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공고 제2019-430호
2019년도 시범 스마트공장 구축사업 추가모집 공고
중소기업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2019년도 시범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의 참여기업 추가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9년 11월 12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사업개요
◦ 스마트공장 도입 희망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시범공장(레벨 3 이상)을 지역‧업종별로 구축
□ 지원규모 : 5개* 내외, 기업당 최대 3억원
* 예산 현황 및 신청 수요에 따라 변동 가능
□ 지원내용
◦ IoT, 5G, 빅데이터, AR·VR,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제품개발에서부터 생산·납품까지 업종에 적합한 통합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 지원
솔루션 분야 | 지원기준 |
현장자동화/ 공장운영 및 실시간 최적화 | ∙제조현장운영시스템으로서 실시간으로 공정관리, 품질관리, 설비관리를 비롯한 제반의 데이터 집계 및 제어 자동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 ∙현장자동화는 센서, 컨트롤러 등의 제조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화 장치로써 실시간으로 제조현장운영시스템(예, MES)과 연결되어야 함 |
제품개발 및 | ∙CAD/CAE/CAPP/CAM 등의 제품 개발 및 공정개발에 필요한 도구와 연계하여 정보지원을 하는 시스템 (예, PLM) |
공급사슬 관리, 최적화 | ∙수요예측, 생산계획, 공장운영 스케쥴링 등의 제조업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ERP 또는 MES와 연계된 B2B 및 B2C 거래를 지원하는 EDI형 시스템 |
기업자원 관리 | ∙기업의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 (예, ERP) ∙입고, 생산, 출하, 재고관리 등의 제반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어야 함 |
빅데이터, AI, CPS 등 최신 솔루션 | ∙제조현장에 Data 수집 및 저장 인프라 ∙돌발고장예측, 품질불량예측 등 솔루션 도입 |
□ 신청자격
◦ 도입기업과 공급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사업신청
구 분 | 내 용 | |
컨소시엄 | 도입기업 | -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 집단에 속하는 기업(대기업)은 제외 |
- 스마트공장 구축 목표 수준 레벨3 이상 * (레벨1) 부분적 디지털화 → (레벨2) 디지털화 → (레벨3) 데이터 분석 → (레벨4) 시뮬레이션 최적화 → (레벨5) 지능화 | ||
공급기업 | - 스마트공장 보급기술 및 역량을 보유한 기업 및 협업체 |
□ 지원조건
◦ (지원조건) 기업 당 총 사업비의 50%, 최대 3억원 지원
* 총 사업비 중 상기 예산에 따른 지원금을 제외한 비용은 업체가 부담
◦ (의무사항) 스마트공장 견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기업 관계자, 특성화‧마이스터고 학생 등을 대상으로 벤치마킹 및 학습 기회 제공
□ 사업기간 : 최대 1년
□ 신청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2019년 11월 12일(화) ~ 11월 25일(월) 17:00까지
◦ (신청방법) 온라인 접수
-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 (https://www.smart-factory.kr)
* 사이트 접속 → 회원가입(기업) → 과제신청 메뉴 → 사업계획서 다운로드 및 작성 → 온라인 신청(제출서류 업로드, 도입기업 아이디로 신청)
* 공급기업은 회원가입 후 기업정보, 구축실적, 투입인력 등에 대한 내용 및 증빙서류를 별도로 업로드
◦ (제출서류) 사업계획서 및 사업자 등록증명원 등 (온라인 접수 시 첨부)
구분 | 온라인 등록 서류 |
1 | 사업계획서 |
2 | 도입기업의 사업자등록증명원 1부 (발행일로부터 3개월 이내) |
3 | 도입기업의 최근 3년간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 각1부 |
4 | 도입기업 및 공급기업의 국세 및 지방세 완납 증명서 각1부 |
* 관련양식은 http://www.smart-factory.kr에서 다운로드 가능
□ 지원절차
① 사업공고 | → | ② 신청접수 및 요건검토 | → | ③ 현장평가 | → | ④ 심사평가 (원가계산 포함) |
중소벤처기업부 | 제조혁신센터 | 제조혁신센터 | 스마트제조혁신 추진단 | |||
|
|
|
|
|
| ↓ |
⑧ 완료보고 및 견학·연수 (수준확인 포함) | ← | ⑦ 최종감리 | ← | ⑥ 중간점검 | ← | ⑤ 협약 및 사업착수 |
제조혁신센터 | 제조혁신센터, 전문감리기관 | 제조혁신센터 | 스마트제조혁신 추진단, 제조혁신센터, 도입·공급기업 |
□ 지원제외대상
◦ 다음 부적격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
* 도입기업과 공급기업 모두 해당
< 부적격 사항 >
‧ 휴·폐업중인 기업 ‧ 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 ‧ 도입 솔루션과 장비가 연동이 안 되는 업체 | ‧ 유흥·향락업, 숙박·음식점 ‧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
□ 가점 내용 : 항목 당 3점, 최대 5점까지 인정
가점항목 | 평가 기준 및 제출서류 |
조선기자재 | 표준산업분류코드 C31114(선박구성부분품) 보유 또는 조선소 및 조선기자재업체 대상 납품실적* 발생업체 * 매출처(매출처가 선박구성부분품 제조업체여야함) 별 세금계산서 제출 |
유턴기업 |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산업통상자원부) |
광주형 일자리기업 | 중소벤처기업부, 광주광역시 등이 인정한 기업 |
뿌리기업 |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뿌리산업(주조, 금형, 열처리, 표면처리, 소성가공, 용접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
위기 지역 | 정부에서 특별히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지역 소재기업 * (예시) 고용위기지역, 특별재난지역,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등 * 해당부처, 지자체 발급확인서 제출 |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 일자리 안정자금을 지원 받은 기업 * 일자리안정자금 지급결정통지서(근로복지공단) 제출 |
노동시간 조기단축 | 일자리 함께하기 사업 참여기업 * 일자리함께하기 지원금 수령 확인자료 제출 |
노동시간 조기단축 기업 * 노동시간 단축 확인서(고용노동부) 제출 (발급일로부터 1년) | |
청년 친화형 산단 | 청년 친화형 산단 입주기업 * 별도 제출자료 없음 |
노후산단 재생사업 선정 지구 | 노후산단 재생사업 선정 지구 내 입주기업 * 별도 제출자료 없음 |
소비재 수출 | 화장품, 식품, 의약품, 생활·유아용품, 패션·의류제품 등 소비재 기업 * 소비재 표준산업분류코드 보유 및 전년도 재무제표 첨부 |
사업재편 승인 | 「기업활력제고를 위한 특별법」제10조에 따른 사업 재편계획을 승인받은 기업 * 기업활력법 종합포털(http://www.oneshot.or.kr) 內 기업활력법 공표사항에서 확인 |
로봇 도입 | 로봇활용 제조혁신 지원사업 선정(전년도) 기업 * 해당사업 선정공문 첨부 |
에너지신산업 | 에너지신산업 관련 보급·지원사업 선정(전년도) 기업 * 해당사업 선정공문 첨부 |
정보보호 인증 | ISMS 인증 기업,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 B등급 이상 기업 * ISMS 인증서 또는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서 제출 |
스마트제조 표준 | 데이터 포맷 규격화 및 통신방식 표준(예, IEC62541, IEC62714 등) 적용 기업 * 별도 제출자료 없음(사업계획서 내 구성방식 등 확인) |
□ 문의 및 연락처
◦ 사업별 담당기관 연락처
구분 | 기관명 | 연락처 |
공고내용 문의 | 중소벤처기업부 | 국번없이 1357 |
사업문의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 042-388-0853, 0855,0861 1644-1736 |
◦ 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
지역 | 기관명 | 연락처 |
서울 | 서울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2-944-6057 |
부산 | 부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1-974-9205 |
대구 | 대구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3-602-1859 |
경북 | 경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3-819-3055 |
포항 | 포항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4-223-2242 |
광주 | 광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2-602-0312 |
전남 |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1-729-2831 |
제주 | 제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4-720-3074 |
경기 | 경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1-500-3100 |
경기북부 | 경기북부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1-539-5140 |
인천 | 인천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2-260-0626 |
대전 | 대전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2-930-4821 |
충남 | 충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1-589-0705 |
세종 | 세종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4-865-2153 |
울산 | 울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2-219-6633 |
강원 | 강원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3-248-5675 |
충북 | 충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3-270-2334 |
전북 | 전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3-832-6053 |
경남 | 경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1811-8297 |
'◘ Seal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층 반응기에서 CF4 플라즈마에 의한 HDPE 표면개질방법 (0) | 2020.04.14 |
---|---|
2019년도 구매조건부 신제품 기술개발 지원 사업 안내 (0) | 2019.12.05 |
스마트제조혁신 추진단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0) | 2019.11.12 |
[참고공고2]2019년 중소기업 ‘혁신형기업기술개발(글로벌도약과제)’ 시행계획 공고 (0) | 2019.10.17 |
[참고공고1] 2019년도 소재부품 기업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대상과제 공고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