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

2020년 도 보건 복지부 R&D예산 확정

구봉88 2019. 12. 19. 08:38


보도자료

12월 16일(월) 위원회 시작(11:00)이후 보도

배 포 일

2019. 12. 13 / (총 16매)

담당부서

보건의료기술개발과

과    장

정 은 영

전    화

044-202-2920

담 당 자

배 홍 철

044-202-2931

장 영 진

044-202-2921

2020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예산 5,278억 원 지원,

투자 방향 담은 통합시행계획 확정

- 2019년 제4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개최 (12.16) -

-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및 국민 보건의료 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 강화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바이오헬스 산업 혁신국민 보건의료 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 강화 등 2020년 연구개발(R&D) 투자 방향 담은 ”2020년도 보건복지부 R&D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12월 16일(월) 제4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송시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에서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 내년 보건복지부 주요 R&D 예산*올해 예산(총 4,669억 원) 대비 13.0%(609억 원) 늘어난 5,278억 원이다.

    * 전체 R&D 예산 중 기관운영비, 국립병원 연구비 등 일반 R&D 예산 제외


 ○ 시행계획 대상 사업은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 치매극복연구개발,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 등 총 52개 사업으로, 신규과제 1,495억 원, 계속과제 3,78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내년 보건복지부 주요 R&D 사업은 바이오헬스 산업우리나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자 지난 5월에 발표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반영*하여,

    *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를 ’25년까지 4조 원 이상으로 확대 추진

 ○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으로 사람 중심 혁신성장 실현 공익적 R&D 투자 강화 국민 보건의료 문제 해결’을 목표로 추진한다.


□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한 혁신적인 유망기술전략적 투자 요구’와 ‘지속가능한 보건복지를 위한 공익적 연구 필요성에 대한 공감 확대’ 등 보건의료 R&D 정책 여건에 따라, 4대 추진전략*과, 7대 중점 추진방향 토대로 2020년 주요 R&D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② 공익적 R&D 투자 강화, ③ 병원 기반 연구생태계 조성, ④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지원


 ①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 바이오헬스 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혁신 신약·의료기기·재생의료 등 차세대 유망기술을 중점 지원하고(총 1,281억 원 중 신규과제 592억 원),


   - 100만 명 규모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인공지능, 정밀의료 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을 적극 지원한다(총 588억 원 중 신규과제 51억 원).


 ② 공익적 R&D 투자 강화


   - 신·변종 감염병, 치매, 정신질환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진단·료기술 개발 및 지역사회 적용·확산을 수행하는 한편(총 1,041억 원 중 신규과제 230억 원),


   - 의료취약계층재활ㆍ돌봄 서비스만성질환, 생애주기별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 등 의료비 절감예방 중심 건강관리를 위한 국민 건강증진 R&D를 수행한다(총 1,022억 원 중 신규과제 214억 원).


 ③ 병원 기반 연구생태계 조성


   - 산·학·연·병이 활용할 수 있는 병원 중심의 공동연구 기반(플랫폼) 구축 병원연구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집중 육성하고(총 674억 원 중 신규과제 100억 원),


   -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 연계임상의사와 연구자·기업 간 협업 연구 지원 등 혁신성장을 견인할 보건의료 핵심 인재양성한다(총 192억 원 중 신규과제 17억 원).


 ④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지원


   - 해외 의존성이 높은 백신의 자체개발, 수입 의존 화장품 기초노인·장애인 보조기기국산화 지원강화한다(총 448억 원 중 신규과제 291억 원).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날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에서 “정부는 질병 극복을 통해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으로 세계 시장 선도할 수 있도록 바이오헬스 분야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또한 “보건의료 R&D의 성과가 하루빨리 국민 건강 증진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장에서 미충족 수요 발굴과 적극적인 연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2020년 보건복지부 R&D 사업은 올해 12월 20일(금) 즈음 사업 공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https://www.htdream.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일부 사업은 제외되며, 일정 변동 가능



< 붙임 > 1. 2020년 보건복지부 R&D 통합시행계획 주요내용
2. 2020년 신규과제 통합공고 계획

붙임1

 

2020년 보건복지부 R&D 통합시행계획 주요내용


□ 2020년 주요R&D 예산 현황


 ○ ’20년 주요R&D 예산 5,278억 원, 전년대비 609억 원(13%) 증가


 ○ (기관별) 진흥원 4,100억 원으로 전체 주요 R&D 예산의 78%를 관리(전년 比 17% 증가), 질본 790억 원으로 15% 관리(전년 比 5.5% 증가)


 

 

(단위: 억 원, %)

구   분

2019년

2020년

CAGR

        복지부 주요 R&D

4,669

5,278

13.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496

(74.9%)

4,100

(77.7%)

17.3

       질병관리본부

749

(16%)

790

(15%)

5.5

       국립암센터

334

(7.2%)

334

(6.3%)

-

       첨단의료복합단지

36

(1.2%)

-*

(-)

△100

       국립재활원

54

(1.1%)

54

(1%)

0.5

  * 첨단의료복합단지 미래의료산업 원스톱지원사업(’19. 신규)은 진흥원 관리예산에 포함


 ○ (분야별) 일몰 영향으로 질환극복 전년대비 감소(△3.0) 하였으나, 의료기기, 빅데이터, 재생의료 등 신규 예산 확보로 신약·의료기기, 첨단의료기술, 연구기반조성 분야 증가

주요 R&D 분야별 투자현황(’19~’20년)

 

 

(단위: 억 원, %)

구 분

2019년

2020년

증감률

주요 R&D

4,669

5,278

13.0

 

질환극복·관리

1,983

 

(42%)

1,924

 

(36%)

△3.0

 

 

 

신약·의료기기

1,248

 

(27%)

1,334

 

(25%)

6.9

 

 

 

첨단의료기술

554

 

(12%)

770

 

(15%)

39.0

 

 

 

연구기반조성

502

 

(11%)

584

 

(11%)

16.4

 

 

 

기타

(한의약, 서비스 등)

382

 

(8%)

666

 

(13%)

74.3

 

 

(단위: 억 원)



□ 보건복지부 R&D 정책방향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25년까지 4조 원 이상으로 확대 추진

  - 기초연구·응용연구를 균형 있게 확대(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19.5)

 

2020년도 전략목표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으로 사람중심 혁신성장 실현,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의 보건의료 문제 해결

 

                             

 

4대 전략별

중점 추진방향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① 혁신 신약·의료기기, 재생의료 등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

②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 개발 

 

 

 

공익적 R&D

투자 강화

 

③ 감염병, 치매, 정신건강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 확대

의료비 절감 및 예방 중심 건강관리 등 국민 건강증진 R&D 지원

 

 

 

병원 기반 연구 생태계 조성

 

병원연구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집중 육성

⑥ 혁신성장을 견인할 보건의료 핵심인재 양성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지원

 

⑦ 백신, 화장품 소재, 보조기기 등 국산화 지원 강화



 

보건의료 R&D 정책여건

 

 

 

 

 

혁신성장 유망분야

 

공익적 역할 기대

 

혁신 생태계 조성

 

글로벌 불확실성 증대

 

· 미래의료 선점 경쟁 심화

· 혁신 신약·의료기기 개발 진보

 · 빅데이터 연계 관심

 · 의료비 부담·취약계층 건강불균형

 · 고비용 사회문제 심화

 · 예방·건강관리 분야 관심

· 병원 중심 산·학·연 협력, 사업화

 · 미래 핵심인재 부족

· 임상시험 플랫폼 혁신 요구

 · 백신 자급화

 · 바이오헬스 관련 소재·원료·기기 수입 의존

 

□ 중점 추진방향


혁신신약, 의료기기, 재생의료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1,281억 원,  신규과제 592억 원)


   - 수출주력차세대 융복합 의료기기전략 품목군으로 지정, 기술고도화 지원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302억 원)


   - 민간 벤처투자공동으로 우수 기술을 선별 투자하고 인프라를 연계하여 지원하는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지원

     *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22억 원)


   - 치과질환예방·진단·치료·예후의 통합적 기술 및 ICT 기반 첨단·융복합 기술 개발치의학 신의료기술 선도

     *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20억 원)


   - 인공지능 등 플랫폼을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탐색을 지원하여 개발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구축(28억 원)


   - 신약 개발 유망 후보물질 발굴비임상·임상시험 지원

     *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5억 원), 국가항암신약개발(122억 원), 첨단의료기술개발 內 신약개발, 제약산업(163억 원)


   - 재생의료 기초 연구성과임상적용을 위한 중개연구, 실용화 지원

     * 첨단의료기술개발 內 줄기세포·재생의료(253억 원)


   - 신약개발 전주기(후보물질∼사업화)에 대한 범부처 통합지원*재생의료기술을 통한 치료제·치료기술 개발** 예타 추진

      *「국가신약개발사업」(10년 총 2.8조 원 규모, 복지부·과기정통부·산업부)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10년 총 9,489억 원 규모, 복지부·과기정통부)






 

< 2020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신규, 302억 원)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신규, 22억 원)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신규, 20억 원)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19년 25억 원 → ’20년 28억 원)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줄기세포·재생의료) (’19년 123억 원 → ’20년 253억 원)



빅데이터, 인공지능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 개발(588억 원, 신규과제 51억 원)


   - 100만명 규모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으로 유전체 및 임상 정보를 치료기술·신약개발 등에 활용

     *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시범사업(43억 원)


   - 공공기관이 보유한 의료 빅데이터의 공공적 목적 연구 지원데이터 개방·활용 연구 지원

     * 의료데이터보호·활용(80억 원), CDM기반정밀의료데이터통합(53억 원), 첨단의료기술개발 內 인공지능 정보의학(39억 원), 의료기기기술개발 內 보건의료 빅데이터(22억 원)


   - 차별화된 강점기술로 혁신적인 고부가가치 의료로봇 제품개발하고 신속한 시장출시 지원

     * 마이크로 의료로봇(87억 원), 인공지능 바이오로봇(28억 원)


   - 유전체 연구자원·정보 확보 및 분석을 통한 정밀의료 연구 계속 지원

     * 정밀의료(113억 원), 포스트게놈 다부처(92억 원), 형질분석연구(22억 원)


 

< 2020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시범사업(신규, 43억 원)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사업(’19년 37억 원 → ’20년 80억 원)*

CDM기반 정밀의료 데이터통합 플랫폼 기술개발사업(’19년 35억 원 → ’20년 54억 원)*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기술개발사업(’19년 77억 원 → ’20년 87억 원)*

  * ’19년 신규 사업으로 회계연도 일치에 따른 계속과제 예산 증가



감염병, 치매, 정신건강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1,041억 원, 신규과제 230억 원)


   - 치매로 인한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치매 예방ㆍ진단ㆍ치료 기술개발까지 전주기적 치매 R&D 추진

     *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130억 원), 치매극복연구개발(30억 원)


   - 중독 및 자살, 주요정신질환 등 국민적 관심이 높은 정신건강 분야 기술개발지역사회 적용·확산 수행

     *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62억 원)


   - 신‧변종, 원인불명 감염병조기진단, 현장진단진단기술 고도화미해결 치료제 기술개발 지원

     *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 內 의료현장진단기술, 미해결치료제(126억 원),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內 국가감염병, 방역연계범부처(112억 원), 감염병관리기술개발(205억 원)


   - 취약·중증환자 대상으로 미세먼지 기인 질병 중재·치료기술개발 연구 지원

     * 미세먼지기인 질병대응연구(41억 원)


 

< 2020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신규, 30억 원)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사업(’19년 120억 → ’20년 130억 원)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사업(’19년 35억 → ’20년 62억 원)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진단·치료) (신규, 126억 원)

감염병 관리기술 개발연구사업(’19년 204억 원 → ’20년 205억 원)

미세먼지기인 질병대응연구사업(’19년 33억 원 → ’20년 41억 원)


의료비 절감예방 중심 건강관리국민 건강증진 R&D(1,022억 원, 신규과제 214억 원)


   - 국민 의료비 절감을 위한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및 희귀질환, 저출산 등 공익적 질병 치료기술개발 지원

     *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191억 원), 공익적질병극복연구지원(70억 원)

   - 노인·장애인 등 의료취약계층재활ㆍ돌봄 서비스만성질환, 생애주기별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

     * 국민건강 스마트관리(30억 원), 돌봄로봇 중개연구(22억 원), 라이프케어융합서비스(91억 원), 만성병관리기술(135억 원), 100세사회대응고령친화(17억 원), 사회서비스(1.5억 원)


   -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중개연구 중점 지원

     *「기초-임상 연계 범부처 중개연구사업」(8년 총 8,498억 원 규모 예타 추진, 복지부·과기정통부)


   - 한의 의료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한의 임상·중개연구 지원의·한 협진 예방·진단·치료기술 개발 지원

     * 한의약혁신기술개발(78억 원), 한의기반융합개발(54억 원)


 

< 2020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사업(’19년 60억 원 → ’20년 191억 원)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신규, 30억 원)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개발사업(’19년 13억 원 → ’20년 22억 원)

라이프케어융합서비스개발사업(’19년 82억 원 → ’20년 91억 원)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사업(’19년 112억 원 → ’20년 135억 원)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신규, 78억 원)

국가 보건의료 연구인프라 구축사업(’19년 136억 원 → ’20년 176억 원)



병원연구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집중 육성(674억 원, 신규과제 100억 원)


   - 의료제품·기술 개발에 산·학·연·병이 활용할 수 있는 병원 중심의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

     * 연구중심병원육성사업(372억 원), 선도형특성화연구개발사업(31억 원)


   - 연구성과의 상용화 촉진을 위한 질환 특화 유효성 평가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 지원

     *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65억 원)



   - 차세대 임상시험 기반기술 개발을 통해 임상시험 소요 시간·비용·품질 경쟁우위 확보 등 국내 임상시험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스마트임상시험플랫폼(28억 원), 임상연구인프라조성(126억 원)


 

< 2020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연구중심병원육성사업(’19년 341억 원 → ’20년 372억 원)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사업(신규, 65억 원)


혁신성장견인보건의료 핵심인재 양성(192억, 신규과제 17억)


   -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바이오메디컬 분야 핵심 글로벌 인재 양성

     * 바이오메디컬 글로벌인재양성(119억 원), 보건의료기술교류(3억 원)


   - 혁신거점병원을 통해 젊은 의사과학자양성하고, 임상의사와 연구자·기업 간 협업 연구 사업화 추진

     * 혁신형의사과학자공동연구(38억 원)


 

< 2020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보건의료 인재양성 사업(일반회계) (’19년 79억 원 → ’20년 163억 원)


백신, 화장품 소재, 보조기기국산화 지원 강화(448억, 신규과제 291억)


   - 해외 의존성이 높은 백신의 자체개발을 통한 국가 백신 주권 확보수급 안정화

     * 감염병예방치료기술 內 백신자급화(120억 원), 감염병위기대응기술 內 면역백신개발(44억 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158억 원)


   - 수입 의존 화장품 기초소재 국산화소비자 맞춤형 화장품 개발

     *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77억 원)


   - 노인·장애인 일상생활 관련 보조기기국산화 지원 및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을 통한 보급·확산

     * 노인·장애인보조기기연구개발(48억 원)


 

< 2020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백신자급화)(신규, 120억 원)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사업(신규, 77억 원)

노인·장애인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신규, 48억 원)

□ 대상사업


< 2020년 보건복지부 주요 R&D 사업 투자계획 >


(단위 : 백만 원)

4대 중점

추진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

내역사업

‘19년 

예산

‘20년 예산

관리

기관

신규

총계

466,926

527,821

149,527

 

바이오

헬스산업

혁신

차세대
유망기술
R&D

범부처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신규

-

30,189

29,620

진흥원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신규

-

2,236

2,172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

신규

-

2,008

1,950

첨단의료기술개발

줄기세포·재생의료

12,250

25,256

12,122

신약개발지원

21,764

15,500

11,700

융복합보건의료기술

6,439

4,012

-

제약산업특화지원

5,375

833

-

의료기기기술개발

미래융합의료기기

10,595

6,686

-

의료기기임상시험지원

13,738

12,235

-

신의료기술 수반

의료기기 시장진출 지원 (종료)

660

-

-

치과의료 및 치과 산업기술개발

1,834

2,000

-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

14,224

12,156

-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지원사업

9,549

500

-

한의약선도기술개발

9,945

7,235

-

양·한방융합기반기술개발 (종료)

2,060

-

-

첨단의료복합단지미래의료산업원스톱지원 

1,868

4,453

1,678

인공지능신약개발플랫폼구축

2,500

2,778

-

첨단의료복합단지기반기술구축사업 (종료)

3,592

-

-

첨복

소계

116,393

128,077

59,242

 

4차산업
혁명 기반
R&D

바이오 빅데이터구축 시범사업

신규

-

4,267

4,267

진흥원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

3,743

7,970

800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

7,693

8,704

-

CDM기반 정밀의료 데이터통합 플랫폼기술개발

3,495

5,366

-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기술개발

2,800

2,800

-

첨단의료기술개발*

인공지능정보의학

3,576

3,900

-

의료기기기술개발*

보건의료빅데이터연계
활용강화연구

1,995

2,200

-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정밀의료)

11,261

11,261

-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

10,100

9,232

-

심혈관계질환첨단의료기술가상훈련시스템기술개발

778

855

-

형질분석연구

2,170

2,206

-

질본

소계

47,611

58,761

5,067

 

공익적

R&D

투자 강화

사회문제해결

R&D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신규

-

2,950

2,869

진흥원

감염병 예방 ·치료 기술개발*

신규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기술개발

-

5,175

5,175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

7,425

7,425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

12,029

13,090

-

감염병위기대응
기술개발
*

국가감염병위기대응

12,808

7,200

-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2,933

4,000

255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 

3,511

6,244

-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 (종료)

857

-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20,395

20,492

1,500

질본

미세먼지기인 질병대응연구

3,250

4,062

522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33,433

33,433

5,297

암센터

소계

89,216

104,071

23,043

 

국민

건강증진
R&D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

신규

-

2,966

2,874

진흥원

한의약혁신기술개발

신규

-

7,779

7,683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 

5,990

19,105

-

연구자주도질병극복연구

14,680

7,584

-

공익적 질병극복 연구지원사업

6,036

6,960

-

라이프케어융합서비스개발사업

8,152

9,072

600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26,908

2,785

-

돌봄 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

1,300

2,201

-

100세사회대응고령친화제품연구개발

2,795

1,692

-

사회서비스

311

150

-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3,565

5,439

930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13,635

17,619

4,864

질본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

11,222

13,485

2,263

국립재활원 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5,367

5,395

2,198

재활원

소계

99,961

102,232

21,412

 

병원 기반 연구 생태계조성

병원 중심 생태계

R&D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

신규

-

6,450

6,250

진흥원

연구중심병원육성사업

34,050

37,170

3,750

선도형특성화연구개발사업

5,170

3,120

-

스마트임상시험플랫폼기반구축사업 

2,780

2,780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23,614

12,668

-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

5,244

5,249

-

질본

소계

70,858

67,437

10,000

 

핵심인재
양성
R&D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일반회계)

7,875

16,300

1,650

진흥원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건강기금)

4,259

2,903

-

소계

12,134

19,203

1,650

 

소재·부품·
장비 국산화 지원

국산화
지원

R&D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 

신규

-

7,740

7,500

진흥원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 

신규

-

4,800

4,650

감염병 예방 ·치료 기술개발*

신규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

11,950

11,950

감염병위기대응
기술개발
*

면역백신개발

8,454

4,424

-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

18,997

15,842

5,013

질본

소계

27,451

44,756

29,113

 

 

 * 첨단의료기술개발, 의료기기기술개발,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 사업의 경우, 전략별 중점추진방향에 따라 일부 내역사업을 분리하였으며, 기획평가관리비(’19년 3,302백만원, ’20년 3,284백만원)는 내역사업 예산에서 제외되었으나 전체 예산에는 포함


붙임2

 

 2020년 신규과제 통합공고 계획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단위 : 백만원, 개수)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27,870 백만원)

1차 공고

(‘19.12)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사업단(장)

29,620

1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

미래 첨단 치과 의료기술개발

미래 첨단 치과 의료기술개발

1,950

4

첨단의료기술
개발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성과창출형 중개연구

2,250

6

상용화공통기반기술개발지원

1,125

5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

1,350

6

허가용 기업주도 임상시험

3,600

4

세포기반첨단조직공학 융복합기술실용화지원

797

2

이종장기 이식 임상적용 가능성 검증

2,250

1

신약개발 지원

신약개발 비임상·임상시험 지원

11,700

18

첨단의료복합단지 미래의료산업 원스톱지원사업

합성·IT기반 의료제품 공동연구개발지원사업

731

6

바이오·BT기반 의료제품 공동연구개발지원사업

947

6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백신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단(장)

11,950

1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기술개발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기술개발

5,175

19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7,425

19

라이프케어

융합서비스
개발사업

사회적약자통합케어

서비스모델개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모델 개발

600

8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한의융합 다빈도 난치성 질환 대응기술 개발

한의융합 다빈도 난치성 질환 대응기술 개발

480

5

한의융합 제품기술개발

한의융합 제품기술개발

450

3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

글로벌 인재육성

바이오메디컬글로벌 인재양성/ 연구자협력형

1,100

25

바이오메디컬글로벌 인재양성/ 글로벌 혁신인재 센터

300

1

보건의료기술교류

250

20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

(가칭)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사업단(장)

7,500

1

1차 공고 부분 합계*

91,805

162

*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사업단은 ‘20년 1월 연구 개시로 ‘19년 11월에 사업 공고, 255백만원 예산, 과제 수 1개, RFP 수 1개 포함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2차 공고

(‘20. 1)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

2,172

10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사업단(장)

2,869

1

          2차 공고 부분 합계

5,041

11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3차 공고

(‘20. 3)

첨단의료기술
개발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GSRAC 2기 사업

750

1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

보건의료빅데이터 활용기반 연구

300

3

디지털헬스케어 효과검증연구

500

2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

질환유효성평가지원센터

3,750

5

의료기기 혁신지원센터

2,500

5

연구중심병원
육성사업

연구중심병원육성사업

3,750

3

         3차 공고 부분 합계

11,550

19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단위 : 백만원, 개수)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국립보건연구원 (14,162 백만원)

1차 공고

(‘19.11)

감염병관리
기술개발사업

미해결 및 만성감염질환 연구

1,500

7

미세먼지기인 질병대응연구

미세먼지 기인 질병 예방 및 중재연구

200

2

미세먼지 노출인구 집단 분석 및 연구 인프라 구축

222

1

만성병관리
기술개발연구

고령사회 대비 만성질환 극복연구

863

1

생활위험인자기인 만성질환 연구

1,400

8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

구축사업

기후변화 급만성질병연구

1,159

7

희귀질환 연구인프라 구축

1,500

4

국가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2,205

3

1차 공고 부분 합계

14,162*

33

 

* 연구 인프라구축 예산 포함(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 100백만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 5,013백만원) 


국립재활원

(단위 : 백만원, 개수)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국립재활원 (2,198 백만원)

1차 공고

(‘19.12)

국립재활원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

재활연구개발지원용역

1,220

15

재활로봇중개연구용역

880

10

1차 공고 부분 합계

2,100

25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2차 공고

(‘20.2)

국립재활원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

재활연구개발지원용역

98

2

2차 공고 부분 합계

98

2


국립암센터

(단위 : 백만원, 개수)

공모
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국립암센터 (5,297 백만원)

1차 공고

(‘19.10)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기관고유연구사업(기본사업)

4,718

49

1차 공고 부분 합계

4,718

49

 

공모
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과제수

(이내)

2차 공고

(‘20.1)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기관고유연구사업(인공지능빅데이터암연구사업)

200

2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지역암센터)

379

2

2차 공고 부분 합계

579

4



첨부파일 [12.16.월.위원회시작(11시)이후]_2020년도_보건복지부_연구개발(RD)_예산_5278억_원_지원_투자_방향_담은_통합시행계획_확정.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