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동 소음 제어형 청력보호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청력보호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청력보호장치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주변의 오디오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변의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소음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로직접 전달되는 소음신호와 상쇄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직접 전달되는 소음신호를 제거하는 능동소음제거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획득한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오디오신호의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와 소음신호 중 음성신호의 인식률을 더 높이는 소음저감부;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와 대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능동소음제거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대면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소음저감부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mages (5)
능동 소음 제어형 청력보호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EARING PROTECTION USING ACTIVE NOISE CANCELLING}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능동소음제어를 통한 청력보호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작업현장이나 건설현장, 토목공사현장 금속을 재료로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지하철 구간 등에서는 상당한 크기의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이다. 작업자들이 이러한 소음에 계속 노출되는 경우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은 물론 일정 레벨 이상의 소음은 ??력의 저하를 유발한다.
청력은 신체의 다른 부분과는 달리 한번 손상되면 원상회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소음환경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청력보호를 위한 종래의 기술들은 주로 외이도에 실리콘 등의 재질로 된 귀마개를 삽입하거나, 귀를 덮는 귀마개 형태의 기구를 사용하여 귀를 밀폐시켜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삽입형 또는 밀착형 귀마개들은 진동으로 전달되는 소리의 특성상 소음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그러한 귀마개들은 소음뿐 아니라 모든 소리를 차단하므로 다른 작업자들과 대화가 필요한 경우 귀마개를 빼거나 벗고 대화를 진행하고 다시 귀마개를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구나 위험상황 등을 알리기 위해 작업자가 소리를 내서 경고하더라도 귀마개에 의해 이러한 소리까지 차단되므로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청력보호를 위한 귀마개 등 청력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능동소음제거 기술과 음성 향상 기술을 이용하여 청력보호구로 차단되지 않는 소음을 추가로 제거하고, 청력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청력보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청력보호장치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주변의 오디오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변의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소음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로직접 전달되는 소음신호와 상쇄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직접 전달되는 소음신호를 제거하는 능동소음제거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획득한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오디오신호의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와 소음신호 중 음성신호의 인식률을 더 높이는 소음저감부;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와 대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능동소음제거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대면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소음저감부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청력보호방법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오디오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와 대면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모드가 선택된 경우 주변 소음신호와 상쇄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능동소음제거기술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신호에 적용하고, 상기 대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한 오디오신호의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력보호구를 벗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대방과 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고, 청력보호구 자체에서 차단할 수 없는 소음을 능동소음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추가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력보호장치의 구조도.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력보호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력보호방법의 흐름도.도 4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청력보호장치 구조도.도 5은 본 발명에 포함된 능동소음제거장치의 구조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보호장치(100)의 구조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청력보호장치(100)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다.
청력보호장치(100)는 수신부(110), 외부마이크부(120), 능동소음제거부(Active Noise Cancellation Unit)(130), 소음저감부(De-Noising Unit)(140), 제어부(150), 음성향상부(Speech Enhancement Unit)(160), 출력부(170) 및 내부마이크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청력보호장치(100)의 외부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210), 외부음 수신을 위한 마이크(221 내지 226, 241 내지 242)와 사용자모드 선택 스위치(230), 전원스위치(270), 통신 마이크(250), 볼륨조절버튼(261 내지 262), 이어캡(281 내지 282), 헤드밴드(290) 등을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청력보호장치(100)의 모드를 통신모드로 선택한 경우에 통신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대화상대자의 음성을 수신하거나 작업현장 등의 관리본부로부터 전달사항을 전송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이를 능동소음제거부(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통신을 위해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외부마이크부(120)는 청력보호장치(100)의 헤드밴드(290) 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221 내지 226) 이어캡(281, 282) 부분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241, 242).
외부마이크부(120)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채집하기 위한 마이크이다. 이 가운데 특히 헤드밴드(290)에 설치된 마이크(221 내지 226)는 마이크 어레이(Mic array)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빔포밍(Beam Forming) 기법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있는 다른 작업자의 음성을 소음으로부터 구분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경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트럭의 엔진소리 등으로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에게 다가오는 것을 경고하거나, 사용자의 위험반경 내에서의 폭발음 등이 감지되는 경우에 경고할 수 있다.
외부 마이크부(120)는 통신 마이크(25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다른 작업자 혹은 작업본부로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한다.
능동소음제거부(130)는 청력보호장치(100)의 이어캡(281, 282)으로 차단되지 않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능동소음제거부(130)와 노이즈저감부(140)은 제어부(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나만 동작한다. 사용자는 청력보호장치(100)의 외부에 있는 사용자모드 선택 스위치(230)를 눌러서 통신모드와 대면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모드에서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능동소음제거부(130)를 거쳐 이어캡(281, 282) 내부의 출력부(170)로 출력하고, 대면모드에서는 외부마이크부(120)를 통해 획득한 신호를 능동소음제거부(130)를 거치지 않고 소음저감부(140)만을 거쳐 출력부(17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신호 S[n]은 청력보호장치(100)의 이어캡(281, 282)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저주파 소음 등과 섞이며 사용자가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차단되지 않는 소음과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추정하여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신호와 합하여
을 만들어 주면 소음을 제거하고 수신한 신호 S[n]을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통신모드에서 사용되는 능동소음제거부(130)의 구조를 나타낸다.
dout(n) 신호는 외부 마이크부(120)로부터 획득한 신호이고, y(n)은 dout(n)이 1차 경로를 모델링한 W(z) 를 거쳐 나온 신호이다.
S(z)는 실제 2차 경로이고
(z)는 S(z)를 LMS(Least Mean Square) 방법으로 모델링한 2차 경로이다.
a(n)은 오디오 신호인데 이는 필터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의 역할을 한다.
din(n)은 내부 마이크부(180)으로부터 획득한 신호인데 dout(n)이 1차 경로와 2차 경로의 필터를 거쳐서 나온 신호와의 차이인 e(n) 신호를 구하는데 이용되고 이렇게 구한 e(n)을 이용하여 1차 경로 필터와 2차 경로 필터를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능동소음제거 기술은 Filtered-x LMS 방법이 사용되는데, 청력보호장치(100)는 헤드폰 형태를 가지는데 이에 포함된 능동소음제거부(130)는 이어캡(281,282) 내부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2차 경로의 특성이 미리 예측 가능하다.
따라서 2차 경로에 대한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2차 경로 특성을 실험을 통해 미리 설정해 두면, 사용자에 따라 사용 환경이 변하더라도 2차 경로 특성의 수렴속도를 훨씬 빨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능동소음제거부(130)는 Feedforward 능동소음제거(Active Noise Cancellation) 기술을 기반으로 동작하는데 외부 마이크부(120)에 의해 획득한 외부 소음신호를 이용하여 이어캡(281, 282) 내부로 흘러 들어온 소음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외부 마이크부(120)는 레퍼런스 신호인 dout(n)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내부 마이크부(180)는 출력부(170)를 통한 출력과 흘러들어온 노이즈 사이의 에러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능동소음제거부(130) 내부의 필터를 갱신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Feedforward 구조에서는 레퍼런스 신호를 추정하기 위한 피드백 구조가 없다.
소음저감부(140)는 대면모드에서 사용자 근처의 다른 작업자의 음성을 다른 소음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더 잘 전달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소음저감부(140)는 외부 마이크부(120)의 마이크들을 사용하는데 헤드밴드(290)에 부착된 마이크들(221 내지 226)과 이어캡(281, 282)에 위치한 마이크들(241, 242)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한다.
소음저감부(140)의 입력신호 Y(l,k)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음성신호 S(l,k)와 소음 N(l,k)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세 신호는 모두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나타내고 l과 k는 각각 프레임과 주파수빈(Frequency bin)의 인덱스이다.
소음저감부(140)는 외부 마이크부(120)로부터 입력받은 모든 신호에 대해 각각 소음저감기술을 적용하고 이들의 산술평균을 구한 후 음성향상부(160)로 전달한다. 소음저감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여기서
는 각 주파수빈 별 이득값을 나타내는데 각 주파수빈 마다 이득값을 달리하여 음성 명료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재분배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것이 아니라 재분배 하는 과정이므로
와
의 전체 에너지는 동일해야 한다.
이득값인
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은 비용함수(cost function)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라그랑지안 함수(Lagrangian cost function)를 이용하여
를 구하면 최종 이득값은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단순히 입력신호의 볼륨을 높여 전체적으로 신호의 에너지를 키우는 경우 소음신호의 크기도 같이 커지기 때문에 음성의 인식률을 높이는 데 효과가 없으나, 전술한 방법처럼 주파수빈 별로 에너지를 달리 하면 음성 인식을 높이는데 필요한 주파수빈의 에너지는 높아지고 소음의 비중이 높은 주파수빈의 에너지는 낮아지므로 음성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능동소음제거부(130)와 소음저감부(14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스위치를 조절하여 음성향상부(160)에 각각의 출력 중 모드에 따라 하나만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모드의 선택은 청력보호장치(100)의 외부에 있는 사용자모드 선택 스위치(230)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음성향상부(160)에서는 능동소음제거부(130) 또는 소음저감부(140)의 출력신호를 받아 전술한 소음저감부(140)에서의 에너지 재분배 방법에 따라 신호를 다시 한번 향상시켜 출력부(170)에 전달하고, 출력부(170)는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종 신호를 전달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력보호장치(100)는 종래의 수동적인 청력보호장치들에 비해 이어캡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소음들까지 능동적으로 차단하고 음성인식도를 높이는 신호처리까지 병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보호는 물론 청력보호구의 탈착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까지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력보호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신호수신단계(S310)에서는 안테나와 통신장비를 통해 음성신호 또는 소음이 섞인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 후 사용자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32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인지 대면모드인지를 판단하는데 통신모드와 대면모드에서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더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처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사용자모드가 통신모드이면 능동소음제거단계(S330)를 수행한다.
능동소음제거단계(S330)는 소음과 반대 위상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소음을 줄여주는 단계로 상세한 알고리즘은 전술한 바와 같다.
통신모드에서는 음성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따로 전달되기 때문에 소음신호를 예측하여 반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능동소음제거기술을 이용한다.
반면 사용자모드가 대면모드이면 소음저감단계(S340)를 수행한다.
대면모드에서는 신호수신단계(S310)에서 수신한 신호가 마이크로부터 획득한 신호이기 때문에 음성신호와 소음이 혼재되어있고, 따라서 통신모드처럼 능동소음제거기법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면모드인 경우에는 소음저감기법을 수행하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용함수와 라그랑지안 함수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재분배함으로써 음성신호의 인식률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모드에 따라 능동소음제거단계(S330)나 소음저감단계(S340)를 거친 후에는 다시 한 번 공통적으로 음성향상단계(S350)를 거치는데, 음성향상단계(S350)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 재분배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력보호방법은 컴퓨터 시스템(400)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21)와, 메모리(423)와, 사용자 입력 장치(426)와, 데이터 통신 버스(422)와, 사용자 출력 장치(427)와, 저장소(42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422)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21)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423) 및/또는 저장소(428)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423) 및 상기 저장소(428)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423)는 ROM(424) 및 RAM(42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음성인식 장치의 모델 파라미터 학습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모델 파라미터 학습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인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모델 파라미터 학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translated from
외부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사용자 주변의 오디오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부;상기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변의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소음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로직접 전달되는 소음신호와 상쇄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직접 전달되는 소음신호를 제거하는 능동소음제거부;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획득한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오디오신호의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와 소음신호 중 음성신호의 인식률을 더 높이는 소음저감부;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와 대면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능동소음제거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대면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소음저감부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음저감부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의 에너지를 재분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상기 음성신호 및 소음신호의 합으로 표현되는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음성신호에는 각 주파수빈(frequency bin)마다 서로 다른 이득값이 곱셈 연산되고, 상기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와 상기 이득값이 곱해진 음성신호의 전체 에너지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주파수별 이득값은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인 청력보호장치.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상기 능동소음제거부 또는 상기 소음저감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의 에너지 재분배를 통해 상기 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의 인식률
을 높이는 음성향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청력보호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음제거부는소음제거를 위해 Filterd-x LMS(Least Mean Square) 방법을 사용하되 2차 경로의 특성을 측정하여 2차경로의 초기값을 0이 아닌 측정값으로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인 청력보호장치.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함수는라그랑지안 비용함수(Lagrangian cost function)를 사용하는 것인 청력보호장치.
외부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오디오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와 대면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통신모드가 선택된 경우 주변 소음신호와 상쇄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능동소음제거기술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신호에 적용하고,
상기 대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한 오디오신호의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음을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의 에너지를 재분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상기 음성신호 및 소음신호의 합으로 표현되는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음성신호에는 각 주파수빈(frequency bin)마다 서로 다른 이득값이 곱셈 연산되고, 상기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와 상기 이득값이 곱해진 음성신호의 전체 에너지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주파수별 이득값은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인 청력보호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배하는 단계 이후에상기 능동소음제거기술이 적용된 신호 또는 상기 에너지를 재분배한 신호에 대해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오디오신호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청력보호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음제거기술은소음제거를 위해 Filterd-x LMS 방법을 사용하되 2차 경로의 특성을 측정하여 2차경로의 초기값을 0이 아닌 측정값으로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인 청력보호방법.
삭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함수는라그랑지안 비용함수(Lagrangian cost function)를 사용하는 것인 청력보호방법.
'◘ SOU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콘텐츠 BM피칭대회공고 (0) | 2018.09.04 |
---|---|
능동소음제거(ANC) 기술 & 제품의 개요 (0) | 2018.05.30 |
이어폰의 노이즈 캔슬링 기술 (0) | 2018.05.30 |
이어폰 기술동향 (0) | 2018.05.30 |
청력보호시장 개요 (0) | 201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