인 기가 있었다. L o ro P ian a는 2 / 60s의 10 0% 캐시미어, 2/ 60 s의 코튼과 캐시미어 혼방사 부문 이 인기가 있었으며, 파인 게이지가 가능한 실크 혼방사도 인기가 있었다.
[ 표 24 ] 이태리 Pitti Filati 참가한 주요 편사기업의 출시 제품
3.3.니트제품의 신기술 동향: 독일 스포츠의류 및 용품 박람회(ISPO)
■ 세계 최대의 스포츠 의류제품 및 용품 전시회
세계 최대의 스포츠 의류 및 용품 전시회인 ISPO 는 스포츠웨어, 보드, 인라인스포츠, 라켓, 러닝, 아웃도어스포츠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시장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금번 2 006년 SUM M ER 전시회에서는 아웃도어제품 중에서도 노르딕 휘트니스(N o rd ic F itn ess)에 초점이 맞춰졌다. 아웃도어 제품 비중은 200 1년 2 7% 에서 20 04년 15억 매출규모로 31%까지 증가했 다. 업체 전문가들은 노르딕 휘트니스는 일시적 트렌드가 아닌 대중화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보고 있다. 노르딕 스포츠는 N o rd ic W alking , A lp in e N o rd ic W alk in g , N o rd ic B lad in g , N o rd ic R u nn ing 등 다양한 종류여서 다양한 종류 의 제품을 필요로 하며, 또한 최근에는 여성 뿐 아니라 남성들도 차츰 많은 참여를 하고 있 어 다양한 연령대와 성별의 인구가 유입되고 있기 때문에 좋은 품질의 트렌디한 제품에 대 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 신소재 및 봉제기술 개발 현황
■ 신소재기술
소재기술은 환경친화적 컨셉과 안전 운동력 향상 등에 대한 컨셉을 위해 점차 나노기술, 을 사용하는 것까지 발전하고 있다.
아디다스(ad id as)는 T PU (the rmo plastic p o lyu reth an e) 소재를 니트의류 및 신발에 까지 사 용하여, 움직임과 운동능력의 향상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 표 25 ] 독일 adidas의 Formotion TPU 제품
폴리머(p o lym er)소재는 일명 붕대효과(ba nd a ge effect)를 주기 위해 주요 근육부위를 보호 할 수 있는 위치에 사용함으로써, 근육은 더욱 활동성을 느끼는 "p re-start m o od "를 지원하 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F o rm o tio n ran g e는 달리기, 테니스, 그리고 축구 라인에 활용되었으 나, 최근에 아디다스는 전 스포츠분야에 확대하는 추세이다. 포모션 라인은 몸에 밀착된 의 류제품에 서로 다른 소재와 함께 사용하여 신체 주변에 보온과 함께 땀을 발산하는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예로써, 의류의 앞판은 바람의 저항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적용하 는 반면에, 겨드랑이 밑과 같은 땀발산구역에는 통기성이 좋은 기술을 적용하는 등 기술의 다양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특히 아디다스의 T PU 소재는 포모션컬렉션에서 아디스타 라인 (lth e A d istar ran g e)에 특별히 활용되고 있다.
미국의 듀퐁(D u P on t)은 몇 개의 새로운 기술을 발전시켰는데, 필라의 인라인스케이트에 사용한 새로운 플라스틱 조향장치시스템(p la stic ste erin g sy stem )이 있다. 이는 알루미늄을 대체하는 것으로, 일명 Z ytel 80G4 3로 불리우고 있다.
Ja ck W o lfsk in 은 나노텍스의 혁명인 ‘N a no -P el’을 사용하였는데, 스노우스포츠 제품에 주 로 적용되고 있다.
타이완 원단제조기업인 싱텍스(Singtex)는 2와 4방향성 스트레칭 원단을 개발․홍보하고 있다. 싱텍스는 미래에 가장 중요한 소재는 물에서도 신축성이 강하면서 초경량을 유지할 수 있는 원 단이라고 언급하면서, 보온성과 활동성, 그리고 Anti-UV를 제공하는 원단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 봉제 기술
[ 표 26 ] FALKE의 Ergonomic Sport System
특히 금번 시즌에는 서로 다른 기후에 인체가 스스로 적응하는 기술인 37°CC R-Techn ology™ 의 상품을 발표하였다. 허벅지나 무릎, 종아리 등 hypothermia되는 부위에 신속하게 열을 공급 하여 신체의 적절한 체온인 37°C에 최적화 되어 신체를 보호하는 기술이다.
[ 표 27 ] X-Technology의 37°CCR-Technology™
3D B ion ic S ph e re Sy stem ™ 는 기후적응의 기본 원리를 가장 잘 적합화한 기술로 , 기온에 민감한 등 중심부문, 겨드랑이 부문, 가슴 중심 부문 등에 터널과 고랑을 주어 직조한 원단 을 배색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인체에서 기후에 가장 민감한 부문을 찾았다는 의학적 기 술과 의복의 직조 기술을 상호 적합된 것으로, 결국 인체는 변화되는 환경 변화에 재빨리 적응하게 함으로써, 활동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컨셉이다.
[ 표 28 ] X-Technology의 3D Bionic Sphere System™
[ 표 29 ] Craft의 아웃도어 기능성 제품
금년에는 P ro D ri C rew S S 와 Pro D ri F ull T ee를 개발하여 발표하였는데, 기존의 땀 발 산의 원리를 기본으로, 신축성과 패션성, 그리고 보온성을 가미한 제품이다.
[ 표 30 ] Cratf社의 신제품
[ 표 31 ] Odlo社의 Quantum Run line
■ Color & Pattern Trend
과거에는 비치웨어에서 착안한 플로럴 패턴이 스포츠웨어에 주된 역할을 했으나 이번 시즌에, 는 일부 특정한 부분에만 사용하고, 기하학적인 스트라이프가 다음 여름의 주요한 패턴으로 부상되고 있다. 폴로셔츠나 T셔츠에는 수평 라인을, 바지나 스커트에는 수직라인을 사용하였다.
색상에는 라임(lim e), 화이트, 글라스그린(g ra ss-g re en ), 블루, 하늘색, 남색과 같은 선명한 컬러톤 들이 새로운 컬러 트렌드를 형성하였다. 비치웨어용으로는 오렌지에서 레드 베리, 핑 크까지의 과일 컬러들이 사용되었다. 모카나 쵸콜릿 컬러에서는 아프리카의 영향을 엿볼 수 있었다. 우아한 분위기의 여성복에는 파스텔 계열의 컬러가 섞인 누드나 스킨톤의 부드러운 컬러가 사용되었다. 남성복에는 싱글 컬러 제품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라임, g rass-g reen, 핑 크, 남색과 같은 컬러가 베이지나 모카 컬러와 함께 사용되어 남성복에 대담함을 더해 주기 도 하였다.
■ Design Trend
금번 ISPO의 스포츠웨어는 ‘로열 스포츠 웨어’라 칭할 수 있을 만큼 패셔너블한 최고급의 컬렉션을 선보였다. 최대한 편안하지만 동시에 최고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만 한 최상의 제품을 제안하였다. 또한 아웃도어나 휘트니스에서 따 온 요소들 뿐 아니라 클럽 스포츠인 테니스나 골프에서 영감을 받은 스포츠 웨어를 선보였다.
의류 제품에서는 젊은 소비자층을 겨냥한 매우 트렌디하고 패셔너블한 특징을 가지고 있 다. 또한 기능적인 측면도 강조되고 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새로운 가벼운 소재를 사 용한 울트라 라이트 자켓이다. 이 제품은 A d id a s, C raft, C o n cu rv e, H alti, M aie r Sp o rts, N o rth lan d 등 많은 브랜드에서 선보였으며 윈드 프루프 멤브레인 처리가 되어 있으며 소프 트한 느낌의 유연한 원단으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매는 지퍼를 부착하여 착탈식으로 되어 있으며 자외선 차단 기능과 형광소재까지 가미된 것들도 있다. 노르딕 스포츠 의류 제 품의 다른 큰 특징은 패셔너블하고 여성스러운 컷이었다. 복부를 드러낸 탱크탑이나 레그부 분이 착탈식으로 된 팬츠가 그 예이다. 악세서리에서는 패셔너블한 컬러와 디테일이 가미된 여성, 남성용 장갑에서 눈에 띄었다. Zien er의 새로운 B ion ic Su p po rt P ro tection Sy stem 은 손을 자연스럽게 보호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을 제안하였다.
■ Women's Wear
이번 시즌 여성복에서의 관심은 주로 스커트로 전통적으로 무릎길이의 플레어 되거나 , 넓 게 주름이 잡힌 스타일이 인기를 얻었다. 그리고 스포츠웨어는 몸에 잘 맞는 순면이나 마와 혼방된 것으로, 스포티함을 가미하기 위해 벨트루프나 카고 포켓, 드로우 스트링 등으로 장 식되었다. 카프리나 버뮤다 팬츠도 스트레이트 레그나 부츠컷 스타일로 제시되었고, 데님 제 품들은 자수나 스티치, 체인, 아플리케 등으로 장식을 많이 한 스타일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큰 트렌드로는 민소매나 짧은 소매의 폴로셔츠. 여기에 전통적으로 폴로셔츠에 사용되어오 던 피케 뿐 아니라 순면 저지가 큰 유행이었고, 또한 시원한 여름을 보내기 위한 자켓들도 다양하게 선보였다.
전반적으로 여성복에는 가는 허리를 강조하는 것이 주된 추세인데, 린넨 보일이나 저지, 면으로 된 무릎길이의 장식이 많이 된 스커트와 산둥 실크로 된 자켓과의 코디를 제안하기 도 하였다. 큐롯이나 하렘 팬츠는 스포티한 상의에 비해 볼륨감 있는 상체를 강조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 Men's Wear
20 06년을 위한 남성복 라인은 예년보다는 조금 느슨해 진 편이다. 5-p o ck et 팬츠나 주머니 로 장식된 카고 팬츠, 허리에 드로우 코드가 있는 플리츠나 캐주얼 스타일 등이 주요 아이 템으로 제시되었고, 여기에 대비되는 컬러의 사이드 심 장식은 스포티한 느낌을 더욱 강조 하고 있다. 폴로 셔츠 뿐 아니라 소매를 걷어 올리기 위한 벨트가 장착된 긴 소매 셔츠도 인기였다. 가볍고 얇은 면소재의 V-ne ck 스웨터와 면으로 된 아웃도어룩 자켓이 매칭 아이 템으로 제안되었다.
정제된 라인에 편안함을 더한 스타일에는 시어서커나, 크레이프 등 표면 요철감이 있는 소 재로 처리된 것 뿐 아니라 피케, 립 등으로 장식되어 다양한 외관을 나타내었다. 팬츠는 주 로 느슨해졌으며 스포티한 자켓이 코디되었는데, 'sh a bb y ch ic' 풍의 고풍스런 멋을 위해 헌 옷 같은 분위기를 내기도 했으며 자수와 프린트로 장식을 하기도 하였다.
■ Style Trend
전반적으로 금년의 패션쇼에서 보여 진 스타일 특징은 제품의 고급화와 디자인의 감도화 가 매우 높아졌다는 것이다 특히 색상 트렌드가 전반적으로 밝아지면서 디자인도 대범하. 게 기획되었고, 그래픽 디자인을 포함하여 감도적인 조합이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이는 스포츠 용 제품이 패션화경향으로 많이 이동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특히 일반 의류브 랜드가 스포츠 라인으로 확장하는 예가 많았다는 것도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 the classic high sports fashion
클래식한 곤색과 흰색이 빨강, 초록, 노랑과의 조화를 이루는 네이게이터 트렌드, 흰색 바 지, 커다란 사이즈와 몸에 밀착되는 사이즈의 제품이 상호 코디를 통한 새로운 스타일을 창 출, 추상적 이미지의 프린터와 약간의 로고 디자인, 그리고 스트라이프의 전반적인 강세, 소 재의 고급화 경향 등이 주요 트렌드로 분석되었다.
■ Urban Sports Casual
미래의 은 좀 더 고급화 감도화 건강한 미 등을 추구할 것으로 U rba n S po rts C a sua l , , 분석 되고 있다. 빨강과 초록 등의 밝고 강한 색상들의 강세, 흰색과 검정의 독점화, 스트라이프 와 체크, 아가일 등 영국풍 클라식 스포츠 디자인문양의 인기, 원단의 믹싱과 자수 및 수공 예된 클로켓의 패치워크 등 H ip py C hic 이미지의 영패션 등이 인기였다.
Board sports Fashion
보드스포츠는 젊은이의 정열과 열기 폭발적인 감정적 활동 등이 주특기로써 스포츠디, , 자 인의 새로운 영감을 주는 유일한 장르가 되었다.
일반 스포츠웨어와는 달리, 브라운, 오렌지, 그리고 흰색과 조합된 노랑색 등이 주도, 체크 와 꽃문야 프린터의 믹싱, 여성복에서는 카키, 핑크, 산호 및 흰색 등이 주조색이면, 남성복 과 아동복에는 밝은 그린이 주조색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3/ 4기장의 스포츠 팬츠 가 여성복의 핵심 상품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 Beach fashion
비치와 스윔웨에는 역시 밝은 색조가 거의 우세한 편이었다 빨강 파랑 그리고 오렌지 . , , 등은 색 조는 물방울 문양과 꽃무늬, 기하학적 문양이 어우려져 색다른 이국적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여 성복은 물론, 남성복까지 오렌지, 레드, 터쿼아즈, 그리고 핑크가 주조색이 될 전망이며, 그린도 중요 색상으로 지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단순한 그래픽 로고 디자인과 함께 흰색과 검정의 조합이 부상되고 있고, 꽃문양도 밝은 색상과 조화되어 지속 인기를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 Tennis Fashion
최근 테니스에서 아름다운 여성 경기자가 패션을 겸비한 유니폼을 착용하여 인기를 얻으면 서 스포츠에서는 테니스가 새로운 디자인트렌드로 부상되었다 테니스 패션에는 빨강 , . , 검정, 그리고 연한 파랑 등이 주요 색상인 흰색과 어우려져 있으며, 봉제선(Seaming)의 다양한 곡선 화는 단순하지만 클라식한 활동적 아름다운 표현하고 있으며, 신선한 악센터로 은색이 다시 재 조명 되고 있다. 그리고 문화유산적 이미지를 가진 레트로 로고타잎이 증가되고, 가방과 기타 악세서리 등의 제품내 생산 포지셔닝이 넓어지고 있는 것도 주요 트렌드로 분석되었다.
3.4.니트제품의 디자인트렌드 동향 프랑스 : 파리의 스트리트 패션
■ 전반적인 패션트랜드 경향
[ 표 32 ] 파리의 패션트렌드 key word
프랑스 파리는 전세계 패션유행을 한자리에 모아 놓은 도시이다. 특히 금년은 그 어느 때 보다 화려하고 개성이 강해 화려한 도시를 창조하고 있다. 금년 파리 스트리트의 늘씬한 마 네킹들이 입고 있는 옷은 대개 두가지 스타일로 나뉜다. 어린 소녀에서 성숙한 여자로 성장 해가는 과정을 담아낸 예비숙녀(P re L ad y ) 스타일과 아프리카 인도 등지에서 영감을 얻은 이국적(에스닉)인 스타일이다. 정장풍을 즐겨 입는다면 예비숙녀 스타일을, 일상에서의 탈출 을 꿈꾸고 있다면 에스닉 스타일을 눈여겨 볼만하다.
■ 여성패션은 극단적인 로맨틱 무드
■ summer's bohemian & ethnic
전반적으로 아프리카, 인도, 지중해를 대표하는 토속성이 강조된 이국적인 옷들도 많이 출 시되었다. 에트로, 블루마린, 돌체 앤 가바나, 프라다, 구치, 겐조, 카샤렐 등은 마치 약속이나 한 듯 아프리칸 스타일의 강렬한 색감과 패턴, 장신구, 인도전통의상인 사리를 닮은 드레스 등을 내놓았다. 금번의 이국적인 스타일은 색상이나 프린트를 원 포인트로 활용하거나 나무 소재의 액세서리, 가죽 벨트 등 소품을 활용해 모던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로 풀어내고 있 다. 올봄의 대표적인 프린트는 강렬한 느낌의 투톤 컬러와 패턴이 갈색을 중심으로 펼쳐지 는 아프리칸 스타일, 인도나 모로코 풍의 정교한 올챙이 무늬다. 이국적인 스타일과 도시적 인 고급스러움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두가지를 같이 입는 믹스 & 매치가 파리여성의 멋내기 의 키 포인트. 페이즐리 무늬 스커트에 현대적인 감각의 줄무늬 셔츠를 입고 큰 사이즈의 나무 소재 목걸이를 하면 이국적이면서도 세련된 멋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웰빙 트렌드가 산업전반에 폭 넓게 영향을 미치면서 그린 마케팅의 전 략적 포인트로 삼고 있어 녹색바람이 지속되면서 부드러운 느낌의 애플 그린 옥색에 , , 가까 운 인텐스 제이드 그린 등 다양한 녹색이 드레스와 티셔츠, 니트 등에서 보여 진다. 녹색이 섞인 꽃무늬 등 자연물이나 기하학적인 패턴의 블라우스, 니트 등을 흰색, 아이보리색 등 연 한색의 겉옷과 같이 입으면 자연스럽고도 세련된 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 녹색과 함께 자연 친화적인 연한 베이지색, 갈색, 옅은 회색 등도 올봄 유행색으로 꼽히고 있다.
■ Lady Like Formal
환편니트는 지난해 유행했던 성숙한 느낌의 요조숙녀 스타일에 캐주얼한 (L ad y L ik e) 감성 이 더해진 것으로, 좀 더 어려지고 경쾌해졌다. 전반적으로 허리선을 싹뚝 잘라낸 듯한 짧은 박스 스타일의 크롭트 재킷과 볼레로, 볼륨있는 A 라인 스커트가 유행하였고, 촘촘히 주름을 잡아 볼륨감을 최대한 강조한 주름 스커트나 안에 망사 속치마를 넣어 풍성하게 퍼지는 스 커트 등 여성스러움이 강조된 스타일이 많은 편이다. 특히 잘록한 허리 아래로 넓게 퍼지면 서 주름이 잡히는 서큘러(circu lar) 스커트는 우아하면서도 로맨틱해 미니스커트의 인기를 넘 어서고 있다.
■ 남성 패션도 트레디셔널 럭셔리 경향
■ 남성니트패션도 극도의 판타지와 장식의 유행
색상은 브라운과 베이지 외에 한층 밝아진 그레이가 주를 이룬다 아쿠아블루 혹은 . , 라이 트블루가 부분적으로 보이는데 이와 같은 활기찬 컬러는 아플리케 방식과 수채화 기법을 통 해 표현되는 이국적인 야생식물이나 풍부한 꽃 종류의 패턴과 조화를 이룬다. 식물세계로부 터 얻은 신선한 영감은 금속과 광택나는 소재의 장식으로도 활용, 한층 고급스러운 느낌의 시각적 효과와 감촉을 더해준다. 소재는 반짝거리는 광택소재와 가볍고 부드러우면서도 탄 력성이 있는 고급 소재로, 실크와 모헤어를 비롯해 신축성이 뛰어난 스트레치 소재가 주로 쓰인다. 특히 이번 시즌 대중적인 소재로 등장한 실크는 특유의 고급스러움과 함께 테크니 컬한 금속사 및 코팅 소재와 더불어 새로운 유행경향으로 소개되었다. 실크와 모헤어 혼방 같은 고급 소재에도 스트레치 기능을 넣어 한층 실용적인 기능을 강화한 것도 특징이다. 셔츠는 스트라이프 패턴이 주종을 이루면서도 이국적인 식물, 꽃, 정원 등이 화려하게 그래 픽 처리된 패턴이 트렌드로 나타났다. 프린트 셔츠는 지난 시즌의 강렬한 분위기에서 훨씬 부드러우면서도 도회적인 세련된 도시감각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 반면 트레디셔널 감성도 지속
물론 영원한 클래식인 복고적인 영국풍도 사라지지 않았다. 에스틱과 함께 단순한 실루엣 과의 조화는 새로운 남성상을 제시한다. 원래 니트나 블라우스 등에 포인트를 주기 위해 들 어가던 초록색이 올봄엔 아예 의류의 주인공이 되었다. 남성 캐주얼 의류는 물론 액세서리, 핸드백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초록빛이 강렬하게 퍼지고 있다.
1. 국내 니트의류산업현황
1.1. 국민경제상의 위상
국내 니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20 03년 현재 사업체수가 8.9% , 종업원수가 6 .1%, 생산액이 2.4% 에 달하고, 편직업만으로도 각각 1 .3% , 1.0% , 0 .6%를 차지하 고 있다. 또한 섬유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 8.9% , 50.7% , 46 .1% 이고, 편직업체만으로도 각 각 8.9% , 8.3% , 11 .9%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지난 19 99년에 비해 사업체수와 종업원 수, 니트의류의 수출은 소폭 감소된 것이다.
[ 표 33 ] 국내 니트산업의 기업 활동 추이
1.2. 업체현황
대한니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 조합원 업체를 기준으로 국내 니트업계의 업체현황을 살 펴보면, 200 3년도 현재 1 ,4 70개 업체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지난 20 00년 1,537개 보다 4 .4% 감소된 것이다. 니트 업계는 전반적인 섬유 경기 침체의 여파로 95년도 이후 전 업종에 걸 쳐 감소추세를 보여 왔는데 특히 ‘97년 IM F 사태를 계기로 도산, 폐업하는 업체가 발생하면 서 크게 감소한 후 IM F를 극복한 ‘99년부터 장갑업종의 조직화율 제고 등으로 업체수가 조 금씩 증가되었으나 20 02년 후반부터 내수 부문의 불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 등으로의 설 비이전 및 폐업이 늘어나면서 200 3년도에는 다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업체 수는 높아진 원․부자재 가격과 더욱 심화되고 있는 구인난 및 제조업을 기피하는 사회 풍조까지 겹치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F_009)
[ 표 34 ]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업체수 현황
업종별로 2003년도 현재 현황을 살펴보면, 환편업종에서는 2000년 보다 7.3% 감소한 32 7개 업체이 며, 스웨터 등을 편직 하는 횡편 업종은 20 00년보가 1 .4% 증가된 1 41개 업체가 활동하고 있다. 양 말업종은 90년대 초부터 수출 호 조로 업체수가 계속 증가하여 2 000년에는 201개 업체까지 증가 하였으나 200 0년 이후 계속 감소 하면서 2 003년도에는 1 69개 업체 가 되었다. 장갑업종은 90년 이후 신규장갑조합의 설립으로 조직화율이 제고되면서 199 5년 에는 7 96개 업체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비교적 영세한 장갑업체들이 협동조합을 통한 조직화가 대외 협상력 강화로 이어져 개별기업 및 업계 전체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으로 인식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후 IM F 사태를 겪으 며 계속 감소하여 2003년도에는 701개 업체가 되었다. 향후 전망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면 장갑에 대한 조정관세가 99년부터 해제된 이후 중국산 저가 장갑제품의 대량유입과 원자재 가 격 폭등 및 무분별한 설비 도입에 따른 과잉설비 문제 등으로 채산성 악화가 불가피 한 것으 로 판단되며 업체 수 또한 감소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편 업종은 90년대 이후부 터 해외 수출 호조로 니트업종 중 가장 경기가 활성화된 업종으로 그동안 대기업의 스판덱스 경편 원단 내수시장 진출과 관련한 대․중소기업간 분쟁은 있었으나 대기업이 2001년부터 생산 량을 줄이기 시작하여 2002년에는 생산을 중단하므로써 분쟁이 해결된 바 있고, 97년부터 중 국의 대외 수출 강화 전략에 따른 생산량 증가 및 저가 공세로 우리 제품이 해외 주력 수출시 장에서 위협받으며 수출이 감소하기도 하였으나 2002년 이후부터 다시 소폭이지만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3년 현재 업체 수는 2000년도 110개 업체에서 15.4% 증가한 130 개가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02년에 대구지역의 경편 업체 수가 비교적 큰 폭으로 감 소한 것이 계기가 되면서 향후에도 대규모 구조조정이 진행될 분야이다.
[ 표 35 ]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조합별 업체현황
1.3. 시설현황
편직업계의 시설 보유현황을 보면, ‘87년 이후 정부로부터 지원된 산업기반기금 중 생산성 향상자금의 지속방출로, 자동화 설비개발 및 성력화의 추진이 향상되어 업종별 시설보유량 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시설노후도 또한 30~ 4 0% 까지 현저히 낮아졌다.
9 7년 대비 20 00년 말에는 1,246대가 증가된 33 ,6 13대로 집계되고 있어서 시설규모의 증가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 설비의 성능도면에서는 아직 선진국 수준에 이르지 못하 고 있는 실정이다.
[ 그림 13 ] 국내 니트업종별 보유기계량 추이
[ 표 36 ] 국내 니트업종별 보유기계량 추이
한편 대한니트연합회 조합원 업체의 편직 설비 대수는 200 2년도 35 ,0 33대에서 33 ,0 76대로 1 ,9 57대가 감소하였는데 조합원 업체의 해외로의 설비 이전의 영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기종별로 살펴보면 환편기는 6 ,8 88대로 전년대비 507대 감소하였고 횡편기는 컴퓨터 자동 횡편기 도입 등으로 전년도에는 증가하였으나 2 003년도에는 6 ,0 20대로 51대 감소하였 다. 조합원 업체의 경편기 및 장갑기는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된 반면 양말기는 증 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표 37 ] 업종별 조합별 보유기계 설비현황
현재 세계 섬유소비 패턴은 제품주기 단축으로 제품의 개성화, 고급화를 위한 다품종 소 량생산체제를 구축해 감으로써 편직업계의 자동화 설비 및 고성능 기계 등 첨단, 고급기종 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 편직 기계산업이 선진국 경쟁에서 어깨를 겨 누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지원자금의 규모확대, 기초 연구단계 뿐 아니라 상품화 단계에 이 르기까지 기술범위의 확대, 지원절차의 간소화로 적정, 적기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내 편직기계 산업을 살펴보면 선진국(일본)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볼 때 기술 격차가 좁 아졌다고는 하나 아직도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국내 편직기계 산업이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대등한 수준으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은 물론이려니와 지원자금 규모의 확대, 기초연구단계뿐 아니라 상품화 단계에 이르기까지 기술범위를 확대하고 지원 절차는 대폭 간소화하여 적정수준, 적기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또한, 국내 개발기술에 대한 법적 보호조치를 강구하고 공공검정기관의 엄격한 기술평 가를 실시하는 등 국내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반 여건이 조성되어야 하며, 나아가 편 직업계의 다품종 소량생산체제에 대한 대응력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1.4. 원료사 소비현황
최근의 니트용 소재의 소비 성향은 다양한 소재를 요구하는 소비자 니즈에 부응하면서 보풀을 덜 생기게 하고 옷의 모양을 잡아주는 역할에서 보다 효과적인 혼방사의 비중이 높 아지고 있다. 니트용 소재로는 흡습성이 좋고 피부에 닿는 촉감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인 면 이나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모, 마, 실크 등의 천연섬유 외에도 아크릴, 레이온이나 아세 테이트 등의 화학섬유도 폭 넓게 채택되고 있는데 광택이 좋은 레이온은 다른 섬유와의 혼 방으로 여름용 스웨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과거 10 0% 단사로 활용되던 아크릴 필라멘 트사도 최근에는 면 또는 레이온과의 혼방 제품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웰빙 트렌드에 따라 기존의 소재에 각종 기능성을 가미한 신제품이 대폭 출시되어 소재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양적 성장에서 질적인 성장으로 전환되고 있는 니트업계 입장에서는 크게 반길 만한 일로 평가된다. 특히 스포츠 또는 레져 의류에서는 폴리에스터사에 흡한 속건 기 능을 가미한 듀퐁사의 쿨맥스를 비롯하여 코오롱의 쿨론이나 효성의 에어로쿨 등을 소재로 한 제품이 소비자에게 크게 어필되면서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소재별 원사 소비실적을 살펴보면 2 002년도에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2 003년도에는 전 체적으로 10% 이상 감소하였는데 이는 국내 경기 침체와 니트웨어 수입이 급증하면서 내수 위주 업체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면사 소비는 90년대부터 꾸준히 증가추세 를 보여 왔으나, 내수경기 침체로 인해 200 1년 전년대비 0.6% 감소에서 2 002년은 1 .5% 증가 하였으나 2 003년도에는 수출물량 축소와 내수 부진 및 생산설비의 중국 이전 등의 영향으로 1 9% 에 이르는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내었고 혼방사 소비 또한 6%의 감소를 보였다.
스웨터 제품의 주원료인 아크릴사는 2 001년 이후 계속 증가세를 보였으나 20 03년도 스웨 터 부문의 수출 물량이 대폭 축소되면서 마찬가지로 약 10% 감소된 것으로 파악되었고 나 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모사, 기타사도 예외 없이 격감하였다.
[ 표 38 ] 국내 니트산업의 원료사 소비실적
1.5. 고용현황
니트산업은 기본적으로 봉제공정을 수반하는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설비의 자동화 성력화 에도 불구하고 일정수준까지의 인력수급은 필수적이다. 그동안 우리 니트산업은 낮은 임금 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고도성장을 거듭해 왔으나, 최근에는 단순 기능 인력은 물론 공장잡역 인부에 이르기까지 제조업 인력난이 더욱 심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제조업 경 시풍조에 따라 국내 기술 인력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운데다 어렵게 양성해 놓은 기술자조 차도 창업 또는 타 분야로의 전직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많은 중소기업들이 대부분 외국 인 력에 의존하고 있으나 외국인 기술인력 또한 고용허가제 도입 등으로 2년 또는 3년 동안 한 시적으로 고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출물 량의 대폭 축소와 중국으로의 설비 이전 및 내수 침체 등의 영향과 외국인 노동력에 대한 고용허가제 도입으로 인력난의 심화현상은 생산기반이 붕괴될 정도의 심각한 양상을 띠고 있다.
[ 그림 14 ] 국내 니트산업의 고용인력 증감 추이
양말 업계의 경우를 예로 들면 중국은 기계 대를 한 명의 기능 인력이 운용하고 2~3 있으 나 우리는 2 0여대를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종 특성상 생력화가 불 가능한 부분은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데 원가를 맞출 수 있는 범위내의 임금 수준에서 인력 을 구하는 것은 갈수록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제조업 전반의 인력문제를 니트업계가 직접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정부가 주관하 여 생산 자동화와 정보화, 파트타임제 고용 등의 동원 가능한 일시적인 대책들을 꾸준히 추 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기업에서 품질과 디자인을 앞세운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통하 여 고임금화한 기술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 여건을 마련하고 시설부문에서 성력화에 주력 하여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기계에서 한 벌의 옷이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완성되는 홀 가먼트 시스템은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이태리,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도 저부가가치 업종의 인력난 문제는 업계가 나서는 직접적 인 해결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규정짓고 있다. 반면, 기업에 요구하는 형태의 인력 양성과 제는 정부보다는 학계와 산업계 책임으로 인식하고 있고, 정부는 보다 포괄적이며 장기적인 교육정책을 통하여 기본 소양을 갖춘 인력 배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한편 200 3년도 니트업계에 고용된 전체인원 2만5천6백5십1명은 전년보다 1,77 1명 감소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소현상은 환편업종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데 중국으 로의 설비 이전과 내의 내수시장의 규모 축소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와 더불어 2 003 도 직종별 감소추세를 살펴보면 사무직 근로자는 전년대비 남자가 14명, 여자가 1 1명 감소되 었고 생산직 근로자는 전년대비 남자가 27 0명 감소된 5,90 4명 여자는 1 ,4 86명 감소된 1 8,231 명으로 집계되었다.
[ 표 40 ]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직종별 고용현황
2.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수급동향
2.1. 생산동향
[ 표 41 ] 국내 니트제품의 생산실적 추이
■ 환편업종
[ 그림 15 ] 환편업종의 제품별 생산증감 추이
20 03년도 T 셔츠 및 내의 시장은 전반적으로 매우 부진한 한해였 다.
T 셔츠의 경우 내수 시장에서의 소비 감소율이 1 2% 에 달했으며 수출 물량은 무려 23% 가 감소하였다. 단, 물량의 감소 폭에 비하여 금액 기준으로는 11 .5% 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어 T 셔츠의 수출은 비교적 단가가 높은 고가 위주의 제품으로 대체되는 추세인 것으로 파악되 었다. 내의 소비시장은 20 00년 이후 시장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2 003년 상반기부터 구 입규모, 구입량 모두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중국으로부터의 내의 수입량은 금 액기준으로 남성용 내의가 6 0% 여성용 내의가 3 5% 로 급증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국 내 생산 업체가 유통부문만 남겨 놓고 생산 설비는 중국으로 이전하여 현지에서 생산된 제 품이 ma d e in ch in a 상표를 부착하고 국내로 수입되는 사례가 늘고 있는 현실과 무관치 않 는 것으로 보이며 국내 내의 소비시장의 침체 요인은 200 2년도 하반기부터 이어진 경기 침 체의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횡편업종
[ 그림 16 ] 횡편업종의 제품별 생산증감 추이
스웨터 업계는 9 0년대에 미국으로부터 반덤핑 제소를 당한 이후, 매년 수출 물량이 줄어 들면서 침체국면이 장기화 되고 있었으나 20 00년 이후 다시 세계의류시장이 니트제품을 선 호하는 형태로 전환됨에 따라 수출 경기가 회복되는 추세에 있었으나 200 3년도에는 유럽, 아 시아 지역의 수출이 소폭 증가한 반면 미주 지역 수출이 금액기준으로 1 3.7% 로 대폭 감소하 고 내수 시장 또한 위축됨에 따라 침체국면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단일업종 최대의 수출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에 있 는 생산 시설을 바탕으로 다소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도 여전한 미․일 지역 편중에서 탈피 하여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고 신소재 개발, 다양한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패션 상품을 바 탕으로 가격 외적인 차별화를 이루어 낸다면 저가의 중국 제품뿐만 아니라 궁극적인 경쟁상 대인 이태리 등의 선진국과 충분히 경쟁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고가품 시 장에 적합한 제품 개발이 활성화된다면 제 의 전성기를 구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2 . , 대일 의존도가 높은 설비투자 부담을 다소나마 줄일 수 있는 세제면에서의 지원과 횡편기의 국산 화 개발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한편, 스웨터 제품의 생산실적을 살펴보면 200 2년에는 5 .6% 가 증가된 1 80,71 7천매를 생산 하였으나 2 003년도에는 11% 감소한 16 0,477천벌을 생산하였다.
■ 양말업종 및 장갑업종
[ 그림 17 ] 양말 및 장갑업종의 제품별 생산증감 추이
양말업종에서는 수출 위주의 업체는 다변화된 수출지역과 선진국 경기가 호전됨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중국의 저가 공세에 따라 범용제품 시장에서 국내 업체의 채산성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 디자인, 소재 부문에서의 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다품종 소롯트 생산에 의한 기능성 패션 양말 시장은 국산제품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03년도에 수출을 살펴볼 때 물량기준으로는 2.42% 하락하였으나 금액기준으로 0.5% 하 락하여 저가의 범용 제품보다는 비교적 신소재를 적용한 스니커즈 등의 기능성 제품의 수출 이 늘어나면서 업체의 수출 품목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선진국 등 해외 경기가 나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출량이 감소한 것은 대량 오더 중심의 중국 의 저가 제품에 동종 시장을 잠식당한 것이 그 원인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 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수출 위주의 업체가 해외시장에서의 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목표시장 을 국내 시장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부문은 대형 할인마트에서 중국산 저가 제품을 납품 받아 판매하는 경우가 대폭 늘어 나면서 중국산 양말의 국내 시장 유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인지도가 높은 . 라이 센스 브랜드 위주의 백화점 유통은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웰빙트랜드에 따 라 기능성이 가미된 패션 양말의 수요도 꾸준한 것으로 파악되나 국내 장기간 계속되고 있 는 불황의 영향으로 저가 및 고가 시장의 양극화 현상과 함께 전체적으로는 침체 국면이다.
장갑업종은 IM F 사태를 계기로 일대 조정 국면을 맞은 이후 2 003년도에 이르기까지 나 름의 호황을 누려왔으나 시장진입이 비교적 쉬운 업종 특성에 따라 내수 시장에서는 설비 확대에 따른 공급 과잉과 과당경쟁으로 완성품의 가격이 하락하여 채산성이 악화되었다. 그 러나 수출의 경우 물량을 기준으로 하면 1.61% 하락한 반면 금액 기준으로는 무려 2 6% 증 가한 것으로 조사되어 수출업체의 수익률이 전년도에 비해 대폭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입은 전년도에 비해 14 .7% 증가하였는데 특히 중국산 저가 면장갑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 어 내수 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원자재 가격은 국내 경기와 계절적 수요에 맞물려 상승과 하락의 폭이 크게 나타나는데 원자재 가격 상승 시에는 완제품 납품 가에 적정한 가격으로 적기에 반영되지 못하는 반면 하락하는 경우에는 유통업체에서 즉시 에 납품가격을 인하토록 요구하기 때문에 그 피해도 고스란히 업체가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 다. 현재의 생산량 수준은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 내수규모를 초과하고 있어 업계가 지속적 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이 요구된다. 장갑 업종은 조직화율이 7 0% 이상으로 타 업종에 비해 높은 편인데 이는 자립기반이 취약한 영세업체 비율이 높아 원자 재 구매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조직화를 통한 공동체제 구축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생산규모는 내수시장 침체와 면장갑이 수입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속 감소하였다.
■ 경편업종
경편업종은 트리코트 조직과 랏셀조직 등 크게 2가지 조직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성용 파운데이션 및 란제리 등 의류에서부터 시트커버, 커텐지 등 비의류용까지 생산제품의 폭이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산업용 소재와 첨단 과학의 스포츠 의류 소재로 활 용됨에 따라 전략상품화의 가치가 매우 큰 업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타 업종에서와 같 이 편직기술 및 제품개발에 장애요인이 되고있는 소재의 빈곤과 고가 설비도입에 따른 자금 력 취약이 향후 업계가 해결해 가야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자금 확보면에서는 기술 력과 성장 가능성이 충분함에도 담보능력 부족으로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정책자금의 배정에 서도 제외되는 등 애로를 겪고 있는 성장 유망업체에 대하여는 적절한 평가에 의한 자금 지 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그림 18 ] 경편업종의 제품별 생산증감 추이
경편업계는 판매의 상당부분을 해외시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업계가 현재 생산기반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해외시장 셰어 확대가 당면 과제인데 최대 수출 기지인 홍콩에서 섬유업종 대부분이 그렇듯 치열하게 중국제품과 경쟁하고 있다. 이는 IM F 를 겪으며 중국으로 이전한 많은 국내 설비들에 의한 생산품이 다시 해외시장에서 우리제품 과 경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업계를 더욱 긴장시키고 있다.
여기에 해외시장에서 우리업체간의 제살 깍아 먹기식의 과당경쟁도 더해져 업계의 대내외 적인 어려움이 가중되어 향후 지속적인 발전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 또한 대기업들의 과도 한 시장잠식 현상은 협의를 통해 스판덱스 부문의 잠정적 생산 중단을 이끌어 냈듯이 중․ 소경편업체들이 합심하여 지속적인 협의를 통한 사업조정을 해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트리코트 및 랏셀 원단을 소재로 하는 경편 2차 제품업계는 랏셀 분야에서 파운데이션 등 여성 내의류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패션 및 인체공학을 이용한 고기능성제품들을 대거 출하함으로써 제품고급화의 단계가 한층 성숙되고 있다. 또한, 트리코트원 단은 산업용소재로써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어 이 부문에 대한 업계의 연구개발 노력과 이에 대한 성과가 향후 업계의 발전영향을 가늠하는 핵심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되어지고 있다.
경편원단의 수출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19 98년도에 금융위기로 인한 업체들의 자 금난, 수출부진 경기부진으로 생산실적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19 99년도, 2 000년도에는 증가추 세를 보여 왔고, 20 01년도에는 다시 감소되었다가 2 002년도에 원단을 중심으로 물량면에서 증가 하였다. 그러나 2 003년도에는 소폭 감소하였고 수출단가 또한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년 수준보다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트리코트원단은 200 2년도에는 전년대비 4 .5% 증가에서 2 003년도에는 2.4% 감소를 보였으며 랏셀원단도 2 002년도에는 전년대비 2.5% 증가하였으나 2 003년도에는 1.2% 감소세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경편 원단의 생산실적은 2 002년은 4% 증가 세를 보였으나 2 003년도에는 2 .2%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리고 경편 제품은 20 01년은 전년대 비 2 .5% 증가에서 20 03년은 2.4% 로 감소하였다.
2.2. 수출동향
■ 6~70년대 한국 섬유수출의 견인차 역할
우리나라 니트제품은 60년대에 들어서면서 근대화된 형태의 공장이 세워지고 수출산업으로 육성되기 시작하여 지난 30여년 간 섬유산업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급속한 성장 을 견인하여 왔다. 니트의류제품은 1988년에 전체의류제품 수출의 35.2% 차지하는 30억불을 수 출하였다. 그러나 80년도 후반이후 대내외적인 급격한 환경변화의 영향과 90년대 초기부터 반 덤핑규제 및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의 절상과 노사분규 및 고임금으로 인해 국내 생산 기반이 급격히 위축되었다. 더욱이 1997년 말 규제 통화기금의 통제를 받는 처지가 되면서 많 은 설비들이 헐값에 중국 등 해외로 이전된 것은 물론, 생산 기술도 자연스럽게 이전되면서 우 리의 산업경쟁력은 점차 하락되었다. 결국 해외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경쟁력이 떨어지게 된 원 인이 되면서 급속한 수출 감소세를 이어간 결과, 2004년에는 지난 1988년의 1/2 수준인 17억불 수출에 그치게 되었다. 이와같이 우리 수출환경이 더욱 악화된 이유 중 하나는 중국, 인도네 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저임금을 바탕으로 저가 물량공세를 취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중국의 섬유산업의 수출 급신장은 동남아, 인도 등 아시아 지역 개도국 섬유산 업의 수출촉진 정책을 유발시켜 세계섬유 무역에서 아시아 개도국의 비중을 높이게 되었다. 중국은 미국, 일본, EU 등 선진 지역에서 이미 최대 수출국이 되었으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개도국들이 중저가 섬유제품의 생산기지화가 되어가고 있다.
[ 표 42 ] 국내 섬유산업의 업종별 수출 추이
[ 그림 19 ]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수출액 추이
[ 그림 20 ]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수출액 증감추이
[ 그림 21 ] 국내 니트제품의 수출 단가 추이 (per KG)
■ 고급 남여성 니트봉제 외의류 수출은 호조세 반면 니트봉제 단품류로 수출 급감
20 04년 니트의류제품수출은 17억 23백만불로써 지난 9 0년의 14억 98백만불 수준에서 매년 3 .3% 씩 감소된 결과이다. 수출 감소폭이 큰 품목은 H S 6 108과 610 7로 남여성 내의류, HS 6 105과 6 106로 남여성 셔츠류, 그리고 HS6 110 횡편스웨터 등으로 니트제품 수출의 견인차 역할을 하던 품목들이다. 이는 중국산 범용제품의 저가공세에 밀리면서 해외 시장에서 점유 도가 대폭 줄어들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물량의 감소폭은 금액 기준보다 더 큰 것으로 파악됨으로 우리 수출품이 단 품종 대량생산의 저가 제품에서 다품 종 소롯트 체제의 고가품 위주로 재편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반면, 수출 증가폭이 큰 품목은 HS 611 3 가공의류, HS6 114 기타의류 등 수출양이 많지 않는 특수품목들이고, HS 6 102와 H S 610 1은 고가의 남여성 외의류 품목들도 수출량은 많지 않으나 점차 수출이 증가 되는 고급품목들이다. 그리고 머플러, 스카프, 쇼올 등의 의류부속품인 HS 6117도 증가폭이 큰 편이며, HS 6116의 장갑품목도 꾸준한 증가세에 있다. HS 6109 티셔츠 품목도 매년 3.3%의 꾸준 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편이다. 이들의 수출비중은 미비하나, 수출단가 측면에서 고가의 제품이므 로, 향후 중국 등 섬유 후발국의 추격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함으로써 국내 니트 업계 의 안정적인 생산기반 유지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 그림 22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 표 43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한편 년에 당 불 하던 니트의류제품의 수출단가가 년에 불로 하락하면서 , 2000 Kg 16.3 2001 14.7 수 년 동안 14불대에 있었으나, 2004년에 15.5불로 반등하였다. 그 이유는 HS 6101, 6102의 남여성 니 트봉제외의류의 수출 신장세와 더불어 수출단가도 각각 Kg당 16.3불, 21.4불로 전년대비 10% 이상 상승한 것의 영향으로 조사되었다. 더욱이 단일품목으로는 최대의 수출을 달성하는 HS 6110의 스 웨터 품목도 수출 하락폭이 다른 품목보다 낮은 편이고 더욱이 수출단가는 14.3불로, 전년도 12.5 불 보다 10% 이상 상승한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표 44 ] 국내 니트의류의 세부 품목별 수출 추이
향후 품목별로는 대량 물량 위주에서 소량 다품종으로 전환하며 단가가 높아지는 품목도 있어 향후 우리 수출품목에서 대량의 저가 품목들은 지속적으로 수출 물량이 줄어들 것이나 비교적 경쟁력이 있는 품목은 다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중국 등의 개도국과의 가격경쟁력 을 다투는 단순 봉제제품보다는 디자인력과 품질력이 요구되는 고급제품이 수출의 견인차 역할 을 하고 있으므로, 향후 우리 수출은 고급화를 통해 차별화를 해야 할 것이다.
■ 미 일 지역에 편중된 수출시장구조
우리의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과 일본 외에도 독일, 프랑스, 영국이 있으며, 20 04년에 이 들 각각 국가에는 8억 52백만불, 2억 64백만불, 9 8백만불, 79백만불, 73백만불을 수출하였고, 이들 5개국은 전체 수출의 7 2.9% 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 미국과 일본 2개국이 2 004년에 전체 수출의 64 .7%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지난 1 990년대 7 2.6% 에 비해 11% 감소된 것이지만, 여전히 우리의 주요 시장이다. 결국 이들 2개국에 대한 수출이 급감됨으로써 전반 적으로 니트의류제품 전체의 수출이 감소되는 것처럼, 우리 수출을 주도하는 시장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199 0년 9.3억불 수출로 우리의 주요 수출국이었으 나, 지난 199 7년부터 수출이 급감되면서 200 4년에는 2.6억불을 기록하였다. 결국 미․일 지역 에 편중된 우리의 주요 수출시장에서 지역에서 중국 등 개도국과의 가격경쟁력 열세로 밀려 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그러므로 니트의 지속적인 수출증가를 위해서는 수출 거래선을 다변화해야 함은 물론, 우리 고유의 브랜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신소재 개발이 병행되어 야만 우리 니트산업은 국제 하청 생산국에서 벗어나 경기침체 속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림 23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출액 추이
한편, 수출단가에서도 하락 추세에 있는 편으로, 199 5년 K G 당 18.5불 수준에서 2 001년 1 4.7불대까지 하락되었다. 그러나 일본과 미국의 수출단가가 대폭 상승한 것과 더불어, 벨기 에, 이탈리아, 프랑스 등 선진국으로의 고가제품 수출이 증가한 것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해외시장의 소비추세는 선진국형 섬유제품과 후진국형 섬유제품이 존재하여 각기 다른 수요계층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며, 따라서 우리 니트산업도 해외시장의 소비성향 을 면밀히 분석하여 저개발국과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그림 24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단가 추이
지역별 수출의 증감을 살펴보면 미주 수출은 양말류가 6 .5% 성장한 것을 제외하고는 편직 원단, 편직의류, 스웨터 등에서 10% 정도의 감소를 보였는데 역시 중국산 섬유 제품의 영향 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럽 지역은 모든 부문에서 고르게 증가하며 우리 제품이 활력을 보였는데 미주 및 일본 중심의 수출 패턴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주지역은 일본의 장기 불황이 해소되고 경기가 회복됨에도 불구하고 중국 제품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면서 감소되었으며 중동지역 또한 이라크 전쟁 등의 영향으로 전부문에서 감 소되었고 대양주 아프리카 등 기타 지역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표 45 ] 국내 니트의류제품(HS61)의 수출국별 현황
2.3. 수입동향
■ 수입은 90년대부터 연평균 30.4% 증가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은 지난 90년을 기점으로 연평균 30.4% 씩 증가되어 2004년에 9억 4천만 불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의류수입액 26억 5천만불의 35.4%를 차지하는 것으로, 지난 90년대에 30.6%를 기록하면서 꾸준히 성장한 결과이다
최근 2000년대에 와서는 수입증가세가 일시적으로 주춤한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중국산 싼 제품의 수입이 급증한 것이 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수입단가도 지난 90년에 kg당 43.9$에 서 2004년에는 11.4$까지 하락되었는데, 이 또한 수입단가가 낮은 중국산 수입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산의 수입단가는 지난 97년을 기점으로 하락추세를 보이면서, 현재는 kg당 9$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표 46 ] 국내 섬유산업의 업종별 수입 추이
[ 그림 25 ] 국내 니트산업의 업종별 수입액 추이
[ 그림 26 ] 국내 섬유산업의 업종별 수입액 증감추이
[ 그림 27 ] 국내 의류 및 니트제품의 수입 단가 추이 (per kg)
■ 횡편 스웨터 품목의 수입은 폭발적
품목별 수입추이를 살펴보면 횡편 스웨터 품목이 매년 씩 증가되어 , H S61 10 39% 지난 1 990년에 1천만불 정도 수입되던 것이, 지난 20 02년에는 5억 4천만불을, 200 4년에는 4억 6천 만불로 폭발적인 증가를 하여, 제일 높은 수입량을 나타내고 있다. 횡편스웨터는 특히 지난 1 990년~ 9 4년 5년 동안 매년 평균 174%씩 수입이 증가되었고, 이후 19 95년부터는 약간 주춤 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증가세인 61.7% 씩 매년 증가세를 나타내었다. 최근 200 0년부터는 대 폭 조정되면서 매년 29% 내외씩 성장되기도 하였다. 한편 횡편 스웨터 품목 역시 전체 수입 양에서 중국산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200 0년에 96 .5% 에서 200 3년 9 7.8% 로 최고 점유율을 나타냈고, 200 4년에는 소폭 하락되어 97 .0% 를 기록하였다. 이는 중국산의 수입단가가 최근까 지 K g 당 9불대를 유지하던 것이 20 04년에는 10불대로 상승되었기 때문에 다른 국가로의 거 래 다각화를 한 결과로 추정된다. 사실 저가격 제품 산지로 중국 외에도 러시아, 베트남이 최대 대체국으로 부상하였고, 이들 국가에서의 수입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이태리 산은 평균 단가가 K g 당 2 00불을 훌쩍 넘어, 중국산의 최소 10배 이상의 가격 격차를 가지고 있으나, 수입은 지속 증가되는 추세이다.
[ 표 47 ] 국내 니트제품의 수입액 추이
한편, 횡편스웨터외에도 H S6 109 티셔츠품목과 HS 6 105 남자용 셔츠, HS 610 4 여성용 상 하의 제품이 순으로 수입이 많았으며, 최근 남성들의 캐주얼 및 스포츠의 트렌드 열풍으로 활동이 편한 니트의류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HS 61 01 남자용 아웃도어, HS 61 07 남자용 내의류 , HS 61 05 남자용 셔츠 등의 수입도 증가되었다. 한편 양말류 및 장갑류, 머 플러 등의 패션소품들의 수입 증가세도 높은 편이다.
[ 그림 28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액 추이
[ 표 48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세부 품목별 수입 추이
■ 이태리 일본 미국 중심의 고가 제품과 중국 홍콩 중심의 저가 제품의 수입이양극화
한편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으로, 2004년에 전체 총수입액의 80% 수준인 7억 5천만불이 수입 되었다. 이외에도 이태리, 일본, 홍콩, 미국이 있으며, 이들 5개국의 수입액이 2004년 현재 전체 수입 액의 92.1%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다음으로 많은 수입을 하는 국가는 이태리, 일본, 홍콩, 미국으로, 이들 국가들은 2004년에 각각 62백만불, 25백만불, 14백만불, 13백만불을 수입하였다. 그러나 K g 당 수입단가는 이태리 1 88.5불, 일본 97.1불, 미국 8 2.0불, 홍콩 2 5.3불, 중국 9 .6불 순으로 나타났 으며, 이태리,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한 고가제품과 중국, 홍콩을 중심으로 한 저가제품의 수입 양극화 현상이 과거보다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 04년 이태리로부터의 수입은 H S 611 0의 환편 스웨터 품목 외에도 HS 61 02 여성 외의류 가 평균 수입단가 4 57불에 1.6백만불어치를, HS 610 4 여성용 상하의는 평균수입단가 28 0불 에 4 ,2백만불어치를 수입하였다. 이와같이 이태리 제품의 수입단가가 높은 것은 OEM 방식의 수입보다는 자가 브랜드의 도매가격으로 수입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그림 29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수입 추이
[ 그림 30 ] 국내 니트의류제품의 주요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수입국의 다변화 조짐
최근 수입현상을 살펴보면 수입국 다변화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저가 제품 생산국으, . 로 중국이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세계 소싱처의 다양화 및 중국의 인건비 상승으로 납품가격 일부 상승조짐, 다양화된 패션 감성을 제품에 풍기기 위해 국가별 차별화된 디자 인력 발휘 등으로, 베트남, 태국, 스리랑카, 미얀마, 소련, 터어키 등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스리랑카는 우수한 품질의 자연원료가 생산된다는 이점과 함께, 중국보다 낮은 인건비의 생 산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고, 향후 유럽지역으로의 수출이 용이하다는 것 때문에 현지 투자가 증대되는 둥으로 인해 지난 20 00년을 전후하여 수입액의 증가폭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 고 유럽지역의 최대 니트웨어 소싱처인 터어키 지역 또한 우리의 주요 소싱처가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얀마 지역은 아직 생산지역으로는 미개척분야이나, 최근 봉제에서 많은 노동 력이 투자되는 품목인 H S 610 1, HS 61 03, H S 611 4 등에서의 수입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같이 동남아시장과 동유럽은 세계의 니트생산 소싱터가 되고 있으며, 우리도 중국에 편중된 수입선을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다. 향후 중국이 200 8년 북경 올림픽과 101 0년 세계무 역박람회 등을 개최하면서 5년 내에 경제대국으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되며, 이와함께 국미 경제생활도 함께 향상되면서 저임국의 저가제품 생국이라는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지금보다 대폭 하락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시기를 대비하여 부상하는 세계의 생산 소싱처에 대한 탐 문과 정보 구축을 통해, 생산과 함께 또다른 수출시장으로의 기회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표 49 ] 국내 61류의 니트의류제품의 수입국 현황
[ 표 50 ] 국내 HS 61 (니트의류제품)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31 ] 국내 HS 61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32 ] 국내 HS 61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1 ] 국내 HS 6101 남자용 아웃도어 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33 ] 국내 HS 6101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34 ] 국내 HS 6101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2 ] 국내 HS 6102 여자용 아웃도어 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35 ] 국내 HS 6102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36 ] 국내 HS 6102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3 ] 국내 HS 6103 남자용 상하의 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37 ] 국내 HS 6103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38 ] 국내 HS 6103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4 ] 국내 HS 6104 여자용 상하의 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39 ] 국내 HS 6104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40 ] 국내 HS 6104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5 ] 국내 HS 6105 남자용 셔츠 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41 ] 국내 HS 6105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42 ] 국내 HS 6105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6 ] 국내 HS 6106 여자용 셔츠 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43 ] 국내 HS 6106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44 ] 국내 HS 6106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7 ] 국내 HS 6109 남여성 티셔츠 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45 ] 국내 HS 6109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46 ] 국내 HS 6109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8 ] 국내 HS 6110 남여성 스웨터 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47 ] 국내 HS 6110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48 ] 국내 HS 6110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59 ] 국내 HS 6112 남여성 스포츠 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49 ] 국내 HS 6112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50 ] 국내 HS 6112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60 ] 국내 HS 6113 남여성용 특수가공 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51 ] 국내 HS 6113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52 ] 국내 HS 6113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 표 61 ] 국내 HS 6114 남여성용 기타의류제품의 국가별 수입추이
[ 그림 53 ] 국내 HS 6114 국가별 수입량 추이
[ 그림 54 ] 국내 HS 6114 국가별 수입단가 추이
2.4. 소비동향
■ 소비심리 위축과 저가 상품 구매 선호도 증가 F_010)
2002년을 기점으로 체감경기가 하락하면서 소비심리 위축 성향은 더욱 심화되고 있었다. 그 결과 충동적인 구매를 자제하는 한편, 싼 가격으로 제품을 사려는 저가지향 의식과 가격이 저 렴하다면 매장이 멀어도 가서 구입하려는 의도가 상승되고 있다. 소비심리 침체 장기화에 따라 패션감도의 변화도 점차 나타나고 있었는데, 브랜드에 대한 구매가치 의식에 대한 상승은 정체 되어 있는 반면, 중국 등 제 3국에서의 생산 제품에 대한 거부감은 지속 감소하고 있다.
[ 그림 55 ] 물가지수 및 소비자 태도지수 변화추이
[ 그림 56 ] 품목별 소매업 판매액지수 추이
향후에도 한동안 소비시장 침체의 지속으로 소비자의 저가제품 선호도가 증대될 것이며, 더 욱이 합리적인 가격정책을 내세운 할인점 및 TV 홈쇼핑, 카탈로그 홈쇼핑 시장의 확산과 이들 유통들의 저가 의류상품 사업 강화에 따라 ‘저가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의류 산업은 소비시장에 저가 상품 공급을 위해 제 3국에서의 저가제품 수입을 증대하거나, 생산력 향상을 통해 생산원가를 하락시키는 노력을 할 것이다.
[ 그림 57 ] 국내 패션소비의식 변화 추이
■ 의류시장의 성장 한계, 반면 캐주얼과 스포츠의류 시장이 시장 점유 확대
한국 패션마켓은 2000년부터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2%대의 낮은 성장률이 예상된다. 2 002년부터 침체된 한국 경제와 함께, 소비심리 저하 등에 의해 패션산업의 경기는 최악의 상황을 거듭한 결과 200 4년도 패션시장의 규모는 19조 2천억을 달성하였다.
이는 지난 년 조 천억 수준과 비교할 때 수준에 불과하며 최근 199 6 2 2 2 8 7% , 들어 4 0~ 50여 개의 중견 패션업체가 부도를 맞이하였으며 현재에도 많은 기업들이 부도 혹은 사업 중단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실정으로, 2 005년도 시장규모는 전년비 2.0% 감소한 18조 8천억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에도 패션시장의 중심유통인 백화점의 부진, 패션기업의 대폭적인 구조 조정과 사업 중단, 소비자의 패션제품에 대한 기대지수의 부정적 수치 등은 시장성장에 큰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러한 침체된 패션 경제환경에서 기업들은 새로운 혁신 을 통해 소비 진작은 물론,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시기인 것이다.
한편, 소비심리 위축과는 별개로 전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활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캐 주얼․스포츠적 라이프스타일의 유행은 정장시장보다는 캐주얼의류시장과 스포츠의류시장을 대폭 확대시키게 되었고, 결국 이 2개의 시장은 지난 1 998년도에 전체 의류시장에서의 점유 율이 31 .3% 에서 2 004년도에는 68% 로 성장한 4 6.3% 를 차지하게 되었다.
[ 그림 59 ] 국내의류시장의 세분 시장별 Market Share 추이
[ 표 62 ] 세분 복종별 의류시장 규모
■ 캐주얼 스포츠적 라이프스타일 지속은 니트의류 소비시장을 급속도록 증대시키는요인
이러한 캐주얼의류시장과 스포츠의류시장의 성장은 이들 시장의 핵심제품인 니트의류제품 의 소비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캐주얼의류시장에서의 니트의류제품 소비는 지난 1 998년도 에 1조 1 400억원에서 200 4년 현재 2조 6 620억원으로 2.3배가 성장되었고, 그리고 매년 평균 1 6.1% 가 성장되었기 때문에 향후 201 0년까지 6조 519 2억원까지 성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63 ] 국내 니트의류제품 시장 규모 : 캐주얼 시장
티셔츠의 강세 속에 트레디셔널적인 스웨터가 핵심제품으로 부상 F_011)
국내 주요 패션스트리트에서 남여성이 착용하는 의복제품에서 아웃터와 코디되는 이너웨어 제품품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남여성 공히 니트 와 스웨터가 핵심아이(In nerwear) , T-shirts 템 이었다. 특히 봄여름에는 남성 중에서 20대의 젊은 층의 50% 이상, 30~40대의 중장년층의 40% 이상이 니트 T -shirts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여성 중에서는 니트 T -sh irts 착용율이 젊은 층의 경우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였고 중장년층에서도 50% 이상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남성들의 착용경향을 살펴보면, You n g 층의 경우 T -sh irts 착용이 더욱 보편화되고 있는 반 면, A d ult층의 경우 상대적으로 K nit(swe ater)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스웨터는 남성들의 주요 겨울 In n er 아이템은 C rew․V -n eck 스웨터, Sw eatsh irts, S h irts 이며. 특히 주로 You n g층에서 즐겨 입었던 Swe atsh irts류가 A d ult층에서도 선호되며 증가한 것이 특징이며, 주5일 근무제 등 여가시간이 다소 증가함에 따라 A d u lt 캐주얼의 스 타일도 변화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 그림 61 ] 남성 S/S 연도별 Inner 분포 : Young
[ 그림 62 ] 남성 S/S 연도별 Inner 분포 : Adult
여성들에게 가장 보편적인 상의류는 로 지난 년 이후 그 점유율이 지속 T -sh irts , ‘01 증가하 고 있는 반면에 ’02년 Sp rin g 시즌 유행 아이템이었던 Sh irts의 경우 Y ou n g층과 A d ult층 모 두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을겨울시즌에는 역시 보온성이 높은 스웨터의 착용 이 높은데, 지난 1 999년부터 착용율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젊은 여성은 약 4 3% 가, 중장년층 은 약 5 8% 가 착용하고 있다. 다.
향후에도 스웨터와 티셔츠의 점유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
[ 그림 63 ] 여성 S/S 연도별 Inner 분포 : Young
[ 그림 64 ] 여성 S/S 연도별 Inner 분포 : Adult
2.5. 수급동향에 대한 전망
니트의류산업의 제품 수급 및 소비규모는 다음과 같은 개념도에서 출발할 수 있다.
[ 그림 65 ] 니트의류제품의 수급 경로
■ 미래의 국내외 시장 환경은 악화될 것으로 전망
국내 니트의류기업들은 향후 5년의 수출시장환경과 내수소비시장환경이 지난 5년 동안에 비해 회복될 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4) 특히 니트의류생산전문업 체들이 제품유통업체들 보다 미래 시장에 대한 상황을 더욱 악화 내지 정체 될 것으로 전망 하였으며, 더욱이 생산전문업체들 중에서 내수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보다는 수출을 전 문으로 하는 기업이 미래환경에 대해 현재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해외 수출시장 과 내수 소비시장에 대한 미래 경기에 대한 체감지수는 각각 46 .3 p와 4 6.8p 이며, 특히 생산 기업은 각각 4 5.3p , 44.2p 였다. F_012)
[ 그림 66 ] 니트의류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 그림 67 ] 생산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그러나 시장환경과 상관없이 기업들의 경영매출은 현재보다 미래에 호전될 것으로 전망하 였다 특히 유통업체들은 지난 수년 동안 경기의 침체와 소비수요의 감소로 인해 수요시. 장 이 바닥이었다고 판단하여, 미래에는 경기에 따라 기업의 내실을 단단히 하는 가치경영으로 돌입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반면, 생산기업들은 전반적으로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전 망하였으나, 수출전문기업의 경우에는 국내외 시장환경이 매우 나쁠 것으로 전망하였기 때 문에 결국 기업경영성과도 낮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표 64 ] 니트의류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 표 65 ] 생산업체의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니트의류생산업체들 중에서 양말업종 > 내의업종 > 봉제니트업종 > 티셔츠업종 > 스웨터 업종 순으로 해외수출환경이 현재보다 악화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내수시장 환경은 양말업종 > 유아동복업종 > 스웨터업종 > 티셔츠업종 > 경편의류업종 순으로 내수소비환경 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양말과 내의 업종의 경우 중국산 의류제품의 수출시장 점유 율 확산이 심각하고, 영유아복 업종은 내수소비시장에 저렴한 가격의 중국산 제품이 확산되 고 있으므로, 기업 경영매출에도 타격을 입힐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시장환경 에 대한 우려의 전망은 영세한 편직업종이나 봉제업종에서 그 심각성이 증대되고 있다.
[ 그림 68 ] 생산업종별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 그림 69 ] 생산업태별 시장환경에 대한 전망
■ 해외생산제품의 수입은 대폭 신장될 것으로 전망
최근 해외 생산된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이 급증하여, 국내 소비시장에서의 침투가 확대되 고 있다. 지난 198 8년 8백만불의 수입에서 200 4년에는 9억38백만불, 8 2백만k g을 수입하였다. 이는 17년동안 11 00배 이상의 신장을 한 것이다. 이는 수출증가 5 8배인데 비하여 기하적으로 신장한 것이다. 특히 200 0년 이후부터 내수소비시장의 저가제품 수요 증대 및 캐주얼 선호 현상에 따른 니트제품 수요급증 등의 영향으로 해외 저가제품의 수입이 증가된 것이다.
[ 그림 70 ] 니트의류제품의 수입 추이
그러나 현재의 수입 급증실태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니트의류업체들. 이 향후 해외제품 수입에 대한 전망에 대해 100점만점에 평균 71.6p로 조사된 것이다. 특히 생산전 문업체는 77.9p로, 유통기업의 55.0p보다 40% 높게 평가하였다. 기업의 수입제품의 증가에 대한 체감지수가 실제 수입된 제품을 유통하는 것 보다 유통기업으로부터 제품을 오더 받아 생산하 는 생산전문기업의 체감이 더 높은 것은 생산기업입장에서 유통전문기업이 수입제품에 대한 선 호도 및 시장 상황에 따른 수입 결정이 매우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 그림 71 ] 해외제품의 수입 전망
[ 그림 73 ] 생산업체의 수입 전망
[ 그림 72 ] 니트업체의 수입증가 이유
그러나 일부에서는 중국 위환화 절상으로 중국에서의 생산은 채산성이 없으며 ▷ , 더욱이 인건비가 급속도로 올라가서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저하 되고 있고, 특히 단순한 제품 생산 외에는 기술력이 빈약함 등의 이유로 향후 3~ 4년은 완만한 수입 증가 또는 정체로 예 상하거나, ▷ 중국 등 제 3국의 염색가공 품질이 국내보다 저하되어 제품 경쟁력이 약하고, 해외생산 시에 인건비용 상승될 듯하므로 오히려 국내 생산을 통해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 하려고 하며, ▷ 캐주얼 및 숙녀복에서의 수입은 증가할 수 있으나, 골프 등 고급 스웨터는 품질력 저하 및 가격 경쟁력 약화로 오히려 감소될 전망이라고 평가하였다.
[ 표 68 ] 니트 생산업체의 수입증가 이유
[ 표 69 ] 니트 유통업체의 수입증가 이유
■ 니트생산기업은 향후 5 년 내에 생산량의 47% 정도를 해외에서 생산
니트 생산기업은 현재 국내 생산비중이 전체생산의 7 0% 수준이나 향후 5년 후에 해외에 서의 생산을 확대하여 해외 생산비중이 5 1% 수준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결국 현재에 비하 여 5년 후에는 국내생산비중이 20 .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수출기업은 오히 려 국내생산비중을 증가하여 고부가가치상품을 개발하려는 의지가 높아서 현재의 해외생산 비중인 36.8% 를 5년후에는 40.5% 로 3.7% 증가시킬 전망이며,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국내생산 에 대한 애착은 높아지고 있다. 결국 수출기업은 중국의 저가격제품과의 경쟁에서 품질 및 디자인 등의 비가격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국내생산 비중의 확대 전략을 사용하 는 반면, 내수중심기업은 제조유통기업의 하청업체로써 그들이 요구하는 납품가격수준 인하 에 맞추기 위해 원가격경쟁력을 가진 해외에서의 생산을 확대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 그림 74 ] 국내외 생산비중 여부
그리고 생산품목별 기업의 해외생산의지를 보면, 영유아복, 티셔츠, 스웨터, 경편의류 순으로 높은 반면, 양말/스타킹 등은 국내 생산 비중을 현재와 유사하게 유지하려고 한다. 생산형태별로 살펴보면, 염색가공, 원사생산 등 환경문제가 부상하는 업종일수록 해외생산에 대한 의지가 높은 편이다.
[ 표 71 ] 생산기업 유형별 생산비중 및 격차 여부
유통기업의 해외생산제품 수급 비율은 스웨터의 경우 현재는 이나 향후 , 41 .7% 58.7% 로, 봉 제니트인 경우 현재는 32.9% 이나 향후 5 2.3% 로, 각각 17 .0%와 19 .4%를 증대할 계획인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기업이 스웨터, 봉제니트, 티셔츠 등의 해외생산 비중 증대를 현재에 서 각각 17.3% , 7.2% , 26 .9% 증가하겠다는 의지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므로, 결국 니트의류 제품은 현재의 해외생산 수준보다 약 18% 내외가 증가될 전망이다.
[ 그림 75 ] 유통기업의 국내외 생산비중 추이
이와같이 유통기업이 해외에서 니트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국내산 제품의 원가 경쟁력 하락으로 생산원가 절감을 위한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이고, 또한 ▷거래 유통기업의 사입 가 하락 및 해외생산 요구 때문이기도 하다. 더욱이 ▷국내 생산기반이 붕괴되고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인력 수급에도 차질을 보이면서 제품의 신속한 수급에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 는 것도 이유가 되고 있다. 반면에 ▷ 신속한 생산 납기와, ▷ 본사는 현재 한국에서의 생 산기능을 유지 발전시키고자 하는 미래전략을 갖고 있으므로 국내 생산 분에 장점을 살려 현재 비중 유지를 위한 국내 생산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업도 있다.
[ 그림 76 ] 제조유통기업의 주요 수입대상국
[ 표 73 ] 유통기업이 해외에서 생산하는 이유
■ 국내 대비 평균 가 저렴한 한계생산가격일 경우 해외에서 20~30% 생산
[ 그림 77 ] 거래조건별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 표 74 ] 거래조건별로 기업유형별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 표 75 ] 거래조건별 기업생산품목별 해외생산에서의 생산비 격차
3.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기업경영현황
3.1.전반적인 경영현황
■ 경영성과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역사는 약 12.6년 정도이고, 평균 매출액 57억원에 98만장을 생 산하고, 이 중에서 약 17 .6%를 해외에 수출하고 있다. 그리고 평균 보유 종업원은 50여명이 며, 자가공장 2.3개, 하청공장 4.7개를 운영하고 있다.
[ 표 76 ]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 경영성과 개요
[ 표 77 ] 국내 니트의류기업의 유형별 경영성과 개요
■ 보유 생산공장 현황
니트원사염색공장은 자가공장으로 국내에 개를 보유하고 있으나 편직공장은 2.11 , 1.96개, 봉제가공공장은 1 .2 2개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협력하청공장은 편직공장이 8.66개를 보유하고 있고, 원사염색공장이 5.25개, 봉제가공공장이 4 .3 4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같이 협력공장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제품 제조특성 및 하청생산물량에 따라 유동적인 탄력성을 보유 하려는 의도이며, 편직공장의 경우에 편직기를 보유한 수준에 따라 제품유형이 다르므로 여 러 편직공장을 통해 상품을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표 78 ]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보유 운영공장 개수
[ 표 79 ]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기업유형별 보유운영공장 개수
■ 생산인력 현황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은 외국계 인력 명을 포함하여 평균 명 정도의 생산전문인2.7 3 4 력 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생산인력의 연령은 39 .1세이고, 평균 경력은 11.4년이며, 평균 월임금 은 15 0만원 정도이다. 그러나 이들 생산기업은 기존 인력에서 약 10% 정도의 인력부족을 느 끼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해 줄 국가적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80 ]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보유 생산인력 개요
[ 표 81 ]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기업유형별 보유 생산인력 현황
생산기업들이 외국인 노동자를 보유한 이유로는 국내인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 때 문이며, 인력조달의 용이성과 성실한 면에서 해외노동인력을 활용하고 있고 한다.
[ 그림 78 ] 외국노동자를 보유한 이유
[ 표 82 ]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이 외국노동자를 보유한 이유
3.2. 니트의류기업의 생산운용형태
■ 생산 거래형태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은 유통기업과의 위탁생산 거래형태를 완사입&프로모션 > 완사입 > 임가공 > 프로모션 순으로 운영, 디자인 기획을 제외한 원료수급과 생산에 대해 책임을 가 지는 완사입 형태를 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기획력을 보유한 프로모션 기업이 증대되면서, 프로모션 거래형태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 그림 79 ] 위탁생산 거래형태
[ 그림 80 ] 거래지역별 위탁생산 거래형태
기업업태별로 살펴보면, 스웨터 및 봉제니트품목에서는 완사입& 프로모션 병행 방식을 주 로 운영하는 반면에 단순 디자인을 봉제하는 수준에 있는 티셔츠나 내의류, 양말류는 임가 공방식을 주로 운영하는 편이다. 그리고 생산형태에서는 염색가공기업이 임가공방식을 주로 운영하는 반면에 원사생산은 완사입방식으로, 편직 및 봉제, 기획디자인기업은 완사입& 프로 모션 병행장식을 주로 운영하고 있다.
[ 표 83 ] 기업업태별 위탁생산 거래형태
■ 거래업체와의 거래를 위해 보유해야할 능력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은 유통기업과의 거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품질수준의 증대 > 적정한 가격수준 디자인력 강화 납기일 준수 등의 개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 그림 81 ] 국내 니트생산기업이
■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과 거래 유통기업간의 네트워크 경쟁력을 평가하는 20개 항목 중 에서, 제품정보제공 수준과 가격결정 수준, 제품기획설명 수준 등에서 기업간의 매우 낮은 네트워크력을 보이고 있다.
생산기업은 제조 유통기업이 제품정보제시> 부자재 노미수준> 제품기획설명> 납품가격> 거래의 투명성 > 업무절차의 편의성 > 생산지원 > 가격결정방식 등에서 평균 이하 수준으 로 지원되고 잇으며, 특히 제품정보에 대해서는 거의 지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에 제조유통기업은 생산기업에게 오더배정의 공정성 > 편사노미수준 > 임가공료 수준 > 가격결정방식의 정당성 = 수주절차의 지원 > 샘플비 보상 등에 대한 지원을 많이 한다고 하 였다. 하지만 양 측의 상호평가에는 제품정보제시부문> 가격결정방식부문> 제품기획설명> 임 가공료 수준 > 납품가격 등에서 매우 높은 격차가 나고 있다. 결국 상호 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격차 수준을 줄이면서, 전반적인 지원력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한편 생산기업이 제조유통기업과의 생산위탁거래방식에서 지원수준을 살펴보면, 전반적으 로 로모션 혹은 완사입& 프로모션 병행기업의 불만족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 기 업들이 제조유통기업이 요구하는 디자인 및 기획제품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력 지원이 높을수록 높은 성과가 이루어지는데, 그 수준보다 낮게 지원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향후 선진국과 같은 프로모션 형태로 생산기업이 진화된다면, 제조유통기업도 자신 의 제품에 대한 명확한 철학과 자세한 설명보고서 등을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 그림 82 ]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 표 85 ] 기업유형별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1
[ 표 86 ] 기업유형별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2
[ 표 87 ] 기업유형별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력 평가, 3
[ 그림 83 ]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의
[ 표 88 ]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의 개선부문
■ 최소 생산주문량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모델당 평균 최소 생산주문량 수량기준 1 (M in im um O rd e r, )은 남성복인 경우 70 4장, 여성복인 경우 6 92장, 유아동복인 경우 192장, 내의류인 경우 338 9장 으로 나타났다.
[ 표 89 ] 최소 생산량
내수전문 기업보다는 수출전문기업의 최소생산주문량이 많은 편으로, 유아동복의 경우 1 000장 이상이 되고 있으며, 여성복도 20 00장 이상을, 남성복도 거의 1 000장을 요구하고 있 다. 반면 내수전문기업은 500장 내외 수준으로 나타났다.
[ 표 90 ] 생산품목 및 생산형태별 최소 생산량
■ 생산리드타임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상품 주문에서 제품 납품까지의 업무생산 프로세스에서 총리 드타임은 평균 일이 소요되고 있다 이는 유통기업의 일 보다 오히려 단축된 51.6 . 55 .3 것으로, 생산납기에서는 국내 생산기업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표 91 ] 기업유형별 생산리드타임
■ 생산기업의 보유 품질인증서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은 품질인증서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편이다 한편 수출 . , 전문 대 기업의 경우 국제적인 인증마크인 ISO9 000을, 중소기업인 경우 품질Q마크를 보유하고 있다.
[ 그림 85 ] 보유 품질보증서 종류
[ 표 92 ] 기업유형별 보유 품질보증서 종류
3.3. 미래생산운용계획
■ 생산기반의 변화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 54% 이상이 미래를 위해 공장 확장이나, 새롭게 신설 혹은 취득을 통 해 투자기반을 확대하려고 한다. 물론 수출기업이 주로 공장 확장에 주력하는 반면, 내수기업은 공장신설을 통해 투자를 확대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운영 사업체를 축소하려는 의지는 5% 내외 밖에 되지 않은 반면, 일시적인 휴업이나 생산단축을 통해 생산을 조절하려고 한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기업의 경영환경이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 오히려 기업 운영에 대한 강한 의지와 자신감, 미래에 대한 성장을 기대하는 심정이 더 강한 것으로 추 정되며, 결국 국가차원에서 기업을 잘 운영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 그림 86 ] 생산기업의 미래 생산기반 변화
[ 표 94 ] 기업형태별 미래 생산기반 변화 내용
[ 표 95 ] 생산기업이 미래 생산기반의 변화를 주게 되는 원인
■ 미래 생산력 계획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 33%가 미래에 생산을 증가시키고, 28%는 동결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18% 정도만이 생산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는데, 이는 경쟁력 감소 및 국내 경기 하락으로 수주량 이 감축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출중심기업은 동결내지 해외로 이전한다는 의견이 높은 반면 에 내수중심기업은 증가시킨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 그림 87 ] 생산기업의 미래 생산력 계획 정도
[ 그림 88 ] 생산유형별 미래 생산력 계획 정도
[ 표 96 ] 생산유형별 미래 생산력 계획 정도
[ 표 97 ] 미래 생산력 계획정도별 상세 이유
3.4. 자금운용현황
■ 자금조달방식
자금조달방식으로 니트생산기업 48.3% 가 창업자 자신의 개인자금을 투입하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렇지 않으면 45 .6% 가 금융권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수출기업일수록 금 융권대출이 창업자 개인자금보다 높은 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수출기업의 신용도 및 보증 에 의한 대출 가능성이 내수기업보다 높기 때문이다.
[ 그림 89 ] 생산기업의 자금조달방식
[ 그림 90 ] 생산유형별 자금조달방식
[ 표 98 ] 생산유형별 자금조달방식
4. 니트산업의 경로구성원간의 업무네트워크 수준
■ 니트산업 경로구성원간의 업무네트워크 개선이 필요
1 980 년대 수출에 주력했던 수출업체가 내수산업에 참여하여 우븐 분야는 질적 양적성, 장 을 이룬 것에 반해, 1 960년대의 우리나라 수출주력 산업으로서의 니트업계는 불균형적인 발 전을 이루어왔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마련을 위해 니트산업을 구성하는 원사업 체, 편직업체, 가공업체, 제조업체 별로 니트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 즉, 각 업체부문에 대한 불만사항들을 조사하였다.
[ 표 99 ] 니트업체 경로구성원들간의 개선사항
조사 결과 니트업계가 니트산업 발전을 위해 제안한 정책적 기대는 정부차원에서 기반 산 업에 투자, 지나친 경쟁 규제 제한, 니트관련 정보 자료실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째, 패션산 업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섬유의 원료부터 시작하여 판매에 이르기까지 균형잡힌 발전 이 요구됨에도, 우리나라는 원료의 기반산업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기반 산업 에 투자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둘째, 니트산업은 전반적으로 영세한 실정이므로 편직업계에 나타나는 과잉설비로 인한 과다 경쟁에 대한 규제가 요구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니트업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브랜드를 제조하는 패션 선진국 을 방문하거나 해외 패션쇼나 시장조사를 갈 수 있는 재정적 지원을 희망하였으며, 국내․ 외 니트 관련 정보를 특화하여 제시해주는 자료실이 제공되기를 기대하였다. 니트관련 재교 육 및 세미나에 대한 기대사항이 있었다.
■ 원사업체의 개선사항
각 업체구성원들이 원사 업체에 대한 문제점으로 지적한 부분은 크게 가지로 분석된3 다. 첫째, 우선 우리나라가 니트원사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원료 기반산업이 없다는 점이다. 외국의 경우 원료를 자급자족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원료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소재를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가격경쟁력으로 인해 울이나 캐시미어와 같 은 고품질의 1 00% 천연섬유를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합성섬유 등의 혼용율을 높이게 되므 로 니트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에서 생산된 원사가 이태리와 같은 패션선진국에서 수입되는 원사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뒤떨어진다 는 인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원사업체들은 원사를 새롭게 개발하기보다 시장성이 있 다고 판단되는 수입원사에 치중하고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기업이 원사생산을 독점하 고 있는 시장구조로 30년 전에 생산했던 품목과 거의 동일하게 생산하고 있고, 양적으로는 많으나 그 종류가 다양하지 못한 한계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둘째, 니트업계 구성원들은 염색기술과 관련하여 발주할 때의 B / T 색상과 입고되었을 때 의 색상이 차이가 나는 점 등 균일하지 못한 색상과 전문 염색인력의 부족이 원사업체에 대 한 가장 큰 문제요인 것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기술이 발달되어 원사생산이 자동화되었다 할지라도 이를 점검할 수 있는 숙련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세째, 국내 니트시장에서 가격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자체적으로 원사를 개발하기보다는 중국으로부터 저렴한 원사(기바다: 염색되지 않은 원사)를 구입해 염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국내 원사업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이태리 등지의 고품 질의 수입원사와 가격경쟁력으로 인한 저가의 중국 등지의 수입원사 사이에서 국내원사가 설자리가 없다는 점이다.
■ 편직업체의 개선사항
니트산업 구성원들이 편직업체에 대해 갖는 불만은 편직업체가 대체로 프로모션, 제조업 체의 주문에 따라 편직이라는 역할만을 수행한다는 수동적 자세와 주종의 관계에서 기인된 것이다. 각 업체의 구성원들은 편직업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편직공장은 대체로 프로모션이나 제조업체의 주문에 따라 가동하기 때문 에 편직업체가 새로운 편직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이 문제점으 로 지적되었다. 편직업체는 고가의 최신 편직기계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리지널 샘플이 없으면 편직할 수 없을 만큼 편직 기술력과 디자인 능력이 낙후되었다.
또한, 제한되고 베이직한 편직디자인만을 대량생산함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이 지향되 고 있는 세계 패션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둘째 편직업체의 노력이 미비한 점이 거론되었다 편직기계의 , Q C (Q ua lity C o n tro l) . 바늘 상태나 편직물 재단물(cu t & lin k in g item )의 커팅 등을 제대로 점검하지 못해 생기는 손실, 잘못된 편직공정, 또는 편직업체가 잘못 계산한 게이지 등에 있어서 그 책임을 편직업체가 지지 않고 제조업체나 원사업체가 떠안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는 편직업체가 니트산업의 구 성원으로서 편직의 업무를 수행하고는 있지만 사실상의 기능이 독립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제품생산에 대한 책임소재가 여전히 주문업체에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세째, 숙련인력이 부족한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우선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생산인 력의 마인드가 전문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인력을 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 가공업체의 개선 사항
가공업체에 대한 불만요인은 니트산업 구성업체 가운데 가공공장이 가장 영세하고 낙후 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편직업체와 마찬가지로 프로모션이나 제조업체의 주문에만 의존 하는 관계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이 거론되었다.
첫째, 숙련된 생산인력이 부족한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일반적으로 가공 공장은 시설과 근무환경이 매우 영세하여 3D 업종 중의 한가지로 간주되기 때문에, 기존 인 력들의 노령화와 젊고 숙련된 전문봉제인력의 부족, 그리고 장인정신의 부족 등의 현상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이 숙련된 생산인력의 부족은 작업능률과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와 가격상승요인 으로 작용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고품질 제품의 생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기적인 거래관계에서 오는 문제점이다. 제조업체나 프로모션의 입장에서 가공업 체와의 협력관계는 니트산업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인이다. 그러나, 경기의 불안정으로 인해 시즌마다 제조업체가 주문하는 생산물량이 유동적이 됨에 따라, 가공공장은 장기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는데 위험부담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주문량과 납기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태리 등의 패션 선진국들과는 달리 국내 가공업체의 경우는 소량생산을 기피하며, 소량주문이 이루어 졌다 하더라도 적기 납품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도 문제시되었다.
■ 제조업체의 개선 사항
우리나라 니트산업 구성원 중 제조업체의 기획 및 주문량은 원사업체, 편직업체, 가공업 체, 프로모션의 이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구성원들은 제조업체 의존도가 높다. 제조업체에 대한 각 구성원들간의 거래관계 시 나타나는 불만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도한 샘플이나 촉박한 반응(sp o t)생산 요구에 대한 문제점들로, 특히 프로모션업 체들은 니트 제조업체의 시즌별 기획의도에 따라 제품을 디자인 및 기획하고 샘플을 제작하 여 주문샘플에 대한 생산책임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프로모션의 경제적 부담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조업체의 무리한 납품기한과 가격에 대한 요구이다 우븐과 달리 니트는 , . 기획이 원사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완제품 생산에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일반적 으로 국내 의류업체들은 우븐제품의 원단이 입고된 후에 니트제품을 기획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경로구성원들은 짧은 납품기한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호소하였다. 또한, 무리한 가격 협상과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이 어음결제방법을 채택함에 따라 수금의 어려움이 지적되었다.
셋째, 니트전문 디자이너의 양성과 창의적인 디자인 능력의 부족현상이 중요한 문제점으 로 인식되었다. 더욱이 니트제품은 원사에서부터 기획되므로 원사, 편직, 가공 등에 대한 전 문지식이 없으면 디자인 실패율이 매우 크게 되고, 이는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에 한계를 갖 게 된다. 따라서 니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창의력을 가진 디자이너 육성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니트관련 재교육 및 세미나에 대한 기대사항
니트 교육 및 세미나에 대한 기대사항으로는 주로 니트전문 트랜드 설명회의 필요, 세분 화된 니트 트렌드 제시,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공유, 니트산업에 대한 체계적 지식 구축 등이 대두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니트업계의 전문가들은 니트산업의 활성화와 고부가가치를 위해 세계적으로 니트산업이 발달한 이태리의 니트 전문가를 초빙한 세미나를 희망하였으며, 특 히 원료 성분에서 편직 조직의 새로운 경향과 디자인 트렌드에 이르기까지 전문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니트전문 트렌드 설명회가 정기적으로 개최되기를 기대하였다.
둘째, 니트 트렌드 정보의 실무적 효용을 높이기 위해 1회적인 발표로 끝나는 것이 아니 라, 니트 트렌드에서 제시되고 예측된 정보를 근거로 여러 원사 개발업체가 한 자리에 모여 그들이 현재 개발하고 있는 원사에 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토론하는 형식의 기회를 필 요로 하였다. 예를 들면 소모, 필라멘트 전문가 등 니트 실무자들이 함께 하는 연합 세미나 를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전문적인 니트 트렌드 설명회를 개최할 P resen ta tion ro om 과 세미나실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라고 있다.
셋째,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기를 희망했는데, 이태리, 일본 등 지의 정보를 한국어로 번역한 인터넷 사이트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넷째, 니트에 대해 단순한 감각만이 아닌 체계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였다. 원사, fan cy , 니트 생산과정, 편직 분야에서 다양한 조직을 구사하는 방법, 원자재 입출고 관리를 포함한 생산관리, 수출업체의 무역업무와 QC 활동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사 업다각화, 한국 시장 전망, 국가별 세계시장 전망, 해외 아웃소싱에 대한 정보도 지속적으로 제공받기를 기대하였다.
1.세계 니트의류산업의 동향
1.1. 섬유무역환경의 변화
■ 무역구제조치 확대 추세
1995년부터 2004년 말까지 단계적인 GATT 복귀로 인해 2005년부터 섬유무역이 완전자유화 가 되었고, 우리나라는 섬유쿼터 체제(MFA) 하에서 누려 왔던 기득권을 상실하면서, 대내외적 으로 가격경쟁력을 내세운 중국 등의 개발도상국과의 시장주도권에서 경쟁 열위에 놓여 있다. 더욱이 중국은 지난 2 001년 12월에 W TO 에 가입하는 등의 대외개방 정책의 가속화로 우리 나라는 대중국 수출이 다시 늘어나는 반면에 수입도 저가품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미국은 미국산 원단을 가공하여 미국으로 재수출하는 국가들(N A F TA , C B I 등)에 대해 무관 세․무쿼터의 혜택 부여하는 F TA (자유무역협정)협정을 맺고, 지역 블록화를 심화하였다. 특 히 20 00년에 들어와서 세계 각국은 F TA 체결(관세인하 등)을 확대하여 지역블록화를 구축하 면서 역내 무역을 증진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FTA 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게는 매우 큰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인 무역규제외에도 1995년 시작된 WTO 통일원산지 협상은 2003년에 타결되 면서, 무역제도의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대신에 다양한 무역거래를 제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기타 환경규제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발암성 물질 등 환경유해 물질이 함유된 제품의 수입금지하는 에코라벨 인증(Öko -Tex Stand ard)의 확산 등이 있다.
■ 세계 섬유무역 구조변화를 주도하는 아시아지역
[ 그림 91 ] 대륙별 역내 및 역외 섬유류 무역추이
아시아 대륙의 무역액의 변화에서 역내무역은 년도에 억불 수준에서 ‘9 0 3 00 매년 8 .3 7% 가 증가되어 ’00년에는 670억불 수준이 되었다. 그리고 역 외 무역은 ‘90년 53 0억불에서 연평균 6 .5 5% 성장되어 ’00년 1,000억불 수준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도 섬유제품의 주생산 대륙은 유럽지역으로 주로 고급품 위주로 특화시켜 나 가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은 중․저가품의 생산 기지로 고착화되는 실정이다. 향후에도 중 국, 한국 등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섬유생산은 크게 증가될 것으로 보이며, 세계 섬유시장 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차이로 양극화되는 국가별 분업구조
선진국은 고부가가치제품의 국내생산, 저가품의 글로벌 아웃소싱 등의 이원화 전략을 통해 경 쟁력 및 세계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범용품의 경우 ‘90년대 중국 및 아세안 지역으로 생산기지가 이전된 상태로 개도국 섬유생산이 세계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동서양 문화교류 가 속, IT에 의한 시장창출 기능강화, 환경친화적 생산기지 필요 등에 따라 패션의류의 경우 한국, 중국, 멕시코 등이 부상하고, 중저가 제품은 아시아 및 동구권을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 표 100 ] 선진국과 후발 개도국간의 분업구조 추이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국가간 F TA 는 지역적인 이점을 활용하여 세계 섬유생산 분업체제 를 더욱 확고히 하는데 일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F TA 는 섬유무역 자유화시대에 새로운 무역 장벽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멕시코 등 중남미 및 카리브해 인근 국가와, 독일, 프 랑스, 영국 등 EU 지역은 터키, 스페인, 루마니아 등 인접국가와, 한국, 대만,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베트남, 방글라데시, 중국 등과의 분업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카리브연안 (C B I) 계획에 따른 미관세법 807조를 이용하여 C B I지역 국가로부터의 수입을 확대해 왔으나, 최근에는 N A F TA (북미자유무역협정)로 인해 멕시코 지역에 대한 투자 확대로 이들 지역으로 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독일 역시 인근의 포르투갈, 그리스 등의 국가에 원자재 를 수출, 이를 현지에서 가공하여 재수입하는 역외가공무역(O P T )에 의한 공정간 분업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경우에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투자확대를 통해 이들 국가와. 의 분업생산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간의 분업구조는 수직적 공정간 분업의 비중 이 높다. 이는 자본집약적인 방적사, 직물부문은 일본이 특화하고 있는 반면에 노동집약적인 중저가 의류제품 등은 아시아 국가들이 특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선진국의 국제분업 생산의 확대로 중국 및 아세안국가들은 저임의 풍부한 노동력과 외국자본 및 기술에 의한 설비투자 확대로 주요 섬유생산 및 수출국으로 부상하였다.
최근 세계 섬유교역은 선진국과 개도국간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선진국과 선 진국간의 교역비중은 크게 감소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對개도국 의류무역에서 큰 폭의 적자 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직물분야에서는 미미하나마 선진국의 무역흑자가 지속되고 있으나 최근들어 선발개도국의 공급능력 확충에 따라 흑자폭이 점차 감소되고 있다. 특히, 후발 개 도국들은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섬유산업을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함으로써 선진국의 중․저가 의류제품시장을 급속히 잠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직물분야에 있어 서도 대대적인 설비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들은 섬유무역에서 적자가 증대됨에 따라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무역규제 와 보호정책을 채택하는 한편, 산업구조를 지식집약화로 전환함으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를 꾀하고 해외투자, 위탁가공무역, 기획수입 등과 같은 국제분업을 확대하고 있다. 섬유산 업의 국제분업은 60년대 초까지는 주로 신진국-선진국간에, 70~80년에는 선진국-개도국간에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며, 9 0년대에는 선․후진국간의 공정간 분업 내지는 제품차별화 분업 관계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섬유수입국인 선진국은 개도국에 대하여 해외투자 등을 통해 O EM (주문자 상표 부착방식)에 의한 국제 하청생산을 확대하고 있는데 자국의 母회사가 개 도국의 子회사에 대하여 사․직물 등의 원자재를 수출하고 현지 子회사는 가공된 섬유제품 을 본국이나 제3국에 수출하는 산업내 분업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표 101 ] 선진국 섬유산업의 특징
1.2. 니트산업의 수급동향
■ 2010년 세계 니트제품 생산량은 2100만톤
T e x tiles In tellig en ce의 보고16)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니트산업에서의 원사소비는 170 0만 톤으로, 세계 원사생산량 5 530만톤의 약 31% (직조에 28 00만톤(51% ), 부직포를 포함한 산업재 에 600만톤(1 1% ), 그리고 카페트에 4 00만톤(7% )에 소비)에 해당된다. 2 001 ~2 010년간 세계 편 직 원단 및 의류 생산은 2 5% 증가된 2 100만톤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생산 증가 의 85% 가 아시아지역에서 기인할 것이며, 중남미에서의 생산도 이보다는 완만하지만 계속해 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선진국의 생산은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편직 원단 및 의류 수요도 2 010년까지 꾸준히 늘어나 유럽,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수입 증가가 기대되며, 점차 한국과 대만과 같은 신흥국가 역시 수입이 증가할 전망이다. F_014)
■ 아시아지역이 편직기계 소비를 주도
ITM F (In tern atio al te x tile ma n ufa ctu res Fed eratio n)조사에 의하면, 199 5~ 20 01년동안 대형환 편니트기계의 선적양은 약 7 2,798대로 추정되며, 이는 매년 약 12,13 3대가 선적된다고 할 수 있다. 199 5년 8,51 3대에서 1 997년에 1 0,537대로 증가하였고, 1 998년에는 10 ,3 80대로 약간 감소 하였으나 1 999년에 다시 회복 추세에 있다가 20 00년에 1 2,852대가 선적되었다. 그러나 2 001 년에는 다시 9,02 6대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20 00년에 급등한 것에 대한 반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구나 세계적인 경제불황과 미 9.11테러이후의 침체된 소비경기 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그림 92 ] 대형환편니트기계의 선적국 점유율 추이
국가별 선적현황을 살펴보면 아시아시장은 전세계 환편니트기계 선적국의 , 약 4 6.1% 를 차 지하고 있고, 특히 중국은 2 001년 한해에 28 .7%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중국의 이러한 강세는 중국의 주요 기계제조기업 25개의 성과를 포함한 것이다. 중국 다음으로 아시아 국가에서 강세는 인도로, 세계 시장의 약 5 .8% 를 차지하고 있으며 20 01에는 지난 1 995년에 비하여 1 27% 성장한 7 .5%를 점유하고 있다. 기타 타이완은 3.1% , 태국은 3,0% , 인도네시아 2.9% , 그리고 한국이 2.8% 로 뒤를 잇고 있다.
[ 표 102 ] 세계 환편니트기계 선적국의 추이
한국은 지난 19 95년에 42 6대를 선적한 반면, 최근 20 01년에는 86대를 선적하여 19 95년대비 2 001년 선적량이 78% 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서, 환편니트기계산업의 위축을 보여주고 있 다. 한편 한국은 지난 199 7년 IM F 환란의 시기에 지난 7년간 매년 선적한 양의 최대인 7 53 대를 선적하였는데, 이는 국내 산업의 위축에 따라 중국 등지로 동장을 이전하기 위해 설비 를 옮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그림 93 ] 대형환편니트기계의 선적양 추이
한편 횡편니트기계의 선적추이를 살펴보면, 200 1년에 70 “이상의 대형전자동기계의 경우 5 430대를 선적한 반면, 70”이하 소형전자동기계는 3,657대를 선적하였다. 반면, 반수동기계는 중국의 선적량 6 0,782대를 포함하여 1 69,96 6대를 선적하였는데, 이는 전년 2 000년 62,30 5대에 비해 2.7배 증가한 것이다.
[ 그림 94 ] 황편니트기계의 선적국 점유율 추이
지역별로 보면 전자동기계의 주도 선적지역이 200 0년에 유럽지역이었다가 2 001년에는 아 시아 지역으로 이동되었고, 반면 반수동기계는 전반적으로 아시아지역이 주도권을 잡고는 있으나, 아프리카지역이 점차 강세로 부상하고 있었다. 이는 아시아와 아프리카가 횡편니트 기계의 주요 생산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표 103 ] 횡편니트기계(Flat Knitting Machines) 선적 추이
[ 그림 95 ] 횡편니트기계의 선적량 추이
[ 표 104 ] 경편니트기계의 활용현황, 2000
■ 하락추세에 있는 편직원단가격
편직원단가격은 지난 90년대 중반을 정점으로 하락추세에 있는데, 링방적사 편직원단은 1 999년을 정점으로, 로톨방적사 편직원단은 1 997년을 정점으로 하락 추세에 있다. 한국은 다 른 비교국가보다 가장 낮은 가격경쟁력을 지속하여, 20 01년에는 1 995년에 비하여 링방적사 편직원단은 19.9% , 로톨방적사 편직원단은 5 8.7% 로 가격이 인하되었다. 결국 가격에서의 경 쟁력을 가진 한국과 기타 국가들은 이제 품질, 스타일, 대고객 서비스 및 반응생산 등의 요 인으로 상호 경쟁을 하여야 할 것이다.
[ 표 105 ] 국가별 편직원단가격 추이
2. 세계 지역별 니트산업 동향 F_015)
2.1. 유럽지역
■ 전반적 동향
유럽의 경우, 서유럽이 직조용 편사(y arn ) 수요의 70% 을 사용하고 있으며, 터키가 23% 을, 그리고 나머지를 중동지역 국가들이 차지하고 있다.
20 01년 중 서유럽에서 생산된 편직물의 48%가 cu t & sew n 의류분야에 사용되었는데, 서 유럽의 cu t & sew n 의류 생산은 1 997 ~2 001년간 109만7 000톤에서 99만20 00톤으로 10% 가량 줄어들었다. 반면 이 기간 중 cu t & sew n 의류 소비는 199만톤에서 21 4만톤으로 7 .6% 증가 했다. 이러한 소비 증가로 인해 수입이 28% 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터키에서는 편직물 생산의 90%가 편직의류 제조에 사용되었다. 터키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와 낮은 원재료 비용으로 인해 혜택을 받고 있다. 터키 내에서 생산된 편직물의 6 0~ 70%가 서유럽으로 수출되고 있다. 동유럽의 경우 원재료 부족, 주요 수출시장 위축 등으 로 인해 섬유산업이 완만하기는 하지만 위축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 유럽의 지리적 변화로 인한 새로운 무역시장을 형성
19 90년대 초반부터 유럽에서는 정치적, 경제적인, 그리고 지리적인 거대한 변화가 일어났 고, 이 변화는 니트섬유 및 의류산업의 교역 시장을 확장한 계기가 되었다.
지리적인 변화가운데 대표적으로 동부유럽의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로 소련연방에서 독립 한 2개의 새로운 국가체제가 형성된 것이다. 독립국가연합(C om mo nwe alth o f Ind epen d en t S tates)18)으로 러시아,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등 12개 국가로 구 성된 것이고, 발트 3국(B altic states)으로 발트해 남동 해안에 위치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공산주의의 붕괴는 종래의 엄격한 중앙경제계획에서 시장 중심의 무역제도로 전환하기로 결정, 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유럽공산권의 경제협력기구인 경제상호원조회의(C o un cil fo r M u tua l E con omic A ssista nce )도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기타 유고슬라비아가 붕괴 이후, 많은 자유민주국가가 탄생하였고, 오스트리아, 핀란드, 그리고 스 웨덴이 EU 에 참여함으로써, EU 는 사실상 거대 공동체가 되었던 것이다. F_016)F_017)
더욱이 와 유럽자유무역연EU 합(E F TA : E u ro pe an F ree T rad e A sso ciatio n)의 결속은 더 욱 강화되어, 더욱이 EU 와 중동부유럽국(C E EC ;C en tral an d E a ste rn E u rop ean C ou ntrie s)간의 새로운 무역법을 통해 통합운영이 가속화되었다. F_018)F_019)
이러한 강력한 결속과 무역동맹은 EU 와 동유럽간의 시장을 개방한 결과를 낳았고, 결국 2종류의 무역 유형을 산출하게 되었다. 시장 개방은 예전 동구권으로부터 수입물품에 대한 관세 철폐로 이어지게 되었고, 더욱이 터어키와도 관세동맹협정을 맺기도 하였다. 이와같은 유럽에서의 동적인 환경 변화는 의류산업에 큰 영향을 미쳐 수많은 서유럽기업들은 유럽 중 동국가에 투자를 집중하게 된 계기가 된 것이다.
■ 편사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
서유럽은 생산활동에서 편사의 사용이 1 990년 1 .1 2백만톤에서 2 000년 1.32백만톤으로 1 7.5% 상승하였다. 이는 9 8~ 99년에 약간 감소하였으나, 90년~ 97년에는 2 1.0% 성장한 것과 2 000년에도 성장한 것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반면, 터어키는 1 990년 41 7천톤에서 2 000년 6 30천톤을 소비하여 10여년 간 약 51 .1% 성장하였다.
[ 그림 96 ] 유럽 : 지역별 편사의 산업소비 점유율 추이
21) EC(European Community:유럽공동체)를 제외한 서유럽의 지역경제기구로, 2000년 현재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스위스 4개국이 활동. 주로 EC 범위 밖의 서유럽 국가들 간에 공업품에 관한 자유무역지역을 실현한 것으로 공업품에 관한 역내관세 및 수량제한의 철폐와 역내무역의 자유화를 목적으로 운영. 하지만 관세동맹은 아니기 때문에 대외 공통관세는 설정하지 않았음.
[ 표 106 ] 유럽 : 지역별 편사의 산업소비량, 1990-2000
서유럽은 지난 200 0년에 편사를 총 1,319천톤을 소비하였고 이는 19 80년대에 비해 3 5.6% 가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향후 2 010년에는 2 000년에 비해 9.0% 감소한 1,20 0천톤이 소비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동구유럽등지의 수입이 증가할 것을 감안한 것이다.
[ 표 107 ] 서유럽 : 원료별 편사의 산업소비량
한편 서유럽은 합섬장섬유의 소비량은 지속성장하여 년에 천톤 소비에서 , 1 980 3 45 20 00년에 는 508천톤으로 소비되었고, 20 10년에는 4 65천톤이 소비될 전망이다. 특히 합섬장섬유의 소 비는 포리아미드계보다는 폴리에스테르의 소비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섬유 선호추세에서 면소비는 1 980년에 약 20 5천톤이 소비되면서 점차 소비량이 증가추세였고, 오 는 2 010년에는 20 8천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그림 97 ] 서유럽: 원료별 편사의 산업 소비량
한편, 니트제품별로 편사의 소비량을 살펴보면, 위편 니팅의 소비로 대부분 편사가 사용되 나, 경편 및 라셀 니팅에 대한 소비량 증가세가 위편니팅 보다 높은 추세이고, 특히 의복의 부자재와 산업재에서의 소비량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수공예를 위한 소비는 극속히 감소되 어 지난 19 80년도에 96천톤 소비량에서 20 00년도에는 2 0천톤으로 대폭 감소되었다.
[ 표 108 ] 서유럽 : 니트제품별 편사의 소비량 추이, 1980-2010
■ 편직물 및 편직제품의 생산은 감소되고 내수수요는 수입으로 대체되는 추세
서유럽의 편직물 생산은 지난 19 95년에는 15년 전인 198 0년에 비하여 6 9.9% 가 증가한 6 03 천톤을 생산하였고, 2 000년에는 76 0천을 생산하였으며, 향후 201 0년에는 이보다 약간 감소된 6 80천톤이 생산될 전망이다. 전반적으로 내수소비에서 감소하는 수준과 비슷하게 증감이 이 루어 진 반면, 수출과 수입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2 010년에는 20 00년에 비하여 생산량도 감소될 뿐만 아니라 수출도 급감되어 내수소비는 점차 수입제품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 그림 98 ] 편직물의 수요추이 : 1980-2010
[ 표 109 ] 서유럽 : 편직물의 수급추이, 1980-2010
그리고 년에서 년까지 봉제니트의 생산은 매년 씩 증가된 반면 198 0 200 0 4.6% , 수입은 8 .8% 씩 증가되었다. 반면, 스웨터의 생산은 매년 1.2% 씩 감소되었고, 수입은 오히려 12 .5% 증가 되었다. 결국 2 000년도의 봉제니트 생산은 각각 2 16.5% 와 24.8% 가 증가된 736천톤, 5 59천톤 이었다. 반면에 봉제니트와 스웨터 수입은 2 000년에 462천톤, 774천톤으로 19 80년에 비하여 각각 12 15.8% 와 5 33.8%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99 ] 봉제니트 제품의 수요추이 : 1980-2010
[ 표 110 ] 서유럽 : 봉제니트의류제품의 수급 추이, 1980-2010
[ 그림 100 ] 스웨터 제품의 수요추이 : 1980-2010
[ 표 111 ] 서유럽 : 스웨터 의류제품의 수급 추이, 1980-2010
■ 그러나 섬유후발국과의 경쟁 심화로 채산성은 악화
선진국과 해외시장의 경기회복과 캐주얼 트렌드의 영향으로 시장 수요는 증가하여 , 물량기 준으로 소폭 증가는 하였으나, 가격경쟁심화로 인한 제품 수출단가 하락, 납품가격 하락 등 으로 금액기준으로는 오히려 감소되었고 결국 채산성은 악화되고 있다. 특히 여성용과 유아 용, 티셔츠, 란제리의 부진이 심화되고 있는데, 세계의 공장인 중국이 첨단설비와 저렴한 인 건비를 바탕으로한 저가격 공세로 시장 점유를 대폭 확대한 것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패션의류품목과 편직물, 의류 부속품 등은 물량과 가격 측면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 다. 특히 패션제품과 편직 원단 품목은 국내 니트업계의 경쟁력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 3가지의 경쟁요인에 따라 향후 시장구조가 변화될 전망
니트업종은 다른 섬유업종과는 달리, 기획단계에서 완성품에 이르기까지의 일괄생산체제나 네트워크 가 잘 운영되어야 한다. 결국 유럽시장은 ① 단섬유와 장섬유간의 경쟁, ② 천연섬유와 인조합성섬유 와의 경쟁, ③ 니트제품과 다른 제품과의 경쟁에 따라 미래의 시장구조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12 ] 서유럽 : 제품별 원사의 산업소비량 추이, 1980-2010
[ 그림 101 ] 서유럽 : 원사의 제품별 산업소비 점유율 추이
■ 동부유럽의 전망
동부유럽에서 성장세가 가장 두드러진 것은 터어키의 성장세이다 터어키는 전세계 . 니트기 계 주요 선적국으로, 지난 20 01년을 기준으로 환편니트기계를 약 415대를 선적하여 세계총선 적량의 4.6% 를 점유하고 있으며, 전자동횡편니트기계는 580대를 선적하여 6 .4%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특히 역내지역인 유럽으로의 수출은 200 0년 기준으로 214천톤을 수출하였으며, 미국으로는 31 .5천톤으로 수출하였다. 향후 2 010년에는 유럽으로는 260천톤을, 미국으로는 25 천톤을 수출하여, 중국 등의 아시아국과의 경쟁에서도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가질 전망이다.
[ 표 113 ] 터어키 : 의복 품목별 니트제품의 USA 수출량 추이, 2000-10
[ 그림 102 ] 터어키의 니트제품의 EU 수출량 및 증감추이
[ 표 114 ] 터어키 : 의복 품목별 니트 제품의 EU 수출량 추이, 1990-2010
반면 러시아 폴란드 제국 등은 전반적으로 생산량이 지난 년까지 대폭 , , , C IS 20 00 감소하 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나, 200 0년 이후부터 유럽지역의 경제적 통합을 계기로 점차 회복세 를 보이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15 ] 러시아 : 편직제품별 생산량 추이, 1989-2010
[ 표 116 ] 폴란드 : 편사 소비량 및 편직제품의 생산량 추이, 19909-1999
[ 표 117 ] CIS 국가 : 니트의류제품과 양말제품의 생산량 추이, 1991-2000
2.2. 아시아지역
아시아에서는 편직 섬유 및 의류 생산, 무역 및 소비가 모두 지난 90년대부터 급속하게 늘 어나고 있다. 면(co tton )이 아시아 편직물 생산의 가장 중요한 원료이지만 점차 폴리에스테르 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 EU의 주요 수출국, 중국
아시아의 편직 섬유 및 의류 수출은 최근 들어 특히 증가했는데, 중국이 대EU 최대 편직 물 및 의류 수출국으로 19 95~ 20 02년 중 49만5 600톤으로 2 20% 증가했으며, 2 002년 한해만도 전년대비 64% 증가했다. 특히 아노락(an o ra ks, 모자달린 상의용 자켓․점퍼)이 대EU 최대 수출품으로, 20 02년중 대EU 수출물량이 전년의 1만 4 400톤에서 9만80 0톤으로 급증했는데, 아노락이 편직물 및 의류의 200 2년 대EU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18%에 달하고 있다. 중국은 또한 대미 최대 편직물 및 의류 수출국이기도 하다.
[ 표 118 ] 중국 : 의복 품목별 니트 제품의 EU 수출량 추이, 1990-2001
[ 표 119 ] 중국 : 의복 품목별 니트제품의 USA 수출량 추이, 1995-2000
[ 표 120 ] 중국 : 의복 품목별 니트제품의 일본 수출량 추이, 1999-2001
인도와 파키스탄 역시 아시아 국가 중에서 대EU 주요 수출국이다. 인도의 편직물 및 의류 의 대EU 수출은 19 95~ 20 02년 중 18% 증가해 19만81 00톤에 달했으며, 파키스탄의 경우는 7 7% 증가해 수출물량이 24만40 0톤을 기록했다. 방글라데시 역시 아시아의 대EU 주요 수출 국으로 1 995 ~ 200 2년중 대EU 수출이 크게 증가해 75%의 증가율, 수출물량 11만53 00톤을 기 록하고 있다. 방글라데시는 특히 임금수준이 매우 낮으며, 주요 면 생산국인 중국, 인도, 파 키스탄과 달리 의류 제조에 필요한 편직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표 121 ] 인도 : 니트편직물 및 니트의류제품의 생산량 추이, 1990-2010
[ 표 122 ] 스리랑카 : 니트편직기계 및 편직물 생산량 추이, 1995-2010
대만은 경편직물에서 주요 생산국으로 특히 여성 내의류부문의 레이스류의 생산품질과 , 디 자인은 세계 최고 수준에 있다 대만은 지난 20 01년에 환편제품은 85.0천톤을 생산해서 지난 1 990년 43.6천톤보다 약 2배 정도 성장하였다. 환편니트도 2 001년도에 205천톤을 생산하여 1 990년 15 4.3천톤보다 33% 정도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대만 역시도 19 98년을 기점으로 중 국과의 경쟁에서 도태되면서 오히려 1 997년부터 2 001년 사이의 평균증가율이 매년 3.7% 씩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표 123 ] 대만 : 니트편직기계별 편직물 생산량 추이, 1990-2010
반면에 태국은 저임금 경쟁력을 바탕으로 점차 PO ST 중국으로 부상되면서 지난 19 95년을 기점으로 대폭 성장세에 있다. 향후 2 010년에는 편직원단에서는 25 0천톤을, 편직의류는 2 00 천톤을 생산할 전망이다.
[ 표 124 ] 태국 : 니트편직기계 및 편직물 생산량 추이, 1990-2010
2.3. 미주지역
■ 전반적 동향
미주지역의 경우 N A FTA 협정으로 인해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상호간 상품 교역에 무관 세가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 편직물 업계는 대EU 수출보다는 미주시장에서 주 로 생산한 편직물을 판매하고 있는데, 최대 시장은 역시 미국으로, 멕시코의 대미 주요 수출 품은 의류 특히 남성용 바지이며, 캐나다의 대미 주요 수출품은 사와 직물과 같은 u p stre am 제품들이다.
멕시코는 지난 199 5년에 225천톤 정도의 편직물을 생산하였으나, 200 1년에는 약 배가 성장 한 4 25천톤을 생산하였다.
[ 표 125 ] 멕시코 : 편직물의 생산량추이, 1995-2001
중앙아메리카 각국들과 브라질도 편직물 생산이 대폭 증가하면서, 대부분 미국지역으로 수 출되고 있다.
[ 표 126 ] 중앙아메리카 : 국가별 편직물 생산량, 2000
[ 표 127 ] 브라질 : 편직기별 편직의류제품 수급추이
3. 주요국의 니트의류산업 동향
3.1. 중국
[ 표 128 ] 중국 국가경제지표
3.1.1. 세계 최대의 의류생산기지
■ 중국은 9.5%의 GDP 성장률을 상회하는 연평균 성장률 14.5%대의 의류생산력을 보유
20 02년 중국은 전년(112억벌) 동기 대비 9.0% 증가한 12 2억벌의 생산량으로 전 세계에서 최대 의류 생산국가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1 997년 전후 국내외적 상황에 의해 성장이 부진 했던 중국의 생산매출액은 19 99년부터 호전되기 시작해 2 000년에 이르러 수출 증가라는 호 재를 기회로 4년간의 생산 부진을 벗어나 두 자리 대 성장을 기록하였다.
[ 그림 103 ] 중국 의류생산량 추이
20 02년 중국 의류업계 전체 생산과 판매는 가입 후 국내외 시장 수요의 확대의 W TO 영 향을 받아, 업계 생산판매율은 최근 수년에서 비교적 높은 9 7.4% 를 기록. 특히 양복제품 생 산판매율이 1 04.0% 로 최대 생산판매율을 나타내었고, 성장률 또한 전년 동기대비 9 .2% 로 가 장 크게 나타났다.
[ 표 129 ] 중국 기업의 제품별 경영성과 차이 비교표 : 2002
■ 업종별 생산기지의 군집화 및 특화 정책
[ 그림 104 ] 품목별 중국 의류생산기지
중국에서 1억 벌이상의 의류를 생산하는 지역은 총 14개로 광동, 절강, 강 소, 복건, 산동, 상해, 요 녕, 하북, 호북, 광서, 천 진, 북경, 사천, 안휘성이 며, 이 지역들의 의류 생 산량은 중국 전체 생산량 의 96% 를 차지한다. 이 중에서 광동성은 200 2년 에 전업계의 23.2% 를 차 지하는 476 .8 6억元의 의류생산을 수행하여 최대 의류생산지역으로 자리매김 하였고, 강소성 4 22.88억元, 절강성 39 8.19억元, 상해시 1 81.19억元, 복건성 12 2.51억元의 의류생산을 진행하 여, 총 5개 성시가 전업계의 78.0% 를 차지하였다.
거대 중국지역은 의류생산기지로서의 제품특화 정책을 통해 분류․육성되고 있으며, 광동성(廣東省) 은 캐주얼복, 강소성(江蘇省)은 다운 의류, 절강성(浙江省)은 셔츠, 상해는 니트, 복건성은 신발 등이 특 화되어 있다. 세분 제품군에서는 영파와 천진은 신사복 산지로, 온주는 여성복 산지로, 불산시(佛山)과 호주(湖州)는 아동복 산지로, 해녕(海寧)과 석가장(石家莊)은 가죽 산지로 개발되고 있다.
■ 전 세계 의류수출의 1/4을 점유
중국 섬유수출구조는 의류제품이 주도하고 있으며, 2 003년 중국 의류수출은 520 .6억 달러 (전년동기비 12.7% 증가)로 섬유 수출액의 73 .6%이고 중국 총 수출액의 13 .8%를 차지하는 중국 주요 수출상품이다. 중국은 지난 80년도에 세계 총 의류수출액의 4.0% 의 점유율을 차 지한 후, 9 0년도에는 8 .9%, 200 0년도에는 1 8.3% 의 점유율를 기록하였고, 20 03년에는 세계 총 의류수출액인 2,25 9억달러의 23.0% 를 기록하였다. 결국 오는 2 005년 무역자유화에 따라 그 잠식 강도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한국은 36 .1억 달러로, 세계 수출국 중에서 1 2위, 세계 총의류수출액의 1 .6% 점유율 을 나타내어, 지난 90년대 7.3% 의 점유율에서 대폭 하락한 형세이다.
[ 그림 105 ] 세계 의류수출국의 연도별 점유율 추이
■ 의류 수입규모는 5% 내외에서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20 03년 중국 의류 및 의류부속품의 누계수입은 1 4.2억 달러로 전년도 13.6억 달러에서 4 .4% 성장했으나, 2 002년도 성장률인 6.4% 보다는 약간 하락되었다. 그러나 중국도 점차 세 계의 중요 수입국으로 등장하면서 세계 의류수입국 1 4위, 세계 총의류수입액의 0 .6% 를 차지 하고 있다. 중국 수입 의류 중 면제품 비중이 전체의 36% 로 가장 크며, 다음으로는 모직의 류가 전체의 2 8%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3대 의류 수입국으로는 홍콩, 일본, 한국이며, 이들 각 국으로부터 200 3년 상반기 의류 수입총액의 47.6% , 15 .7%와 6 .8%를 수입 하였다. 홍콩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액은 다소 줄어들고 있으나, 반면 한국으로부터 수입은 지속 성장해 동기대비 4 3.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한국과의 의류교역에서 중국의 對한국 의류 수출은 IM F이후 평균 4 5% 의 높은 신장세를 보이며, 한국의 의류 시장을 잠식하고 있으며, 200 3년 현재 중국산 의류의 국내 수입규모는 2 0억달러이며, 이는 전년대비 6.7% 증가한 것이다.
[ 그림 106 ] 중국의 對한국 의류 수출입 추세
■ 한국의 對중국 투자현황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투자는 80년대 말부터 홍콩을 경유한 간접투자를 시작으로 하여 1992년 한․중 수교를 계기로 크게 증가하여, 2002년 5월말 기준으로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투자 건수는 총투자 기준으로 1,242건으로 세계 전체의 59.1%에 달한다. 국내 의류산업의 대중국 투자는 전체 섬 유산업의 대중국 투자의 약 38.6%이며, 산동성, 요녕성, 길림성, 상해시의 순으로 투자하였다.
[ 표 130 ] 섬유․의류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현황
3.1.2. 중국니트의류산업의 경쟁력 분석
■ 니트산업 발전 추이
20세기 90년대이래 국민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국민들의 의복 소비수요도 보온 위주에서 장식과 미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중국 국내 니트 제품 수요가 급속 히 성장하였다. 양모 내의, 탄력성 내의, 디자인형 내의, 체형 보정형 내의, 공기층이 있는 내의, 부드러운 면내의, 복합형 보온내의 등 다양한 니트류 내의가 소비를 촉진시켰으며, 또한 T셔츠, 캐주얼, 아동복, 운동복 등 여러 아이템의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갔다. 자카드, 자수, 프린트, 인조실크, 인조모, 인조모피등 여러 가지 니트 원료의 개발과 생산으로 니트 시장은 더욱 다양해졌으며, 이와 동시에 자동차 내부 장식천, 덮개천, 방수재료, 보호망 등의 산업용 니트제품도 이미 상당한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즉 중국 니트산업은 니트의류, 장식제품 및 산 업용 니트제품이라는 3가지 분야의 제품이 동시에 개발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9 0년대말 중국 국내 니트제품 수요는 안정적인 성장을 거두었지만 그 성장속도는 둔화되 었다. 니트산업의 제품 개발이 활력을 띠기는 했지만, 5년 이상 장기적으로 시장 우위를 점 할 수 있는 제품은 매우 적고, 제품의 수준차이가 현저하며 전체적인 수준도 높지 못하였다. 니트제품 시장의 공급원은 충분하지만 대부분 중저급 제품이고, 제품 디자인, 규격, 원료, 가 공기술, 색채들이 유사하여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였다. 이는 중국 니트류 제품 개발이 여전 히 소비수요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0 00년대에는 니트산 업의 생산, 판매 및 이윤이 계속 회복되고 적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 00년 국유기업과 매출액이 50 0만위안 이상인 1,30 2개의 니트기업들의 적자 는 2 4.42% 로, 전년대비 4.2% 포인트 감소하였다. 매출수입은 전년대비 1 5.33% , 산업 총생산량 은 1 4.38% 성장하였으며, 산업 부가가치는 14 .9 0% 성장하였고 이윤은 1 87.75% 증가한 것으 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20 00년 니트산업의 적자는 전체 방직산업보다 3.8% 포인트나 높은데, 그 중에서 국유기업의 적자폭은 46 .3% 에 달해, 방직업계의 국유기업들보다 5 .2%포인트 높았 다. 전체 산업 적자 기업의 적자액은 4 .8 7억위안으로 전년대비 29 .8 5% 포인트 줄어들었고, 그 중에서 국유기업의 적자액이 3.51억위안으로 전년에 비해 확실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중국 니트산업은 적자를 타개하고 수익 창출에 힘써야 할 실정이다.
일부 우위를 점하고 있는 니트생산기업의 경영성과에서는 긍정적인 추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니트산업협회가 확보하고 있는 상해 三枪집단 니트 제 9공장, 富润집단회사등 50개 기 업은 2000년 매출수입합계가 104.29억원에 달하여 전년대비 9.7%성장하였다. 수출은 6.8억달러를 달성하였고, 15.6%성장하였으며, 이윤액은 4.86억원으로 19.6%성장하였다.
■ 중국 니트 의류제조 업체 수는 2538개, 종사자수는 6십만명
20 02년 기준으로 중국 니트업체(편직품기업)는 전년동기 15 .8% 증가한 2 538개, 동기간 니 트업계 종사자는 612 ,0 00명으로 집계되었다. 이중 국유기업은 17.5% 감소한 25 0개로 조사되 었으며, 한편 종사자는 매년 증가를 보여 2 001년 54 5,213명보다 1 2.3% 높았고, 20 00년 520 , 5 98명보다 17.6% 증가하였다.
[ 표 131 ] 중국 니트 의류 업체 및 고용 현황
중국의 니트의류 생산실적은, 2002년 동기 대비 8.5% 증가한 115.69억벌로, 경제 환경의 개선, 업계 구조조정의 성과, 품종 개발의 시장 수요와 상응 등 요소에 따라 폭발적인 증가세를 지속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업의 수익구조가 개선되면서 지난 2000~2002년 동안 수익이 연평균 14.9% 증가하여, 중국 전체 섬유업계의 총수익의 12.4%가 니트 업계가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132 ] 중국 섬유업계의 판매수익중 니트제품 비중추이
[ 표 133 ] 중국 산동성의 의류 군집화 발전 사례
중국 니트산업 생산은 주로 화동지역과 광동성에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절강, 산동, 강소, 복건, 광동의 5개성(省)과 상해가 니트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이에 반해 서부지역의 10개성 (陜西, 甘肃, 宁夏, 青海, 新疆, 四川, 重庆, 云南, 贵州, 西藏)은 니트산업 발전이 낙후된 지역 이다. 니트생산의 주요 편기인 환편기(circular machin e)와 경편기의 생산력으로 계산해 볼 때, 절강 산동 강소 복건 광동의 개 성과 상해시의 생산력이 전국의 이상을 차지하고 , , , , 5 60% 있 고, 서부 9개성은 5% 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국 편직공업협회가 기업 판매수입, 세금총액, 이윤총액, 인평균 세금, 수출 획득 외화, 자 영 수출의 6대 지표를 종합하여 전국 니트기업에 대하여 순위를 매긴 200 2년 종합 순위 10 대 기업의 명단에서 1위는 상해 S an q ian g 그룹으로 나타났다.
[ 표 134 ] 중국 니트업 종합 순위 상위 10 명단 : 2002년
■ 중국 니트 의류제품의 수출은 66억 6천만불
20 04년 중국 니트의류수출과 우븐의류수출규모는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이중 니트 의류의 증가폭이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200 4년 니트의류수출은 66억6천만불로 동기대 비 1 3% 증가하였으나, 그러나 평균가격은 k g당 3.4불로 동기대비 2.0% 하락한 수준이었다. 수입도 적지만 증가추세에 있는데, 지난 200 4년에 6억4천만불을 수입하였고, 수입 평균가는 k g 당 5.4불 수준으로 나타났다.
[ 그림 107 ] 중국의 니트의류(HS61) 수출입액 및 증감추이
[ 그림 108 ] 중국의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및 증감추이
한편 품목별 수출현황을 보면, 화학섬유 니트의류의 수출금액 성장률이 가장 큰 26.9% 의 증가세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면니트의류로 나타났다. 모니트의류의 경우 수출량과 금액 모 두 감소했으며, 이 중 금액의 감소폭이 다소 큰 2.7% 로 나타나고 있다.
[[ 표 135 ] 중국 니트의류 품목별 수출상황표, 2002년 )
중국 니트의류 수출은 의류수출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세관 통계에 따르면 2 000년 중국 니트 직물 수출은 12.88억달러로 전년대비 31.8% 성장하였고, 니트의류 및 액세 서리 수출은 1 34.26억 달러로 전년대비 14.2% 성장하였다. 최근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아이템으로는 니트내의, 티셔츠, 운동복, 유아복 및 양말 등이다.
표 136 ] 중국 니트의류 수출 현황(2000년
[표137]중국의 의류수추룩가 무역의 상위 10위의 국가표,2002년
니트의류 수출지역은 해안지역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는데, 광동과 절강, 상해 순으로 나타났다.
[ 표 138 ] 중국 니트의류 수출 상위 10개 지역, 2002년
■ 대한국 니트의류 교역은 증가세 유지
한국은 중국으로의 니트의류 수입은 지난 19 92년 개방이후로 증가세이고, 최근 20 02년에는 6 96,53 2천불을 달성하여 최근 200 0년부터 5년간 32.9% 가 매년 증가된 것이다. 이러한 수입의 증가세는 역시 수출의 증가로 이어졌는데, 200 0년부터 5년간 매년 평균 2 6.3% 증가하면서 2 004년에는 50 ,6 07천불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 표 139 ] 중국의 對한국 니트의류 교역액 추이
이러한 수출입 증가세는 단가측면에 영행을 미치면서, 2 004년에는 한국제품의 중국 수출단 가가 k g당 1 .0 6불인 반면, 수입단가는 0.96불 수준이었다.
[ 그림 109 ] 중국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추이
■ 설비경쟁력
주요 니트 설비(국가방직산업국 통계센터자료)를 살펴보면, 환편기 6,04 7대, 경편기 1,445 대, 면모 방직기계 15,79 8대, 전동 sto ck in g m ach in e 27 ,4 59대, 그 중에서 더블 실린더 sto ck in g m ach in e가 4 ,4 60대이다.
[ 표 140 ] 중국 지역별 니트산업 생산량과 설비 분포1)(1999년)
■ 원가경쟁력
중국 니트의류의 제조원가는 품목별 차이보다는 업체별 차이가 보여 지며, 대략 70 ~ 110 위안의 범위를 보이고 있다. 조사업체중 에서 니트 D 업체의 경우, 울 1 00% P ullov er가 99 위안이고 울 10 0% C a rd iga n 이 1 10 위안 수준인 반면, 니트 E 업체와 F업체의 경우, 울 1 00% P u llov er가 70~ 7 5 위안 수준이다. 이는 한국제품에 비하여 풀오버는 2.86배, 가디건은 2.92배 의 가격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F_020)
[ 표 141 ] 중국 니트의류 제품의 제조원가 (2004년) 1)
가격 경쟁력 우위를 보이는 인건비의 경쟁에서 대졸초임의 경우 연봉이 12,000~18,000위안 수준이 며 3년후 임금은 30,000~40,000위안 정도로 나타났다. 고졸초임의 경우 7,200~9,000위안, 고졸3년차 임 금이 10,800~12,600위안 정도로 우븐 업체에 비해 인상폭이나 임금 수준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 표 142 ] 중국 니트의류 조사업체의 노동비용 (2004년)
이는 중국 니트의류업체의 노동력 규모는 종업원수가 280명~4,000명 규모로, 일반적으로 우븐 업체보다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형이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인력구조에서 가장 많은 비 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편직과 사시(링킹인력으로 각각 16~30%, 28~31%로 조사되었다. F_021)
[ 표 143 ] 중국 니트의류 조사업체의 인력구조
■ 기술변화추이
제 차 개년 경제개발 계획기간은 중국 니트산업의 기술수준을 대폭 향상시키고 신제품의 10 5 개 발에 박차를 가하는 시기이다. 현재 중국 니트산업의 70%의 설비가 70년대 이전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심각하게 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으로, 니트의류기업의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기를 맞아 기술진보 추진 정책은 하드웨어 설비수준 향상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부대 설비 와 응용 기술 개발도 포함하고 있다. 기술개조의 중점은 니트 제품의 가공기술과 하이테크 기술 제품 개발을 원칙으로 하고, 기술개조를 하는 동시에 탄력적이고 다양한 제품 개발이 가능한 매커 니즘을 구축하는 것을 기본 정책으로 삼고 있다. 또한 새로운 원자재와 염료, 새로운 가공기술의 연구 응용을 강화하고,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충분히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진행함으 로써 시장 수요 및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 표 144 ] 중국 제10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기간에 니트산업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제품
■ 기술력 향상을 위한 국제표준화 및 기술제휴의 사례가 증가
중국 니트업체 60% 이상이 국제품질인증을 받았으며, 그 외 업체도 수출을 위주로 하는 특성 상 엄격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니트 C 업체는 ISO 9002, ISO 14000을 모두 획득 하였으며, 최근 주요 니트생산업체 중에서 가장 표준화된 품질 관리 체제를 보여준다. 이 기업 은 제품 생산외에 원사 생산을 겸하고 있으며, 원사의 경우 엄격한 품질 관리가 요구되므로 최 신식 설비를 보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태리 디자이너 및 설계사, 원사기술자들이 1년에 수차례 방문하고 있으며, 기계설비 역시 이태리제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니트업체는 소재개발과 생산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중요시되는 부분으로, 중국 니트업체 6 0% 가 1 0~ 40명 규모의 연구개발조직을 운영 중에 있으며, 미래 신소재 개발이나, 맞음새를 위한 패턴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예로써 니트 D 업체의 경우 2 000년 총 15명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조직을 만들었으며, 200 2년 총 매출의 0.7% , 20 03년 총 매출의 1% 를 연구 개발비로 지출한다. 향후 200 5년에는 연구개발비를 매출액의 2.5% 수준으로 올릴 계획이며, 주요 성과로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극세사, 경량사(fin e kn it형 1 6~ 18g )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표 145 ] 중국 니트업체의 연구개발 현황 (2004년)
■ 정책변화추이
중국의 내수확대 정책 및 도시화 가속, 서부대개발 전략이 추진됨에 따라 중국내 니트의류 시장은 새로운 성장시기를 맞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단순한 양적 성장 이 아니라, 제품의 품격, 규격, 품질, 디자인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특히, 중국이 W TO 에 가 입함에 따라 외국산 니트제품이 중국시장에 침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중국의 니트의류를 생산하는 국유기업의 개혁을 가속화하고, 주식제를 통한 조직 개편 및 제도 개혁을 실시함으로써 자금우위, 원가우위, 제품우위를 확보하고 경쟁력을 제고 하는 것이 정부 정책의 가장 큰 방향이다. 최근 중국 니트산업이 비교적 발달한 지역의 중 점 국유 니트 기업들은 현대적인 기업제도 추진과 합병을 통한 확장, 자원의 합리적인 배치 등을 통해 점차 집약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민간기업 및 집체기업의 기술과 장비 개조, 기술향상을 도모하여 제품과 시장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업군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한다. 또한 외자유치를 통한 하이테크 기 술, 국제 선진 기술 도입과 중국 기술분야에의 투자를 유도하여 전체 니트 산업의 수준 향 상을 도모할 방침이다.
지역적 발전으로 볼 때, 상해(上海), 북경(北京), 천진(天津), 대련(大连), 영파(宁波), 남경(南京)등의 중심 도시들은 현지 산업발전의 전체 계획에 따라, 현지 기업의 니트제품 생산 확대 및 브랜드의 국제적 지명도 확보를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서부의 1 0개 성(省)지역은 점차 니 트 생산력과 생산량을 증가시키면서, 이러한 생산력이 국제적 선진 수준의 설비와 제품이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원자재와 노동력 우위를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고품질이면서 원 가가 저렴한 제품을 개발하여 국내외 시장을 개척해 나갈 방침이다.
3.1.3. 중국 니트의류 주요업체 동향
■ 중국 10대 면니트류 기업 현황
중국 면니트류 시장은 티셔츠를 포함한 속옷 분야로서 경쟁이 매우 격심하며 수익성은 낮 은 편으로, 상위 2개사의 이익이 매우 크지만 매상의 격차는 적은 편이다. 향후 해외기업과 의 제휴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이다.
Quingdao JIFA Group
Q uing d ao JIFA G ro up 은 195 5년에 설립된 합작주식회사로 총자산이 9천만위안이며 종업 원수는 4,000명 규모인 업체이다. 대규모의 니트의류와 헤어 제품의 제조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다. 20개국 이상을 대상으로 니트웨어 수출을 병행하고 있으며, 연간 외환수입은 1 50만달 러에 이르고 있으며, 국제품질인증인 ISO 900 1을 획득한 바 있으며 환경보호인증인 ISO 1 400 1과 그린 환경 심볼 제품 인증을 획득하였다.
현대적인 과학기술을 이용하며 A / S 와 신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LU C K JIFA T ech no log y In n ov ate C en ter, S h ad on g T ex tile Re search In stitu te , H air P rod u ct D e v elopment C en ter와 같은 기술혁신센터를 보유하고 있고, 기술 개발 비용으로 전체 매출 액의 3~5% 를 배정하고 있다. CA D 디자인 시스템, 자동 C o lo r 매칭 시스템, 컴퓨터 테스트 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신상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그 결과 매시즌 신상품률이 3 0% 를 넘 고 있다.
上海三枪集团有限公司(Shanghai Threegun Group Textiles No.9)
上海三枪集团有限公司는 중국 니트산업의 대표 기업이다. 三枪내의 생산으로 유명한 니트 제 9공장이 발전하여 규모를 확장한 브랜드 그룹으로, 199 4년 11월 18일에 세워진 상해방직 지분그룹회사(上海纺织控股集团公司)가 출자하여 세운 유한공사이다. ‘98년 2.18억원이라는 자산으로 주식회사로 전환하였고, 현재 고정자산은 3.5억원이고, 등록자본금은 2.3억원, 직원 수는 5,00 0명 규모이다.
三枪集团은 자체 수출입 업무 수행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三枪표 고급 내의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면, 마, 실크, 모, 혼방, 화학섬유등을 주요 원자재로 직조, 염색정리, 의류가 공 등에 이르기까지 원스탑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94년 이후 중국 국내시장에서의 연 간 판매량과 시장 점유율이 연속 5년간 니트산업 내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세계 17여개 국 가에 수출하였다. 또한 ’9 6년 전국 니트기업에서는 최초로 ISO 900 1 품질 인증을 획득하기도 하였다. ‘98년 三枪은 미국의 D ow co rn in g, D u po nt사들과 협력하여 국제적 최신 과학기술을 도입하였고 이를 통해 정밀 의류제작 가공기술과 결합하여 항세균 위생 기능성 체형보정형 , 내 의를 생산하고 있다. ‘99년 三枪상표는 국가공상행정 관리국 상표국의 인증을 받아 유명상표 로 자리매김하였고, 전국 내의시장의 수많은 브랜드 중 유일한 인증 상표가 되었다.
三枪그룹은 성공적으로 국유기업 개혁을 진행한 본보기가 되었다. 최근 2 .8억원을 투자 하여 푸동(浦东)지역에 三枪니트빌딩을 세우기로 하였는데, 이로써 三枪내의제품 품질은 국제적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중국 10대 견니트류 기업 현황
중국 견니트류 시장은 제 1위 기업이 3.86억위안의 매상을 올리고 있으며 스타킹 품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일본과 비교하여 수익성이 매우 크며, 향후 시장이 점차 확대될 전망이어 서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지만, 가격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안 선진지역의 도시 화 진행이 가속화되고 있으므로 소매 수준의 채널 구축이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
Z he jian g H on g d a In d ustria l G rou p은 국제 시장 진출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으며, 현재까 지 수출 2,000만달러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 국제시장에의 진출에 더욱 주력할 계획이다. 10 개의 생산라인을 통해 b ob b in -d ying , w arp k nittin g, w eft kn itting , T e x tile-we av in g , d y in g a n d fin ishin g 등의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 표 146 ] 중국 견니트류 10대 기업
■ 중국 10대 모니트류 기업 현황
중국 모니트 기업은 전체 니트류 시장규모에서 상당히 작으며, 중국시장의 규모에서 파악 해 볼 때 상위 기업의 매상은 매우 적은 편이다. 모니트 분야는 일본기업과의 제휴가 진행 되고 있으며, 향후 유통에서 매장까지를 포함한 구조적 변화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47 ] 중국 모니트류 10대 기업
Jian gsu H on g d a T e x tile Sto ck C o ., L td 는 Jian gsu H on g d a G rou p(江苏宏大集团)의 자회사 로서 19 96년 3월에 설립되었다. 생산단지 규모는 5 ,0 00평의 공장 부지와 14,00 0평의 건평 수 준이며, 자본금은 3 0,000만위안이며 고정자산은 10 ,0 00만위안 정도이다.
연간 판매액은 28,000만위안이며, 연간 소득세는 3,000만위안, 연간 외화 수입은 2,000만달러이다.
■ 중국 10대 기타 니트류 기업 현황 .
중국 기타 니트류는 니트, 염색, 자수, 레이스등의 분야로 상위 2개사의 이익률이 매우 두 드러 진다. 기업 규모는 중소기업 수준으로 수익성은 낮은 편이며, 이익이 두드러진 2개사가 상위 10개사 이익의 약 9할을 차지하고 있다.
Ningbo Nishidashin Weaving & Dyeing은 이익률 순위 1위로 23.7%의 이익률을 나타내고 있 으며, 그 다음이 Nantong Dong Sheng Plush Products로 10.3%의 이익률을 달성하였다.
[ 표 148 ] 중국 기타 니트류 10대 기업
3.2. 홍콩
[ 표 149 ] 홍콩 국가경제지표
■ 중국 무역의 관문
인구 7백만의 홍콩은 지난 50년 간 무역 도시에서 제조 도시, 현재는 광대한 해외 제조업 자산을 가진 도시로 성장하여 웬만한 유럽 지역보다도 더 부유한 국가이다. 홍콩은 세계 섬 유, 의복, 시계, 장난감, 플라스틱 상품, 전자 상품 수출 거래에 있어 재정적, 상업적 관리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홍콩 기업들은 세계 섬유 및 의류 시장의 2 0% 를 관리하고 있 는데, 이는 2 003년에 6 00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홍콩은 중국 대륙 내의 공장 건설, 소매업 , 인프라 구조에 대한 외국 투자에서 많은 부분 을 차지하고 있다. 199 5년, 홍콩으로부터의 직접중국투자는 약 7 80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홍 통의 전체 해외 투자의 2/ 3를 차지하는 것이다.
홍콩은 중국의 한 지역이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별도 국가로 취급되는 독특한 위치를 지 니고 있다. 중국 대륙에 대한 주요 투자국으로서 홍콩은, 중국 경제 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수많은 외국 기업에게 있어, 홍콩은 중국 대륙으로 가는 관문이 되었고, 중국 소비 자들에게 있어 홍콩은, 세계 시장에서의 비즈니스와 사회 관계에 대한 역할 모델을 제공하 는 역할을 하였다. 홍콩의 1인당 G D P 는 미화 3만 달러에 이르는데, 이는 일본이나 미국과 동등한 것이며 중국 본토에 비해서는 30배에 달하는 것이다. 낮은 조세율과 “현재의 삶을 중 시하는” 태도는 의복과 다른 소비재들에 대한 높은 지출 수준을 야기하였으며, 의복과 신발 류가 가계 지출의 20% 를 차지하고 있다. 홍콩의 GD P 성장은 19 90년대에는 5% 대를 기록하 였으나, 중국과의 합병이후에는 재정적 위기로 인해 2~ 3% 대로 감소하였다.
■ 홍콩의 니트의류 무역수지는 적자추세
홍콩의 니트의류수출은 수입액보다 적어서 지난 년부터 매년 억불의 적자였으나 20 00 3 0 , 최 근 2 004년에 수입액이 급감하면서 무역수지 흑자를 나타내기도 했다. 홍콩은 지난 200 0년에 5 1억 3천만불 수출에 비하여 78억 8천만불을 수입한 반면에, 200 4년에는 6 6억 6천만불 수출 에 4 7억 4천만불을 수입하여 1 9억 2천만불의 무역 흑자를 나타낸 것이다.
[ 그림 110 ] 홍콩의 니트의류(HS61) 수출입액 및 증감추이
수출입 단가에서는 H S 6 1류 전 품목이 수출단가보다 수입단가가 1 0~ 40% 높은 편이었다. 전반적으로 수출단가의 증감율이 높은 품목은 HS 61 13의 가공의류품목이었고, 다음은 HS 6 101의 남성외의품목, H S 610 9의 티셔츠, H S 61 03 남성상하 품목 순이었고, HS 6 102 여성 외의 품목이 가장 낮은 단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그림 111 ] 홍콩의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및 증감추이
■ 대한국 수출은 년을 기점으로 1995 증가세
대한국 교역은 지난 1 995년을 기점으로 대폭 증가세를 보였다. 1 995년 대한국 수출은 8 ,6 28천불을 보인 반면, 수입은 20 ,0 38천불이었으나, 20 02년에는 오히려 대한국 수출이 12,78 6 천불이었고 수입은 8 ,2 20천불 수준이었다. 지난 200 0년부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매년 1 2% 증가하는 수준이었으나, 수출은 매년 3 3% 나 성장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한국 수입이 감 소한 것은 수입단가가 k g당 0.77불 수준으로 수출단가 2.53불 수준보다 4배 정도 낮은 것이 었고, 전년도의 수입단가 2.24불 수준보다도 3배 정도 낮은 것이 원인이었다.
[ 표 150 ] 홍콩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액 추이
[ 그림 112 ] 홍콩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추이
3.3. 이태리
■ 저성장국면의 이태리
[ 표 151 ] 이태리 국가경제지표
EU RO화이후로 침체된 유럽경제와 마찬가지로 이태리는 성장이 정체된 상태이다. 특히 급 등하는 노동임금과 유료화의 상승, 이태리 지역만이 가진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력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 등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지배력은 상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적으로 고용안 정과 낮은 이자율을 요구하지만,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세계무역시장의 조 정과 생산성 향상, 무관세 확대가 되는 20 05년 연말부터 서서히 회복될 조짐이나, 이도 불명 치 않다는 여론이 높다.
■ 섬유산업에서의 산업집적지를 통해 지역네트워크 및 제품경쟁력 확보
이태리 섬유산업의 중심지는 밀라노로 인근에 꼬모, 비엘라, 프라토, 까르피 지역 등을 잇 는 황금의 삼각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피렌체를 중심으로하여 모데나, 볼로냐 지역을 통합하는 레조에밀리아주는 니트의류산지이다. 이와 같이 이태리는 섬유의류산업을 중심으 로 기업들이 집적되어 있는 일정한 지역을 형성(In d u stry C lu ster)하고 있는데, 이를 산업집 적지라고 하며, 이태리는 지역을 중심으로 섬유 및 의류 제품 품목별 차이를 두고 발전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집적지의 가장 큰 장점은 각자 법적으로는 분리된 기업들이 전문성 을 가지고 기업의 공동체적 배치(co llab o rativ e arran g em en t)를 기반으로 상호 네트워크을 통 해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한 개의 기업이 가질 수 없는 자원력과 교섭력을 통해 시너지 를 발휘할 수 있다.
니트의류제품의 최고의 산지인 에밀리아 로마냐주 에서 모데나 는 이러한 산업집적(州) 市지 의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발전되었다. 모데나의 산업틀러스터는 기계, 작업장, 기술력 및 제 조업체 소유의 원료를 최종 제품으로 생산하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장인(artisa n, 匠人)이 네 트워크의 주체로써, 자가 생산자들이 계층조직에서의 노동관계를 대신하는 pu ttin g -ou t sy stem 을 운영하고 있다. 즉 하나의 사업에 각각 기업이 보유한 노동력과 자원을 공동으로 투입하여, 그 산출물을 배분하는 것이다.
이러한 산업클러스터는 이태리 섬유패션산업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러한 형태는 전산업에 걸쳐 전국에 수 백개가 형성되어 있다.
■ 이태리 니트의류제품은 수출경쟁력 상품
이태리의 니트의류제품은 다른 제품보다 경쟁력이 높은 편으로, 20억불 이상의 무역흑자구조 를 나타내고 있다. 이태리의 니트의류 수출액은 지난 2000년에 51억불에서 2004년에는 67억불을 달성하였고, 수입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지난 2000년에 23억불을 수입하였고 2004년에는 47억 불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입 증가율이 수출 증가율보다 높은 편으로, 이는 제품 구입단가가 지난 5년동안 꾸준히 성장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이태리제품은 고부가가치제품으로 평균수입단가보다 수출단가가 2배에서 3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 그림 113 ] 이태리의 니트의류(HS61) 수출입액 및 증감추이
[ 그림 114 ] 이태리의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및 증감추이
■ 2000 년이후 급증한 대한국수출
한국과의 교역에서 지난 1 995년을 전후하여 급속하게 수출이 증가하여 89백만불어치를 수 출하였고, 1 997년 환란이후로 잠시 주춤하던 수출세가 다시 20 02년을 기점으로 증가하여 2 004년에는 62백만불어치가 수출되었다. 수입은 1 990년 전후하여 약 9백만불어치를 수입하였 으나, 199 5년에는 2백만불 수준에 그쳤고, 2 004년에는 다시 8백만불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전반적으로 수출단가는 지난 199 0년에 K G 당 11.22불 수준이었으나, 2 004년에는 대폭 상승 하여 K G 당 17.75불 수준이었다. 반면, 수입단가는 K G당 2불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최근 200 0년부터는 단가가 작지만은 상승하는 추세로 20 04년에는 K G당 1 .9 4불 수준이었 다.
[ 표 152 ] 이태리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액 추이
[ 그림 115 ] 이태리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추이
■ 이태리 대표적 니트의류생산기업
기계분야 Santoni
이태리 브레사지역에 위치한( 주) 산토니 는 (S an ton i S pa )무봉제니트기술의 원조기업이 다.
이 회사는 1 919에 양말과 스타킹 제조기계회사에서 출발하였고, 지난 198 8에 L on ati G rou p을 인수하여 남자용 양말과 여성용 스타킹 생산에서 세계 시장을 리더하는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지난 15년간 산토니는 첨단 기술에 투자하여 1 4개 종에 이르는 무봉제 기계를 개발하여 패션산업의 혁명을 주도하였다.
[ 표 153 ] Santoni Spa의 무봉제 제품 개발 가이드 북 추이
[ 표 154 ] Santoni Spa가 개발한 주요 무봉제 니트기계류
무봉제 니트생산기업 Stilnovo
지난 여년간 양말 및 바디웨어 등의 노하우를 가진 주 스틸노보 는 30 ( ) (Stiln o v o sp a) 이태리 최초로 무봉제니트제품을 생산한 기업이다. 산미니아토(S an m in iato )에 있는 일괄생산체제의 공장에서 년간 무봉제 의류 80만착, 타이즈 600만착이 생산되는데, 이는 자동화된 첨단 기계 설비의 발명과 우수하고 가는 실의 개발에 의해 가능한 것이었다.
[ 표 155 ] Stilnovo spa의 무봉제 혁신상품
이 회사는 지난 199 0년대에 유명 패션디자이너 로메오까발리니와 함께 새로운 무봉제 니 트제품의 디자인력을 혁신하면서 세계시장에 부각되었으며, 현재 미국, 캐나다, 일본, 프랑스, 한국 등 전세계 3 0여개국에 판매유통망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최고급 니트의류브랜드 「MISSONI」
"색채와 니트의 마술사"로 불리우며 화려한 색의 조 화로 니트를 예술의 경지까지 끌어올린 미소니의 니트 웨어는 1953년 오타비오 미소니(Ottavio Missoni)와 부 인인 로지타 젤미니(Rosita Jellmini)가 트리에스터에 공장을 설립, 이태리 유명 디자이너 브랜드 등에 니트 제품을 OEM방식으로 납품 하였다. 그러다 1954년 하 고 갈라콰테로 활동 무대를 옮긴 후, 철저히 수공업적 인 생산체계를 가지고 누구도 흉내낼수 없는 실험정신 으로 니트웨어를 매혹적이며 독특한 변화를 지니는 소재로 바꾸어 새로운 패션제품으로 탄생시켰다.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패턴의 니트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되고 그에 힘입어 1 966년 밀 라노에서 최초의 컬렉션을 열게 된다. 자연이 주는 자유분방함과 감성이 빚어내는 미소니의 컬러들은 환상과 기쁨을 표현한다는 찬사를 얻고 있으며 모방을 불허하였다. 미소니의 컬러 팔레트는 4 0여가지 기본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10가지 색을 선택하여 하나의 색 그룹을 만들어 낸다. 여러가지 색상의 혼합이 디자인의 토대가 되며 시즌마다 이러한 컬러 그룹을 네가지로 설정하여 컬렉션에 선보이게 된다.
[ 표 156 ] Missoni의 2006 SS collection
미소니는 패션과는 관련이 없는 분야로 인식되던 니트를 평상복에서 야외복까지 레벨업 시켜 니트를 패션화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한 것은 물론 패션 혁명이라고 불리울 만한 많은 일을 수행하였다. 전통적인 니트기계를 사용하여 새로운 색의 조화와 색다른 형식의 니트를 탐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 3년에는 패션계의 오스카 상으로 불리는 니만 패션 어워드를 수 상하였고 7 8년 10월에는 디자이너로서는 드물게 뉴욕 호이트니 뮤지엄에서 니트 전시회를 개최하여 예술가로서 인정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87년부터 제동물산에서 미소니를 직수입하여 전개하고 있고 부담 없는 스타일과 동서양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쉽게 어필하는 오묘한 색채로 지속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세계 최대의 니트유통점을 보유한 Benetton Group
19 35 년 이탈리아 베네토주 의 트레비조에서 태어난 루치아노(州) 베네통(L u cian o B ene tto n ) 은 1 955년에 낡은 직조기 한 대를 구입한 것을 계기로 의류업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베네통의 성공요인은 독창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기업정신과 고객의 욕구를 철저히 파악하 여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베네통의 고객욕구대응체제에 있다. 그리고 이 고객욕구대응체 제의 핵심에는 베네통의 원천기술인 후염가공공정과 세계 최고수준의 물류체계가 있다. 과 거 6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선염가공공정(먼저 털실을 염색하고 이 염색된 털실을 갖고 손 이나 기계로 스웨터를 만드는 기법)으로 스웨터를 생산했다. 하지만 선염가공공정은 원재료 의 확보와 재고의 부담 그리고 소비자의 욕구에 빠르게 대응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루치아노 베네통은 울제품 재염색 전문가인 몬타나에게 후염가 공공정(염색하지 않은 한 가지 실을 가지고 옷을 생산한 뒤 옷에 염색을 실시하는 기법)을 개발토록 지시하고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베네통은 후염가공공정 기술(Ga rm en t D ying )이라 는 베네통만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게 된다. 이같은 노하우를 확보한 베네통의 제품들은 원가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과 쉴 새 없이 변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경쟁 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최첨단 시설을 갖춘 카스트레트 물류센터(한번에 2 0만 박스의 의류상자를 저장하고 20시간 동안에 2만5천여 박스를 입출고 시킬 수 있음)와 20시간 이내 에 베네통에서 생산된 제품이 전세계 어느 곳으로나 배달될 수 있게 항공기편을 이용한 배 송방법 등은 베네통이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원천이 되었다 .
이렇듯 뛰어난 품질과 베네통만의 독창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명성을 얻어가던 베네통이 세계적인 브랜드로 소비자들의 뇌리에 깊이 인식될 수 있었던 것은 누구도 따라하기 힘든 베네통만의 독특한 광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베네통은 다른 회사들처럼 엄청난 광고 비를 쏟아붙고 있진 않다. TV 매체의 중독성을 혐오하고 30년 동안 공장을 이탈리아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 보수적인 경영노선을 고집하는 베네통은 TV 광고 뿐 아니라 심지어 1년에 두 차례씩 선보이는 1500여종의 신제품 광고도 하지 않는다. 이유는 “돈이 없어서…..” 라고 파올 로 란디 베네통 광고부장이 말할 정도로 베네통 광고는 대중매체에 쉽게 들어나지 않는다. 하 지만 베네통은 다른 의류회사들과는 달리 제품을 홍보하는 광고가 아닌 사회적 이슈를 내세 우는 홍보전략으로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었다.
[ 표 157 ] Benetton의 2005/2006 F/W Catalogue
19 84년 패션 사진작가 올리비에르 토스카나를 광고업무 책임자로 발탁하면서 기획된 사회 적 이슈를 파격적으로 표현한 광고는 기존의 베네통 브랜드아이덴티티와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세계인의 관심을 베네통으로 집중시키기엔 충분했다. “우리 베네통은 독특 한 컬러를 고집해 이제는 세계인 모두 옷 색깔 만으로도 우리의 제품을 구별할 수 있다.”라 는 루치아노 베네통 회장의 말처럼 이미 베네통만의 색깔을 전세계인들에게 충분히 인식시 켰다는 베네통만의 자신감이 있었기에 이러한 광고가 가능했던 것이다.
독창적인 사고와 기업정신을 바탕으로 베네통사는 196 0년대 후반부터 세계적인 명성을 얻 기 시작해 200 1년 말 현재 세계 각지에 9개의 공장과 7,00 0개 이상의 매장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미국의 하버드대학교와 스탠퍼드대학교 등에서는 베네통의 경영기법을 경영학 교재 로까지 채택할 정도로 유명해졌다.
국내는 1 987년에 처음 진출하여, 이후 베네통코리아를 설립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표 158 ] Benetton의 파격적인 광고이미지
세계 최고급 캐시미어 니트의류제품 「Malo」
유럽 중근세 귀족들의 요트이름에서 비롯된 「말로」 는 19 72년 지아코모 케네사(GIA COM O CA N E SSA ) 와 알프레도 케네사(A L FR ED O C AN E S SA ) 형제에 의해 최고급 니트 생산지이자 예술의 지방인 플로렌 스에서 설립됐다.
소량 생산으로 품질 우선주의를 중시하는 「말 로」는 창업 초기부터 고급화를 추구해 온 것으로 유명하다. 창업 후 3 0년간 말로만의 기술 적 노하우와 장인 정신을 고수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오고 있다. 또한 198 9년 이태리 유 명한 패션기업 M an ifatture A sso cia te C ashme re SPA 사에 대표적 브랜드로 승격된 후 현재 밀라노 스톡 마켓에 상장돼 있는 IT T IER RE 에 소속되어 있다. 한편 제품의 8 0% 가 일본, 미 국, 독일로 공급되는 등 이태리 시장 뿐 아니라 세계적인 니트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
말로의 품질을 결정짓는 최상급 캐시미어는 중앙아시아 등지의 고원에서 자라는 캐시미어 종 산양의 털에서 추출된다. 말로 캐시미어의 특징은 엄격한 재료, 고급 공정기술, 자사만의 독특한 염색과 편안한 착용감으로 요약된다. 말로는 가늘고 긴 실을 뽑아 가볍고 보온성이 큰 옷을 생산하는데 실을 가늘고 길게 뽑는 생산 공정은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다. 보통 스코틀랜드 캐시미어가 1k g에서 한올로 1 400∼1 500의 실을 생산하는 것에 비해 2 200∼2 800 의 가늘고 긴 실을 두 올을 뽑아내고 있는 것. 염색기법에 있어서는 원모자체에 염색을 하 는 탑 다잉(T o p d y in g )을 도입해 선명한 색상과 다양한 톤의 자연색을 도출해 낸다. 말로가 자랑하는 우수한 컬러는 까다로운 염색작업을 위해서 자체공장을 설립, 꾸준한 기술개발을 하는 등 자사만의 노하우에서 기인한다. 흰색, 갈색, 짙은 회색, 밝은 회색 등 4종류 색상의 원모 중에서 가장 고가이며 고퀄리티인 흰색털을 제외하고는 화려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또 「말로」는 봉제면에서도 편안한 착용감과 세련된 스타일 연출 을 위해 옷의 이음새 부분은 작은 부분 하나까지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등 고퀄리티 제품 생 산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 그림 116 ] Malo의 최고급 캐시미어 제품
3.4. 일본
■ 경제성장 회복기의 일본
[ 표 159 ] 일본 국가경제지표
19 90년대 중반의 버블경제 붕괴 후의 저성장 기조가 끝이 보이면서 지난 20 03년에 3% 의 성장률을 달성하고 오는 2 005년부터는 4~ 5% 대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이는 고용임금의 하락과 기업 이익률 증대, 실업율의 하락 등을 통해 내수소비시장이 다시 살아나고 있으며, 수출 또한 성장세에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일본은 201 0년 초반까지 안정적인 국가경제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F_022)
■ 니트의류제품의 지속적 소비 증가
일본의 니트의류제품에 대한 소비는 2 010년에 2 3억 9천만착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지난 199 0년의 1 2억 2천만착의 2배 정도 수준이며, 20 00년의 20억만착에서 15% 정도 증가한 것이다. 니트의류제품의 수급동향을 살펴보면, 생산량은 감소하는 반면, 수입량은 급 속히 증가하는 추세로, 지난 199 0년에 외의류를 2 71백만착을 생산하였으나 200 0년에는 1 46백 만착, 201 0년에는 1 10백만착 수준을 생산할 전망이다. 반면, 외의류 수입은 199 0년에 207백만 착 수준이었으나 200 0년에는 108 2백만착, 201 0년에는 125 0백만착 수준이 될 전망이다. 이는 다른 내의류 재품도 마찬가지로 201 0년에 130백만착을 생산하고, 수입은 900백만착을 할 전 망이다. F_023)
한편 니트기계 보유량을 보면, 생산량이 급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계보유량도 감소추세 로, 200 0년을 기준으로 환편기는 980 0대, fully fash io ned 기계는 650대, 횡편기는 100 00대, 양말기는 2 000 0대, 그리고 경편기는 80 0대 수준이었다.
[ 표 160 ] 일본 : 니트편직물 및 니트의류제품의 기계, 생산, 무역, 소비 추이, 1990-2010
■ 니트의류제품의 지속되는 수입 증가추세
일본의 니트의류제품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 04년에 수입액은 9 1억 9천만불이었고 반면, 수출액은 2억 6천만불 수준이었다. 이는 지난 200 0년에 각각 81억 9천만불과 1억 5천만불 수준보다 12.2% , 77 .0% 증가한 것이다. 특히 수출 금액 수준으로 매 우 낮지만 성장력이 지난 5년동안 높은 이유는 무봉제 니트의류제품의 세계적 유행과 일본 제품의 높은 경쟁력으로 시장 수요가 많았던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는 H S 61 06 여성셔츠 가 매년 평균 130% 이상의 높은 수출 증가율에서도 추정될 수 있다.
일본은 고품질의 니트제품을 생산하여 평균 K G당 약 2 0$ 수준에서 수출하는 것으로 나타 났고, 반면 수입은 K G당 약 5$ 수준이었다. 수출단가가 높은 제품은 HS 6 101 남성외의류와 H S 610 2 여성외의류 품목, 그리고 H S 610 3 남성상하 품목, H S 610 4 남여상하 품목 순으로 나타났다.
[ 그림 117 ] 일본의 니트의류(HS61) 수출입액 및 증감추이
[ 그림 118 ] 일본의 2004년 니트의류(HS61) 수출입액 및 증감추이
[ 그림 119 ] 일본의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및 증감추이
■ 대한국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은 지난 년부터 평균 매년 수준으로 증가하는 1 990 1 5% 반면, 수 입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특히 수입은 지난 19 90년에 9억 3천만불, 1 995년 1 1억 5천만불 수 준이었으나, 199 5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감소되어 20 04년에는 2억 6천만불 수준이었다.
[ 표 161 ] 일본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입 추이
또한 수출단가는 지난 19 90년에 K G당 4 .4불 수준에서 200 4년에는 9 .7불 수준으로 약 2배 상승한 반면, 수입단가는 199 0년에 1.7불에서 2 004년에는 2.0불로 약 20% 상승에 그쳤다.
[ 그림 120 ] 일본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추이
■ 무봉제 의류제작 시스템으로 새로운 호홍기를 맞는 일본 섬유업계
일본 의류제조 업체들은 봉제선이 보이지 않게 편직이 가능한 무봉제 편직기 도입을 증가하 고 있다. 이는 완전 자동화시스템으로 단시간에 기존 편직기로는 불가능했던 고품질의 패션성 의류 제작이 가능하여 저가의 중국제품에 대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의 방직기전문제조업체인 島精機(시마세이키) 제작소가 개발한 편직기는 디자인 만 지정하면 시간당 한 벌의 니트웨어가 완성되며, 기존의 부위별로 별도 제작하여 봉제․ 가공한 것과는 달리 이런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시간의 단축과 원가절감효과가 크다.
의류 대기업인 온워드 가시야마사의 경우 주력브랜드에 대해 지난 년전부터 2 ~ 3 도입, 가 동을 시작하였고, 원가절감효과를 얻게 됨에 따라 시즌제품량의 10%를 본 기계를 활용하여 일본 국내생산으로 전환하고 있다. 산요쇼카이의 경우는 버버리 등 주력 브랜드의 고가제품 을 중심으로 국내생산량의 20% 를 무봉제니트 제조기 생산체제로 전환했다.
의류업계의 경우 최신유행을 얼마나 신속하게 제품에 반영시킬 수 있는냐에 승패가 좌우 된다. 중국에서는 운송과 통관에 따라 시일이 걸리고, 발주에서 판매까지 한 달이 소요되지 만 일본 국내생산의 경우 납기가 절반으로 단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 벌 단위로 손쉽게 디자인 변경이 가능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하다.
시마세키사가 무봉제 니팅기계를 발매한 것은 1 995년으로, 베네통을 비롯한 세계적 브랜드 업체들이 우선적으로 도입하였으며, 일본내 판매실적도 매년 두 배이상 증가하여 200 3년도만 도 338대의 실적을 올렸다. 200 3년도에 일본으로 수입된 니트제품은 중국에서만도 12억벌이 수입됨에 따라 일본국내생산량이 1억벌이하로 급감하였으나, 무봉제니트 제조기의 도입으로 원가절감과 인건비 절감으로 중국제품과 경쟁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업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F_024)
■ 일본 니트의류산업계의 선도기업, “shimaseiki”
[ 표 162 ] 시마세키 社의 기계개발 연보
시마세끼의 무봉제니트, 즉 WH OL E G A RM EN T�� 는 세계 니트의류산업계는 물론, 의류사 업계에 일대 혁명을 가져온 기술이었다. 19 90년대 소비자는 새로운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았 고 ,199 5년 시마세키사는 이태리 기계전시회인 ITM A 에 무봉제니트기계 FIRS T 를 선보이면서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상품들이 이 기계를 통해 개발되고 있다. 이제까지 봉제 를 통해 완성되었던 니트제품이 컴퓨터에 의한 자동 디자인 및 기획이 되면서, 제품편직과 가공까지 전자동으로 진행되었고, 더욱이 창조적인 디자이너들의 새로운 디자인기술이 가미 되면서 200 0년부터는 무봉제니트 제품이 소비자의 주요 구매품이 되었던 것이다.
일본은 시마세끼의 이러한 첨단기술에 의한 제품개발력을 보유한 결과, 수출시장에서도 이 태리와 동등하게 생산된 고부가가치제품이 핵심으로 부상하였고, 일본 니트산업에도 획기적 인 혁신을 가져와서 산업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 표 163 ] 시마세키 社의 WHOLE GARMENT�� 제품
3.5. 미국
■ 경제 회복기에 있는 미국
[ 표 164 ] 미국 국가경제지표
미국 경제는 200 2년을 기점으로 연착륙의 조짐이 보였으나, 다시 이라크 전쟁과 고유가, 높은 금리 등으로 인해 다시 경제가 하락하는 추세이다. 가정과 기업은 모두가 소비에 대한 의식은 낮은 반면에 좋은 조건의 금융시스템에 저축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수출은 물론, 수입도 감소되고 있는 등 총체적인 내수 불황의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얼 마전까지 집값과 생필수품값의 급등으로 고물가시대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나, 200 5년 초부터 안정적인 모습으로 전환되어, 향후 200 6년도의 시장은 안정된 기조가 될 것으로 전망 된다.
■ 미주지역내 무역협의체 출범으로 역내 교역이 대폭 증가
19 92년 1 2월 미국, 캐나다, 멕시코 3국 정부가 조인하여, 199 4년 1월부터 발효된 N A F TA 는 1 0년 후인 20 04년도에 3개국간의 관세를 완전 폐지한다는 것이 그 골자였다. 권내 인구 4억 명, GN P 10조 달러(19 99)의 대(大)자유무역시장을 형성하는 협정으로, 유럽공동체(EC )를 능 가하는 경제권이 된 것이다. 이 협정의 체결로 미국의 자본과 기술, 캐나다의 자원, 멕시코 의 노동력이 결합되어 지역경제를 발전시키는 반면, 시장보호와 블록경제화현상이 심화되어, 한국과 같은 대미 수출의존도가 높은 역외국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고 있다. 북미지역 내 의 투자에 대해서도 각국은 100 % 의 과실송금을 허용하며 금융부문에 대해서도 2 007년까지 모든 투자장벽이 철폐될 것이다.
섬유의 경우 제조 원가의 에 달하는 수입관세가 년도에 철폐되어 멕시코, 3 0% 200 4 10 0% 산 제품의 미국내 시장점유율이 현재보다 더욱 높아졌으며, 이로 인해 중국도 다소의 영향을 받았으나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피해가 크지 않았고, 오히려 최대의 피해국은 가격 경 쟁력이 극도로 저하된 한국이었다.
한편, 199 4년 N A F TA 이후에 C B I국가들은 멕시코의 우월적 지위에 의해 자신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하였고, 실제로 이들 국가의 미국 수출은 멕시코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증 가하였다. 결국 이들 C B I 국가들의 강력한 요구에 의해 20 02년 5월 발효된 C B T PA 는 198 4년 시행된 C B I(C arib b ean B a sin In itiativ e )에 그 골자를 두고 있으며, 이는 N A F TA 에서 소외된 중남미 국가들에게 N A F TA 와 동일한 혜택을 줌으로써 좌경화 경향이 있는 이들 국가들을 미국의 영향 하에 두고, 또한 북미, 중미, 남미 전체를 하나로 묶는 경제블록체제를 구축함 으로써 EC 에 대항하고 아울러 미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는 중국산 제품에 대항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C B T PA 의 주요 내용은 미국의 직물이나 원사로 C B I 국가에서 생산된 봉제의류제 품의 미국 수입에 대하여는 무관세적용과 쿼터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제는 국내 섬유제품의 미국 수출이 심각하게 어려워지고 있으며, 그 직접적이며 전체적 인 원인은 대부분의 품목에 있어서 약간의 품질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제품이 더 이 상 중국의 저가 제품에 대해 경쟁력을 상실했다는 것과 전자에 언급한 N A F TA 와 C B T PA 로 인한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에 주어지는 혜택, 다른 관점에 있어서는 아메리카 대륙 전 체의 경제블록의 벽을 뛰어 넘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N A FTA 가 10 0% 효력을 발휘하는 2 004년에는 되면 캐나다, 미국, 멕시코 3국 사이의 관세는 완전 폐지되어 국내 제품의 미국 내 경쟁력은 치명적인 타격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W TO 가입국들의 쿼터가 폐지되는 2 005 년이 되면 그나마 쿼터만큼이라도 보장 혹은 보호를 받았던 것마저도 중국과 중남미 국가에 빼앗길 것이 명백해 가장 큰 수출 시장인 미국에서 설 땅을 잃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다 지난 200 2년 8월 말 일경 A TM I (Am erica n T ex tile M an u factu rer In stitute : 미국 섬유제조업자 위원회)가 197 4년의 미 통상법 제 201조를 근거로 중국, 홍콩, 한국을 주 대상 으로 반덤핑 / 상계관세에다가 세이프가아드까지 발동할 것을 미 행정부에 요구해 놓은 상 황이어서, 만약 이것이 받아들여질 경우 한국은 가장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되어 업체의 경 영악화 및 도산율은 가속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미국 섬유산업은 저임금국으로 이동 추세
N A FTA및 법안의 발효로 미국의 산업이 저임금을 찾아 계속적으로 멕시코 C B I 및 과테 말라, 온두라스 등 중남미 국가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의 섬유 산업도 뉴욕에서 멕시코와 가까운 LA 로 이동 중에 있는데, 이것은 멕시코에서 LA 까지는 자동차로 불과 3시 간 거리라는 이동 장점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거 뉴욕이 미국 최대의 섬유 시장이었으나 위와 같은 미국의 정책과 입지적 여건으로 인해 현재는 LA 가 가장 큰 미국 내 섬유 시장이며 더욱 커져 가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미국의 섬유산업이 저임금을 찾아, 매사츄세츠→노쓰 캐롤라이나 →사우스 캐롤라 이나→조지아, 멕시코, 과테말라 등으로 남하하는 추세에 있다.
[ 표 165 ] 미국 및 주요 경쟁국의 월 평균 인건비 등
■ 편사소비량은 감소추세
미국의 편사소비량은 지난 20 00년에 430천톤을 소비하였는데, 이는 지난 199 0년 670천톤, 1 995년 58 6톤에 비하여 약 25% 감소한 수준이고, 향후 201 0년에도 약 300천톤 정도를 소비 할 것으로 전망섬유의 소비량은 20 00년에 2 07천톤이었으나 1 990년에는 236천톤, 1 995년에는 288천톤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201 0년에는 13 0천톤으로 급감될 전망이다. 단섬유 도 장섬유와 마찬가지로 감소 추세인데, 199 0년 33 4천톤, 1 995년 282천톤, 20 00년 2 23천톤으 로 감소되었고 20 10년에는 170천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미국 편직업계의 편사 소 비량이 급감되는 것은 수입을 통해 수급을 충당하고 있으며, 반면 신제품 개발 등의 새로운 산업혁신이 한동안 전무하면서 내수 산업이 침체되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F_025)
[ 표 166 ] 미국 : 편직기별 편사의 산업소비량 추이, 1990-2010
■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이 급증
한편, 세계 최대의 섬유소비국 미국은 니트의류제품의 수입도 20 04년에 세계 최대수준인 3 16억달러를 수입하였다. 이는 지난 2 000년의 264억달러보다 약 2 0% 정도 증가한 추세로 향 후 이러한 증가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액을 보면 200 4년에 67억달러 수준이었 고 이는 지난 200 0년 51억달러 수준에서 20% 정도 증가한 것이다.
[ 그림 121 ] 미국의 니트의류(HS61) 수출입액 및 증감추이
■ 대한국 수입은 감소 추세
한국과의 교역을 살펴보면 한국으로부터 수입은 년에 억 천만불이었으며 , 20 04 8 5 , 이는 1 990년 8억 8천만불보다 다소 감소한 것이며, 20 02년 10억 9천만불보다는 2 0% 정도 급감한 것이다. 이는 중국의 강세와 쿼터철폐의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 한국으로 수출은 급 증하였는데 지난 1 990년 1백만불 수준에서 20 04년에는 13백만불 수준으로 급증되었다. 이는 지난 10여년동안 미국 브랜드가 한국시장에 진출하면서 미국산 제품을 그대로 수출한 영향 이다.
[ 표 167 ] 미국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액 추이
한편, 한국으로부터의 니트의류제품의 수입단가는 2 004년에 k g당 1.74불 수준으로 지난 1 997년 2 .0 5불 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수출단가는 2 004년에 k g당 8.20불로써 수입단 가 대비 4배 수준이었고, 이러한 수입단가는 199 0년 k g당 3 .9 1불에서 지속 상승한 것이다.
[ 그림 122 ] 미국의 對한국 니트의류 수출입 단가 추이
1. 산업경쟁력
1.1. 산업경쟁력 분석
■ 산업경쟁력 평가모델
니트의류기업의 산업경쟁력 평가는 니트의류산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장기간의 현장 경험 에 따라, 전문가가 근무하는 기업의 산업 및 생산기반 경쟁력을 기준으로 중국, 이태리, 일본 3국 의 거래처의 산업기반 경쟁력을 표준화된 평가문항 20개에 5점 척도(1=한국대비 산업경쟁력 수준 이 매우 낮음, 5=한국대비 산업경쟁력 수준이 매우 높음)로 평가하게 하였다. 그리고 분석에서 는 5점 평가 결과를 100점으로 환산한 후 각 평가범주별 산업경쟁력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F_026)
■ 산업경쟁력 평가
중국기업의 산업기반경쟁력은 납품가격과 설비규모에서는 한국보다 높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나, 기타 생산기술의 표준화 및 고도화, 기획능력, 생산 품질 안정화, 기업 경영의 신뢰 성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경쟁 열위를 보이고 있다. 반면 이태리 기업은 납품가격과 품질문 제 대응 능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경쟁 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본기업은 모든 항목에서 한국보다 경쟁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납기일 준수 및 거래기 업과의 업무협조 노력 등 대고객서비스에 대한 기반력은 이태리보다 높은 경쟁력을 나타냈다.
[ 그림 123 ] 국가별 산업경쟁력 수준
[ 표 168 ] 경쟁요인별 산업경쟁력 수준
[ 그림 124 ] 경쟁요인별 산업경쟁력 수준
[ 그림 125 ] 경쟁요인별 산업경쟁력 수준
[ 그림 126 ] 경쟁요인별 산업경쟁력 수준
■ 주요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평가
횡편 스웨터품목에서 중국의 산업기반력은 매우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시설설비력은 다른품목에 비해 매우 열세에 놓여있고, 한국보다도 약간 열세에 있다. 반면 납품가격력은 다른 품목보다 가장 높은 우위를 보이고 있다. 일본과 이태리는 다른 품목보다 횡편스웨터 품목에서는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다소 낮게 나타났고, 이에따라 한국은 횡편니트부문이 다 른 품목보다 상대적으로 산업경쟁력이 높은 편으로 해석될 수 있겠다.
[ 그림 127 ]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수준 : 횡편 스웨터
봉제니트의류품목의 한국 경쟁력은 다른 품목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고, 반면 이태리, 일 본, 중국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하여 대 량생산에 용이한 봉제니트의류품목의 특성을 활용하여 시설설비기반력을 확대, 다른 품목보다 높은 납품가격경쟁력을 제고하고 있다 반면 일본과 이태리는 디자인력 등을 확대한 . , 기 획관리기반력과 생산품질운영기반력 등에 투자하여 차별화된 고품질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산업기반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이태리의 납품가격력은 품질수준을 고려한다고 해도 한 국보다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이에따라 한국은 디자인기획력을 강화한다면 이품목에서 이태리제품을 능가할 수 도 있을 것이다.
[ 그림 128 ]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수준 : 환편 봉제니트의류
티셔츠품목에서도 한국의 경쟁력은 다른 품목에 비하여 경쟁력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납 품가격에서는 중국이 저가격으로, 이태리는 품질대비 적절한 가격으로 경쟁력이 높은 반면 에, 한국과 일본은 차별성이 없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 그림 129 ]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수준 : 환편 티셔츠
기타 기업업태별 경쟁력을 살펴보면, 중국은 원사생산이나 봉제기업에서 다른 업태보다 경쟁력이 높은 편이며, 이태리는 기획디자인, 염색가공기업이 다른 업태보다 경쟁력이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본과 한국은 기획디자인과 편직기업이 다른 업태보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표 169 ]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수준
표 170 ] 기업업태별 산업경쟁력 수준
[ 표 171 ] 기업업태별 산업경쟁력 수준
1.2. 생산관리수준 분석
■ 생산시설 및 설비
중국 니트의류 제조업체의 연간매출액은 2000만~20억위안의 범위에 있으며, 연간생산량은 최소 10만매에서 최대 1,500만매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 니트제품 생산업체 중의 하나는 총 17개 생산라인을 통해 제품을 만들고 있으며, 총 400대의 Juki(일본제품) 미싱기와 메탈 검침기 2대, 홍콩산 건조기를 보유하고 있음. 이외에도 방오가공등의 특수가공이 가능한 염색기계와 각종 원단검사기계들을 갖추고 있었고, 또 다른 니트의류 생산업체는 연간 1억 위안 이상을 기계설비에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염색 기계설비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었다.
[ 표 172 ] 중국 니트의류업체의 생산설비 : 조사 1개 기업: 2004년
■ 품질경쟁력
선진 니트의류제조국인 이태리의 품질 경쟁력을 200 4년을 기준으로 10 0p 만점으로 보았을 때, 중국니트의류업체의 종합품질수준에 대한 조사 및 전문가 평가 결과 87 .5 p 수준으로, 향후 20 07년에는 93.5p , 20 10년에는 97.0p 수준으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리고 중국 조사기업 8개 조사대상 니트 생산업체 중 5개 업체에서 국제품질인증을 받았 으며, 그 외 업체도 수출을 위주로 하는 특성상 엄격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니트의류 생산전문기업 A 사는 ISO9 001 , ISO1 400 1, 그린마크 품질기준을 모두 통과했으며, 이외에도 영국의 C C A S 와 중국의 C QC 평가를 통과하였다. 국제 무역 규격에 맞춘 품질 선 진식 A / S 와 판매 시장, 새로운 제품의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B사는 생산관리의 표준을 유지하기 위해 국제인증을 신청한 상태이다 업체관계자 ISO . 에 의하면 현재까지 유럽이나 미주 등지로 수출할 경우에는 ISO 국제인증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으나, 일본 바이어가 ISO 국제인증 요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C 사는 ISO 90 02, ISO 14 000을 모두 획득하였으며, 조사업체들 중 가장 표준화된 품질 관 리 체제를 보여준다. 공장설비는 유럽, 특히 이태리산 기계를 사용하였고, 이태리 디자이너 및 설계사, 원사기술자들이 1년에 수차례 방문하고 있다. 제품 생산 외에 원사 생산을 겸하 고 있으며, 원사의 경우 엄격한 품질 관리가 요구되므로 최신식 설비를 보유하기 위해 지속 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D 사는 2 000년 ISO 900 1 인증을 받았으며, 이후 ISO 900 1 품질 관리 시스템으로 생산 전과 정을 컨트롤하고 있다.
■ 노동 및 조직경쟁력
중국 니트의류업체의 노동력 규모는 종업원수가 280명~4,000명 규모로, 일반적으로 우븐 업체 보다 규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의 평균 30~40명 규모보다는 월등히 큰 공장으로 볼 수 있다. 노동력 구성에는 편직과 사시(링킹)인력은 각각 16~30%, 28~31%로 조사되었다. F_028)
[ 표 173 ] 중국 니트의류업체의 인력구조 : 2004년
중국니트의류 생산업체의 인건비는 대졸초임의 경우 연봉이 12,000~18,000위안 수준이며 3년 후 임금은 30,000~40,000위안 정도로 나타났다. 고졸초임의 경우 7,200~9,000위안, 고졸3년차 임금이 10,800~12,600위안 정도로 우븐 업체에 비해 인상폭이나 임금 수준이 떨어지고 있다.
[ 표 174 ] 중국 니트의류업체의 노동비용 : 2004년
니트업체는 소재개발과 생산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중요시되는 부분으로 년 , 2004 조사 대 상이었던 중국 니트업체 8업체중 5업체가 10~40명 규모의 연구개발조직을 운영 중에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니트 A업체는 산학연 체계의 성급 기술개발센터]를 운영 중에 있으며, 연매출의 3%-5% 정도의 특별 기금이 기술 개발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기업은 CAD 보조 디자인 시 스템, 자동 칼라 매칭 시스템, 컴퓨터 테스트 시스템을 도입하였고, 자체 연구 개발한 해양생물 추출성분의 Chitin fiber는 국가 특허를 획득한 웰빙 니트직물이며, 이외에도 의류 염색 대마 편 직품 항목, 고탄력 니트저지 가공처리기술, 생물효소 처리기술등의 연구 성과를 올리고 있다. 니트 C업체의 경우 2000년 설립된 총 40여명의 연구개발조직을 보유하고 있으며, 석사는 총 3 명으로 대부분이 학사 출신이며, 특히 CAD기술과 디자인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니트 D업체의 경우 2000년 총 15명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조직을 만들었으며, 2002년 총 매출의 0.7%, 2003년 총 매출의 1%를 연구개발비로 지출하였으며, 향후 2005년에는 연구개발비를 매출액의 2.5% 수 준으로 올릴 계획이다. 주요 성과로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극세, 경량(fine knit형 16~18g)니트사 의 개발이 있다. 니트 E 업체의 경우 2001년 설립한 40여명의 연구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내 첫 N ano -Tex 수주생산에 성공했으며, 그외 Spo rts Wo o l, Co o lmax등 기능성 원단의 생산 으로 유명하다. 니트 F업체는 6명 규모의 기획실 성격이 짙은 연구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3년 총매출의 3%를 연구개발비로 지출하고 있다. F_029)
[ 표 175 ] 중국 니트의류업체의 연구개발 현황 : 2004년
[ 그림 130 ] 중국 니트생산업체의 조직도
2. 원가경쟁력
■ 생산비용
중국과 일본의 생산비용구조를 비교해 보면 가장 큰 격차를 나타낸 부분은 노동비용으로 , , 일반 노 동자와 엔지니어, 중간관리직에 대한 임금 수준이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2000년 기준 요코하 마의 의류업체 노동자 인건비는 중국 내 가장 큰 인건비를 나타낸 상해의 약 12~26배 수준 이었다.
[ 표 177 ] 중국과 일본의 생산요소 비용 비교
■ 노동비용
중국이 세계에서 풍부한 노동인구와 저렴한 노동비용으로 높은 가격경쟁력을 보유한다. 년말 중국의 취업자수는 억 만명으로 이러한 풍부한 노동인구로 인해 20 00 7 1 ,1 50 , 노동 집 약적 산업에 있어 매우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오랜 기간에 걸쳐 실시된 기초교육 중시 의 정책이나 저임금 정책은 중국에 있어 저렴하면서 질 좋은 노동시장을 형성하게 되었다. 임금 코스트(co st)에 있어 중국은 아시아 N IE S보다 우위에 있고, 일본과는 20배 이상의 차이 가 있다. 중국 노동자의 인건비는 태국, 필리핀, 인도와 비슷한 정도이지만 기초 교육을 받 은 노동인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노동시장으로의 매력이 높다. 중국의 근대화된 도시노동 자의 급여 향상과 한국, 일본 시장에서의 가격경쟁 격화는 고품질 수출상품의 생산 환경을 구축해 갈 것이다.
[ 표 178 ] 세계 제조업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
미국을 10 0으로 한 각 국가의 노동자 급여 편차치를 보면, 일본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반 면 한국은 이의 1 / 10 수준, 중국은 1 / 3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섬유산업 시간당 인 건비를 1로 보았을 때 중국은 0.13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 표 179 ] 세계 섬유의류산업의 시간당 인건비 현황
지난 년부터 년에 걸쳐 섬유산업에서 한국의 평균노동임금 성장은 연평균 1 980 20 02 9.5% 씩 성장하여 세계 최고의 성장국가가 되었다. 이는 타이완의 8.2% , 일본의 7.8% , 미국의 4.0% 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 그림 131 ] 국가별 섬유산업의 평균노동임금 성장추이
그러나 2 002년 기준으로 평균노동임금은 시간당 5 .7불로, 홍콩의 6.2불, 타이완의 7.2불, 미 국의 15 .1불, 이태리의 1 5.6불, 일본의 22 .8불보다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 그림 132 ] 국가별 섬유산업의 평균노동임금, 2002
■ 제조원가
자동화 등의 기술발전은 니팅의 생산비용은 전반적으로 하락시키는 주요요인이 될 수 있 다 예로써 동일한 편직제품을 편직할 때 인도네시아나 인도 등의 개발도상국에서는 . , 노동비 가 전체 제조경비의 10% 를 넘지 못하나, 이태리와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5 0% 이상이 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링방적사로 편직할 경우에 편직 제조비용은 야드당 U S $ 0.11 7(원화1 49.5 원)로 총경비의 3 5.1% 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이태리는 U S $0.20 9, 미국 U S$0 .1 92, 터어키 U S$0 .1 35이다. 그리고 연간 가동시간은 이태리 6,500시간, 터어키 7,020시간, 브라질 7,119시 간, 인도와 인도네시아 공히 8,500시간, 한국은 7,69 0시간이다. 반면, 미국은 7 ,8 00시간으로 선 진국인 경우에 가동율은 높은 편이다.
[ 표 180 ] 횡편니트 편직 비용 : 서유럽 기준
편사를 포함한 편직제조비는 링방적사로 편직된 원단이 로토스방적사나 텍스츄어드 방적 사에 비해 가장 비쌌다. 링방적사로 편직된 원단에서 한국이 야드당 U S$ 1 .0 98인 반면, 이태 리는 U S$ 1.49 1, 미국은 U S $ 1.28 2로 한국보다 20~ 4 0% 정도 높았으나, 인도 U S$ 1.207 , 인 도네시아 U S$ 1 .2 36, 브라질 U S$ 1.28 2보다 오히려 10 ~2 0% 낮았다. 이는 한국이 다른 국가 에 비해 노동비 및 원재료비는 높은 반면, 감가상각 및 이자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경 쟁력 있는 제조비용이 산출되었다.
[ 표 181 ] 환편니트의 편직제조비용 비교(2001, 가치/yard)
[ 표 182 ] 편직원단의 제조비용 비교 (2001)
서유럽에서 제조비용 중에서 가장 큰 구성비를 차지하는 것은 편사부문이다 싱글환편니. 트 와 더블환편니트모두가 총제조경비에서 각각 7 3% 와 50% 를 차지하였다. 반면, 편직비용은 총 제조경비에서 11 .9%, 그리고 더블저지는 18 .1%이고, 염색 및 가공비용은 싱글저지가 4.2% 인 반면 더블저지는 16.9% 나 차지하고 있다.
[ 표 183 ] 환편니트 편직 비용 : 서유럽 기준
중국의 경우 니트의류의 제조원가는 품목별 차이보다는 업체별 차이가 보여 지며, 대략 7 0~ 11 0 위안의 범위를 보이고 있다. 니트 D 업체의 경우, 울 100% P u llo v er가 9 9 위안이고 울 100% C ard ig an 이 110 위안 수준이며, 니트 E 업체와 F업체의 경우, 울 1 00% P ullov er가 7 0~ 75 위안 수준이었다. F_030)
[ 표 184 ] 중국 니트의류기업의 제품제조원가
중국 니트의류의 도매가격은 울 게이지 의 경우 10 0% P u llo v er 1 2 S o lid 1 00~ 1 32 위안, 울 1 00% C ard ig an 12게이지 So lid 는 1 12~ 14 8 위안 수준이다.
[ 표 185 ] 중국 니트의류기업의 제품도매가격
■ 제품가격
편직원단가격은 지난 90년대 중반을 정점으로 하락추세에 있는데, 링방적사 편직원단은 1 999년을 정점으로, 로톨방적사 편직원단은 1 997년을 정점으로 하락 추세에 있다. 한국은 다 른 비교국가보다 가장 낮은 가격경쟁력을 지속하여, 20 01년에는 1 995년에 비하여 링방적사 편직원단은 19.9% , 로톨방적사 편직원단은 5 8.7% 로 가격이 인하되었다. 결국 가격에서의 경 쟁력을 가진 한국과 기타 국가들은 이제 품질, 스타일, 대고객 서비스 및 반응생산 등의 요 인으로 상호 경쟁을 하여야 할 것이다.
[ 표 186 ] 국가별 편직원단가격 추이
그리고 니트의류 품목별 국내 생산과 중국 생산 코스트 (co st)를 비교해 보면, 동일 품목 을 중국 O EM 생산할 때 14~29% 정도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생산코스트 차 이는 주로 가공임에서 발생하는 부분이다. F_031)
스웨터보다 니트 T -Sh irts 품목의 중국 생산시에 얻어지는 가격경쟁력이 더 큰 편이다. 니 트 T -Sh irts의 경우 중국생산시 29%, 피케 폴로셔츠의 경우 20% 정도 가격경쟁력이 높아진 다. 한편 스웨터의 경우 7게이지 C o tton Ro un d N eck은 1 9% , W o o l R ou nd N eck은 1 4% 정 도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표 187 ] 국내산 vs. 중국산 니트의류제품의 원가비교분석, 2004년*
중국 니트 E 업체의 경우 수도비와 전기세로 연 4 82만 위안을 지출하고 있으며, 전력사 용량은 공장의 경우 하루 평균 10 ,0 00 위안정도를 지출하고 있다. 중국 니트 F업체의 경우 지가를 포함한 임대료는 1 1.45$ /m 2/ 년, 전기수도요금은 월평균 35,00 0위안으로 기타 금융비 용 발생은 미미한 수준이며 자체 수출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F_032)
3. 기술경쟁력
■ 기술경쟁력 평가 모델
니트의류산업의 기술경쟁력 평가는 실제 산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한국 및 중국 니 트의류 제조업체를 실제 방문하여 표준화된 기술평가문항에 점 척도 기술경쟁력 , 5 (1= 수준이 매우 낮음, 5 = 기술경쟁력 수준이 매우 높음)로 평가하게 하였다. 분석에서는 5점 평가 결과를 10 0점으로 환산한 후 각 평가범주별 한․중 의류산업 기술경 쟁력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 니트의류기업 기술경쟁력 =
니트의류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기계설비, 품질관리, 인력, 생산시스템, 정보화, 디자인의 6가 지 차원에서 비교분석한 결과, 중국은 막대한 설비력과 인력으로 기계설비경쟁력과 생산시 스템경쟁력에서 한국보다 우위 혹은 동일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188 ] 국가별 기술경쟁력 비교
기계설비경쟁력은 중국이 한국보다 여점 정도 앞서 있으며 양국간 격차는 지속적으1 0 , 로 벌어져 향후 2 007년, 2 010년에는 16점 정도 중국의 경쟁력 우위가 전망된다. 품질관리경쟁력 은 현재 한국이 8점 정도 중국을 앞서고 있으며, 국내업체들의 자체 브랜드 양산과 품질 강 화 노력으로 이러한 격차는 20 10년 18년 정도까지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력경쟁력과 디 자인경쟁력은 한국이 중국보다 6점정도 앞서 있으며, 20 10년에도 여전히 8점~ 20점정도의 경 쟁력 우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생산시스템경쟁력은 중국과 한국이 현재 동일한 수준 으로 향후 2 010년에는 7점정도까지 중국이 한국을 앞서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화경쟁력 은 한국이 현재 2 P 점정도 월등히 우위에 있으며, 향후 20 10년에는 그 격차가 28점까지 벌어 질 것으로 전망된다.
[ 그림 133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평가
[ 표 189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 기계설비기술력 수준
■ 품질관리기술력
품질관리수준은 한국 중국 이태리 으로 중국의 경쟁열세가 두드러지고 50 .0 , 44 .3 , 7 0.3 , 있 다. 특히 한국은 의류생산기획공정과 편직전 공정 부분에서 중국보다 우위를 차지했으며, 본 공정과 제품검사공정은 중국이 상당부분 따라온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러한 추세라면 향후 한국이 추월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90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 품질관리기술력 수준
품질관리수준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범주별 경쟁력을 살펴보면, 디자인 소재선정, 패턴제 작, 샘플제작, 작업지시서 작성 등을 포함하는 의류생산 기획단계는 중국에 비해 한국이 우 위를 차지하였다.
한편 원부자재 물성검사, 공업용 패턴제작, 생산스케줄 작성, 게이지 작성 등을 포함하는 편직 준비공정에서 양국간 차이가 가장 크게 벌어져, 국내 니트의류의 품질관리 경쟁력은 향후 고급 니트의류 생산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편직본공정과 제품검사에서는 중국이 한국을 거의 추월했거나, 심지어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한국의 니트 의류를 앞서고 있는 부분으로는 봉조 공정과 링킹 공정으로 이는 중국의 대규모 기계설비(봉 조기, 링킹기)와 국내 업체의 협소한 작업시설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 그림 134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평가
[ 그림 135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평가
[ 그림 136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평가
[ 표 191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 기술인력 수준
[ 그림 137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평가
[ 표 192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 생산시스템기술력 수준
[ 그림 138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평가
[ 표 193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 정보운영기술력 수준
[ 그림 139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평가
[ 표 194 ] 경쟁요인별 기술경쟁력 : 디자인기술력 수준
중국산 니트의류제품은 디자인 요소가 조화롭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실루엣선․디 테일선의 조화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과 가장 격차가 벌어졌던 부분 은 소재기술로 소재조직, 염색, 장식, 가공기술에서 중국의 디자인 수준이 미흡한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소재기술면의 열위는 일본 업체들의 중국진출이 급속도로 증가한 현 시점 에서 조사된 결과로 주목해야할 필요가 있다. 즉 첨단소재기술을 가진 일본 업체라 할지라 도 중국을 현지 생산기지로서만 파악하고, 소재기술의 개발이나 전수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향후 한국업체들의 진출에도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한국산 니트의류제품의 디자인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브랜드 컨셉으로 이태리에 비해 가장 격차가 높은 경쟁요인이었고, 이는 국내 니트업체들이 주로 자사 브랜드가 아닌 유통 기업에 대해 단순 위탁생산거래를 하기 때문에 브랜드 통합 관리에 소홀했기 때문으로 지적 되고 있다.
4. 제품경쟁력
4.1. 제품수준 분석
■ 제품수준 경쟁력 평가 모델
니트의류기업의 제품수준경쟁력 평가는 니트의류산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장기간의 현 장 경험에 따라, 전문가가 근무하는 기업의 생산기반 경쟁력을 기준으로 중국, 이태리, 일본 3 국의 거래처의 제품수준 경쟁력을 표준화된 평가문항 10개에 5점 척도(1= 한국대비 제품수준이 매우 낮음, 5=한국대비 제품수준이 매우 높음)로 평가하게 하였다. 그리고 분석에서는 5점 평가 결과를 100점으로 환산한 후 각 평가범주별 제품수준 경쟁력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F_034)
■ 제품경쟁력은 이태리산 > 일본산 > 한국산> 중국산
이태리산은 유명브랜드력, 디자인의 유행성, 소재의 고급성, 색상의 우수성, 원산지의 선진 성 등 제품의 디자인성에서 높은 제품경쟁력을 나타냈고, 일본산은 친환경적 제품규격, 세탁 관리성의 편리성, 치수안정성, 제품의 완성품질력 등 제품품질측면에서 높은 제품 경쟁력을 나타냈다. 반면, 중국산은 저렴한 가격 면에서만 높은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다.
[ 그림 140 ] 국가별 제품경쟁력 평가
[ 표 195 ] 제품경쟁력 평가
[ 그림 141 ] 경쟁요인별 제품경쟁력 평가
■ 주요 제품품목별 산업경쟁력 평가
횡편 스웨터품목에서 이태리의 제품경쟁력은 매우 높은 편으로, 이 중에서 디자인의 유행 성, 소재의 고급성, 색상의 우수성을 경쟁요인으로 하는 디자인경쟁력이 매우 높은 편이며, M ad e In Ita ly 라는 원산지의 성진성과 브랜드유명도 등의 이미지 경쟁력도 높은 편이다. 그 러나 품질에 대한 경쟁력은 일본에 비해 다소 열세에 있다. 중국은 역시 저렴한 소비자가격 에 대해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다. 반면, 한국 제품은 어느 부문에서도 경쟁우위 항목이 없으 나, 가격적인 경쟁력측면에서는 품질에 비해 소비자가격에서 일본산이나 이태리산보다는 높 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 그림 142 ] 제품품목별 제품경쟁력 수준 : 횡편 스웨터
봉제니트의류품목에서는 이태리산의 이미지 경쟁력이 다른 품목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 나 반면, 가격경쟁력에서는 가장 낮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일본산은 품질경쟁력에서 월등 히 높은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은 물론, 다른 품목보다도 경쟁력이 높은 편이었다. 중국 의 경우 가격경쟁력이 다른 품목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며, 반면, 한국은 가장 낮은 가격경쟁력과 선진국에 비하여 디자인경쟁력 및 이미지경쟁력이 낮게 나타났다.
[ 그림 143 ] 제품품목별 제품경쟁력 수준 : 봉제니트의류
티셔츠 품목에서 한국은 다른 품목에 비하여 전반적인 제품경쟁력이 우위에 있는 편이고, 특히 디자인경쟁력에서 이태리를 추격하고 있을 정도로 개선되고 있는 중이다.
[ 그림 144 ] 제품품목별 제품경쟁력 수준 : 티셔츠
[ 표 196 ] 제품품목별 제품수준경쟁력 평가
[ 표 197 ] 기업업태별 제품수준경쟁력 평가
4.2. 소비자가격 분석
[ 표 198 ] 패션의류시장의 제품품목별 세분화
■ 소비시장에서의 가격수준은 이태리> 일본> 한국 > 중국 順
[ 그림 145 ] 니트의류제품의 원산지별 평균소비자가격 분포
[ 그림 146 ] 원산지별 스웨터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그림 147 ] 원산지별 봉제니트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그림 148 ] 원산지별 티셔츠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표 199 ] 원산지별 니트의류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세분시장별 소비가격수준은 Prestige > Woman > Man > Spors > Casual 順
[ 그림 149 ] 세분의류시장별 스웨터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그림 150 ] 세분의류시장별 봉제니트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그림 151 ] 세분의류시장별 티셔츠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표 200 ] 세분의류시장별 니트의류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스웨터 제품은 평균 197천원으로 최고 910천원~최저 39천원 수준에 분포
[ 표 201 ] 세분 및 감도시장별 스웨터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표 202 ] 세분시장별 원산지별 스웨터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봉제니트의류제품은 평균 천원으로 최고 천원 최저 천원 수준 평균 110 422 ~ 33 ( )에 분포
[ 표 203 ] 세분 및 감도시장별 봉제니트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표 204 ] 세분시장별 원산지별 봉제니트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표 205 ] 세분 및 감도시장별 티셔츠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 표 206 ] 세분시장별 원산지별 티셔츠제품의 소비자가격 분포
1. 무역구제제도의 개요
1.1. 무역거래상의 산업피해 요인
무역거래상의 산업피해요인은 덤핑수입, 보조금 수혜품의 수입, 세이프가드 요인에 의한 수 입 등 3종류
19 95년 1월에 설립된 WTO는 세계 무역시장개방으로 인한 국내산업의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덤핑 또는 보조금을 받은 물품의 수입에 대해서는 불공정무역행위로 규정하여 수입국이 반덤핑관세조치(A n ti D um ping ) 또는 상계관세조치(C ou n terv alin g d u ty) 를 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또한 일정한 조건하의 공정한 무역행위에 대해서도 수입급 증으로 인해 국내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받을 경우 수입국정부가 한시적으로 세이프가드 (Safe gu ard s)를 발동할 수 있게 하였다.
[ 표 207 ] 산업피해에 따른 무역구제조치 현황
그러나 이러한 무역구제조치를 발동하려면, 수출국의 무역거래상 문제점이 수입국의 산업 피해에 영향을 준다는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예로써 덤핑수입여부는 덤핑율이라는 계량화된 결과로서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지만 국 내 산업에 대한 피해와 덤핑 수입간의 인과관계를 계량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조사연구가 선행되지 않으면 통상마찰의 소지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금 지급사실 존재 및 이에 의한 수입국의 산업피해 사실과의 인과관계, 공정한 무역이었으나 수입증가로 인해 국 내산업의 피해에 대한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계량적 연구가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 무역구제조치를 위한 연구방법 : 이원론적 방법 (추세분석방법) F_037)
무역구제조치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수입과 피해사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련 의 요소들의 추세를 이용하며 특히 국산품 가격과 덤핑수입품의 가격 차이폭(M arg in o f u n d ersellin g )과 판매상실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원론적 추세분석이 있다. 다음은 이원론 적 추세분석을 통해 무역규제조치를 발동할 수 있는 연구과제이다. 총 4개의 가설에서 6개 의 세부조사항목을 분석하여 연구가설에 대한 수락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연구방법의 한 계로써 연구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2가지의 추가 분석도 조사되어야 한다.
[ 그림 148 ] 이원론적 추세분석을 위한 조사연구 체계
가설 1 덤핑 수출되어 수입량이 급증하였다.
가설 2 가격 차이 폭이 넓어 판매상실이 증가되었다.
가설 3 덤핑수입물품의 가격이 국산품보다 저렴할수록, 판매상실액이 클수록 국내 산업에
[ 표 208 ] 산업의 건강상태여부를 위한 지표조사 항목
가설 4 수출국의 정부가 사업의 보조금 지급으로 덤핑 수출과 낮은 단가 수출이 가능하였다
(조사 6) 수출국의 정부가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력이 증대되어, 수요 과잉물량이 나 타나서, 국외로 덤핑 수출을 할 수 밖에 없었다.
■ 무역구제조치를 위한 연구방법 : 일원론적 방법 (비교정태분석방법)
무역구제조치 발동을 위한 연구방법에는 정통적인 이원론적 분석 외에도 다각적인 분석을 요구하는 일원론적 분석이 있다. 일원론적 분석에는 한계분석방법(M argin A n aly sis)과 비교 정태분석방법이 있으나, 양측 모두덤핑마진(m arg in o f d ump in g )과 저가판매품(ma rgin o f u n d er-se lling )을 비교함으로써 덤핑을 영향을 결정하는 연구이다. 덤핑마진이 저가 판매폭 보다 적을 경우, 덤핑이 없으면 그 수입품의 가격은 국산품의 가격보다 낮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시작하고, 반면에 덤핑마진이 저가 판매 폭보다 크면 그 덤핑은 수입가격을 국산품 가격보다 낮추었음에 틀림없고, 이런 경우 수입은 산업에 피해를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덤핑이 어떻게 국내 산업에 피해를 주었는지에 대하여 명료한 설명을 할 수 있 으며, 그 인과관계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덤핑행위는 덤핑수입품의 가격을 낮추었을 것이다.
가설 2 낮은 수입가격이 국내 소비자에게 정상가격이하의 수입으로 대체하게 하고, 국내 동종 물품의 소비를 감소시킨다.
가설 3 국내 동종물품으로부터의 대체는 그 제품을 생산하는 국내 산업에게 피해를 준다.
가설 4 지금까지 평가된 당해 산업에 대한 수입피해는 국민경제 전체에 대한 영향을 미친다.
1.2. 우리나라의 무역구제제도 F_038)
무역구제제도의 종류로는 첫째, 반덤핑관세제도(A n ti d ump in g d uty sy stem , A D )가 있다. 반덤핑 관세제도는 외국물품이 정상가격(수출국 국내시장가격)이하로 수입되어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또는 국내산업의 확립을 지연시킬 때, 조사를 실시하여 정상가격과 덤핑가격의 차액 범위 내에서 반덤핑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공정한 경쟁 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이다. 둘째는 상계관세제도(C o un terv a ilin g D uty S ystem, C V D )인데, 수출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수출경쟁력이 높아진 물품의 수입으로 국내산업이 실질적 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또는 국내산업의 확립이 지연될 때에 보조금의 범위 내에서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공정경쟁을 확보하는 제도이다. 셋째는 세이프가드제도 (Safe gu ard , SG)로써, 수출국의 공정한 무역행위에 의한 수입이지만 특정물품의 수입이 급격 히 증가하여 국내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수 입수량을 제한하거나 관세율을 인상하는 등의 구제 조치를 취하는 제도이다. 넷째는 불공정 무역행위조사제도 (U n fa ir In tern atio n al T ra d e P ractice s)로, 무역거래에 있어서 대한민국 법 령 또는 대한민국이 당사자인 조약에 의해 보호되는 지적재산권의 침해, 원산지표시 위반행 위 및 수출입질서 저해행위 등 불공정한 무역행위를 조사하여 시정조치를 명령하거나 과징 금을 부과하는 제도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는 불공정무역제재조치인데, 외국정부의 무역에 관한 법령․제도․관행 등이 불공정한 경우 이에 대하여 특정국가가 관세조치 및 비관세조 치 등 자국의 법령이 허용하는 모든 보복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제도이다.
2. 니트의류산업의 무역구제조치 발동 사례
2.1. 세이프가드
■ 대중국 섬유세이프가드
20 01년 중국의 W TO 가입의정서에 따라 WTO 회원국들은 중국을 대상으로 대중 섬유세 이프가드를 발동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 세이프가드의 경우 발동국의 심각 한 피해가 발생할 시 발동요건이 충족되는 반면에, 대중 섬유세이프가드의 경우 제소국 해 당산업의 실질적인 피해발생 혹은 정상적인 교역을 위협할 시 그 발동요건이 충족되므로 발 동이 용이한 측면이 있다.
[ 표 209 ] 대중국 섬유 세이프가드제도 개요
■ 미국의 대중 섬유세이프가드 현황
대중국 섬유 세이프가드 추진 개요
지난 2005년 5월 23일 및 27일 두차례에 걸친 7개 품목에 대한 대중 세이프가드 발동에 이 어 최근 8월 31일 2개품목이 추가 발동되어 9월 6일 현재 총 10개 규제대상품목 중 5개 품목 이 전량소진, 해당 품목의 대미수출이 현재 불가능한 실정이다. 금번 신규로 추가된 2개 품목 의 경우 면 및 인조섬유제의 브래지어(C at 349/649), 기타 인조필라멘트 직물(Cat 620)이었다. 당초 8월말로 결정이 유보된 니트직물(Cat 222) 등 6개 품목 중 최근 신규발동된 브래지어(C at 349/649) 및 인조필라멘트직물(C at 620) 2개 품목을 제외한 나머지 4개 품목은 10월 1일로 결 정이 2차 유보된 상태이며 이외 스커트, 브라우스등 총 10개 품목이 조사 진행 중에 있다.
최근 미 중간 섬유협상 - 현황
미국과 중국은 동사안과 관련 지난 8월 17일 1차 협상에 이어 8월 30일 2차 협상까지 마 친 상태이나 연내 쿼타 증가율의 책정 및 규제대상품목의 선정에 있어 양국이 현재 합의점 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이다. 미국의 경우 연증가율 7 .5% 적용에 중국산 섬유제품 전반을 규 제대상으로 제안하고 있는 반면에 중국의 경우 15% 적용에 제한된 품목의 규제를 제안하고 있어 양국의 입장이 상이한 상황이다.
미-중간 협상지연과 더불어 미국 섬유협회연합회(N C TO )는 중국산 섬유와 의류에 대한 수 입규제를 확대하기 위해 대대적인 청원서를 추가 제출할 것으로 발표함에 따라 미국 수입상 들은 이에 따른 대안으로 중국을 대체할 제3국에서의 소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 고 있다.
[ 표 210 ] 과거 발동된 미국의 대중 섬유세이프가드 대상품목
[ 표 211 ] 현재 발동중인 미국의 대중 섬유세이프가드 대상 품목
[ 표 212 ] 향후 발동이 예상되는 미국의 대중 섬유세이프가드 대상 품목
■ EU의 대중 섬유세이프가드 현황
지난 20 05년 4월 6일 EU 는 중국산 섬유 수입에 대한 수입규제조치를 발동하는 기준을 담 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동가이드라인은 중국의 W TO 가입의정서상의 섬유 특별 세이프 가드 조항(T SSC )에 의거한 것으로, 수입쿼터 폐지로 역내 섬유․의류 업계의 세이프가드 조 치 발동 요청에 대한 발동 기준과 절차를 담고 있다.
동년 4월 24일, EU 는 중국산 일부섬유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조사를 개시하고 중국과의 협상을 통하여 마침내 6월 10일 중국산 섬유제품 10개 품목에 대한 200 7년까지의 수입규제 를 합의하게 되었다. 그러나 6월 10일 EU 와 중국의 중국산 섬유제품에 대한 수입규제가 협 의 된 이후 채 한 달이 되지 않아 중국의 수입 러쉬로 인하여 일부품목의 급격한 쿼타소진 이 발생, 급기야 수입국에 도착한 규제대상품목이 협정량이 전량 소진되어 통관이 불가능해 지는 사태를 초래하였다. 동 사태는 EU 의 수입면허제가 7월 1 2일에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중국의 수출면허제도가 7월 2 0일부터 적용됨에 따라 동 8일 동안 수출면허를 받지 않고 선적된 제품이 수입국에 도착시 이미 쿼타가 전량소진, 통관이 불가능해지는 사태를 초래한 것이다. 이에 EU 와 중국은 동사안에 대한 협의에 들어갔으며 지난 9월 4일 이에 따른 협의 결과로 7월 13일 이후 수입국에 도착한 초과분에 대한 개방을 결의 하고 동 선적물의 수입 면허를 발급키로 결정하였다. 초과량 중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은 EU 측에서 자체적으로 흡수 키로 결정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의 경우 품목에 따라 전용 혹은 조상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협의문 과 항의 경우 차년도 협정량으로부터 조상을 적용하고 나머지 카테고리의 6 3 1 경 우 카테고리 2항의 금년도 미소진분 중 일부를 전용하여 해결(단 5항의 경우 차년도 쿼타분 중 5% 의 물량 안에서 조상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조상, 이월, 전용을 허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비율은 협정량의 각각 5% , 7% , 4% 를 적용하였다. EU 는 동 추가분에 대한 수입면허 신 청을 9월 2 0일까지 접수하며, 차후 동사태의 재발을 위해 2 006년 및 200 7년도에 융통성 조항 을 적용 탄력 있는 쿼타 관리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하였다.
[ 표 213 ] EU의 대중국 세이프가드 관련 품목별 소진현황
페루의 섬유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
페루는 2004년 10월 14일부터 약 200일간 20개 품목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세이프가드를 발동하였다.
[ 표 214 ] 우리나라의 세이프가드 적용품목
페루는 200 4년 초부터 발동해온 중국을 대상으로한 섬유류의 세이프가드를 중국의 무역보 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품목수를 다소 완화시킴과 동시에 대상국가를 확대 적용한 것으로 평 가되고 있다. 그러나 세이프가드가 적용되는 2 0개 품목에 대해서 중국외의 100여개 국가들이 제외됨과 동시에 우리나라와 대만, 인도, 홍콩 등도 2, 3개 품목에 대해서만 세이프가드가 적 용 되는 등 중국을 겨냥한 세이프가드라는 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2. 반덤핑
■ 미국의 한국산 스웨터에 대한 반덤핑관세 부과
19 89년 9월 2 2일에 미국의 생산자단체(N a tion al K n itwe ar & S po rtsw ea r A sso cia tion )는 우 리나라 외 2개국(홍콩, 대만)의 스웨터에 대하여 반덤핑관세부과를 요청하였다. 그리고 19 90 년 4월 2 3일에 미국 상무부의 덤핑 마진 예비판정(평균덤핑마진율 : 한국 - 1.17% , 홍콩 - 5 .9 0% , 대만 - 25.20% )을 발표했다. 그리고 동년 8월 3일에 미국 상무부의 덤핑 마진 최종판 정(한국기업 5개사의 경우 평균덤핑마진율 1 .3 0% 로 최종 판정됨)이 되었고, 이후 19 94년 9월 2 2일에 반덤핑이 최종 종결되었다.
■ 일본의 한국산 스웨터에 대한 반덤핑 제소 추진사례
19 87년 3월에 ‘일본니트공업협동조합’ 연합회 명의의 서한을 통해 한국니트의류제품에 대 한 수출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였고, 이후 1 987년 1 1월에 일본은 ‘한․일 니트업계회의’에 서 구체적인 수입규제 강구입장을 표명하였다.
이에대해 19 88년 6월 23일 한국정부는 대일 섬유제품의 수출관리에 대한 대책을 발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였으나, 결국 일본니트공업조합연합회는 1 988년 10월 2 1일에 한국산 스웨터 류에 대한 반덤핑을 제소하였다. 제소대상은 일본으로 수출하는 한국산 스웨터 제조 및 수 출업자였고, 대상품목은 져지, 풀오버, 가디건, 베스트 및 기타 니트제품(스웨터류)이었으며, 제소접수처로는 일본 대장성 관세국 기획과가 제소 접수처로 지정되었다. 19 88년 1 2월 양국 협상에서 덤핑제소 취하문제를 협의, 이듬해 1 989년 1월 28일 양국협상에서 한국이 수출을 자율규제한다는데 의견을 접근하고, 198 9년 2월 1일 대일 편직제 의류수출은 C he ck P rice제 도를 활용한 자율규제를 19 89년 4월 1일부터 실시키로 합의하였다. 자율규제의 대상품목으로 는 H .S 6 110과 H.S 611 1이고, 1 988년 1년간 실적(63 ,4 25,91 6P cs)을 대상으로 3년간 연 1% 증 가하는 경우이다. 이 C h eck P rice제도는 한국이 자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엇으나, 단 대상품 목 중 중심품목에 대해 일본측으로부터 별도협의 요구가 있을시에는 상호 협의키로 하였다. 일본측은 상기 합의사항에 대해 한국측의 조치에 확신이 얻어질 때, 가급적 빨리 덤핑제소 를 취하키로 하고 하였다.
결국 198 9년 3월 2 9일 자율규제를 실시키로 함에 따라 반덤핑제소는 취하되었다.
3.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에 의한 산업피해실태 분석
■ 대부분 기업이 수입제품 증가 및 덤핑수입으로 산업피해를 입은 상태
국내 니트의류업계는 덤핑수입판매와 수입수량 증가에서 생산기업 개 기업 중 1 0 6개정도 가 피해를 입은 적이 있었고, 유통기업은 5개 정도가 피해를 입은 적이 있었다. 반면, 생산기 업은 수입수량 증가에서 온 피해와 덤핑수입으로 인한 피해가 많았던 반면, 유통기업은 수 입제품의 수량증가는 물론, 디자인 침해나 브랜드 도용 등의 지적 재산권 피해가 많은 편이 었다. 향후에는 단순 수입제품 구량 증가문제도 대책을 고려하여야 하지만, 제품의 지적재산 권 보호에도 강력한 대책이 필요한 시기로 판단된다.F_040)
[ 그림 149 ] 국내 니트업계의 수입피해실태 여부
[ 표 215 ] 국내 니트기업 유형별 수입피해실태 여부
〔그림 150 〕생산기업의 덤핑수입피해 실태
〔그림 151 〕보조금지원 수입제품 피해실태
〔그림 152 〕수입제품 수량증가 피해 실태
〔그림 153 〕지적재산권 저해제품
〔그림 154 〕원산지 표시위반제품
〔그림 155 〕수출입질서 저해행위
■ 수입증가로 인해 받은 피해 실태
[ 표 222 ] 니트의류기업의 산업피해 항목별 구체적인 피해 사례 분석
■ 기업의 수입에 의한 산업피해에 대한 대응 행위
한편 국내 니트의류기업들이 이러한 불공정 무역에 의해 기업이 피해를 입었더라도 , , 미래 지향적 측면에서 오히려 경쟁력을 확보하여 생산력을 증대(전체의 4 4.2% )시키고, 무역규제기 관과의 상담을 통해 해결해 가려는 의지(전체의 3 0.1% )가 높았다. 이러한 기업은 기업 1 0개 중에서 7.4개로써, 기업의 의지를 지원하고 사기를 진작할 수 있는 정부의 노력이 요구된다 고 할 수 있다.
〔그림 156 〕산업피해 대응방식
〔그림 157 〕기업 유형별 산업피해 대응방식, 1
〔그림 158 〕기업 유형별 산업피해 대응방식, 2
■ 80%기업이 불공정무역에 대해 제소할 의지를 보유
그리고 무역위원회에 대해 85%의 기업이 인식하고 있고, 그 중에서 2 .6% 는 잘 활용하고 있기도 한다. 하지만 나머지 80% 정도는 무역위원회를 활용하여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를 할 의지가 높은 반면, 그 역할에 대해 상세히 모르는 측면이 있으므로, 향후 무역위원회 활 동에 대한 홍보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 그림 159 ] 무역위원회의 인지정도
[ 그림 160 ] 기업유형별 무역위원회의 인지정도
[ 표 223 ] 기업유형별 무역위원회의 인지정도
이러한 불공정 무역에 제소할 의지가 있는 기업은 로 나타나서 기회가 있다면 79.6% , 무역 구제조치를 신청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론 수출기업의 제소의지가 내수기업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봉제니트를 생산하는 기업의 의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그림 161 ]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의지
[ 그림 162 ] 기업별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의지
[ 표 224 ] 기업별 불공정 무역에 대한 제소의지
1. SWOT 분석
2. 사업혁신과제 및 목표
[ 그림 163 ] 사업혁신과제 및 목표
우리 니트의류산업은 ▷ 수입제품의 내수시장 잠식으로 기업의 생산기반력이 상실되어 있 고 ▷ 수요시장은 저렴한 가격의 제품과 디자인가치를 주는 고급 명품제품을 선호하는 등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어 있다. ▷ 그러나 니트의류제품에 대한 유행이 확산되어 대중화되면 서 수요가 급속도록 증가되고 있으므로 ▷ 국내외 판로확산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산업 회복의 기회 시점이 될 수가 있다.
이러한 산업 환경에서 우리는 단기적으로 수입증가로 인한 산업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사 업혁신목표 ‘산업보호‘와 혁신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혁신과제로 ’수입에 대한 감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산업기반의 선진화를 통해 제품의 고부 가가치화를 추구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품차별화‘, ’생산원가절감‘, ’시장확대‘의 3대 사 업혁신목표에 따라 각각 ’니트의류제품의 요소기술의 혁신‘, ’산업기반의 혁신‘, ’판로확대‘ 등 의 혁신과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3. 단기적 전략 수입증가 억제 정책차원에서 무역구제제도 : 적용
■ 적용을 위한 무역구제의 종류
19 95년 1월에 설립된 WTO는 세계 무역시장개방으로 인한 국내산업의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덤핑 또는 보조금을 받은 물품의 수입에 대해서는 불공정무역행위로 규정하여 수입국이 반덤핑관세조치(A n ti D um ping ) 또는 상계관세조치(C ou n terv alin g d u ty) 를 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또한 일정한 조건하의 공정한 무역행위에 대해서도 수입급 증으로 인해 국내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받을 경우 수입국정부가 한시적으로 세이프가드 (Safe gu ard s)를 발동할 수 있게 하였다.
[ 표 225 ] 산업피해 구제제도
본 연구조사에서는 수입증가에 따른 산업피해수준을 시계열적 추세분석에 의거한 이원론 적 분석방법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F_041)
■ 무역구제제도의 적용을 위한 검증
우선 니트의류제품의 수입은 지난 90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증가되어 20 04년에 9억 4천만 불을 수입하였고, 이 중에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총수입액의 80% 수준인 7억 5천만 불을 수입하였다. 수입단가도 지난 9 0년에 k g당 4 3.9$ 수준에서 11 .4 $까지 하락되었다. 그러 나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수입단가도 하락된 현상을 보였으나, 수입단가는 지난 9 8년의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으며 더욱이 총수입의 를 점유하는 중국에서의 수입량1 1~ 12 $ , 80% 은 9 0년대 초반에 2 27% 가 증가한 것을 시발점으로 9 0년도 후반기에 15%가 증가되었고, 최근 2 000 ~ 04년에 33%가 증가 되었으나, 수입단가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결국 산업피해구제관련 관련하여 무역구제조치 발동할 수 있는 근거가 미약한 것으로 판 단된다. 더욱이 가설 근거에서 기각이 가능한 항목인 덤핑이 수출업자의 생산량 증가에 따 른 한계원가(m arg in al C o st) 감소로 인해 수입가격이 하락된 것으로 판단된다.
[ 그림 164 ] 니트의류제품(HS61류) 수입 추이
[ 표 226 ] 국가별 니트의류제품 (HS61류) 수입 추이
[ 표 227 ] 원산지별 니트의류제품의 평균소비자가격
세 번째 가설에서 수입증가로 인해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건강상태가 악화된 것은 사실이다. 특히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산 수입품의 국내 수요시장 침투로, 영세한 국내 니트의류기업들의 납품물량 감소 내지 납품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기업의 경영지표가 하락되어, 사업을 중단하거나 중국으로의 기업 이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수입증가의 원인으로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건강상태가 악화 된 것보다는 국내 니트의류산업의 가격경쟁력 및 제품 차별화 경쟁력이 수입국에 비해 상대적인 열세 를 보이는 있기 때문에 국내 소비자(유통기업 포함)가 국산제품을 외면하는 것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단기적으로 산업피해 구제관련 조치를 통해 수입을 억제하여야 하나, 수입관련 피해현상이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당장 발동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등이 최 근 중국에 대해 세이프가드 조치를 취하는 등의 행동을 보이고 있는 측면에서, 국가 및 무역위원회 에서 상시 감시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수입에 대한 규제정책을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수 입에 의한 산업피해여부에 대한 판단기준의 교육과 구제관련 신고방법, 무역위원회에 대한 역할 홍 보 등의 강화,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서 운영하는 무역구제지원센터의 역할확대 등이 필요하다. F_042)
4. 중장기적 전략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 전략
현재 니트의류업계가 당면한 문제는 가격경쟁력 약화에 대한 대응방안이 절실하다. 전반적 으로 우리의 인건비가 급속도록 상승하고, 생산기반시설 운영의 높은 비용 및 자금 조달의 애로점 등으로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므로 생산원가 대비 제품 품질 및 디자인 경쟁력 등 요소기술 혁신을 통해 제품차별화를 추구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산업기반의 혁신을 통해 생산원가 절감으로 생산성을 확보 하여, 시장수요의 증가라는 기회 시점에 기업의 경영지표가 호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 요하다. 특히 미래수요에 대한 통찰력을 심화시키고 브랜드화 및 시장확대 등의 판로기반 혁신을 통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의 기반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그림 165 ] 니트의류업계가 당면한 애로점
최근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거래처에서도 생산제품에 대한 ▷ 품질의 안정화와 고급화 ▷ 납품가격의 지속적 개선, 그리고 ▷ 전문디자이너를 확보하여 디자인력을 증대하고 ▷ 단납 기 및 납기의 정확성 등을 요구하고 있는 등 기업기반의 선진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 러한 산업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 니트의류업계 스스로 노력을 하지만,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업간의 협력 시스템과 ▷금융 및 세제지원, ▷ 인력관리 및 교육 강화, ▷ 수요정보제공 및 마케팅 지원을 한다면 산업계의 경쟁력을 조속히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림 166 ] 거래처가 요구하는 생산기업 개선부문
[ 그림 167 ] 니트의류기업의 對정부 지원 요구사항
디자인 요소기술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제품차별화 추구
패션산업은 국가 문화수준의 척도이며 제조 및 서비스업 등 전후방 파급효과가 , 매우 큰 성장 동력 산업으로, 프랑스, 이태리,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패션산업의 높은 무형적 가 치를 활용하여 국가 이미지 향상과 모든 산업이 지속 성장 가능한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의복이 실생활에 필수적 요소이므로 제품을 대량생산하여 공급하는 제 조지향적 산업구조였으나, 21C 에는 소비자의 감성과 문화를 창출하는 가치적 요소로 변화되 면서 디자인을 통해 가치지향 산업구조로 이행되는 추세로 전화되어 ‘디자인’이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였다.
[ 그림 168 ] 패션산업의 기반변화 추이
패션디자인의 창조적 기술은 패션제품을 구성하는 소재부품, 봉제가공, 디자인 요소의 품 질기술과 디자인기술, 신기능기술이 있는데, 품질 및 신기능기술에는 소재부품의 원료혁신 (섬유공학, 직조)과 원료가공(염색․가공)의 혁신, 봉제가공의 제품모형혁신과 제품봉제혁신 이 있고, 디자인기술에는 소재디자인혁신과 부품디자인혁신, 제품디자인혁신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무한경쟁시대에 지속가능한 성장(S ustain ab le G rowth )을 위한 차별화에는 기술혁신 외에도 마케팅혁신을 동시에 추구하여야 한다.
[ 표 228 ] 패션디자인의 혁신활동
세계 니트의류생산국의 생산기반에 대한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이태리는 디자인 기획력과 생 산 네트워크 및 인력확보 등의 기반력에서 우위인 반면에, 일본은 생산품질력 및 품질보질보증 제, 납기일 준수 등의 생산관리적 기술과 품질표준화 측면, 그리고 경영정보화 측면 등 품질관 리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미국을 비롯하여 스포츠가 발달된 독일, 스위스, 스웨덴 등 의 북유럽에서는 니트의류제품에 대한 제품 신기능 촉진 기술에서 독보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 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어느 측면에서도 우위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이는 우리 니트의류 산업이 지난 60여년간 단순 봉제․가공을 통한 양적 생산력을 추구한 결과로, 결국 제품의 차별 화는 물론, 가격경쟁에서도 중국과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산업 차별화가 없다는 것이다.
[ 표 229 ] 산업기반 경쟁력 평가 : 한국, 중국, 이태리, 일본 4개국
이에따라 우리는 디자인혁신을 추구하여야 하며 이때에 디자인기술 혁신 품질기술혁신 , , , 다 음은 신기능기술 혁신 순서로 혁신활동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혁신 을 순차적으로 혁신시켜야만 다음단계로 진화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우선 디자인기술에 대한 혁신을 위해 기업에서는 원료의 염색과 가공측면, 색채측면, 조형측면에서의 혁신전략을 수립하고, 각 측면의 전문가를 양성하고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시켜야 할 것 이다. 국가에서는 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F_043)
[ 그림 169 ] 디자인혁신요소별 특성 및 혁신활동 이행 순서
■ 위탁생산거래방식의 변화, 프로모션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
[ 그림 170 ] 니트의류기업의
디자인 기술혁신을 디자인스튜디오의 발굴과 확대로 운영
니트의류제품의 디자인혁신활동을 위한 주체는 창조적 디자인 그룹 일명 디자인스튜디, 오 (D esig n Stud io )로, 이들의 전문성과 기반력은 패션디자인 혁신의 성공가능성에 매우 중요 한 요소로, 선진국에서는 소규모의 패션전문 디자인스튜디오가 패션디자인산업의 혁신을 주 도하는 주체이다. 사실 선진패션기업은 자기 핵심역량만을 자사기업에서 운용하고, 디자인 크리에이션은 패션디자인스튜디오로부터 아웃소싱(O u tso urcin g )을 하고 있으므로 디자인의 전문성과 차별성이 가능하고, 독자적인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패션산업은 패션디자인 스튜디오라는 개념조차도 없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 패션기업이 지식창출그룹을 고용하여 자사만을 위한 지식을 창출케 하고, 창출지식이 고갈될 경우에는 즉시 퇴사시키는 인하우스 소싱조직( In-ho use Sou rcin g 조직)으로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 다. 한편 세계적인 위상을 더 높히고 있는 한국 산업디자인업계에서도 디자인스튜디오를 디 자인전문기업으로 호칭하고, 이를 양성하는 국책지원사업이 다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F_044)
결국 패션디자인스튜디오의 기반력 약화는 우수 전문인력의 한계적 활용은 물론, 지식창출 에 대한 낮은 생산성으로 산업발전에 지대한 장애요인으로 부상되고 있다. 만일 패션디자인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패션디자인의 혁신할 경우, 저임국과의 제품 경쟁격차를 확대시키는 동시에 전문지식인력의 고용확대, 패션산업의 네트워크화로 산업기반을 선진국 형태로 구축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생산인력 확보 노력
국내 니트의류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년 현재 일반 봉제의류업을 포함하여 20 04 20 7천 명으로, 이는 19 99년에 비해 7% 정도 감소한 것이다. 이는 기업당 평균 8명 정도의 종업원 을 보유하는 것이다. 이중에서 봉제의류업에서는 종업원 10인 미만의 사업체 비중이 2 003년 현재 전체 업체의 8 5.1% 에 달하는 반면에, 300인 이상의 대기업의 비중은 0.1% 에 불과하며, 특히 종업원 5인 미만 업체가 전체의 60 .4% 에 달하는 등 매우 영세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영세한 산업에 대해 근로자들의 고용기피로 생산인력 부족이 심화(200 3년 현재 봉제의류업 의 생산인력 부족률은 8.2% ) 되고, 생산인력의 고령화(50명 정도의 종업원을 보유한 내수중 심 니트의류생산기업의 경우 20 05년 현재 39.7세)되고 있으며, 더욱이 생산성을 상회하는 높은 임금상승(20 00년 기준 중국의 10배, 베트남의 18배, 멕시코의 2 .5배 수준) 등으로 인 해 생산여건이 경쟁국에 비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생산현장에서 부족한 생산인 력 공급망을 확충할 경우, 생산인력 부족이 일부 해소되면서 생산인력의 연령대 하락과 임 금정책 대한 다변화를 모색하여 생산기반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을 것이다. F_045)F_046)
생산인력은 첫째, 정부의 유휴인력 교육훈련지원제도 및 고용촉진 지원사업를 통해 여성 인력, 북한이탈주민, 장애인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둘째, 제조업의 경우 공장의 상시종업원 수가 30인 이상인 업체는 산업기능요원을 배정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니트의류봉제업의 경우 5인 이하 사업장 수가 전체의 60 .4% 를 차지하므로, 연 세니트의류사업장에도 산업기능요원이 배치될 수 있도록 대정부에 대한 별도 요청이 필요하 다 하겠다. 셋째는 외국인 산업연수생을 활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영세기업들은 불법으로 외국인을 고용하고 있으나, 정부의 외국인 산업연수제도를 잘 활용할 경우 법적으로 유효한 인력고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가의 지원 외에도 기업 스스로가 필요한 인력수급을 위해 인력 네트워크 확대 및 사업장 주변의 유휴인력 활용 노력이 필요하겠다. F_047)
■ 우수인력 확보 및 양성으로 기업의 전문성 제고
의류산업에서 패션관련 전공자들이 연간 여명이 배출되고 있으나 이 중에서 니트의980 0 , 류 산업과 관련된 전공자들은 연간 100여명 정도이다. 서울 소재의 한남직업전문학교와 한양여 자대학교는 니트디자인 전문과를 단독으로 운영하고 있고, 최근 대구에 있는 섬유패션기능 대학에서도 니트디자인 전문과를 설립하여, 전문인력을 배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 문인력 조차도 업계와는 동떨어진 교육체계 및 학습으로, 기업 입사 후에 재교육을 받아야 하는 등 기업의 고용 경제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현장 중심의 교육체계 개선은 물론, 현장실습교육의 확대, 기업에서도 자체 교육을 위한 교육매뉴얼 작성 등을 실시하여 기업의 전문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 표 230 ] 패션디자인 인력 배출 현황 : 2004년
■ 거래업체와의 네트워크 강화
최종소비시장에는 유통기업 즉 생산기업의 거래처가 가장 극단에 있게 된다 이들 , . 유통기 업은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를 재빨리 파악하여 생산기업에게 전달함으로써, 최적의 상품을 제시기에 공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순활하게 이루어지려면, 상호간의 네트워크가 강하여야 할 것 이다. 그러나 제품기획 및 생산업무 단계에서 상호간의 지원수준을 조사한 결과, 의사수준의 틈이 높은 편이었다. 전반적으로 가격부문에서는 상호간의 의지가 동일할 수가 없지만, 제품 차별화에서 제일 중요한 제품기획에 대한 설명력과 이해력, 제품정보 제안 등에서는 상호 의 사의 틈이 매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검사수준이나 원부자재 노미 수준은 상대적으 로 낮은 틈새로, 거의 양측이 동일한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결국 유통기업은 초기 제품기획에서부터 위탁생산업체의 담당자와 함께 정보수집과 디자 인 결정을 의논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단체에서는 공통적인 정보지원의 강화 및 업계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마련하여 스트림간의 시각 차이를 좁혀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 그림 171 ] 거래업체와의 생산기업 네트워크력 평가
■ 생산성향상을 위한 다품종 소롯트 단납기 , 지원
국내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1모델당 평균 최소 생산주문량(M in im um O rd e r, 수량기준)은 남성복인 경우 704 p cs, 여성복인 경우 692 p cs, 유아동복인 경우 1 925 p cs, 내의류인 경우 3 389 p cs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최고급 여성기업의 경우(순매출 기준 89 0억원(200 4년)), 1모델당 15 0~ 20 0p cs의 주문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최소주문량 수준을 낮추는 방안을 위해 업무프로세스의 개혁과 보유 시 설장비의 현대화로 대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용이한 자금조달 지원방안과 선진국의 다품종 소롯트 기획방식에 대한 벤치마킹, 첨단 현대화기계시설에 대한 정보제공 등의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 표 231 ] 니트의류제품의 최소 생산주문량
더욱이 제품 납기는 평균 51.6일로, 거래기업에서 요구하는 55일보다 약 4일이 빠른 납기 프로세스 경쟁력이 있으나, 유통기업에서는 제품기획일정보다 발주 후부터 실제 생산 및 검 사, 납품일자에 대해 빠른 일정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현재보다 약 9일을 단축한 4 3일의 리드타임 프로세스를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 표 232 ] 니트의류 생산기업의 납기일 현황
[ 표 233 ] 니트의류 생산기업 유형별 납기일 및 격차
■ 생산현장의 노후시설 및 작업환경 개선
미국 바이어들은 쿼터폐지 이후 오더 주문을 생산공장의 작업환경 근무여건 등과 , 연계하 여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최근 니트의류산업은 신기능기술의 보급 및 신기계설비 의 확산이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횡편의류 및 경편의류의 경우 기계설비의 도입과 신기술 확보가 미약할수록 세계 경쟁력에서는 열세일 수밖에 없다.
대한니트공업협동조합 소속의 기업체들이 보유한 기계설비 추이를 살펴보면, 환편니트기계 와 경편니트기계는 감소추세이고, 기타 횡편니트기계도 5% 이하의 보유 상승세만을 나타내 고 있다. 또한 이러한 편직기계 중에서 9년 이상된 노후설비가 전체 설비의 4 8.3% 에 달하고 있다. 더욱이 국내 니트기계산업도 생산성이 매우 약화되어 대형환편니트의 해외 수출을 위 한 선적이 1 995년 426대에서 20 01년에는 8 6대로 대폭 하락된 반면, 중국은 199 5년에 122 3대 에서 20 01년에 25 87대로 대폭 상승한 것이다. 이와같이 니트의류산업의 생산환경은 매우 노 후화되어 있어, 이를 개선하지 않으면 세계 경쟁력의 우위를 가질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국가에서 지원하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자금 및 구조개선자금 등을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고, 사업장 환경 개선을 위한 C le an 사업 등에 대한 지원을 모색하여야 할 것 이다. 또한 아파트형 봉제단지는 선진국 바이어들의 공장환경기준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패션제품도 생산하고 있다는 이미지가 부각될 수 있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니트 의류생산기업이 집중된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형 봉제단지 설립에 대해 기업의 적극적 관 심과 국가차원의 건립지원정책을 마련하여야 하겠다.
■ 정보화를 통해 기업생산성 및 선진성 구축
정보화는 기업의 미래 경영 및 생산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나, 영 세한 니트의류기업들은 정보화 구축은 물론, 구축된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할 여유가 없다고 한다. 우리나라가 해외 선진국은 물론, 중국과의 경쟁에서 정보인프라에서 높은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기업내의 전산체제 운용과 전자상거래 활용, 생산관련 DB 구축 등은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업의 미래 경쟁력 제고와 함께 기업간의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국가에서 지원하 는 정보화 혁신 종합컨설팅과 함께 생산정보화 사업, 정보화교육사업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미래수요에 대한 통찰력 증대를 위해 시장마케팅 정보력 강화
세계 시장은 점차 통합화되면서 주요 소비시장은 미주지역 유럽지역 아시아지역으로 , , 대 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세계시장환경변화는 국가별 마케팅 대응에서 대륙간의 마케 팅 대응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3개 소비시장에 대한 정보력 확보만으로는 차별화 된 시장통찰력에서는 열세일 것으로 추정되므로, 결국 소비시장의 수요변화에 대한 세분화 된 마케팅 대응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기업의 최고경영자일수록 시장마케팅 정보를 확보하는데에는 비용과 시간, 노력 을 경주하여서, 경쟁사보다 빠른 정보 획득을 하여야 한다. 또한 정부는 관련 산하단체를 통 해 통합적인 시장마케팅을 수집․분석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마련하여, 영세한 기 업에게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섬유산업기반력 조성사업과 관련하여 한국섬유산업연합 회, 한국의류산업협회, 그리고 한국컬러패션트렌드센터에서 선진 패션마케팅정보를 지원하고 있으므로, 이를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기업의 브랜드력 확대
〔그림 172 〕브랜드 가치 100대 기업 중 패션브랜드 : 2002
이와같이 브랜드가치는 미래 기업의 성장 동력이 되므로, 니트의류생산기업은 보유 생산기 반력을 활용하여 자가 브랜드를 출범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사실 이태리 의 세계적 니트전문브랜드 M isso n i와 B ene tto n , M a lo , 미국의 T S E 도 니트생산기반력을 보유 하면서, 제품개발과 디자인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한 것을 벤치마킹해야 한다.
■ 무역거래시장 다변화 노력
최근 일본과 중국으로부터의 편직 혹은 니트의류제품의 생산에 대한 하청의뢰가 증가된다 고 한다 일본은 중국 생산에서 저가제품이 아닌 차별화된 제품을 원하기 때문이고 . , 중국은 한국산 제품의 시장성과 고급제품 선호도 증가 때문이라고 한다. 중국의 한국산 니트제품수 입이 지난 2 000년~ 2 004년에 매년 평균 26 .3% 증가하고 있으며, 반면, 일본은 16.9% 감소하고 있으나 제품의 수입단가는 20 00년 kg당 1 .7 8$에서 2.02$로 상승하는 등 제품의 고급화가 실 현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무역시장에 대한 수요시장 변화와 우리기업의 경쟁력 차별화 로, 시장의 확대는 다각적으로 제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장확대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대형 T rad in g C om p an y를 육성하 여야 하겠다. 전문무역거래 중계기업인 T rad in g C om p an y는 판로개척 뿐만 아이라 기업의 가치제고를 위해 단순 OEM 생산방식에서 탈피하여 제품기획 및 디자인을 통한 기획 제안 형(O DM ) 생산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이들 T ra d in g C om pa n y와 영세 니트의류기업간의 협업관계를 통해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원, 시장 개척단 지원, 그리고 기업의 홍보지원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으니, 각 기업들은 우선적으로 정부의 지원정책을 잘 활용하여야 하겠다. F_048)
각 주
  1. 3) 한국표준직업분류는 수입(경제활동)을 위해 개인이 하고 있는 일을 그 수행되는 일의 형태에 따라 유형화(분류)한 것으로, 현행 직업분류는 직업구조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2000년 1월 7일 제 5차 개정 고시(통계청 고시 2000-2호), 동년 3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ILO 국제표준직업분류를 기초로 작 성되었음
  2. 5) PTT섬유는 PDO란 유화원료에서 추출된 섬유로,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과 유사한 물성외에 신축성, 방오성, 염색성이 우수한 차세대 신섬유 소재 이다. 지난 1941년에 처음 발견됐지만 생산비가 비싸 제품화되지 못하다 최근 미국 쉘케미컬과 듀폰에서의 PDO 양산 기술개발과 함께 의류용으로 개발 이 이뤄지고 있다. 천연섬유와 염색 특성이 유사해 울, 실크, 면 소재와 혼방이 가능하며 다른 합성섬유보다 신축성이 뛰어나 스판덱스사를 사용하지 않 고도 스포츠웨어나 패션을 강조하는 여성의류의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다양한 색상 창조는 물론 얼룩 및 정전기 방지 효과가 커 이를 이용한 고기능성 카펫의 경우 정전기가 없고 항균성이 탁월하여 곰팡이 등 세균으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섬유시장의 판도를 뒤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 PTT섬유 개발시장에는 한국의 6대 폴리에스테르 생산업체(SK케미칼, 효성, 코오롱, 고합, 새한, 삼양사)가 모두 PTT섬유사업을 추진 중이 며, 이 중에서SK케미칼이 1999년에 미국 쉘과 공동으로 의류용 PTT섬유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에스폴'이란 상표로 생산을 시작하였다.
  3. 6) 이태리 니트제조산업의 중심지인 피렌체에서 2005년 7월 6~8일에 개최되었음. 비행장을 개조해서 만든 8개의 대형 전시관 (Fortezza da Basso)에서 142개 업체(해외 37개사 포함)가 참여하였고, 6,885명의 바이어가 참관하였음
  4. 7) 2006 SS Exhibition Trend Analysis는 피티필라티(www.Pittimmagine.com), 삼성디자인넷(www.samsungdesign.net), 글로벌패션정 보(www.wgsn.com)에서 제안하는 정보를 참조
  5. 8) 독일 무역거래 중심지인 뮌헨에서 2005년 7월 3~5일에 개최되었음. 2만7천 평방 피트의 박람회장(New Munich Trade Fair Centre)에서 총 46개국, 1049개의 업체가 참가했으며, 바이어 참관을 함
  6. 9) 2006 FW Exhibition Trend Analysis는 이스포(www.ispo.com), 삼성디자인넷(www.samsungdesign.net), 글로벌패션정보(www.wgsn.com)에서 제안하는 정보를 참조
  7. 10) 2006 FW Exhibition Trend Analysis는 2005년 7월 파리 현지 시장조사 결과와 함께, 이스포(www.ispo.com), 삼성디자인넷 (www.samsungdesign.net), 글로벌패션정보(www.wgsn.com)에서 제안하는 정보를 참조
  8. 11) 대한니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는 격년제로 회원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보고서의 자료는 지난 2004년에 실시된 것으로, 향후 2006년에 재조사가 시행될 예정임
  9. 14) 2005년 5월 13일~6월 30일에 전국 니트의류관련 기업 203개사를 대상으로 국내외경기에 대한 체감정도를 설문한 결과로써, 각 항목 당 5점 척도로 조사해서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평균을 산출하였고, 50점인 경우 보통 수준으로 해석하면 됨
  10. 15) 우리나라 니트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로 구성원들의 수요 조사, 황선진 外,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학과, 2000
  11. 16) Textiles Intelligence, 세계 편직 섬유 및 의류시장 전망, 2004
  12. 17) 세계 지역별 니트산업 동향의 전반적인 데이터는 Textile Intelligence가 2003년 7월에 발간한 'World markets for knitted textiles and Apparel : Forecasts to 2010'에서 참고하였음
  13. 18) 1991년 12월 31일 소련(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USSR)이 소멸되면서 구성공화국 중 11개국이 결성한 정치공동체. 11개국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으로, 93년 10월 그루지야가 가입함으로써 95년 현재는 12개 공화국으로 구성
  14. 19) 발트해 남동 해안에 위치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총칭.
  15. 20) 94년 1월 1일부터EU(European Union:유럽연합)로 공식명칭을 바꾼 EC(유럽공동체 [European Community)는 67년 유럽의 평화와 경제 번영을 위해 설립, 가맹국 25개국(04년 기준)은 주로 공동통상 및 농업정책 실시, 관세동맹 결성, 유럽통화제도 마련 등의 활동을 하고 있음
  16. 22) 소련이나 소련에서 독립한 제국가들을 제외한 헝가리, 체코, 폴란드 같은 중동부 유럽국을 일컫는 명칭
  17. 23) 중국기술경쟁력조사 ; 남성의류, 한국산업기술재단, 2004년 2004년 중국 의류업체를 대표하는 40여개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기업의 산업기술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에서, 니트의류제품의 제조원가 조사결과를 재분 석하였음
  18. 24) 링킹은 환편니트제품의 끝처리나 합봉하는 과정을 일컬음
  19. 25) OECD, 2006년 OECD 국가경제보고서, 2005.07
  20. 26) Textile Intelligence, 2003년 발표한 세계니트의류산업 전망보고서
  21. 0000위에 본문 누락 27) 일본 아사히신문, 2004.6.10
  22. 28) Textile Intelligence의 2002년 니트산업 전망보고서에서 발췌 Knitted Apparel Industry - World Industry Trends
  23. 29) 2005년 5월 13일~6월 30일에 전국 니트의류관련 기업에서 근무하는 전문가 203명(생산기업소속 147명, 유통기업소속 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100점만점 기준으로 한국 수준이 50점일 경우 한국수준보다 우수하면 50점 이상을, 한국수준보다 낮으면 50점 이하의 점수를 평가하면 됨
  24. 30) 삼성패션연구소 조사실행, 산업기술재단 조사의뢰한 2004년 중국 니트제조업체 경쟁력조사 수행 결과를 재정리하였음. 본 조사는 업계전문가가 실제 현지 탐방조사를 통해 표준화된 조사표에 조사결과를 기입한 것임
  25. 31) 링킹: 니트제품의 끝처리나 합봉 과정
  26. 32) LUCK JIFA Technology Innovate Center, Shandong textile research institute & hair
  27. 33) 삼성패션연구소 조사실행, 산업기술재단 조사의뢰한 2004년 중국 니트제조업체 경쟁력조사 수행 결과를 재정리하였음. 본 조사는 업계전문가가 실제 현지 탐방조사를 통해 표준화된 조사표에 조사결과를 기입한 것임
  28. 34) 삼성패션연구소 조사실행, 산업기술재단 조사의뢰한 2004년 중국 니트제조업체 경쟁력조사 수행 결과를 재정리하였음. 본 조사는 업계전문가가 실제 현지 탐방조사를 통해 표준화된 조사표에 조사결과를 기입한 것임
  29. 35) 상동조사실행 중의 하나의 기업
  30. 36) 삼성패션연구소 조사실행, 산업기술재단 조사의뢰한 2004년 중국 니트제조업체 경쟁력조사 수행 결과를 재정리하였음. 본 조사는 업계전문가가 실제 현지 탐방조사(중국 니트기업 7개사, 한국니트기업 7개사 총 14개사)를 통해 표준화된 조사표에 조사결과를 기입한 것임
  31. 37) 2005년 5월 13일~6월 30일에 전국 니트의류관련 기업에서 근무하는 전문가 203명을 대상으로 한국산, 중국산, 일본산, 이태리산 제품을 제시하여 제품 산지별 수준을 평가하게 한 조사결과로, 100점만점 기준으로 한국 수준이 50점일 경우 한국수준보다 우수하면 50점 이상을, 한국수준보다 낮으면 50점 이하의 점수로 이해하면 됨
  32. 38) 서울시내 주요 백화점 및 가두점 브랜드별 매장내의 출시된 상품을 기준으로 2005년 5월 3주~4주 약 2주간 표준화된 조사서에 관찰기입방식으로 조사. 조사 브랜드별 상품품목을 원산지와 소재구성비, 소비자 가격을 조사하였음
  33. 39) 무역거래상 산업피해의 결정기준에 관한 연구(정석원,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외국물품수입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반덤핑조치가 국내 동종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김한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우리나라의 반덤핑조치가 수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선병학,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산업피해구제제도의 적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경문수,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을 참조
  34. 41) 국내 무역구제제도의 유형별 세부내용은 별첨의 우리나라 무역구제제도를 참조하기 바람
  35. 42) 2005년 5월 13일~6월 30일에 국내 니트의류관 기업 203개를 대상으로 산업피해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로, 100점만점 기준으로 평균 50점보다 높은 경우에는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고, 평균 50점 보다 낮은 경우에는 피해를 입지 않았다는 것임
  36. 43) 한국의류산업협회 내에 설치된 지적재산보호센터를 통해 상표권 침해행위 및 위조품 피해에 대해 피해구제를 위한 상담이 가능함.
  37. 44) 본 연구방법은 수입과 피해사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련의 요소들의 추세를 이용하며 특히 국산품 가격과 덤핑수입품의 가격 차이폭(Margin of underselling)과 판매상실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38. 45)2005년 6월 8일에 섬유센터 16층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경세호)에 설립, 최근 외국산 섬유류의 수입급증과 불공정 무역관행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정
  39. 46)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사업, 신기술아이디어 사업화 타당성 평가사업,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등 다양한 기술지원사업을 이미 시행하고 있는 중임 (상세내용은 별첨의 정부의 니트산업지원정책 편람을 참조)
  40. 47) 패션디자인스튜디오는 패션디자인 요소별로 전문가 그룹들이 전문적 핵심기술을 가지고 창조적 디자인력을 발휘하는 지식창출기업
  41. 48) 2005년 5~6월에 국내 주요니트의류기업 203개 조사결과 중에서 기업별 종업원 현황
  42. 49) Warner International의 주요국 섬유산업의 시간당 인건비 현황
  43. 50)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인력활용 지원 사업, 통일부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직업훈련 및 취업알선제도와 탈북자 고용촉진 제도, 여성부의 여성 인력 직업교육훈련 및 취업/창업지원 사업, 노동부의 여성가장 고용사업, 노동부의 장애인 고용시 사업주 지원제도 등도 있음
  44. 51) 무역상사(貿易商社, trading company)는 수출 ·수입을 하는 업자나 기업을 일컫는 것으로, 일반 무역상사와 특수 무역상사로 대 별된다. 일반 무역상사는 외국무역업자를 상대로 직접 또는 제3자를 통하여 물품을 매매하는 상사로 수출상·수입상 또는 양자 겸업이 있다. 특수 무역상사는 중개무역(仲介貿易)이나 대리무역을 전업으로 한다. 한국의 종합무역상사는 풍부한 인재, 뛰어난 정보수집 능력, 신용력을 바탕으로 한국무역의 주동적인 구실을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무역상사는 상품거래에 따른 수입을 주로 하고, 거래내용도 단 일품목거래, 편도거래(片道去來)가 대부분이었으나 경제의 고도화, 상사의 대형화에 따라 거래내용도 복합 ·왕복 거래로 크게 변하였으 며, 여러 분야의 사업에 관여하게 되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디자인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이건희 회장님을 추모하다  (0) 2020.10.25
지역별 섬유산업조사결과자료  (0) 2014.08.18
디자인 융합, 선택 아닌 필수  (0) 2013.10.13
아파트와 디자인  (0) 2013.08.07
디다인 상품화  (0) 2013.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