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생활문화

[스크랩] 중국의 소수민족들

구봉88 2008. 5. 23. 21:54
우즈베크족(wuzibieke zu)
Ozbek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14.763(1990). 대부분 신장에 거주하고 있다. 우즈베크족의 인구는 약 12,453명이며 주로 신강위글자치구의 남부와 북부에 분포돼 있다.

종교는 일반적으로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여성들은 수놓기를 즐기는데 그 도안들은 각의각색이어서 매우 아름답다.

절대다수의 우즈베크족 인민들은 도시에서 생활하면서 상업, 교육, 수공업에 종사해 왔으며 일부는 목축업과 농업〉?종사해 왔다. 장기간 우즈베크족과 위글족 인민들은 함께 생활하면서 경제, 문화, 등 면에서 상호 영향을 받아 풍속습관, 음식, 거주, 종교신앙 등 면에서 비슷한 특점을 갖고 있다.

언어와 문자 : 우즈베커語(알타이어계, 돌궐어족). 위구르어와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는 위구르어를 많이 사용한다. 우즈베크족은 자기의 언어를 갖고 있는데 슬라브자모를 기초로 한 알타이어계 투르크어족西匈語계에 속한다.

 

 

따지크족(tajike zu)

Tajik ethnic minority group

따지크족은 현유인구가 33,538인에 달하며 주로 신강위글자치구서남부의 타스쿠르깐(塔什庫爾干) 따지크자치현에 분포되고 일부가 자치현이동의 사츠(莎車), 저푸(澤普), 엽성(葉城), 피산(皮山) 등 타리무분지서부 변연지대에 분산돼 있다.

수천년래 따지크족은 부단히 동서방문화의 정화를 흡취해 자체의 특색이 있는 역사와 문명을 창조했다.

따지크족의 주요 집거구인 타스쿠르깐은 세계지붕 빠미르고원 동부에 위치해 있다. 산정에는 일년내내 빙설이 덮여있고 산비탈 하천량안에는 초원도 있고 경작지도 있다. 견강한 따지크족은 세세대대 여기서 생활해왔다.

따지크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으며 보편적으로 위글문을 사용한다. 그들은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주로 목축업에 종사하고 농업도 겸해 경영하는 반정착 반유목생활을 한다.

따지크족은 성격이 견강하고 호방하다. 따지크족의 전설에서 매가 바로 영웅의 상징이다.

▩ 특 색 ▩

- 확실치는 않으나 기원전 수세기 동안 신강 동부 지역에 이란어를 쓰는 민족이 계속 이주해 살고 있다는 기록이 있음
- 당나라 문헌에도 나타나 있듯이 이란인이 파미르 고원 쪽으로 대거 이주했다가 독립된 민족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임

- 11세기에 접어들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란어를 쓰고 이슬람족을 믿는 민족을 모두 '타지커'족이라 불렀음
- 타지커라는 뜻은 '왕관'을 칭함
- 지금의 타지커족은 옛부터 이 지역에 거주한 타지커족과 뒤에 이곳에 이주한 여러 민족이 오랫동안 혼거하면서 생긴 것임

- 산지에 사는 사람들은 목축업, 평지에 사는 사람들은 농업에 종사
- 이슬람교를 신봉

▶ 독수리피리를 불고 있는 따지크족. 따지크족인구는 3.3만이며 신강위그르족자치구에 집거하고 있다.

 

 

위글족(weiwuer zu)
Uygur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위그르족은 주로 신강의 準爾일대에 집거하고 있으며, 인구는 약 7,214,431명이며 춤 노래를 즐기는 민족이다.

언어와 문자 : 동부위글語(일종의 몽고어), 서부위글語, 한語 세 가지 언어를 사용한다. 문자는 이미 소실되었다.

종 교 : 과거에는 샤머니즘, 마니교와 불교를 신봉하였으나 명조이후로 라마교를 받아들였고, 현재는 종교를 가진 사람이 적다. 위그르족은 농업 위주인데 면화, 밀, 옥수수, 면 등 농작물을 재배한다. 중국의 최대면적의 포도생산기지를 갖고 있는데 이 기지는 우룸치에서 약 184킬로미터 떨어진 두루판 분지에 있다. 위그르족은 자기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고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위그르족은 춤과 노래를 즐기는 민족으로서 《十二木姆》는 그들의 예술의 정화이다. 또 사발춤, 손북춤은 그들이 즐겨 보고 추는 춤이다.

90%의 위그르족이 감숙성에서 살고 있다.

기 타 : 위그르족과 위꾸족의 조상은 같다. 그들의 조상인 회허인이 왕국이 붕괴되면서 세 갈래로 갈라졌고, 그 중 하나가 위그르족이 되었다.

 

 

리족(li zu)

Li ethnic minority group

리족은 주로 해남성중남부의 동방, 백사, 릉수, 창강리족자치현과 락동, 경중, 보정리족묘족자치현에 집거해 있고 일부분이 해남 기타 현시에 분산돼 당지 민족과 잡거해 있다.

인 구 : 1.112.498(1990)

언어와 문자 : 리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문자는 없다. 건국 후 점차 한문을 통용했다.

종 교 : 조상숭배

기 타 : 해남도를 가장 먼저 개발한 민족이 리족의 조상이며, 해남도에서는 신석기의 문화 유적이 130곳이나 발견되었다. 리족은 농업을 위주로 하는데 벼재배 리경농업문화류형에 속하며 이밖에 수렵, 어업, 채집과 림업 등 다종경영에도 종사한다.

 

 

부랑족(bulang zu)
Blang ethnic minority group

부랑족의 인구는 약 8만2천명 정도이며 운남성의 서쌍반납, 림창, 쌍강, 진강, 란창, 경동과 흑강 등지의 산악지대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으며 서쌍반납의 부랑산은 바로 이들의 집거지이다. 이들은 오랜 역사를 지닌 민족이며 이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오랜동안 따이족의 통치를 받았다. 이들의 물질과 문화는 따이족과 매우 비슷하다.

언어와 문자 : 부랑족은 언어는 있지만 문자가 없다. 부랑족 언어의 대부분은 동화와 서사적인 시조이다.

종 교 : 소승불교, 조상숭배

부랑족은 오랜 역사를 가진 온화하고 친근한 민족이며 소승불교를 믿는다. 전체인구는 84,000명으로 주로 시�빤나 따이족자치주내 멍하이에 있는 부랑산(布朗山) 해발 1,500m의 산악지역에 거주한다.

생 활 : 주로 농업과 밭작물, 면화, 차 등을 재배한다. 부랑족의 거주지는 푸얼차의 원산지로 유명하다.부랑족의 젊은이들은 검무(劍舞)와 원무(圓舞)를 좋아한다.

전통복장 : 음력 5월 5일은 말 경주를 하는 축제일이다. 최고의 기수가 참가하게 된다.

 

거로족(gelao zu)
인 구 : 438.192(1990)

언어와 문자 : 거라오어(한장어계). 현재는 거라오어를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문자도 없다.

종 교 : 자연숭배

이들은 한족 및 기타 소수민족들과 오랫동안 같이 집거해 왔기 때문에 이들의 풍속습관은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기 타 : '거라오'란 '사람'이란 뜻이 있고, 또 '대나무'란 뜻이 있다. 쌀과 옥수수를 주식으로 한다. 주로 귀주성 경내 20여개의 현, 지구에 거주하고 일부가 운남성 중부 문산 일대의 부녕, 경남, 문산과 마관 등 현시에 분산돼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한족 및 기타 소수민족들과 오랫동안 같이 집거해 왔기 때문에 이들의 풍속습관은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무로족(mulao zu)
Mulam ethnic minority group

무로족은 현유인구가 159328인에 달하며 주로 광서�족자치구북부 산지역에 분포돼있는데 90%가 라성(羅城)무로족자치현에 집거해있다.
무로족거지지는 풍경이 아름다워 "작은 계림(小桂林)"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곳은 풍부한 관광자원과 광물자원 및 토산물이 있다. 무로족은 주로 벼를 재배하며 석탄채집도 생산생활가운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무로족은 한장어계(漢藏語系)장뚱어족(壯東語族)뚱수이어지(東水語支)에 속하는데 대다수가 한어와 장족어에 능통하며 본 민족문자가 없고 한문을 통용한다.

무로족은 지난날 주로 도교를 신앙하는데 불교를 믿는 사람도 있다. 무로족의 명절이 비교적 많은바 한해 중 10월, 11월외에 거의 매달마다 명절이 있다. 3년에 한번씩 크게 경축하고 해마다 있는 이판절(依飯節)은 무로족의 가장 중요한 명절이다.

종 교 : 자연숭배, 다신교, 불교 사원도 많은 편인데 실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종교는 도교이다.

기 타 : 한나라때부터 한족의 영향을 받아 성을 부르기 시작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청색 옷을 좋아한다.

민 족 원 류

; 2만여 명으로, 귀주성 Mu lao족(  族)의 주요 분포 지역은 치엔남(黔南), 치엔동남(黔東南)의 마쟝(麻江), 후췐(福泉), 웡안(瓮安), 두윈(都勻), 황핑(黃平), 카이리(凱里)일대인데 천여 년 이래로 이 지역에 살아 온 토착민족으로서 무라오인(木 人)은 자칭하기를, 마쟝(麻江)방언지역에서는 차워(qa wo), 카이리(凱里)방언지역에서는 lei wo(勒窩)라고도 한다. 민족의 기원은 일천 육백 년 전의 동진(東晋)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춘추 전국시대의 백월(百越)민족과 같은 공동체였고 역사상 서구(西 ), 낙월(駱越), Mu lao miao(木 苗),영( ), 영료(  )등으로 호칭되었다. 무라오(木 ), 무라오(穆 ), 무로우(木婁), 무라오(姆 )등 다양하게 불려 지다가 1993년 6월 15일 공식적으로 호칭을“ Mu lao인(木 人) ”에서“ Mu lao족(  族) ”으로 개칭한 날을 기념하여“ 귀주 Mu lao hui ”로 모여 투우, 투견, 가요경연 등 각종 문화행사와 농구, 경마 등 체육활동을 한다. 과거에는 귀주에 폭 넓게 분포해 살았음을 남겨 진 지명을 통해 알 수 있다. 위핑현(玉屛縣) 주가장향(朱家場鄕)의 Mu lao tian(木 田), 핑탕현(平塘縣) 아주향(牙舟鄕)의 Mu lao zhai(木 寨)과 상막향(上莫鄕)의 Xiang mu lao(上木 ), Xia mu lao(下木 ), 그리고 시수이현(習水縣) 이리향(二里鄕)의 Mu lao tang(木 塘), 두윈시(都勻市) 옹도향(瓮桃鄕)의 Mu lao zhai(木 寨), 영은향(迎恩饗)의 Mu lao fen(木 墳), 카이리시(凱里市) 낙면향(洛棉鄕)의 Mu lao shan(木 山), 후췐현(福泉縣) 성관진(城關鎭)의 Mu lao po(木 坡), 꾸이딩현(貴定縣) 낙북하향(落北河鄕)의 Mu lao zhai(木 寨)등 수없이 많이 남아 있다.

방언구분

; 언어는 한 장어계 장동어족 동수어지(漢藏語系藏 語族 水語支)에 속하며 많은 젊은 세대는 이미 중국어化 되었고 산촌(山村)등 깊은 지역만이 그들의 언어를 사용한다. 상용되는 단어는 3,000여개 정도이고 세 개의 방언이 있다.

(1), Ma jiang xian(麻江縣) Xia si qu(下司區)의 Long li zhai hua(龍里寨話) ㅡ 치엔동남(黔東南) 카이리(凱里)시와 마쟝현의 중간인 下司

(2), Ma jiang xian(麻江縣) Xuan wei qu(宣威區) Ba mao zhai hua(把茅寨話) ㅡ 마쟝현의 동남쪽인 宣威 (1과 2의 두 지역간 거리는 약 25 Km)

(3), Kai li ping liang gong si Zhong ba zhai hua(凱里 平良公司 重把寨話); 大風洞鄕 下寨村, 百臘( 1, 2와 3 지역간 거리는 약 50 Km )

* 세 방언간에 35%만이 통한다. 귀주의 무라오인(木 人)과 광서(廣西)의 Mu lao족(  族)언어는 14%만 같거나 유사할 뿐이므로 비록 1993년 6월 15일 공식적으로 귀주의 Mu lao인(木 人)의 호칭을“ Mu lao인(木 人) ”에서“ Mu lao족(  族) ”으로 개칭했지만 귀주와 광서의 Mu lao족(  族)은 구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생 활 풍 속

; 고유의 민족언어와 풍속과 문화예술을 지니고 있어 민간문학예술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민요의 곡조가 밝고 경쾌한 것이 특징이고 생동감 있는 신화, 전설, 민간고사가 많이 전해진다. 명절로는 음력 10월 첫째 묘(卯)일부터 세수(歲首) 즉“ 무라오년(木 年) ”으로 성대하게 지낸다. 묘일(卯日), 즉 토끼의 날을 택하는 이유는 토끼의 순결을 숭앙하고, 또한 선조들이 토끼를 예물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입춘이 지난 후 한 해 농사를 기원하며 지내는 2월 니엔서절( 社節)과 소의 생일로 간주해 소에게 먼저 꽃찹쌀밥을 먹이고 소에게 쌀을 뿌리기도 하고 술을 주기도 하며 소를 놓아 방목하고 때리지 않는 등 소에게 특별한 대우를 하는 날인 우왕절(牛王節) 등 많이 있다. 은(銀)장식을 좋아 해 머리에 은침을 꽂고 오른쪽 귀 뒤에 은메달을 단다. 허리에 달린 주머니에는 은실이 있다. 귀걸이, 목걸이, 팔지등 모두 은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은 민족의 특성이 많이 사라 졌다. 연장자를 존중해 호칭도 구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한가지 성씨(姓氏)가 한 마을을 이루어 산다. 찹쌀로 만든“ Nuo mi ba( 米 ) ”와 쌀 술을 담가 즐긴다.

장례와 종교 미신

; 죽은 후 목관 토장(木棺土葬)을 하는데, 죽은 사람의 입에 은제품을 넣어 주며 입관할 때에 손에 종이로 만든 돈을 쥐어 준다. 귀사(鬼師)가 죽은 자의 길을 열 때(開路) 닭이나 개를 잡는다. 특별한 종교는 없지만 집집마다 선칸(神龕)을 두고 조상을 섬기며 산신(山神)과 귀신을 믿는다. 전설에 호랑이가 조상을 구했다고 해서 호랑이를 숭앙하기도 한다. 정월 초하루에서 사흘까지는 문밖에 나가 물을 뿌리거나 땅을 쓸지 않고 음식을 익히지 않고 생식한다. 지역에 따라, 성씨에 따라 각기 습속이 다른데 문씨성은 말고기를 먹지 않고 김씨 성은 닭을 잡아 기르지 않는다. 일부 지역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벼락이 치는 경우에는 3일 동안 땅을 파지 않는다.

※ 24가지의 속담(諺語)이 있어 삶의 지표 역할을 한다.

인 구 및 분포지역

; 1990년초 통계로 3만여 명이다. 절대 다수가 왕(王), 라(羅), 김(金), 여(黎), 문(文), 오(吳)의 6개 성(姓)과 진(陳), 이(李), 란(蘭)등 다른 성(姓)이 약간 있다.

▩ 특 색 ▩

- 이들 민족의 뿌리는 고대 '요' 또는 '링'이라 불렸던 민족으로 봄
- 원래 무라오족은 원대부터 명대 초까지 지금의 루�지역에서만 살고 있음
- 농업을 고집하며 옛 모습 그대로 생활

 

 

수이족(shui zu)
Shui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현유인구 345,993명 인구를 갖고 있는 수이족은 대부분 귀주성감남부이족묘족자치주의 삼도수이족자치현과 려파(離波), 도균(都勻), 독산(獨山) 및 감동남묘족자치주의 개리(凱里), 려평(黎平), 용강(榕江),종강 등 현에 집거하고 있고 일부는 광서장족자치구의 서부에서 생활하고 있다.

수이족들이 살고 있는 지역은 운남고원 동남부의 묘령산맥 이남, 도류강과 룡강상류에 위치해 있어 삼림이 밀집돼 있고 산수가 아름다워 농림업의 발전에 유리하다. 수이족 인구는 약 8,000명으로 중국내 수이족의 2%에 해당한다. 주로 푸웬(富源)현 황니허(黃泥河)마을과 일량( 良)현 따허(大河), 롱안(龍安)에 분포한다.

종 교 : 자연숭배

수이족의 조상은 고대“백월”(百越)의 한 갈래이다. 청나라시기에 “수가묘”(水家苗),“수가”(水家)등 이름으로 불리우다 새중국성립 후 수이족이라 정식 명명했다.

수이족은 음력설을 “차단(借端)”이라고 하는데 이날은 대단히 성대하고 흥성하다. 북소리 징소리 울려퍼지고 갈대생황을 불기도 하며 경마도 진행한다. 그리고 노래하고 춤도 추면서 종일 오락활동으로 보낸다.

언어와 문자 : 수이어(漢藏語系 장동어족). 여러 방언이 있는데 서로 말은 통하지만 그래도 큰 차이가 있는 편이다. 고대로부터 문자가 있는데 상형자가 비교적 많고 갑골문과 많이 닮았다.

역 사 : 윈난성의 수이족은 뀌조우(貴州) 수이족과 같이 바이유(百越)족의 뤄유(駱越)지류에 기원한다. 이들은 아주 오래 전에 현재의 거주지로 이주하여 왔다.

기 타 : 밭농사가 대부분이고 쌀을 주식으로 먹는다.

민 족 원 류

; 천여 년 전의 당(唐)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지닌 민족으로 고대 “ 백월(百越) ” 족군(族群)가운데“ 낙월(駱越) ”의 한 갈래로 발전되어 내려 왔다. 광서(廣西) 자치구에 사는 수이족은 대부분 위(韋), 오(吳), 몽(蒙), 석(石), 반(潘), 막(莫)등의 성씨(姓氏)인데 귀주성에서 이주 해 갔다. “ 수이가(水家) ”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자칭하기는 “ ai sui ”,“ 水 ”는 sui의 번역음이고, ai는 사람의 양사(量詞)로서, 명조(明朝)부터 수이족(水族)이라고 불려진 기록이 나온다. 수이족(水族)의 인구는 1992년 현재, 347,116 명으로 주요 거주 지역은 귀주성(貴州省)과 광서(廣西)자치구인데 그중 귀주성내에 27만여 명이 살고 있다. 1957년 1월 2일, 전국 유일의 수이족자치현이 된 산두수이족자치현(三都水族自治縣)에 143,671명(1983년)이 살고 있으며 전체 현 인구의 65.24 % 를 차지한다. 본현은 귀주성 치엔 부이족 묘족 자치주(黔南布依族苗族自治州) 동남부의 묘령산맥 줄기로서 해발 최고 1660m에서 최저 303m까지로 표고차가 심하다.

언어 및 문자

; 언어는 한장어계 장동어족 동수어지(漢藏語系 壯 語族  水語支)의 한 언어이다. 마오난어(毛難語), 동어, 무라오어와 같은 단어가 많다.

b, 의상형태(衣裳形態; 服飾)로 구분

(1) San du xian(三都縣) 城關, 水龍, 周覃地區와 獨山縣 基長地區; 부녀자는 남색 大襟半長衫, dian( )靑色長 ,  脚欄干,

(2) San du xian(三都縣)과 榕江縣, 雷山縣; 옷소매와 바지가랑이 좁고, 머리에 白頭巾을 쓴다.

(3) San du xian(三都縣) 九阡지구와  波縣; 靑紫色 半長의 깃 없는 大襟衣등.

(4) Du yun(都勻); 바지에 꽃무늬, 무릎아래까지 오는 긴 옷, 옷소매와 바지밑단이 대체로 넓다.

(5) San du xian(三都縣) 牛場, 普安; 긴 수건으로 머리를 깜 싸는 것 이외에는 현지의 묘족과 같다.

c,고문자(古文字)

; “ le sui ”라고 불렀는데 일종의 상형문자로 “ 수이서(水書) ”또는 “ 수이자(水字) ”라는 뜻이다. 일상생활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수이족(水族)의 무사(巫師)가 택일을 한다든가, 풍수 지리를 볼 때에 사용했는데 400여 자가 전해진다. 어떤 것은 상형문자와 유사해 사물의 형상을 묘사하기도 했는데, 예를 들면 새나 물고기같은 것은 그대로 그림을 그렸다. 또한 일부는 한자를 바르게, 기울여서, 뒤집어서, 또는 반대로 써서 다르게 읽고 뜻을 달리 했다.

※수이서(水書)에는 두 종류가 있다; 글자 모양이나 발음에는 차이가 없는데, 단지 글자의 뜻과 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흑서에 있는 글자가 백서에 없는 것도 있다.

(1) 보통 수이서(普通水書); le kwa ㅡ 백서(白書)

(2) 비전 수이서(秘傳水書); le nam ㅡ 흑서(黑書)

생 활 환 경 및 풍 속

; 산두(三都) 물소(水牛)가 체형은 작지만 힘이 좋고 번식력이 강하다. 수이가(水歌; 수이족민요)는 삶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으로 언어가 소박할 뿐만 아니라, 폭 넓은 뜻을 반영하고 있고 형식은 (1)쌍가( 歌), (2)단가(單歌), (3)두가( 歌), (4)조가(調歌), (5)힐가(詰歌)등 5가지로 분류한다. 은세공은 오랜 동안 이어져 내려온 공예로 부녀자의 허리띠는 정교하고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어렸을 때부터 자수와 종이공예를 배우는데 이를 통해 민족의 품격을 더욱 예술적인 가치로 높여 주는 효과를 얻고 있다. 집이 견고해 200년이상된 고옥(古屋)도 많이 남아 있다. 장례를 굉장히 엄숙하게 지내 사람이 죽으면 장례가 끝날 때까지 출가한 여인까지도 고기를 일체 못 먹는다. 음력 9월이 수이족의 세수(歲首)인데 명절 중에 단절(端節)은 수이어(水語)로 “ 借端(jie duan) ”으로 최대의 명절이다. 매년 수이족역법(水曆)으로 12월부터 다음해 2월 상순까지 매(每) 해일(亥日)이 “ 단(端) ”의 명절이다. 각 지역이 습관에 따라 순서대로 행한다. 이외에 손님을 초대해 5,6백년의 역사를 지닌 민속술인 구천주(九阡酒)를 대접하며 지내는 묘절(卯節)이 있다. 구천주는 찹쌀을 주원료로 해서 풀과 나무뿌리를 채집해 발효시켜 만든 향기와 맛이 좋고 영양이 풍부하며 건강에 좋기로 소문난 술이다.

종교 및 신앙

; 신(神)의 개념이 없이 그저 선귀(善鬼)로 부르는데 이것이 수이족의 신(水族神)인 셈이다. 다신 숭배 사상으로 거석(巨石),고목(古木),고정(古井)등 목신(木神),정신(井神)을 숭배하고 바위신(岩神)을 숭배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생사, 화복, 질병등의 문제를 여무(女巫)와 귀사(鬼師)에게 청해서 희생 제사를 지내며 의탁한다. 청조말(淸朝末)에 천주교와 예수교가 전래되어 구천(九阡), 항풍(恒豊), 우창(牛場) 내투(內套)등지에 교회가 세워져 있고 일부지역에 가정교회가 있다.

 

 

누족(nu zu)
Nu ethnic minority group

주로 윈난성[雲南省] 북서부 누장강[怒江] 리수족 자치주인 비장현[碧江縣]과 푸궁현[福貢縣], 궁산[貢山]의 두룽족[獨龍族]?누족 자치현에 거주한다. 인구는 약 2만 5000명(1992년 현재)이다. 누어(語)는 티베트?버마어파(語派)에 속하며 방언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궁산 누어는 두룽어와 비교적 가깝다. 또 누족은 리수족과 지역적으로 가까이 살고 있어서 리수어를 아는 사람이 많다.

누족 자신은 자기 부족을 비장현에서는 누수[怒蘇], 푸궁현에서는 아누[阿怒], 궁산에서는 아룽[阿龍]이라고 부르는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른다. 한적(漢籍) 사료에는 누인[怒人]?누자[怒子] 등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역사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당(唐)나라 때는 남조국(南詔國), 송(宋)나라 때에는 대리국(大理國)에 종속되었으며 원(元),명(明) 이후에는 나시족[納西族] 토사(土司),티베트족,베족[白族]?리수족의 지배를 받았다고 한다.

고산지대에 살며 이전에는 주로 화전(火田)을 일구어 옥수수,메밀,잡곡류를 생산했으나 지금은 밭을 갈고 논농사도 짓고 있다. 사회의 기본 단위는 일부일처제의 소가족으로, 혼인은 씨족외혼제(氏族外婚制)로서 교차(交叉) 사촌혼(四寸婚)이 우선되었다고 한다. 촌락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있는 사람은 ‘아샤’라고 불리는, 나이 든 위신이 있는 남자로서 촌락 내외의 공공사무를 처리하고 무당 역할도 한다. 비장강[碧江] 누족의 사회에는 씨족이 있고 씨족의 명칭으로는 호(虎),봉(蜂),녹(鹿),웅(熊),원(猿),메밀,죽(竹),마(麻) 등의 동식물 이름이 쓰이고 있다. 이 동식물들은 각 씨족의 토템으로 숭배된다. 이 씨족 구성원의 계보에는 부자연명제(父子連名制)가 있는데, 특히 두곽씨(봉족)의 계보가 가장 오래 되었다고 한다.

누족은 애니미즘을 신앙하여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지만, 종교는 원시종교,그리스도교,라마교가 혼합되어 있다. 장례는 전에는 화장(火葬)을 했으나 지금은 관(棺)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땅에 묻는 토장(土葬)으로 바뀌었다.

인 구

- 1995년 통계에 의하면 누(怒)족의 인구는 약 27,000명이다.
- 1997년 통계는 28,700명으로 되어있다.

- 이들은 누쑤(怒蘇)', '아누(阿怒)', '아롱(阿龍)', '라오로우(擾柔)'등 4개의 지계(支系)로 분류된다.


분 포

누(怒)족의 분포지는 윈난성 누(怒)강 리쑤(LiSu)족 자치주의 삐쟝(碧江), 푸꽁(福貢), 꽁샨(貢山)란핑(蘭坪) 3개 현이다.

주요 거주지는 해발 1500-2000미터의 누(怒)강 양변이다. 역사의 기록은 누족의 명칭을 따서 누(怒)강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이 강은 누족언어로 '누미꽈(怒米掛)'로 불리우며, 그 뜻은 '검은 물' 이다.

이 강은 시장(西疆) 탕구라(唐古拉)산을 발원지로 하여, 해발 5천미터가 넘는 까오리꽁샨(高黎貢山)과 4천미터 이상되는 삐루어(碧羅)설산(雪山)사이로 거세게 흘러내린다. 누강은 깊고, 계곡과 봉우리와 차이는 4천미터에 달해, 심산 유곡의 대협곡을 이루고 있다. 누강에는 배를 띄울 수 없다. 물살이 거세고 빠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꽁산북부에는 매우 맑고 잔잔하게 물이 흐르는 부분이 있기도 하다. 이곳에서 자칭 '아롱(阿龍)'이라고 하는 누족이 늘 나무배를 띄우고 강을 건넌다.

누강이 굽이 흐르는 곳에는 약간의 충적지가 생긴다. 심산유곡의 강 양변은 건조하고 더우며, 산 허리는 온난하다. 허나, 산맥의 한량한 기후는 누족으로 하여금 깊은 산 숲속에서 생활하게 하였다. 그곳은 각종 약재와 동물들이 있어서, 누족의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 당연히 누족에게는 이러한 동식물과 연관된 신화와 무용, 음악 등이 있다.


명 칭

누(怒)족은 스스로를 '누쑤(怒蘇)', '아누(阿怒)', '누(怒)', '아롱(阿龍)', '쿠쿠(苦苦)' 라고 부른다. 누(怒)강의 리쑤(LiSu)족은 누족을 '누빠(怒Ba)', '누랑(怒讓)' '누스(怒拾)'라고 부른다.

역사기록은 '루만(路蠻)', '루루(廬鹿)', '누이(怒夷)', '누런(怒人)'로 되어있다.

중국건국 이후, 누족의 관습과 본 민족의 바램대로 명칭을 누(怒)족으로 정했다.

1950년대 이후에 수차례에 걸친 조사와 연구에 의하면, 꽁샨(貢山), 푸꽁(福貢)에 있는 자칭 '아누(兒怒)', '아롱(阿龍)'의 누족들은 두롱(獨龍)족과 가까운 혈연 친족 관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삐쟝(碧江)현의 자칭 '누쑤(怒蘇)'와 란핑(蘭坪)현의 자칭 '쿠쿠(苦苦)'는 언어, 습관, 관습 면에 있어서 매우 밀접한 관계이다.


언 어

누(怒)족 언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 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한다.

하지만 '삐쟝(碧江)'현과 '푸꽁(福貢)현'의 누족어와 '꽁샨(貢山)'의 누족어는 거다란 차이가 있다. 문법의 부분에 있어서 '꽁샨' 누족어와 '푸꽁' 누족어는 모두 특수한 동사 변화가 있다, 하지만 '삐장' 누족어는 이러한 동사 변화가 없다. '꽁산' 누족어와 앞서 언급한 두지방의 누족어는 단지 10%의 단어가 상관관계에 있을 뿐이고, 언어에 어떠한 규칙도 연관되어 있지 않다.


문 자

누(怒)족에게 문자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옛날에 누족에게는 자신만의 문자가 있었다. 단 그 문자는 양가죽에 씌여있었다. 후일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개들이 양가죽을 먹어버리는 일이 발생했다. 그때부터 누족에게는 자신만의 문자가 없었다.

그러나 이것은 전설이고, 실제로는 누족에게는 자신만의 문자가 없다. 사람들이 중오한 일을 기록하거나 소송을 진행할 때는, 목각이나 매듭을 이용하는 원시적인 방법을 썼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돌이나 대나무를 사용하는 것이다. 대,중,소 세가지를 사용해서 숫자를 만들어낸다. 가령 10개면 작은돌 열개, 11개면 중간돌 하나와 작은돌 열개 등으로 말이다.


민족 역사

누(怒)족 사회에 전해내려오는 신화와 전설을 통해, 누족의 초기 사회를 엿볼 수 있다. 여타의 민족과 마찬가지로 '홍수시대', '근친결혼' 그리고 모계사회를 거쳐왔다. 그 가운데 근친결혼으로 번성을 꾀하는 방법은 중국 '칭장(靑藏)'일대의 씨족과 관련이 깊다.

관련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누(怒)강이라는 이름은 '[만슈(蠻書)]'라는 책에서 처음 발견된다. 이러한 이유로, 누족은 당나라때 이미 누강 유역에서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누(怒)족은 누강 양안과 '란창(瀾滄)'강 유역에서 살던 고대 주민이다.

이들의 본래 거주지는 리쟝(麗江)과 지엔촨(劍川) 일대였다. 후에 여러 이유로 쫓겨서, '란핑(蘭坪)'현에 있는 '란창'강 양안에서 살았고, 후에 누강 지역으로 들어왔다.

지금도 '리쟝'현에 있는 '지우허샹(九河鄕)', '지엔촨' 북부와 '란핑'일대에는 누족의 선민이 남긴 흔적들이 여기저기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리쟝 지우허샹'의 '롱이(龍邑)', '따꺼라(大格拉)', '샤오꺼라(小格拉)', '지엔촨'현의 '탕량(堂郞)'촌, '란핑'현의 '미루어이(彌洛衣)', '언쟈오(恩照)'등이다. 이런 것들은 누족의 선민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촌락의 이름이다.

또한 '꽁샨(貢山)' 북부의 누족은 천년전부터 그곳에서 살아왔기에 인근에 있는 두롱(獨龍)족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1960년대 이후에 누강 지역에 대한 집중 연구결과 신석기 시대의 유물을 발견하였다. 이는 누족이 누강 양안에 제일 먼저 들어와 거주한 민족임을 말해준다.

16-17세기 때에 많은 리쑤(LiSu)족이 전쟁을 피해서 누강으로 이주하였다. 그 이후로 한족, 바이(白)족, 나시(納西)족등의 상인들과 수공업자들이 쉬지않고 누강지역으로 들어왔다.

누강에서 누족처럼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민족이 없다. 이들은 누족 언어 외어, 바이(白)족, 리쑤(LiSu)족, 장(藏)족 언어를 할 줄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러한 민족들과 같이 살며, 통혼하고, 생활의 여러부분을 함께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이 성격이 명랑 쾌활하고 문화가 다채롭다.

'푸꽁'누족과 리쑤족이 연관을 맺은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으나, 이들은 서로 통혼하며, 종교에 있어서도 리쑤족의 무당인 '니빠(尼Ba)'를 신봉한다. 이외에도 서로 짐승을 빌려주고, 품앗이를 하며, 건물을 짓는데 도와주는 등, 상부상조의 관계를 맺고 있다.

'꽁산'의 누족은 장족과 함께 살기 때문에, 의식주의 여러면에서 장족 문화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있다.

'꽁산'의 누족이건 '푸꽁'의 누족이건 '여시조(女始祖)'를 신봉한다. 전자는 지혜의 여신인 '지아얼(卽阿Er)'여신을 믿고, 후자는 '마오잉츙(茂英充)'여신을 공양한다.


주 거

까오리꽁샨(高黎貢山)과 삐루(碧羅)설산의 험준한 줄기, 심심유곡의 누강 양안에 있는 약간의 충적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양안은 절벽의 대협곡으로 되어있다. 이곳에서의 건축방식은 '치엔쟈오루어띠(千脚落地)'라고 불리우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집을 지을때 비탈의 경사면에 먼저 몇십개의 기둥을 박는다. 기둥의 사이에는 횡목을 걸치고 그 위에 널판으로 덮는다. 네 벽을 만든 다음 지붕은 풀이나 판자로 덮는다. 문 앞에는 작은 복도와 아래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다. 방은 2-3개를 꾸미는데 바깥쪽은 손님을 위한 방이다. 매 방에는 훠탕(火塘)이 있고, 훠탕 위에는 삼각 받침대나 돌 세개를 놓는다. 이러한 구조는 나무를 구하거나, 이사를 할 때 용이하고, 배수에 대해 신경쓰지 않아서 누쟝(怒江)의 기후에 적합하다.

꽁산의 가옥구조는 동일하지 않다. 그 지역흔 풍화암으로 인한 돌조각들이 많아서 벽을 흙으로 만든다. 상부는 나무로 하부는 흙으로 만드는데, 모든 방에는 흙벽이 있다. 방바닥은 석판이나 목판을 깐다. 마루는 두꺼운 나무로 만들어서 위에는 사람이 살고, 아래는 일반적으로 가축을 키운다.

사람이 사는 층에는 두칸 이상의 방이 있는데, 매 방마다 훠탕이 있다. 하나는 객실로, 하나는 주인의 침실로 사용되는데, 주인의 방 안쪽에는 양식과 의복을 보관하고, 외부인이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누족의 초기 거주형태는 동굴 안에다 초가집을 짓는 것이었다. 생산력의 발전과 주변 타민족의 문화적 영향으로 이들의 주거 형태도 원래의 '치엔쟈오루어띠'형태 외에 몇가지를 갖게 되었다.

그 가운데 속칭 '슈팡(竪房)'이라고 하는 가옥구조가 있다. 6개의 기둥으로 방한칸을, 9개로 두칸을, 12개로 3칸을 만들거나, 8개의 기둥으로 방한칸을 12개의 기둥으로 두칸을 만드는 형이 있다.

모두 3층으로 되었는데, 제일 윗층은 곡식을 보관하고 아랫층은 농사 도구를 놓아두며, 중간층에는 사람이산다. 방 내부에는 훠탕이 있고, 아래로 내려가는 복도와 계단이 있다. 이러한 '지엔팡'구조는 평지, 비탈길 어디서든지 짓기에 용이하고, 통풍이 잘되며 빛도 잘 들어온다.

또다른 하나는 '스토우팡(石頭房)'인데, 강변 일대에 사는 사람들의 가옥형태다. 일반적으로 2-3개의 방을 만들고, 각 방에는 문이 있으며 실내에는 사람이 산다. 대들보 위에는 양식을 놓는다. 다른 곳에 가축을 위한 구조가 있다. 이러한 가옥구조는 1980년 이후 점점늘고 있다.

누족의 촌락 70%는 '누쟝' 양안 해발 1500-200미터 정도의 산허리에 분포되어있다. 소수의 산촌이 강변을 따라서, 혹은 산 깊숙히 있다. 누족의 촌락은 '카'로 불리운다. 이 '카'는 2개 이상의 씨족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다. 한 촌락에 보통 20-30호가 있으며, 많은 곳에는 50호, 작은 곳에는 10 정도가 있다. 이러한 촌락은 대부분 혈연 친족관계로 만들어진 것이다.

또 다른 촌락형태는 누족과 리쑤족, 장족등의 잡거형태로 푸꽁(福貢)의 쯔루어(子羅), 과커(果課), 구취엔(固泉), 무구쟈(木古甲)등에 있다.


경 제

1949년 이전의 누족은 나시(納西)족과 장(藏)족은 봉건영주경제와 바이(白)족과 한(漢)족의 지주경제등의 영향을 받아서, 원시공유제, 봉건영주제, 지주경제등 여러가지 경제제도 형태를 보여왔다. 특히 토지제도는 각 농민의 사유, 원시공유가 혼재하였다.

촌락의 공유, 씨족공유, 가정 공유제도가 성행할 때, 토지의 매매, 세금, 저당, 압류등 지주경제의 현저한 특징이 나타났다. 조성된 토지의 매매원인은 사망, 결혼, 도박, 소송, 식량부족, 빚등이었고, 그중 초상이나 결혼시에 토지매매가 많이 이루어졌다. 한편 누족 사회에는 고용제도가 뚜렷하게 실시되었다.

누족 사회에는 이런 속담이 있다. "결혼은 한대에 걸친 것이고, 토지는 백년에 걸친 것이다" 이는 누족사회발전중 토지가 차지하는 위치를 적절하게 나타낸 말이다.

중국정부가 들어선 이후로 토지개혁이 이루어졌다. 1953년 제1차 협동조합이 결성된 이래 총촌의 초기 농업생산협동이 이루어졌다. 1980년대 이후 지구내의 토지분산, 흩어진 거주지의 특징적 형태로 인해 생산책임제를 도입하였고, 사회생산력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생산방식

누족의 거주지 및 누쟝(怒江) 양안의 협곡은 해발 4천여미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로써, 한대 온대 열대등 다양한 기후를 보이는데, 강변 계곡은 덥고 겨울이 짧다.

산중턱의 기후는 온화하고 겨울에 그다지 춥지 않으며 여름에는 건조하고 덥다. 산 위는 춥고 일년에 6개월 이상 눈으로 덮힌다.

이러한 입체적 기후는 풍부한 동식물 및 약재를 제공한다. 험준한 산세 가운데서 10무정도의 밭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많은 곳에 돌이 있으며, 풍화작용이 심해서 곳곳에 돌조각이 있다.


의복

누족의 남자들은 마로 된 중국식 두루마기, 짧은 바지를 입으며 어떤 사람은 머리카락을 기르거나 묶고 다니는 사람도 있다. 성년이 된 남자는 항상 왼쪽 허리에 도끼를 차고, 오른쪽 어깨엔 석궁과 전통을 차고 다녀 용맹스럽고 민첩함을 나타낸다.

부녀들은 긴 치마를 하의로 입고 무늬있는 테두리를 좋아한다. 각지의 누족 부녀들은 모두 가는 등나무 고리를 머리에 감거나 허리에 감기를 좋아한다.혹은 발의 복사뼈 부근에 칭칭 감아서 장식을 한다. 이들은 남녀 모두 장신구를 좋아하는데 산호(珊瑚), 마노(瑪瑙)로된 머리장식과 가슴 장식을 화려하게 달고 다닌다.


사회관습, 모임, 계층구조

장례식을 중시 여김과 아울러 제사장소 부근의 나무들은 함부로 찍지 못하고 그 근처에서 사냥할 수도 없으며 신을 제사지낸 곳에서 대소변을 볼 수 없고 집안이나 밖에 있는 신주를 다치지 못한다.공산현의 무당 "나무사"는 해마다 있게되는 추수 이후의 마을 집단적 제사를 주최한다.

늙은 남자가 죽으면 참대 나팔을 부는데 그 나팔의 수효는 사망자의 신분과 나이에 따라 증가되었다.미혼자면 하나만 불고 자녀가 있으면 두 개를 불고 우두머리나 무당이면 6∼7개를 분다. 참대 나팔을 부는 것은 마을에 부고를 알리는 동시에 사망자의 혼에게 길을 열어주기 위해서이다. 여자나 아이가 죽으면 나팔을 울리지 않는다. 그것은 이미 죽은 그들의 부형들이 앞에서 길을 열어 놓았기 때문이다. 나팔소리를 들으면 씨족 전체 또는 마을 전체가 사흘 동안 밭에 나가 일하는 것을 중지하며 이유는 귀신을 만나 병들거나 곡식에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사람마다 술 한병을 들고 조상을 가서 사망자와 함께 이별주를 마신다.

무당이 술 가지고 온 사람의 술을 한잔 부어 사망자 앞에 흘려 놓음으로써 이별을 표시한다. 사망하여 이틀이나 사흘 후에 공동묘지에 가져가 묻는다. 발인시에 세로인이 칼을 휘두르며 앞에서 길을 인도한다. 묻은 뒤 무덤앞에 사망자가 생전에 쓰던 물건 들을 놓아둔다. 남자면 활과 화살총을, 여자면 음식 만드는데 쓰는 도구와 베짜는데 쓰던 도구들을 놓아둔다. 이것은 저승에 간 뒤에도 살았을 때처럼 생활하기에 이 물건들을 쓰게 되었다는 것이다.

일부 잘 사는 집들에서는 노인이 사망하면 공동묘지에 가져가지 않고 집 뒤 뜨락에 묻는다. 이것은 먼 옛날에 장례법으로서 사망자의 영혼이 집을 떠나가지 않게하고 집에 남아서 집 식구들을 보호하게 하는 것이다.

절기에는 "약권"과 "여위"등이 있다. 시기는 다른데 원단 전후와 구정 전후의 두가지이다. 어떤 지방에서는 "선녀절"을 지내지 않는다. 누족은 선녀를 신봉하는데 모계 씨족이 여성을 존중하는 풍습의 하나이다. 현재 선녀절을 지낼 때 함께 물자를 교류하는 큰 모임을 열고, 방직, 문예, 연출, 영화상영도 함께 한다. 또한 조정경기와 활쏘기 대회 등의 체육행사도 한다.

누족들은 오랫동안 부모가 자기 뜻대로 자녀의 혼인을 결정하였고 결혼하려면 소 몇마리를 여자집에 예물로 바쳐야 했다. 그래서 많은 남성들이 결혼을 포기하기도 했으나 기독교에 가입한 뒤부터는 달라졌고 현재는 청년 남녀가 결혼전에 비교적 교제하는데 비교적 자유가 있고 서로 팔지, 목걸이등을 정표로 교환하고 다시 남자쪽 집에서 매파를 통해 혼담을 꺼낸다.

누족의 작명법은 독특하다. 남자의 경우 일생동안 3가지 이름을 가지게 되는데 아들이 태어나면 아버지 또는 백부나 할아버 지가 아명을 지어주는데 이것이 최초의 이름이다. 아명은 부르기 좋은 글자를 골라 지어준다. 두 번째는 14∼15세가 되어 자유로이 공방(公房:젊은이들이 모여 노는곳)을 드나들면서 이성을 접촉하여도 좋을 시기가 되면 새 이름을 지어준다. 단 이 성인명은 어른들 앞에서 절대 말하면 안된다. 세 번째는 결혼기에 접어들어 짓는 이름으로 이 이름이 평생동안 지녀야할 공식 이름이다. 이 이름은 첫 번째의 아명에다 아버지 이름의 끝 글자를 전치시(前置)시키는 부자 연명제 형태이다. 이들에게는 일정한 성(姓)이 없고 부자연명제를 수백년이 지난 지금까지 지키는 이유는 부계 혈통을 보존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여자는 아명과 성인명의 두가지이고 성인명은 남자보다 한 살 빠르게 아버지가 지어주는데 이유는 여자가 사춘기가 남자보다 빠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여자의 이름은 꽃이름에서 따서 붙이기 일쑤다.

누족은 남자가 죽으면 손발을 펴서 위쪽으로 향하도록 눕히고 여자는 손발을 구부려 옆쪽으로 휜 자세로 매장하는데, 주로 합장이다. 이것은 생전에 부권(父權)이 상위에 있고 아내는 남편에 종속되어 있다는 남존여비 사상에서 비롯된 봉건적인 인습의 잔재이다.

축제, 오락, 예술양식

누족은 각종 동물의 생활 습관에 대해 매우 익숙하게 알고 있어서 동물의 행동을 본뜬 많은 춤을 만들었다. 그리고 수렵, 채집 생산활동과 생활습관을 표현하는 춤이 있는데 수렵무, 대잎 모으는 춤, 수확춤, 혼례춤, 세탁춤, 비파춤 등을 예로 들 수가 있다 . 누족인들은 기쁜 일이나 슬픈 일이 있을 때도 춤을 통해서 진솔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다. 춤의 동작은 활달하고 민첩하며 춤추는 자태는 웅건하고 호방하며 리듬이 경쾌하며 활력이 있다. 그리고 형상은 생동감이 있고 마치 진짜와 같으며, 향토적 냄새가 매우 풍부해서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악기로는 "다비야"(비파), 구현, 피리, 호호생이 있고 그 중에 다비야가 가장 널리 쓰이며, 많은 남자들이 거의 연주 할줄 안다. "다비야"는 비파같이 생겼고 타원형과 삼각형의 두 종류가 있으며 먼곳으로의 여행, 사냥, 생산활동, 혼사 , 절기 때는 물론이고 소녀에게 구애할 때 모두 "다비야"는 청년의 친숙한 동반자이다. 누족소녀가 직접만든 구현을 연주할 때, 입 모양과 손가락 튕기는 것을 통해 종종 말로하는 것보다 더 자신의 깊은 내면의 깊이를 표현하곤 한다.

문화의 특성

ㆍ씨족 사회이다.
ㆍ작명법은 남자의 경우 일생동안 3가지의 이름을 가진다.
ㆍ부자 연명제이며 남자의 이름에 아버지의 이름의 끝을 전치(前置)시킨다.
ㆍ장례를 중시 여기나 조상을 대상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ㆍ토템이즘으로 종교심이 깊다.
ㆍ누족은 씨족사회의 집합으로 씨족마다 각각 다르다.
ㆍ일부 일처제 이지만 부자는 여러명의 처를 거느릴수 있다.
ㆍ촌락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10가구∼50가구까지 다양하다.
ㆍ모든 촌락의 가족구성원은 혈연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ㆍ남자는 결혼후 부모가 살고있는 지역 근처에 별도의 신방을 짓고 약간의 재산을 물려받는다.
ㆍ부모는 막내와 함께 살수 있고 재산은 그에게 승계된다.


종교분야

누족의 신앙은 원시종교, 천주교, 기독교, 라마교 등 4가지 형태이고 누족의 고유 종교는 애니미즘이다. 자연 만물에 신이 있다고 믿으며 일부 누족들은 장족(藏族)의 영향을 받아 라마교를 신봉하고 있다.

그런데 누족들이 사는 지역이 서로 다름에 따라 그 자연, 사회적 환경도 차이를 보이기에 그 신앙 대상들도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ㆍ벽강지역의 누족

그들이 신봉하는 귀신은 13가지 이며 씨족신, 자연신, 재앙신, 민족신의 네가지로 나눌수 있다. "먼둬(門多) "나 "줘미치"는 민족 전체와 마을들에서 공동으로 제사지내는 신이다. "먼둬"는 하늘귀신인 동시에 부락신이기도 하다. 그는 누족의 "더우훠"씨족들을 보호해 준다고 한다. 그러기에 더우훠 씨족에 속하는 마을들은 해마다 정기적으로 먼저 귀신에게 제사지내어 마을의 평안을 빈다.

"줘미치"는 복을 내리고 재앙을 제거하는 신으로서 "더우훠"씨족과 "다훠"씨족이 공동으로 모시는 귀신이다. 해마다 두 씨족의 모든 성원들이 함께 모여 제사 지내는데 두 씨족의 우두머리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제사에는 한 집에서 살찐 돼지머리를 내고 그 나머지 집들에서는 강냉이 한 되씩 거두어서 돼지 머리를 낸 집에 가져다 준다. 이것으로 돼지머리는 공동이 부담한 것이 되며 두 씨족의 남성들은 모두 제사에 참여하여 술마시고 고기를 먹지만 여자들은 참가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누족에게는 농업과 수렵을 관장하는 귀신이 있는데 산귀신인 "미구위"와 물귀신 "두요위"등이 있다. 누족들은 생상과 각종 질병의 모든 불상사를 귀신의 조화로 여기며 질병을 일으키는 귀신으로는 "요위", "이위 ", "팬쿵?quot;, "메이아이" 등이 있다. 사람이 병걸리는 것은 이런 귀신이 사람의 혼을 잡아갔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이때 무당을 청해 하는 굿이나 점으로 귀신의 장난인가 알아낸 뒤 짐승을 잡아 그 귀신에게 제사지내면 병자가 나을 수 있다고 믿는다.

누족은 역사적 억압과 수탈 속에서 누족에게는 민족귀신이 생기는데 "머위"는 리수족 귀신, 바이족 귀신이다. 그래서 민족싸움이 벌어질때마다 진정시키게 해달라고 머위 귀신에게도 제사를 지낸다.

ㆍ복공, 공산 북쪽과 벽강에 사는 누족

그들이 신봉하는 귀신은 다른데 복공지역의 귀신은 산귀신 "콴쯔", 천지귀신 "둥니", 전쟁귀신 "마이니", 온역귀신 "니주", 충돌귀신 "추라" 등 십여종의 귀신을 신앙한다. 또한 리수족의 영향 밑에 리수족 귀신, "니우"를 신봉한다. 이 귀신이 리수족에게 속한 귀신인데 누족도 신봉하는 것이다.

ㆍ공산지역의 누족

그들이 숭배하는 귀신들로는 물귀신 "앙부라", 산귀신 "무리부라", 길귀신 "무후부 라", 나무귀신 "츙나디부" 등 십여종이 있다. 이들은 모두 악귀로 해마다 마을 전체적으로 두 번 제사지낸다. 첫 번째는 질병을 물리치기 위해 하는데 닭과 돼지를 희생으로 한다.

두 번째는 풍작을 거두기 위하여 산신에게 제사 지내는데 달걀을 제물로 한다. 제사는 무당이 주최하고 마을사람 모두가 참가한다. 그리고 각 씨족을 관리한다는 귀신 "챵부라"도 있다. 해마다 대개 씨족들이 제각기 서로 다른 시간에 제 씨족들 만 모여 제사지낸다.

중화 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에 누족 가정은 일부 일처제를 실시하였는데 가정이 누족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였다.그러나 원시시대의 씨족제와 부락 공동체가 여전히 정도부동하게 남아 있었다. 따라서 씨족과 부락공동체의 상징으로 토템숭배의 잔재도 보존하고 있다.

ㆍ벽강 지역에 사는 누족

그들은 씨족들마다 토템이 있어 그것을 다른 씨족들과 구별되는 표징으로 삼는다. 벽강의 구촌에는 "베아치"와 "라윈치"라 부르는 씨족들이 있는데 이 두 씨족?토템은 벌과 범이다. 벽강현 보동(普東), 로 모등(老母登) 등지에 사는 누족들 가운데는 "미헤이화"라 부르는 말사슴을 토템으로 하는 씨족, "미버화"라 부르는 고라니를 토템으로 하는 씨족, "야죠화"라는 뱀을 토템으로 하는 씨족 등이 있다.

씨족들의 토템 유래에 대해서는 씨족마다 서로 다른 전설이 있다. 범씨족과 벌씨족은 자기들의 최초의 여시조가 "머잉충 "이었다 한다. "머잉충"이란 하늘에서 내려온 사람이란 뜻이다. 범씨족의 전설에 의하면 머잉충이 하늘에서 내려와 검은범과 혼인하여 자식을 두게 되었는데 그 후손들을 "라윈치" 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누족 말에서 "라"는 범이란 말이며 "윈치"는 씨족이란 말로 "라윈치 "는 "범씨족"이란 말이다.

뱀씨족도 토템 전설이 매우 많은데 그 내용은 비슷하다. 전설에 의하면 먼 옛날 한 처녀가 산에 가서 나무를 하다가 큰 뱀을 만나 혼인하여 생겨난 후손들이 뱀씨족이 되었다는 것이다. 과거 누족들은 벌치기에 능하였는데 특히 벌씨족들은 벌을 잘 키우고 밀랍도 잘 만든다. 그리하여 벌은 그들의 샐활자료의 주요한 원천으로 되었다. 그래서 벌이 토템으로 된 것이고 옛날 누족이 살던 곳에서는 범과 뱀이 자주 나타나서 사람들을 위협했고 이러한 동물들에대한 두려움으로부터 그것들을 신으로 받들게 되어 범, 뱀을 토템으로 한 것이다.

누족들 가운데서 종교 행사를 주최하는 사람은 무당이며 무당은 귀신쫏는 일 외에 의원을 겸하여 병치료도 한다. 무당은 누족사회의 지식층으로 자기 민족의 역사에 대하여 익숙히 알고 자기 가족과 씨족의 역대 조상들의 계보도 잘 알고 있기에 민족의 역사와 지식을 사회에 전수하는 사람들이다. 지위가 높은 무당은 씨족이나 마을의 우두머리를 겸하며 이들은 농업생산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종교 활동에서 받게되는 보수도 매우 적다.

복공지역의 무당은 어느정도 소임을 분공에 따라 맡고 있다. "니마"는 육안으로 병자를 해치는 귀신을 볼수 있고 저승세계도 볼수 있기에 병자를 치료할뿐만 아니라 병자를 대신하여 저승에 가서 떠나간 혼을 데리고 올수도 있다 한다.그는 사람의 혼을 거두어 들여 죽게 할수도 있고 이리하여 니마는 규모가 큰 종교행사를 주최하면서 병치료에서도 많은 보수를 받게 되었다. "다스"각종 주문을 익숙히 알고 있고 점치는 것과 집귀신 제사, 산신제사등을 맡아본다. 그러나 니마와 다스는 서로 예속되는 관계가 아니며 노동에도 다같이 참가한다.

ㆍ장족들과 이웃하고 있는 공산 북쪽지역의 누족

그들은 라마교 "홍교"파에서 세운 "보화사(普化寺)"의 영향으로 하여 적지않은 누족들이 라마교를 신봉하게 되었고 라마교 절간의 지배 밑에 있던 농노들과 소작농들이 경제적으로 가혹한 수탈을 당하는 한편 인신 자유도 절간 우두머리에게 그속당한다. 일부 누족들은 절에서 라마 노릇을 하면서 극도로 빈궁한 생활을 겪는다. 기타 라마교를 믿는 민중들도 해마다 절간에 향불 올리는 돈을 바쳐야 하기 때문에 어렵게 살아간다.


기독교 상황

청나라 말엽 중화민국 초기에 제국주의가 중국을 침략하면서 천주교와 기독교가 선후로 누강 지역에 들어온다.

1885년 프랑스 국적의 천주교 선교사 사탁임안수(司鐸任安收)가 신부 여러사람을 데리고 덕흠(德欽), 중전(中甸), 유서 등지를 거쳐 공산 북쪽에 있는 데이하뤄, 차라, 빙중뤄 등 부락들에 찾아온다. 이곳의 장족 누족 리수족 등은 모두 라마교를 신봉한다 . 천주교 선교사들은 저들의 세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장족, 누족 들이 라마교를 믿는 것을 금지시키고 토지를 강점하여 교회당을 세우며 작은 은혜를 베푸는 수단으로 사람들을 유혹하여 교회에 들게 한다. 그러면서 민족 모순도 도발시킨다. 이런 행위는 장 족, 누족들의 분노를 자아낸다. 아울러 라마교에 대한 배척도 라마교 절간의 불만을 자아낸다.

1906년 한 프랑스 신부가 장족 라마를 구타한 사건이 장족, 누족, 리수족들의 격분을 터뜨린다. 사람들은 무기를 들고 천주교 교회당을 불사르고 프랑스 신직자 5명을 죽인다. 사탁임안수만이 외양간에 숨어서 겨우 목숨을 구한다. 이것이 유명한 공산 지역의 반천주교 사건이다. 이 소식에 접하자 청나라 정부에서는 운남 귀주 총독에게 명령을 내려 프랑스 신부를 보호한다는 명의로 민중들을 탄압하게 한다. 그 뒤 청나라 정부에서는 프랑스 천주교에 교회당을 다시 세우는 경비로 은 15만량을 바친다. 그리고 임안수를 3품 관리로 봉하고 이때부터 임안수는 제 마음대로 행세하면서 땅을 넓게 차지하고 사람들을 동원하여 바이하뤄, 차라, 빙중뤄 등지에 교회당을 세 개나 세운다. 그 중에서 바이하뤄 교회당이 제일 컷는데 예배당을 600명을 수용할수 있게 지었다. 이 교회당은 천주교 서강(西康), 강정(康定)교회 기구의 지도를 받는다. 1948년까지 500여명에 달하는 여러 민족 민중들이 천주교를 신봉하게 되는데 그중에 누족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1913년 천주교의 대를 이어 기독교도 노강 지역에 들어온다. 1921년 미국 목사 양사혜(楊思惠)가 로수로부터 벽강에 와서 포교 활동을 벌인다. 1932년 기독교는 복공까지 퍼지며 1932년 카나다 사람 마도명(馬道明)이 복공에 와서 교회 조직을 세운다. 중화 인민공화국 성립 이전까지 벽강, 복공에는 5,000명에 달하는 누족 신도들이 있었는데 이는 이 지역 누족 총 인구의 61%를 차지한다. 그중 벽강 구촌(九村)의 169가구 668명 가운데서 기독교를 믿는 사람이 126가구 444명에 달하여 신도가 마을 총 인구의 66.4 %를 차지한다. 복공 무구쟈(木古甲)촌에는 누족이 30가구, 135명 이었는데 그중 기독교 신자가 22가구, 87명에 달하여 마을 총 인구의 64%를 차지한다.

천주교와 기독교의 수입은 누족 사회에 일정한 변화를 가져온다.일부 기독교를 신봉하는 씨족들은 그 우두머리가 교회의 선교사로 되거나 집사로 되었다. 이리하여 세로운 정교 합일체제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원시종교의 영향밑에 사람들이 병나거나 불상사가 생기면 대량적으로 짐승을 잡아 귀신에게 제사지내며 막대한 낭비를 초래하던데로부터 기독교를 믿게되면서 외국 목사에 의하여 위생 지식을 알게 되고 병들면 약먹고 주사를 맞아 발병률과 사망률이 감소되었다. 그리고 누족 남자가 장가들려면 여자 짐에 소 몇마리를 바쳐야 했기 때문에 결혼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청년들이 기독교에 가입한 뒤 교회에서 혼인 자유를 주장하고 예물도 소 한 마리로 규정하였기에 청년 남녀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다.교회의 이런 처사는 객관적으로 누족들의 낙후한 습관 들을 개변시켰고 유혹도 컷기에 적지않은 누족들이 천주교와 기독교를 믿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외국 선교사들은 종교의 허울을 쓰고 종교를 일종 침략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누족들을 억압한다. 그들은 사사로이 법정을 설치하고 여러 가지 사건에 간섭하며 민족 모순도 도발하고 민족 문화도 파괴한다. 그들은 비밀리에 무전기와 무기를 감추어 두고 간첩 활동에도 종사하고 누족들을 조국을 배반하도록 선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의 이런 행위들은 저들의 간악한 본질을 드러내여 누족들의 반대를 받는다. 누족들은 다른 민족들과 단합하여 외국 침략세력과 맞서서 조국의 통일을 수호하였다.

 

 

징퍼족(jingpo zu)
Jingpo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징퍼족은 인구가 119209인에 달하는데 주로 운남덕굉따이족징퍼족자치주의로서, 룡천, 영강, 서려, 량하 5개 현에 분포돼 있고 소부분이 기타 주, 현에 분산돼 거주해 있다.

징퍼족은 대다수 해발 1500내지 2000m의 산지에 거주해 있다. 이런 지역은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충족하며 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하다. 그들은 옥수수, 벼를 재배하는 외에 귀중한 홍목, 녹나무와 여러 가지 참대, 고무, 기름, 커피 등 공예작물 및 열대, 아열대과일도 생산한다.

징퍼족은 주로 5갈래로 나뉘어 있으며 언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한다. 지난날 징퍼족은 자체의 문자가 없었는데 20세기 말엽에 라틴자모를 기초로 한 병음문자를 만들어냈다.

언어와 문자 : 징포어(漢藏語系 藏綿語族),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는데, 19세기 말에 영국의 선교사가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그 후 여러차례의 개혁으로 더 사용하기 편한 문자로 바꾸었고 이로 인해 문맹을 퇴치하기 시작했다.

징퍼족 민족 축제
무노우쭝거 : 더홍의 징포족은 음력 1월에 본 축제를 연다. 전통적인 이 축제는 역사적 기원을 가지고 있는데, 땅에 세워진 네 개의 나무 기둥 주위에서 이루어진다. 기둥의 도안은 태양과 달 그리고 징포족의 기원 발생지 경로가 그려져 있다. 총 발포는 축제 자체를 의미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원형으로 돌며 춤을 추는데 이는 조상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지도자는 긴 칼을 들고 원형의 춤의 경로를 나타낸다. 모든 여자들은 똑같이 검은 옷과 빨간 치마를 입고 있다. 어깨 위에는 둥근 은장식이 태양 아래 빛난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의 대열이 길어지고, 더 많은 사람이 이 축제에 모이게 되는데 마치 용이 지나가는 것처럼 장대하다.

 

 

뚱족(dong zu)
Dong ethnic minority group

뚱족은 현유인구가 2,514,014인에 달하며 주로 귀주, 호남, 광서 3개 성이 서로 접한 옥병(玉屛), 신황(新晃), 통도(通道), 지강(芷江) 및 삼강(三江) 등 현에 분포됐다.

언어와 문자 : 뚱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남북 두 개의 방언이 있고, 문자는 없어서 한문을 쓰고 있는데, 1958년에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창제하였다. 뚱족은 원래 민족문자가 없던 때로부터 20세기 50년대에 ‘뚱문’을 만들어냈다. 현재 대부분 뚱족인이 한문을 통용하고 있다.

종 교 : 다신교, 조상숭배

기 타 : 송나라 때 중국으로 이주해와 처음에는 양자강 유역의 계곡에서 살다가 한족의 세력확장으로 남쪽으로 밀려나서 살게 되었다. 이들은 넓은 의미에서 다이족의 일부분이다. 주택도 다이주와 같다. 뚱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데 벼 재배를 위주로 하며 특산이 찰벼이다. 소수인이 임업에 종사하며 양어장 경영자도 꽤 많다.

뚱족 거주지는 줄곧 "시와 노래의 해양'으로 불리우고 있다. 뚱족의 시가는 운률이 아름답고 제재가 다양해 문학과 음악분야에서 매우 진귀한 가치가 있다.

민족원류

; 동족의 총인구는 1990년 현재 2,514,014명으로 귀주성에 140여만 명, 호남성에 75만 명, 광서자치구에 30만 명, 그리고 호북성에 5만여 명이 분포해 있으며 청 광서 원년(淸光緖元年; 1875년) 귀주성 천주(天柱)에서 베트남 선광성(宣光省)으로 피난해 가 7대째 뿌리를 내리고 사는 동족도 있다. 그중 귀주성 치엔동남묘족동족자치주(黔東南苗族 族自治州)에는 106.4만 명이 살고 있어 가장 집중되어 있다. 귀주성의 치엔동남(黔東南)과 호남성은 이미 춘추전국시대(B.C.770ㅡB.C.221)부터 동족의 조상이 자리잡고 살아온 곳이다. 귀주성 동남부 묘령산맥의 주봉인 뢰공산(雷公山; 해발 2,179 m)을 중심으로 광활하게 골 깊은 산과 청수강(淸水江)과 도류강(都柳江)가에 분포해 있어 일부는 수상민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역사상 동료( 僚), 동만( 蠻), 동정( 丁), 동인( 人), 동민( 民), 동묘( 苗), 만료(蠻僚), 동가( 家), 동가묘( 家苗), 동인( 人), 계지민(溪之民)등 다양하게 불렸고 자칭 또한 “ Kaml ”, “ gan(干) ” 또는“ geng(更) ”등 여러 가지인데 백월족(百越族)의 낙월(駱越)계통으로 송나라시대에 이미 하나의 민족을 이루어 천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 백월족(百越族)은 굉장히 광범위하게 나눠지는데 월(越), 낙월(駱越), 오월( 越), 민월( 越), 동월(東越), 양월(揚越), 산월(山越), 남월(南越), 서월(西越), 월상(越裳), 단국( 國), 등월(騰越), 디엔월( 越), 부어국( 國), 야랑(夜郎)등으로 백월(百越)은 양자강이남의 대부분의 소수민족을 이룬다. 진나라이후 강력한 중앙집권적 봉건왕조가 일어나 남쪽지역을 정벌해 일부는 한족과 융화하지만 일부는 3세기 초인 위, 진 시대에 와 더 깊은 산 속으로 들어가 생활하게 된다.

동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어, 고대의 루어위에(駱越)가 발전해 내려온 토착민족이라고도 하고, 송대의 걸링( 伶; 또는 佶伶)에서 나누어졌다고도 한다. 《리핑후지(黎平府志)》에 의하면 명 홍무(洪武)때 쟝시성 지안후 타이허현(吉安府太和縣)의 3만여 명의 군민(軍民)이 광시자치구 우저우(梧州), 류저우(柳州)를 거쳐 귀주로 들어 와 주둔하면서 현지의 동족과 결혼하며 동화되었다고 한다. 또한 동정호(洞庭湖)의 평원지대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동고(銅鼓), 고루(鼓樓), 간란(干蘭)식 건축 양식, 단발문신(斷髮文身), 코로 음료수를 마시며, 남녀가 함께 목욕하는 등의 풍속이 고대의 위에인(越人), 료인(僚人)등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광악(何光岳)의 《바이위에원류사(百越源流史)》에서는 하대(夏代) 이전에 칭하이성 따통(大通)하류 유역에 거주하던 링인(令人; 또는 令支)이 황허 하류로 내려와 대부분은 화샤족(華夏族)을 이루고, 일부가 남진해 후난, 꾸이저우, 광시 등지에서 동족을 형성했다고 하나 아직 정론은 없다.

언어와 어법에 있어서도 쭈앙족(壯族), 부이족(布依族), 따이족( 族), 리족(黎族)등과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는데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살아오는 등 모두 형제의 민족이다.

언어

; 동어는 한 장어계 장동어족 동수어지(漢藏語係壯 語族 水語支)에 속한다. 장동어(壯 語)의 어원은 고대월어(古代越語)로 요어(僚語)를 거쳐 현재의 동어로 이어져 왔다. 동족의 언어 사용현황은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한어는 거의 못 알아듣고 자기 민족언어만 사용하는 부류인 대부분의 노인층과 부녀자그룹, 둘째는 동어를 알아듣기는 하지만 말은 못하는 부류, 셋째는 지식수준이 높은 부류의 현상으로 한어와 동어를 동시에 잘 하는 부류, 넷째는 호남성 서남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본 민족어인 동어를 전혀 못하고 한어만 하는 부류 등이다.

a, 남부방언(南部 方言)

(1) 第一 土語; 귀주성 룽쟝 장루화(榕江 章魯話), 진핑 치밍화(錦屛 啓蒙話; 이 곳을 경계로 남북방언이 나누어 짐), 리핑 홍저우화(黎平 洪州話). 호남성(湖南省) 통따오 룽청(通道  城). 광서(廣西)자치구 룽성 핑덩화(龍勝 平等話), 산쟝 두동화(三江 獨 話? 또는 程陽話)

(2) 第二 土語; 귀주성 리핑 수이커우화(黎平 水口話), 총쟝 관동화(從江 貫洞話), 룽쟝 짜이하오화(榕江 寨蒿話). 광서자치구 산쟝 허리화(三江 和里話).

(3) 第三 土語; 귀주성 쩐위엔 빠오징화(鎭遠 報京話), 광서자치구 룽수이 짜이과이화(融水 寨壞話).

(4) 第四 土語; 광서자치구 룽수이 핀동화(融水 聘洞話).

* 일부 지역은 남북의 거리가 멀어 하나의 토어(土語)가 다른 지역의 토어로 분류해야 할 경우도 있다.

b, 북부방언(北部 方言)

(1) 第一 土語; 귀주성 티엔주 스동화(天柱 石洞話), 산수이 관창화(三穗 款場話), 지엔허 샤오광화(劍河 小廣話)

(2) 第二 土語; 귀주성 티엔주 주시화(天柱 注溪話), 호남성(湖南省) 신황 중짜이화(新晃 中寨話)

(3) 第三 土語; 귀주성 진핑 대동화(錦屛 大同話), 호남성 정쪼우 란니충화(靖州 爛泥衝話)

문자

; 문자가 문화의 교류와 발전에 커다란 역할을 하는 건 당연한 사실일진데, 문자 없이 구전으로 오랜 동안 계승되어 왔기에 애석하게도 단절된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다. 1956년 12월부터 다음해 2월말까지 14개 현 19개 지점 1차 조사를 마치고 1957년 9월 귀양에서 동족언어문자 과학토론회 준비회의를 열어 동족문자방안을 결정한 후 1958년 8월18일부터 23일까지 본격적인 토론회를 거쳐서, 북부방언은 각 지역 간의 어휘사이에 20%이상의 차이가 있으나 남부방언은 각 지역 간 방언사이에 불과 7%의 차이가 있고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인구가 1.6배나 많아 보편성을 최대한 감안한 결과, 동어( 語)남부방언인 귀주성 룽쟝현(榕江縣) 차강화(車江話)를 표준음으로 라틴문자를 사용해 문자를 만들게 되었다. 룽쟝현(榕江縣) 차강화(車江話)와 북부의 각 방언지역간에 통하지 않는 비율이 22.3% 이고 호남성 신황현(新晃縣)의 동족과는 27.9%의 차이를 나타내는 실정이다. 1981년 이후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동어문 교사를 양성해 소위 쌍학(雙學)이라고 해 많은 지역에서 소학교를 필두로 한자와 겸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문화 예술

a, 관(款)문화

; 동족사회 특유의 산물로 자칭 “ 합관(合款) ”이라고 했는데 후에 “ 동관( 款) ”으로 부르게 되었다. “ 연합대관(聯合大款) ”,“ 합관 ”,“ 중관(中款) ”,“ 소관(小款) ”의 4등급으로 나뉘어 있는 동관은 봉건적 정치제도와 사회조직형태를 담은 법률적 성격을 띄운 일종의 관습법과 각종 규약을 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상숭배, 도덕규범, 생산 작업 활동할 때 지켜야 할 제반규칙 등을 명시하고 있는데 오랜 세월동안 발전을 거듭해 내용이 풍부하고 다양해져 정치, 군사, 역사, 문학예술등 각방면에 걸쳐 언급하고 있다. 관(款)은 법률사상을 핵심으로 하는 종합문화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동관은 여러 방면에서 괄목할만한 공헌을 했는데 특히 정신문화의 가치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b, 고루(鼓樓)문화

; 지리환경과 교통여건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귀주, 광서, 호남 등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고 방언지역구분과 그 분포를 같이한다. 고루(鼓樓)는 동족 문화의 상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전통문화의 핵심이다. 산지에 걸 맞는 생활형태로서 마을마다 고루가 있어 고루와 더불어 산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자칭 “ 고루 자녀 ”라고까지 말한다.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이 없어 고루의 역사를 고증하기란 쉽지 않지만 당(唐)나라시대, 혹은 그 훨씬 이전인 원시시대부터 이미 고루가 동족이 모여 사는 곳에 건축되었다는 주장이다. 동족의 원시사회기간이 오랜 동안 지속되어 원시공동체가 소멸된 후에도 혈연, 지연중심의 모습이 남아 근대사회에까지 지속되어 왔다. 중원(中原)의 고루 건축이 최초로 이루어진 시기는 북조(北朝)시대의 북제(北齊; 561ㅡ578)로 남북조시대이후 중원의 많은 사람들이 남쪽으로 피난을 가 선진기술이 전해지고 동족이 이러한 기술을 받아 들여 새로운 기술을 창출해 동족의 고루를 건축해 냈다. 고루의 건축은 많은 인력, 물력, 재력을 필요로 하는데 당시와 같은 어려운 여건아래서는 원시공동체 형식의 단결이 없이는 불가능함이 아직까지 개인이 고루를 건축한 예가 없는 걸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원시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전환하면서 고루를 중심으로 조직이 이루어지고 관리되어 왔고, 마을을 이룰 때에는 먼저 고루를 건축할 정도로 마음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동족사회에서 오랜 동안 실행해온 “ 채로제(寨老制; 마을 원로들로 구성된 의결제도로 鄕老라고도 함) ”의 장소로 이용되어 관습법인 “ 동관( 款) ”을 기본으로 씨족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곳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해마다 거행하는 성대한 제사와 젊은이들의 “ duo ye( 耶) ”, 즉 문예 오락활동 등의 장소로도 이용된다. 마을마다 가수가 있어 전래되는 모든 민요를 기억하여 노래를 통해 전통문화를 보존해 내려오고 있다. 고루의 독특한 건축양식, 즉 고루평(鼓樓坪), 양정(凉亭), 회랑식풍우교(廊式風雨橋), 채문(寨門), 간란식거옥(干 式居屋)등의 건축물은 조형물의 구조나 아름다움에 있어서 극치를 이룬다. 층층이 예전의 고탑(古塔)같이 마을 중심에 둥글게 우산형으로 멀리 바라 볼 수 있게 17층의 20여 미터나 되는 고루를 건축하는데 자재는 모두 나무로 20ㅡ30년 이상된 직경 80cm정도의 큰 삼나무(杉木)를 엄격히 선별해 사용하는데 비, 바람 그리고 벌레에 손상된 것도 있으나 수백년 동안 비교적 잘 보존되어 오고 있다. 삼나무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많은 가지가 한 뿌리에서 곧고 크게 자라 사람도 이와 같이 곧고 바르게 서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민족의 단결을 의미하는 뜻에서 길한 나무로 여기고 숭배하는 마음에서이다. 현존하는 고루 중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는 것은 지우동고루군(九洞鼓樓群; 都柳江支流四寨河上遊), 치엔치고루군(千七鼓樓群; 四寨河 谷洞河岸), 얼치엔구고루군(二千九鼓樓群; 從江縣 丙妹鎭  里, 平豪溪流), 류동고루군(六洞鼓樓群; 從江縣 貫調區), 룽허고루군(融河鼓樓群; 從江縣 都柳江 南岸)등 대소 5개 고루군이 있고 화교(花橋)는 167개소가 있다. 그중 귀주성 총쟝현(從江縣)의 쩡충(增衝)고루를 소개하면 1672년(청강희11년)가을에 건축된 것으로 300여년 되었는데 탑 형태로 맨 위 부분은 두 개의 표주박모양이고 전체높이는 25m에 면적이 160평방m로, 안에는 네 개의 직경 0.8m짜리 기둥과 높이가 15m에, 기둥간격이 3.6m이다. 1978년과 1982년의 두 차례 수리 후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고 그밖에 리핑현(黎平縣)의 지핑화교(地坪花橋), 자오싱고루(肇興鼓樓), 지탕고루(紀堂鼓樓)도 중요문화재이다.

c, 문학

; 풍부하고 다양한 문학장르가 전해져 온다.

(1) 예(耶); 동족문학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데 일종의 종합문학형태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마을마다 매우 중요시하는 집단적인 가무형식, 즉“ duo ye( 耶) ”가 되었다. 그 내용이 노동을 찬양하는 것, 인류의 기원을 노래하는 것, 부모를 칭송하는 것, 애정을 표현하는 것 등 다양해 졌다.

(2) 레이(壘); 오랜 동안 전해 내려오는 길상(吉祥)의 언어가 되어 제사나 축원할 때에 암송하는 주문같은 것인데 시대상을 반영하는 내용이 담겨 있기도 한데 다분히 감성적이다.

(3) 누안(暖); 신화, 전설, 우화, 동화 등을 담고 있는데 산문체형식으로, 낭만주의 색채를 띄고서 동족 역사의 희로애락을 잘 표현하고 있다. 재치 있는 인물을 등장시켜 전설로 전하고 순결과 애정을 그리는 내용의 신화나 조상들이 대자연과 싸우며 살아온 이야기를 담기도 한다.

(4) 쥔(君); 원나라이후에 나타나는데 대화문학형식으로 말과 노래가 곁들여 있다.

(5) 운체문학; 민족 역사시, 민요에 나타난다.

(6) 산체문학; 엄격한 운률과 자구를 요구하는데 신화, 전설 등을 이러한 형식으로 표현했다.

d, 음악과 춤

; 민간악기는 비파(琵琶), 우퇴금(牛腿琴), 동적( 笛), 호생(芦笙), 목엽(木葉)등 다양하다. 호생만 독주나 합주용으로 사용되고 다른 악기는 노래 부를 때 반주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비파는 동족말로 “ bi ba ”라고 하는데 오랜 전통이 있는 현악기로 대, 중, 소의 세 형태로 지역마다 크기, 모양, 그리고 현의 숫자(3줄∼5줄)가 매우 다양하다. 호생 역시 유행하는 악기인데 각 마을마다 호생악대가 있을 정도로 보편적이다. 악기와 더불어 노래와 춤이 남부와 북부가 독특하게 다른 성격을 갖고 발달해 왔다. 북부지역은 곡이 비교적 자유로우며 음이 높고 탁 트였고, 춤동작이 크다. 반면에 남부지역의 곡은 조용하고 정서적으로 온화한 감을 주며 동작이 크지 않다. 북부지역의 민가(民歌)는 완산가(玩山歌), 주가(酒歌), 반가가(伴嫁歌)등 삶, 역사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고, 남부지역의 민가 역시 예속가(禮俗歌), 서사가(敍事歌)등 생활에 관해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산문체 형식의 “ 暖(nuan) ”은 인류기원의 신화를 담은《개벽천지》와《기원(起源)의 노래》등이 있다. 집체 가무의 명칭인 “ 예(耶) ”는 시, 노래, 춤의 삼위일체 형식으로 원시 노동 그 자체에서 진일보해 생활예술로 발전했고, 조상숭배를 중요시하는 이들에게 있어서 제사활동을 고무시키는 역할을 했다. 특히 동희( 戱)는 동족문화예술의 진수라고 할 수 있는데 자연현상의 영향을 받아 당나라이전의 원시사회시기부터 형성되어 한희(漢戱)와 서로 영향을 끼치며 발전되어 왔다. 특히 동고(銅鼓)를 공명고(孔明鼓) 또는 제갈고(諸葛鼓)라고 불렀는데 융수빙동(融水聘洞)에는 아직 남아 있다.

e, 공예

; 자수(刺 ), 편직(編織), 조각(彫刻), 직염(織染), 은식(銀飾)등 다양하게 발달해 왔는데, 특히 고루(鼓樓), 화교(花橋; 風雨橋), 양정(凉亭)등의 건축공예는 대단히 우수하다.

5) 생활풍속

; 산촌에서 자급자족으로 보통 3대가 함께 살며 철저히 가부장제의 가족체계가 형성되어, 혈연관계로 고루(鼓樓)중심인 고루사회의 최소단위를 이룬다. 물론 가장은 가정의 일을 처리하는데 가족의 의견을 존중하다.

a, 거주

; 대부분의 마을이 한가지 성(姓)씨로 한마을을 이루며 오(吳), 양(楊), 석(石), 양(梁)성이 가장 오래되었다. 심산유곡의 아름다운 풍광에 쌓여 있는 마을이 많아 물을 건너기 위해 풍우교가 있고 동네 입구에는 높이 1장(丈)정도의 정간식(井干式) 목조건축물인 “ 시엔(現; singl) ”이라고 부르는 채문(寨門)을 3백여호의 마을인 경우 대개 12개를 설치한다. 집은 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나무로 지으며 일부분은 조각루(弔脚樓)형식으로 남북방언지역이 구별된다. 북부는 많은 방을 두고 2층으로 지어 아래층에서 생활하며 2층은 침실과 양식창고로 사용한다. 문을 열고 들어오면 정면에 당옥이 있고 당옥 내벽에 선칸(神龕)을 설치하고 양쪽 방은 침실 또는 부엌으로 사용한다. 남부 역시 2,3층으로 짓는데 두 기둥을 1간으로 5내지 7간 정도 된다. 1층에는 땔 풀을 쌓아두고 짐승우리로 사용한다. 문을 열면 긴 복도가 있고 가운데에 당옥이 있으며 선칸(神龕)을 설치한다. 당옥의 양쪽은 부엌(火堂)으로 사용한다. 화당위에는 앙( ; ngangc)이라고 하는 사방이 4자되는 나무난간을 걸어 놓아 각종 농작물을 말린다.

b, 취락형태구분

(1) 산각하안형(山脚河岸型); 귀주성 총쟝현(從江縣) 高增, 小黃, 占里, 蘇洞, 리핑현(黎平縣) 자오싱(肇興; 3,100여명), 牙雙, 룽쟝현(榕江縣) 保里, 八吉, 광서(廣西)자치구 산쟝현(三江縣) 平巖, 호남성(湖南省) 통따오현(通道縣) 平坦河流域,

(2) 평패전원형(平 田園型); 귀주성 룽쟝현(榕江縣) 車江, 天柱縣 五家橋寨, 광서 산쟝현 롱저채(弄底寨), 룽성(龍勝)현 평등채(平等寨),

(3) 반산애구형(半山隘口型); 귀주성 총쟝현(從江縣) 歸柳上寨, 龍圖, 貫洞, 리핑현(黎平縣) 牙雙향 천짜이이(岑寨), 룽쟝현(榕江縣) 八區 宰大, 美闡(chan), 쩐웬현(鎭遠縣) 報京寨(2,000명), 티엔주현(天柱縣) 雷寨, 漢寨, 社學, 巖寨, 章寨, 幇寨, 蘭田, 碧雅, 광서자치구 산쟝현 歸東, 光里, 村溪, 梅林, 룽성현(龍勝) 평안채(平安寨), 호남성 통따오현(通道縣) 平坦, 播陽,

c, 복장

; 지역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노인과 중년남자는 깃이 달린 옷을 입고 여자는 머리를 쟁반같이 올리고 긴 바지를 입는다. 청조 말의 한족복장과 비슷하다.

d, 음식

; 쌀을 주식으로 하지만 찹쌀음식을 좋아해 흰 찹쌀, 붉은 찹쌀, 검은 찹쌀 등 여러 종류의 찹쌀을 재배하고 목판함으로 찹쌀밥을 만들기도 하고 간식용으로도 다양하게 만들어 먹는다. 음료 또한 찹쌀을 주로 사용한다. 명절이나 경사에는 필히 찹쌀밥을 하고 제사에도 마찬가지이다. 기호식품인 유차(油茶)를 만들 때에도 찹쌀을 사용한다. 편미(扁米) 또한 동족 특유의 기호식품인데 가을에 80%정도 익은 찹쌀을 거두어 까부른 후 소량의 물을 넣고 불에 말리면서 주걱으로 계속 골고루 뒤집어 주어 80%정도 말랐을 때 식힌 후 여러 차례 방아에 가볍게 찧으면 껍질이 벗겨지고 남는 것이 편미(扁米)이다. 약한 불에 말리는데 색은 연하고 맛 또한 별미이다.

e, 전통명절

(1) 동년( 年); 추수를 마쳐 모든 농사일을 마쳤을 때를 새로운 해의 시작으로 간주해 음력 11월을 신년으로 지내며 각 가정에서는 돼지를 잡는 등 축하한다. 한족과 왕래가 잦은 지역에서는 춘절(정월초하루)로 지낸다. 처음 이곳에 옮겨와 수렵생활을 하며 후에 땅을 개간해 수확을 거둔 조상을 기리며 제사한다. 용강현 72寨일대에서는 음력 10월말과 11월초에 신년경축활동을 하는데 이어서 11월말에는 “ 배년(陪年) ”으로 민족의 단결과 우의를 위해 마을마다 대단히 풍성하게 지낸다. 총쟝현(從江縣) 관동(貫洞)의 양(楊)씨 동족은 “ 양년(楊年) ”이라고 부르면서 음력 11월 초삼일 온 가족이 귀가해 벗들을 청해서 물고기로 잔치를 벌리며 조상에 제사를 지낸다. 진핑현(錦屛縣)의 언동(彦洞), 요백(瑤白)과 지엔허현(劍河縣)의 소광(小廣)일대에서는 음력 11월말에서 12월초까지 찹쌀떡을 하고 감주를 담고 돼지를 잡는 등 새해 맞이를 경축하는데 어른에게 세배하고 서로 선물을 나누기도 한다.

(2) 츠상사(吃相思); “ 위객(爲客) ”이라고도 하는데, 즉 손님을 위하는 날이라는 뜻으로 마을에서 우의를 나누기 위한 사교활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정월, 2월 또는 가을에 남녀노소가 함께 즐기는데 젊은이들은 무리를 지어 다른 마을에 손님이 되어서 가 노래를 부르고 연극을 하며 소싸움(鬪牛)을 시키는등 단체사교활동을 벌인다.

(3) 단오절(端午節); 진핑현(錦屛縣) 규엽채(圭葉寨)의 풍속은 특별한데 종자( 子 ㅡ 찹쌀에 대추등을 넣어 댓잎이나 갈잎에 싸서 쪄 먹는 단오절 음식으로 원래는 초나라 굴원(屈原)이 강에 투신해 죽은 것을 애도해 이 음식을 던져 물고기가 굴원의 시신을 해치지 말고 대신 먹도록 한데서 유래한 것)를 가장이 손을 대지 않고 익힌 다음 먼저 조상과 뱀신에게 풍년을 기구하며 제사한 후 먹는다.

(4) 츠신절(吃薪節);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나 음력 6월 또는 7월 묘(卯)또는 인(寅)일에 우물에서 새로 길어온 물에 찹쌀로 감주를 담고 물고기 요리만을 장만하고 소금을 섞지 않은 곡식과 채소를 준비해 새벽에 조상에게 제사지낸다. 소싸움을 벌리고 창(唱)등의 활동을 하는데 조상을 기리는 뜻이 있다.

(5) 호생절(芦笙節); 생산을 독려하고 수확을 기뻐하는 활동에서 비롯된 것이다. 리핑현(黎平縣)과 총쟝현(從江縣)의 경계지역인 사각우(四脚牛)지구, 즉 낙향(洛鄕), 기당(紀堂), 수구(水口), 대단(大 ), 자오싱(肇興), 고방(古邦)등에서는 음력 8월 15일 남녀모두 명절 때 입는 옷으로 정장하고 호생악대를 이루어 즐긴다.

f,결혼

; 교통이 잘 소통되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과 차이가 있는데 일부일처제로 아직 원시사회의 연애, 혼인방식이 남아 있는 편이다. 비교적 자유롭게 교제하며 연애하는데 오랜 기간동안 여럿이 함께 교제하는 단계를 거쳐 둘씩 개별적으로 연애한다. “ 나한(羅漢) ”이라 칭하는 총각과 “ 나면(羅面) ”이라고 칭하는 처녀가 공개적으로 교제를 하고 가족에게 동의를 얻은 후 매일 저녁 어두워 질 무렵 여러 아가씨들이 당옥(堂屋)에 모여 수를 놓고 편직을 하며 총각들을 기다리면, 셋 내지는 다섯이 한 무리를 지어 등불을 밝혀 들고 비파를 키며 노래를 불러 자기마음에 드는 아가씨를 찾아가는데 비파소리를 듣고 창으로 내다보아 마음에 드는 총각이 있을 때에는 창 두개를 열어 들어오라는 표시를 한다. 때로는 문을 열지는 않고 둘이 대가(對歌; 둘이 주고받으며 하는 노래)를 한 후 노래도 마음에 들어야 문을 열어주고 들어오게 해 교제해 보아 의기투합하면 정표를 나누고 약정한다. 부모의 동의를 얻은 후 17, 8세에 비교적 간소하게 음력 9월에서 다음해 정월 안에 결혼식을 거행한다.

g, 장례

; 장례는 정상적으로 죽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구분해서 의식을 달리한다. 사람이 죽으면 곡을 하고 종이돈을 태우며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기고 옷을 입히는데 신랑, 신부가 혼례식 때 머리부터 발끝까지 착용했던 머리띠, 의복, 신발 등은 다시 사용하지 않고 모든 물품을 깨끗이 씻어 말려서 잘 보관했다가 죽을 때 본인에게 혼례식 때와 똑같이 입힌다. 죽은 사람의 허리에는 청, 남, 백, 홍, 화 오색실로 나이 수만큼 묶고 손에는 종이돈을 쥐어 주며 관 바닥에도 돈을 깔아 준다. 관을 신당 앞에 모셔두고 손님을 맞고 3내지 5일 후 매장한다. 매장 사흘 후 다시 묘토를 돌아보고 49일제를 지내며 청명절에 찾아가 묘를 돌보는 등 다른 민족들과 다를 바 없다. 비정상적으로 죽은 사람은 장례식도 치르지 않고 밖에서 염을 한 후 봉분도 없이 매장한다.

종교 및 금기사항

; 원시모계사회의 영향으로 전설속의 최고권위의 영웅인 조상여신(女神),“ Sa(薩) "를 중심 한 조상 숭배 신앙이 매우 특별하다. “ Sa(薩) "는 신성의 대명사로 보편화되었고 무소 부재한 존재이다. 예전에는 각 가정마다 신위(神位)를 모셔 놓는 “ Sa tang(薩堂) " 이 있어 식사 전에 먼저 음식을 올려 공경했다. “ tang(堂) "은 대중집회의 장소이기도 하지만 사신(薩神)이 거주하는 곳을 뜻하기도 하고 큰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오늘날에는 많이 변했으나 청명에는 꼭 성묘했고 원시신앙형태인 점복술이 아직 남아 있다. 불교, 도교와 더불어 만물에 영이 있다고 믿어 뱀을 숭배하는등 토템사상이 아직도 남아 있다. 기독교는 1920년대에 미국 선교사 류후췬(劉富群), 딩후이밍(丁惠明)과 중국인 목사 임달영(林達榮)이 광서(廣西)에서 룽쟝현(榕江縣)으로 들어 와 전도해 룽쟝현의 황극부(黃克夫)가 광서오주(梧州)의 선도회(宣道會)성경학원에 가 학습하고 후에 목사가 되었다. 1938년에는 소도평(蘇道平)목사와 부인 소애련(蘇愛蓮)이 광서에서 룽쟝현에 와 평유(平油), 본리(本里), 악리(樂里), 양조(楊調)등 동족( 族)지역에 예배당을 세워 전도해 100여명이 세례를 받으며 신자가 1,000여명에 이르렀고 교회는 빈민들 구제와 치료에 앞장서기도 했다. 리핑현(黎平縣)에는 독일 선교사 요우더카이(尤德凱)가 들어 와서 전도했다. 금기사항들은 정월 초하루에 철그릇을 들지 않고 정초에는 먼 곳에 출입을 삼가하고 봄에 벼락이 떨어진 날에는 산에 올라가거나 밭에 가지 않으며 결혼식후 처가에 가서는 함께 방을 쓰지 않는 등 다분히 미신적인 것으로 많이 사라져 가고 있다.

 

 

바이족(bai zu)

Bai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1.598.052(1990) - 80% 이상이 운남성 서부의 따리(大理)에 살고 있으며, 이해(?海)를 위주로 한 대리바이족자치주에 집거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사천과 귀주, 호남 등지에 살고 있다. 이들의 이름은 흰색을 숭배하기 때문에 지어진 것이다. 바이족이 살고 있는 대리와 창산은 일년 내내 흰눈이 덮여있고, 이해는 푸른 파도가 설레이고 있어 “동방의 스위스”로, “어미지향”으로 국내외에 명성이 높다.

언어와 문자 : 바이語(漢藏語系 藏綿語族). 대부분 사람들이 한어도 사용한다. 이 지역은 경제가 번영하고 문화가 발달하여 자고로 온정한 바이족 군체를 이루었다. 바이족은 자기의 언어를 갖고 있는데 한장어계장면어족(漢藏語系藏緬語族)백어갈래에 속한다. 대다수 바이족은 한어를 할 수 있는데 이로 다른 민족들과의 교제공구로 하고 있다.

종교와 문화 : 번주(本主)라는 종교인데, 자연신이나 따리국의 왕자나 전설 속의 영웅 등을 숭배한다. 바이족은 고유한 민족으로서 자기의 휘황찬란한 과학문화를 갖고 있다. 천문, 역법, 기상,의학, 문학 등 분야에서 많은 우수한 작품을 발명, 창조했다. 대리숭승사삼탑, 검천석보산석산,《남소중흥국사화권》,《대리화권》등은 모두 바이족인민의 유구한 역사와 건축, 조각, 회화 등 다방면의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기 타 : 따리는 운남에서 가장 먼저 문화가 생겨난 곳으로 고고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신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그리고 운남 여행의 중요한 코스중의 하나로 여겨지다가 지금은 완전히 관광지로 자리잡아 물가도 많이 올랐을 뿐 아니라 항상 묵을 곳이 없을 정도이다. 대리석이 나는 곳으로 유명하고 전통 주택들은 햇빛의 반사를 위해 벽을 하얀색으로 칠하고, 집에는 창문이 없다.

바이족의 가장 큰 명절은 매년 음력 3월 15일에서 21일까지 따리(大理) 바이족 자치구에서 열리는 '三月街'이다. 이 축제는 천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전설상의 관음이 이곳에 온 날을 기념하기 위해 생겼다고 한다. 그래서 일명 '관음제'라고도 한다. 축제 기간은 굉장히 사람이 많고 흥겹다.

바이족은 쌀로 만든 면을 좋아하고, 특히 새콤하고 맵게 먹는다. 3잔을 마시는데 마실 때마다 맛이 틀려진다는 삼도차(三道茶)가 유명하다.

 

 

더앙족(de'ang zu)

De'ang ethnic minority group

운남의 서남부에 살고 있다. '뻥롱'족이라고 불러왔었는데 1985년 9월부터 '더앙'족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더앙족은 현유인구가 15462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성 덕굉따이족, 징퍼족자치주 루서(潞西)현과 림창(臨滄)지역 진강(鎭康)현에 분포돼 있고, 일부분이 잉강(盈江), 서려(瑞麗), 롱천, 보산(保山), 량하(梁河), 룡릉(龍陵) 등 현에 분산되어 따이족, 징퍼족, 리수족, 한족 등의 민족과 잡거해 있다.

종 교 : 소승불교 * 기 타 : 조상은 한(漢), 진(晉)시기의 "푸런(僕人)"으로 지금의 와족, 뿌랑족과 같다. 또한 5조(五朝)및 당송(唐宋)대에는 남조(南詔), 따리국(大理國)의 지배를 받았고, 원대 이후에는 다이족 토사(土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더앙족은 흩어져서 거주하며, 오랫동안 한족, 다이족, 징포족, 와족 등과 뒤섞여 살았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제도 등이 모두 이러한 민족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더앙족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좁쌀 콩 등을 부식으로 먹는다. 진한 차를 즐겨 마시고 담배와 삔랑을 좋아한다. 차는 더앙족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차가 없으면 일이 성사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더앙족은 그 거주지가 분산되고 사회발전단계가 각기 부동한 한족, 따이족, 징퍼족, 와족 등 민족과 잡거했기에 이런 민족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특히 따이족의 영향이 매우 커 종교신앙, 생활습관 등이 기본상 따이족과 같다.

자연환경

중국의 더앙족은 모두 윈난성 내에 분포하고 있다. 주요 거주지는 윈난성 더홍(德宏)따이(Dai)족-징포(景頗)족 자치주의 루시(潞西), 루이리(瑞麗), 량허(梁河), 롱촨(Long川)등의 현(縣)지역과 바오산(保山)지구의 바오산현, 기타 린챵(臨滄)지역의 젼캉(鎭康), 껑마(耿馬), 용더(永德)등의 현지역, 그리고 쓰마오(思矛)지역의 란창(瀾滄)현에 살고 있다. 모두 윈난성의 서남부 변경 일대다.
대부분의 마을은 산악 지역에 있으며, 징포(景頗)족, 한(漢)족, 리쑤(LiSu)족, 와(Wa)족 등의 주거지와 �쳐있다. 일부 구릉지역에 사는 더앙족은 따이(Dai)족 마을과 섞여 있다.

이들이 살고 있는 곳은 까오리(高黎)꽁샨(貢山)과 누샨(怒山)산맥의 자락인데,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그리고 란챵(瀾滄)강, 누(怒)강, 따잉(大盈)강 유역은 많은 산과 계곡, 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양 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알맞다.
구릉지역의 연평균 온도는 22℃이고, 산지역은 19.5℃이다. 년 평균 강수량은 1,500mm 가량이며, 18%의 비가 5-10월에 내린다. 특히 7-8월에 집중된다. 기후는 건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여름에는 덥지 않고, 겨울에는 눈이 내리거나 얼음이 얼지 않는다.
이 지역은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삼림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따라서 양질의 각종 목재와 약재가 많이 나며, 동식물 자원이 무척 많다.


명 칭

더앙족은 자칭 '더앙(德昻)', 타칭 '뻥롱(崩龍)'로 불리운다. 청대 이후에 기록된 윈난지방지 가운데에는 '뻥롱(崩龍)', '뻥즈(崩子)', '뻥즈(繃子)'로 기록되어있다. 현재의 중국이 세워 진 초기에는 '뻥롱(崩龍)'이라는 명칭도 같이 씌여지다가, 1985년 9월 중국 국무원의 비준하에 '더앙족(德昻族)'족으로 공식화되었다.

'더앙(德昻)'은 더앙족속의 말이다. '昻'은 '산의 바위', '산의 동굴'이라는 뜻이고 '德'는 존칭어이다. 따라서, 더앙족의 조상은 산의 동굴에서 살았으며, '德昻'이란 조상의 이러한 생활역사를 기려 지어진 것이라 하겠다.


지 계

더앙족의 지계는 비교적 많다.
루마이(汝買),루앙(汝昻), 루커(汝科), 루왕(汝旺), 루궈(汝果), 루뽀(汝波), 루진(汝進), 루어(汝峨), 루뻔(汝本), 루비에야(汝別牙), 루라(汝臘), 루왕(汝王), 루비에리에(汝別列), 루더비 에리에(汝得別列), 루멍띵(汝孟丁), 루뿌똥(汝布冬), 루뿌어(汝不峨), 루멍더띵(汝孟得丁), 루꺼뤄(汝各若)등 20여개 이다.
그 가운데 루진(汝進), 루커(汝科), 루마이(汝買)등 7개의 지계는 중국에 분포하고, 나머지는 미얀마에서 거주하고 있다.
사람들은 통상적으로 윈난의 더앙족을 루마이(汝買), 뿌레이(布雷),량싼(梁三)등 3개 지계로 보고있다. 부녀자들의 치마무늬를 근거로 하여, 한족들은 "헤이더앙(黑德昻)","홍더앙(紅得昻)", "화더앙(花得昻)"으로 나누고 있다.

언어와 문자

더앙족은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남아어계(南亞語系) 멍까오미엔(孟高棉)어족 와더( 德)어지에 속한다. 이것이 "루마이(汝買)", "뿌레이(布雷)", "루진(汝進)", "따앙(達昻)"등 4개 방언으로 나뉘어진다.
따앙(達昻)방언은 젼캉(鎭康), 껑마(耿馬)지구의 더앙족이 사용하고 있고, 루마이(汝買)등의 방언은 흩어져 있다.
더앙족의 언어는 장단, 파열음, 파찰음등이 분명하며, 비음이 청과 탁으로 구분되어있다. 복자음이 비교적 풍부하며, 성조가 없다.
인칭대명사가 단수 복수, 쌍수로 구분되며, 언어의 순서는 주어-동사-목적어로 되어 있어, 한국어의 어순과 비슷하다.

중국의 더앙족은 민족글자가 없어서 한자를 차용하여 쓰고 있으며,

일부는 따이(Dai)어를 이해한다. 과거에는 따이문자을 이용하여 자신의 민족어 자모를 발음하였으나 그 사용범위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미얀마의 더앙족도 원래는 문자가 없었다. 후대에 미얀마어등의 문자를 이용하여 자신의 더앙문자를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여 수십년에 걸쳐 문자를 다듬었으며, 이미 민족문학작품 및 역사, 전설등을 기록하였다.

기 원

더앙(德昻)족과 남아어계(南亞語系) 멍까오미엔(孟高棉)어족의 와(Wa)족, 뿌랑(布朗)족, 커무(克木)인등은 고대의 "바이푸(百Pu)" 족에서 나왔다. 이들은 운남 남부와 미얀마 중부지역에서 살던 토착민이었다.

『화양국지(華陽國志), 남중지(南中志)』가운데 용챵(永昌)군에 '민푸(MinPu)', '루어푸(裸Pu)'라는 이름의 족속이 살았다는 흔적이 있다.

진한 시대에 용챵군의 범위는 지금의 바오샨지구, 더홍(德宏)지구, 린창(臨滄)지구, 쓰마오(思矛)지구, 시�반나(西雙版納)를 포함하였다. 이렇게 커다란 지역에 바이푸(百Pu)족의 부락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이 지역에서 생산된 큰 대나무가 유명하여 '푸주(Pu竹)'라 불리웠다.

당나라때, 원래의 '민푸(MinPu)'지역에 '푸즈만(撲子蠻)'족이 등장한 기록이 있다. 『운남지(云南志)』제4권에 보면, "푸즈만(撲子蠻)은 용감, 민첩하고 , 바지를 입는다......카이난(開南),인셩(銀生),용챵(永昌), 쉰촨(尋傳) 네지역에 산다. 란창(瀾滄)강 서북쪽에 철다리를 설치해 놓은 부락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푸즈만(撲子蠻)의 분포상황은 진한시대의 '민푸(MinPu)'와 지역적으로 일치하며, '撲'와 'Pu'가 발음상 동음인 것을 미루어 볼 때, 앞의 두 명칭은 같은 민족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나라와 명나라때, 푸즈만(撲子蠻)은 '푸런(蒲人)' 혹은 '푸만(蒲蠻)'으로 불리웠다. 『운남지략(云南志略)』은, "푸만(蒲蠻), 일명 푸즈만(撲子蠻)이라는 족속이 란창(瀾滄)강 서쪽에 살고 있다"고 적고 있으며, 『백이전(百夷傳)』은, "윈난서남쪽 수천리 되는 곳에 바이이(百夷)가 사는데, 넓이가 만리나 된다.... 따바이이(大百夷),샤오바이이(小百夷),퍄오런(漂人),구츠(古刺), 하츠(哈刺), 미엔런(緬人),지에시에(結些), 인두(吟杜), 누런(弩人), 푸만(蒲蠻), 아챵(阿昌)이라는 이름으로도 쓰인다"라고 기록하고있다. 『백이전(百夷傳)』은 당시 더홍(德宏)에서 미얀마 경계이 달하는 따이(Dai)족과 기타 민족의 상황도 적고 있다. '푸만(蒲蠻)'은 이 지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명나라말 청나라 초기에, 더앙족은 '푸런(蒲人)'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한 개의 독립된 민족을 이룬다. 이때부터 더앙(德昻;崩龍)족이라는 이름을 '뽀롱(波龍)','뽀롱(波籠)'으로 기재하여, '푸이(Pu夷)'와 구별하기 시작했다. '뽀롱(波龍)'은 더앙어로 '뻥롱(崩龍)'과 발음이 같다.

'뻥롱(崩龍)'이 곧 '더앙(德昻)'을 말함은 이미 언급하였다.

전설 및 유적

미얀마에 거주하는 뻥롱(崩龍)족의 전설에 의하면,그들과 와(Wa)족, 커무(克木)인은 모두 루이리(瑞麗)강 유역에서 기원하였으며, 참차 비옥한 토지를 향해 이동하였다고 한다.
중국 더앙족은 자신의 선조가 살았던 지역을 두 곳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나는 그들의 발원지가 더홍(德宏)주의 망(芒)시 일대이고, 다른 하나는 미얀마의 따샨(大山)이다.

이러한 주장이 모순되지 않는 것은 두군데 모두 루이리(瑞麗)강 유역에 있어서 같이 이어지는 곳이기 때문이다. 역사상 이주로 인해 다른 지역에서 다른 족속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오늘날 더홍(德宏)주에 있는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은 더앙족이 이곳에 비교적 초기에 거주하였으며 넓은 지역에서 살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현재에도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에는 아직도 더앙어의 지역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더홍(德宏)주 내의 각 현에는 지금 더앙족의 거주지가 없다. 하지만 뻥롱샨(崩龍山), 뻥롱칭(崩龍Qing), 뻥롱싸이(崩龍塞)등의 지역이 있는 것을 보면, 이 지역에 분명 더앙족의 조상들이 거주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더홍(德宏)일대에는 더앙족 및 그 선조들이 남긴 유적과 유물들이 발견되는데, 촌의 흔적, 돌판으로 만든 길, 돌다리, 마을 입구에 세워놓은 돌문, 탑 기초, 차 마시는 곳 등이다.

더홍(德宏)주 롱촨(Long川)현에서 북쪽으로 약 5키로정도 가면 빵와빠따(邦瓦巴達)향이 있다. 그 동편에 "나샨꽁(納Shan供)"이라는 뻥롱(崩龍)왕성이 있다. 성벽은 돌로 쌓았으며, 성 안에는 주거지 유적이 있다. 부근에는 군대가 주둔한 흔적, 우물등이 있다. 징포(景頗)족 주민들은 "나샨꽁(納Shan供)은 전설가운데 있는 뻥롱(崩龍)족 왕자의 이름이다. 비록 이지역에서 더앙족이 주요 민족이 아니지만, 이 일대에서 최초에 거주했던 민족"이라고 소개한다.
상술한 유적지와 유물은 더앙족의 선조들이 돌을 잘 다음었으며, 차 재배에 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이 아직도 더앙족내에 남아있다.

이 주

앞서 말했듯, 더앙(德昻)족은 윈난 서남 변경지역의 토착민이다. 지금의 더홍(德宏)주 등지는 고대 더앙족의 주요 거주지였다. 더앙족의 대부분은 지금 미얀마에 살고 있고, 일부만 중국에 분포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역사상 몇 차례에 걸쳐 민족이 이주한 결과다.
여러 가지 정황을 미루어보건대, 뻥롱(崩龍)족의 조상이 대규모로 미얀마로 이동한 시기는 원나라 때 이후이다. 이주의 과정은 대략 세 시기로 나뉜다.

1) 원나라 중기

1348년 경 지금의 롱촨(Long川)에 쓰(思)씨로 불리우는 세력이 일어나 전쟁을 벌였다. 이로인해 더홍지구의 통치세력으로 따이족이 등장하였고, 이 와중에 더앙족의 조상은 원래의 거주지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지금의 더앙족에게, 조상들이 산이나 미얀마로 쫓겨가는 내용의 전설이 아직도 전해지고 있다.

2) 명나라 때

더앙족의 조상이 다시금 윈난 남부지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이유는 명나라가 이 지방의 푸런(蒲人)에게 압박을 가하여, 푸런(蒲人)이 저항하였기 때문이고, 계속된 전쟁으로 일부는 미얀마 북부로, 일부는 윈난의 북부로 이주하였기 때문이다.

3) 청나라 때

1814년, 강압적 통치로 인해 농민들의 반란이 일어나게 되었고, 가혹한 탄압을 받는다.
더앙족은 사방으로 흩어져, 누(怒)강 동부, 미얀마로 도망간다. 이 이후로 더홍(德宏) 일대에서 더앙족을 찾기 힘들게 된다.

토지 제도

더앙족의 경작지는 논과 밭으로 나뉜다. 토지개혁 이전에는 더앙족의 논은 모두 개인 소유였고, 매매나 저당이 가능했다. 소라든지 각종 농구도 모두 사유재산이었다.
현 중국이 수립되기 전에, 더앙족은 정치적으로 권리가 없었고, 경제적으로 몹시 낙후한 삶을 살았다. 그래서 토지의 대부분은 한(漢)족이나 따이(Dai)족의 부유층에 의해 저당잡혀있는 상태였다. 이들이 토지를 저당잡히는 주요 원인은 집안의 관혼상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논의 경우, 토지가 저당잡히게 되면 수확량의 50-60%를 저당비용으로 채주에게 주어야하며, 기한이 만료되어 저당액을 상환해야만 토지에 대한 권리를 누릴 수 있었다.
밭의 경우는 조금 상황이 다르다. 밭은 촌락의 소유로, 개인은 점유권과 사용권이 있을뿐 소유권은 없었다. 촌락 구성원은 촌락 거주 범위 내의 토지와 삼림에 대해 개간할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이를 '쥐엔쟌(圈占)'이라고 하는데, 더앙족은 '빵만(邦曼)'이라고 한다. '쥐엔쟌(圈占)'의 방법은 토지의 주위에 표시를 해놓는 형식이다. 하나는 초지에다 표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나무에다가 십자형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만약 토지를 개간하고 나면, 그것을 이용하든지 하지 않든지 개인이 점유권과 사용권을 누리게 된다. 그의 가족 구성원은 누구든지 경작할 수 있고, 임대도 가능하지만, 매매는 불가능하다.

토지권이 있는 자가 이사를 갈 경우, 토지는 부락의 소유로 귀속되며 지도자의 관리와 조정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새로 촌락으로 이주해오거나 새로이 가정을 만든 자에게 나누어준다.

경작 방식

더앙족이 밭을 경작하는 방법은 '고정지'와 '휴경지' 등 두가지 방법이 있다.
고정 경작지는 강가의 비교적 평탄한 지역에 있은 토지로, 주로 옥수수를 재배한다. 올해 옥수수를 심었으면 내년에는 콩류를 심는 방법으로 지력을 보존하고 생산량을 유지한다. 고정경작지는 전체 경작지의 20%좌우이며, 나머지는 계곡 부근에 있는 휴경지다.
더앙족의 전통 및 경험에 의하면, 한 곳에서 3년을 경작하면 15년을 휴경한다. 이러므로 한 토지는 한 세대에 3번 정도를 경작하게 된다. 이 지역은 덥고 비가 많이 내려 수목이 빨리 자란다. 10년 정도가 지나면 예전의 밭에 수목이 어느 정도 자라므로 이곳에 불을 놓아 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장기간의 화경에 의존하는 민족은, 나무들이 생존을 이어주는 중요한 자연조건일 수밖에 없다.
더앙족의 전설 『천왕지모(天王地母)』에 의하면, "옛날 옛적, 세상에 인류가 존재하지 않았을 때, 오직 꽃, 풀, 나무 등만이 있었다. 갑자기 커다란 돌풍이 불더니, 102개의 나뭇잎들이 떨어져 사람으로 변해 부부가 되었고, 이들이 인간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이렇듯 더앙족은 수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원시 농업시대의 깊은 흔적이 남아있다.

예전의 각 더앙족 부락에는 함께 짐승들을 기르는 공동목장이 있었고, 그 장소는 휴경하는 산지를 이용하였다. 더앙족은 이를 '꺼쟝마(格江瑪)'라고 부른다. 매년 한 군데의 산지를 목장으로 쓰며, 한 목장은 계속하여 2-3년을 사용한다.
어떤 촌락들은 집단방목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예를들어 루시(潞西)현 싼타이(三台)산 빵와이(邦外)촌의 경우, 두 명이 한 조가 되어 2틀동안 책임지고 방목을 한다. 매일 아침 방목할 시간이 되면 책임자가 고함을 치는 형식으로 각 가정의 소를 일정 지점에 모이게 하고, 밤에는 바로 그 지점에서 각 자정이 소를 데리고 돌아가게 한다.

현 중국이 건국되기 전에는, 더앙족의 농업에는 엄격한 분업이 있었다.
남자들은 논밭을 갈고, 경지를 정리한다. 부녀자들은 씨를 뿌리고, 김을 매며, 재배에 종사한다. 그래서인지 더앙족 가운데에는 "남자는 밭을 매지 않고, 여자는 밭을 갈지 않네"라는 속담이 전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연로한 남자들은 일에 참여하지 않지만, 부녀자들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농업에 종사한다.
때로 농사에 바쁘거나 기타 중요한 일이 생겼을 때, 서로 품앗이를 하였다. 후에 이것이 발전하여 소로 사람의 힘을 바꾸고, 사람의 힘을 식량으로 바꾸게 되어, 더앙족 내에 고용관계가 생기게 되고 빈부의 분화가 일어나게 된다.
현 중국이 세워진 이후, 더앙족의 인구가 그다지 많지 않고, 거주지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더앙족 자체내의 경제조직이 세워져 있지 않으므로, 중국 정부는 토지 개혁 및 본토인 위주의 토지 제도를 시행하게 된다.

상 업

옛날, 더앙족의 거래활동은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고, 단지 한족, 따이족의 장날에 참여하는 정도였다. 내다 파는 물품은 마대, 배낭, 돼지, 닭, 오이, 파인애플, 차잎, 옥수수 등이고, 거래 대상물품은 곡괭이, 소금, 화약, 옷감 등이다.
한족과 따이족 및 미얀마 상인들과의 접촉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어떤 더앙족가운데 반농반상이 있는데, 농사일이 바쁠때는 농업을, 농한기 때는 상업에 종사한다. 미얀마로 들어가서 옷감이나 의복류를 가지고 와서 판다.

어로와 수렵도 더앙족의 경제 생활 가운데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로는 부녀가, 수렵은 남자가 하는 것으로 역할이 구분되어 있다.
채집은 계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대부분은 우기에 진행된다. 채집의 종류는 박하 등의 수생식물, 밤, 백로화등의 야생식물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야생버섯과 죽순도 채집하는데, 자체적으로 소비하기도 하지만 가공하여 시장에 내다팔기도 한다.

더앙족이 물고기를 잡는 방법은, 어항, 그물, 물빼기 등인데, 간혹 폭약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더앙족은 소승불교를 믿고 있어서, 살생을 즐기지 않는다. 따라서 수렵의 목적 들짐승들이 농작물을 해치는 것을 막는 정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농한기때는 무리를 이루어서 산에 올라 노루와 사슴등의 동물을 잡는데 대부분 총과 활을 사용한다.
더앙족의 수공업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편이다. 대부분의 품목은 집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고, 소수만이 시장에서 팔거나 교환한다. 지금까지 더앙족의 가내수공업은 대부분 원시적 상태인데, 죽기, 방직, 제지, 도자기, 화약제조, 차 제조 등에 머물고 있다. 그 가운데 방직 및 차 제조는 유구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부 업

최근들어, 더앙족 지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비료사용 및 화학제초 방법기술이 보급되어, 곡물 생산량이 늘고 있다. 이와 함께 지형적 특성을 이용하여, 차, 고무등의 경제작물과 오이, 바나나, 버섯, 파인애플, 배, 석류, 망과등의 각종 과일을 재배하고 있다.

이 가운데 차잎 재배는 더앙족의 경제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더앙족의 성인 남녀들은 짙은 차 마시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더앙족은 자신의 집 주위에 차 재배지를 만드는 습관이 있다.
더홍(德宏)주 잉쟝(盈江)현의 쑤디엔(蘇典)향, 루시(潞西)현 등지의 더앙족 유적지에는 지금도 수백년전의 차나무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더앙족 선조들이 남겨놓을 것이라는 전설이 있다.

더앙족의 차잎은 마른 차와 습한 차 두종쥬가 있다. 습한 차는 '쏸차(酸茶)'라고 불리우는데 문헌에는 '구(谷)'차로 기록되어 있다. 제작방법은 신선한 차앞을 대나무 통에 놓어 밀봉한 다움, 당분이 생겨난 다음 사용한다. 더앙족은 자체적으로 만든 차를 자신이 소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장에 내다 판다. 따이(Dai)족은 이 차 잎을 파는 더앙족 부녀들을 '미에닝(Mie寧)'이라고 하는데, '차잎 엄마'라는 뜻이다. 이러한 고유명사가 오늘날까지 더홍지구의 따이족 언어가운데 남아있다.
더앙족은 이렇게 차 나무를 재배하고, 차를 만들고 차를 마시는데 익숙하다는 명성이 나서, 윈난 소수민족중 '고대의 차 재배자'라는 칭호를 받기도 했다.


민족 관계

더앙족은 찬란한 역사를 거쳐왔다. 당시 그들은 운남지역의 계곡과 평원지역에 살았으며, 서로 다른 혈연관계 속에서 촌락을 이루고 외부세계와 교통하여왔다. 따이(Dai)족 투쓰(土司)제도의 영향을 받기 전에, 더앙족은 원시적 '촌락공동 의사결정체'의 사회조직형태를 띄었다. 더앙족에게는 자신의 '따이토우런(帶頭人;지도자, 한자의 王子를 차용)'이 있었다.

약 200여년전에는 헤이더앙(黑德昻)족에게는 아직 망(芒)시에 사는 따이(Dai)족 투쓰(土司)의 힘이 미치지 않았다고 한다. 그때 지금의 루시(潞西) 싼타이(三台)산에는 5명의 '따이토우런(帶頭人)'이 있었다. 이들은 망야(芒牙)등 5개 마을을 분할하여 관리하였다.
이들은 마을의 우두머리로서, 마을 내부의 종교, 생산, 민사소송등의 사무를 처리하였으며 대외적으로 전 마을을 대표하였고, 전쟁이 발생했을때는 사령관으로서 일했다.

당시 따이(Dai)족 투쓰(土司)는 이미 망(芒)시 지역을 통치하고 있었으나, 더앙족의 '따이토우런(帶頭人)'은 여전히 부족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명나라 때 이후, 더홍(德宏), 린창(臨滄), 바오샨(保山) 지역의 더앙족은 차츰 따이(Dai)족 투쓰(土司)의 속민이 되어갔고, 따이(Dai)족의 봉건영주제도의 통치하에 있게 되었다. 따이(Dai)족 투쓰(土司)는 더앙족의 우두머리를 관리로 파견하여 더앙족을 다스리는 형식을 취하면서, 더앙족으로부터 공물이나 세금을 받아갔다.

이때 더앙족의 우두머리를 '따깡(達崗)'이라 불렀으며, 젼캉(鎭康)지역의 한족은 이를 '종훠토우(總huo頭)'라고 불렀다. 이들은 마을내의 각종 사무를 처리하였다.
더앙족은 정치적으로 따이(Dai)족 투쓰(土司)의 통치를 받았고, 은, 담배, 죽순, 수공예품등 매년 일정량의 부담이 주어졌다.

그 외에도 더홍 일부지역의 더앙족은 징포(景頗)족의 영향 아래 있기도 했다. 징포(景頗)족은 더앙족의 재산과 안전을 보호한다는 명목하에 보호세를 징수했으며, 대부분은 곡물로 납부하게 했다. 명절 때,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의 우두머리가 집을 짓거나 관혼상제가 있을 때, 더앙족은 노동력을 제공하는 한편, 술과 고기, 금전, 차잎등의 선물을 바쳐야 했다.

사회 조직

현 중국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더앙족의 우두머리인 '따깡(達崗)'은 대부분 세습되었으며, 투쓰(土司)로부터 직접 임명을 받았다.
젼캉(鎭康), 껑마(耿馬)의 더앙족 기본 사회조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따깡(達崗)'은 각 마을의 우두머리인 '따지깡(達吉崗)' 가운데서 선출되었다. 임무는 투쓰(土司)와의 연락, 국민당정부의 법령집행 등이었다.
'따지깡(達吉崗)'은 '따깡(達崗)'의 하급자로, 각 마을을 관리하고, 군인을 선발하며, 촌락토지의 분배, 세금등을 관할하였다.

'따푸롱(大朴隆)'은 '따깡(達崗)'을 도와서 재정을 관리하며, 촌락에서 거행되는 혼인등을 돌아보았다.
'따지꺼(大基格)'는 구체적인 민사소송을 맡았는데, 절도, 토지 분규등이 이에 해당된다.
위에서 언급한 각종 지도자들 가운데 '따깡(達崗)'의 지위가 가장 높으며, '따지꺼(大基格)'가 가장 낮았다. 마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따지꺼(大基格)'가 해결을 시도하며 계속하여 위로 보고되어진다. 만약 '따깡(達崗)'조차 해결하지 못할 경우 각 촌의 지도자들이 모여 회의를 한 후 결정한다.

더홍지역이 젼캉(鎭康), 껑마(耿馬)와 다른 점은, 지도자들이 세습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군중이 선발한다는 것이다. 만약 지도자가 민심을 얻지 못할 경우, 군중은 그 직무를 해임할 수 있다. 오직 '따깡(達崗)'만은 각 촌의 지도자들이 선발하여 투쓰(土司)에게 보고한다.
현 중국정부가 세워진 이후로 이와같은 제도는 없어졌다.

관습법

더앙족은 고유의 성문법이 없고, 오직 관습법이 있다. 이는 촌락구성원간의 약속에 의해 보존된 좋은 전통이라 하겠다.

이들의 주요 관습법은 다음과 같다.

1. 촌락 공유지에서 주민들은 농사를 지울 수 있고, 벌목을 할 수 있다. 단 촌락지도자의 허가가 있어야한다. 만약 개인의 나무를 사용할 경우 사전에 주인의 동의를 얻거나 돈으로 구매해야한다.

2. 죽은 사람은 반드시 마을 공동묘지에 매장해야한다. 임의 매장은 불허한다.

3. 분가할 경우, 장자와 차자는 새로운 집을 짓도록 한다. 막내는 부모와 함께 살며 재산 승계권이 있다. 단 막내가 새로운 집을 지을 수도 있다. 재산 처리에 있어서 형과 동생이 따로 살 경우 각 가정의 형편에 따라 나누며 본가에도 일부를 남긴다.

4. 도둑질을 한 사람은 조사를 받고 손해를 배상해야한다. 만약 그러한 혐의가 있는 사람은 '신의 판단(神判)'을 받도록하는데, 끓는 물에서 동전을 건져내는 방법으로 판정을 한다. 만약 혐의가 있는 사람의 손이 끓는 물에 의해 상처를 입으면 도둑질한 혐의가 있는 것으로 알고 배상을 하게 한다.
후에 '神判'이 변해 군중이 함께 판단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마을 주민이 혐의가 있는 자의 일상생활 및 품행에 의거하여 판결한다. 만약 절도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되면 반드시 배상해야하며, 배상하지 않을 경우 처벌을 가중하고, 심지어 마을에서 쫓아내기도 한다.

5. 남편이 있는 여인이 간음을 하면, 간부와 함께 처리하며 대부분 벌금을 물게 한다. 만약 남편이 외도를 하면 아내는 다른 이에게 시집을 갈 수 있고, 전 남편은 재물로 배상해야한다.

6. 여인이 혼인 전에 임신을 할 경우, 남녀 쌍방의 동의하에 결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먼저 마을을 정결케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촌락 가운데 노인을 초청하여 식사를 대접하는 것이다.


자연환경

중국의 더앙족은 모두 윈난성 내에 분포하고 있다. 주요 거주지는 윈난성 더홍(德宏)따이(Dai)족-징포(景頗)족 자치주의 루시(潞西), 루이리(瑞麗), 량허(梁河), 롱촨(Long川)등의 현(縣)지역과 바오산(保山)지구의 바오산현, 기타 린챵(臨滄)지역의 젼캉(鎭康), 껑마(耿馬), 용더(永德)등의 현지역, 그리고 쓰마오(思矛)지역의 란창(瀾滄)현에 살고 있다. 모두 윈난성의 서남부 변경 일대다.

대부분의 마을은 산악 지역에 있으며, 징포(景頗)족, 한(漢)족, 리쑤(LiSu)족, 와(Wa)족 등의 주거지와 �쳐있다. 일부 구릉지역에 사는 더앙족은 따이(Dai)족 마을과 섞여 있다.
이들이 살고 있는 곳은 까오리(高黎)꽁샨(貢山)과 누샨(怒山)산맥의 자락인데,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그리고 란챵(瀾滄)강, 누(怒)강, 따잉(大盈)강 유역은 많은 산과 계곡, 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양 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알맞다.

구릉지역의 연평균 온도는 22℃이고, 산지역은 19.5℃이다. 년 평균 강수량은 1,500mm 가량이며, 18%의 비가 5-10월에 내린다. 특히 7-8월에 집중된다. 기후는 건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여름에는 덥지 않고, 겨울에는 눈이 내리거나 얼음이 얼지 않는다.
이 지역은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삼림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따라서 양질의 각종 목재와 약재가 많이 나며, 동식물 자원이 무척 많다.

여성복식
긴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짧고 몸에 꼭 맞는 상의와 긴 스커트를 착용.
紅德昻族 - 스커트는 붉은색 가로줄 무늬가 있고, 花德昻族은 적색과 흑 색 또는 적색과 청색의 줄무늬가 직조되어 있음
黑德昻族 - 주로 검정색 바탕에 적색, 혹은 백색의 가는 줄무늬가 직조되 어 있음.

남성복식
대개 靑 혹은 赤茶色의 상의와 짧고 헐렁한 바지 착용.
白布를 머리에 감고 한쪽으로 내려뜨려 비로드로 만든 여러가지 색상의 장식을 달았음.
銀장식은 黑德昻族 남성들이 가장 좋아하는 장식이며, 남녀 모두 호랑이, 사슴, 새, 꽃, 풀등의 동식물을 도안한 액세서리를 좋아함.

 

 

아창족(achang zu)
Achang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27.718(1990) 주로 운남성덕굉따이족징퍼족(德宏大族景頗族)자치주인 롱천(龍川)과 량하현에 집거해 있으며, 로서(潞西), 영강(盈江), 운룡(云龍) 등지에도 산재해 살고 있다. 이들은 고려공산(高黎貢山) 여맥의 구릉산지와 협곡평원에서 사는 유리한 지리적 우세로 수전농사에 이름이 높다.

아창족은 중국운남 경내에서 최초로 살아온 민족이다. 고대 한문사의 기재에 따르면 이 민족은 아창(峨昌), 아창(娥昌), 아창(莪昌), 아창(阿昌), 아창(棋昌)등 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이는 같지 않은 시기에 불리어 온 이름들이다. 새 중국 성립 후 아창족이라 명명했다.

언어와 문자 : 梁河, 龍川, 潞西 3개의 방언이 있으며, 문자는 없다. 아창족은 자기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장면어족(漢藏語系藏緬語族)이다. 그들은 장기간 한족과 따이족들과 함께 생활해 왔기 때문에 한어와 따이족말을 알고 있다.

운남성의 더홍 태족징퍼족자치주(德홍泰族景頗族自治州)의 龍川 ,梁河등의 縣에 주로 분포하고, 소수는 盈江, 潞西, 瑞麗 및 保山지구의 龍陵 등지에 분포한다.

종 교 : 조상숭배

기 타 : 아창족은 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며, 유구한 역사의 阿昌刀는 날카롭고 아름다우며 견고하다. 은으로 만든 칼집은 꽃무늬를 도안하여 정교하고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은장식, 은학, 쟁반 등의 조각도 굉장히 정교하다.

대부분의 주택마다 뜰이 있다. 집은 말(斗)에 구멍을 뚫은 모양의 목재 대에 양쪽으로 경사면의 꼭대기에 기와를 얹은 집이다.

음 식 : 벼농사를 지으므로 쌀이 주식이고, 부식으로는 옥수수와 감자를 먹는다. 신맛의 음식을 좋아하고 빈랑 열매를 씹는 습관이 있다.

복 식 : 남자는 일반적으로 남색, 백색, 흑색의 맞섶저고리를 입고, 검은 색의 긴 바지를 입는다. 결혼한 여자들은 치마와 소매가 좁은 맞섶저고리를 입고, 미혼여성들은 긴 바지를 입는다. 명절이 되면 여자들은 모두 은장식을 하고, 미혼여성들은 나란히 단 4개의 단추 위에 4가닥의 긴 은사슬을 걸고, 허리까지 이어진 은사슬에 작은 은회색의 합을 달고, 은목걸이, 은귀걸이를 장식한다.

 

와족(wa zu)
Va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351.980(1990). 와족은 주로 운남성 서남부의 서맹(西盟), 창원(滄源), 맹련(孟連),등 현에 집거해 있다.

와족지구는 란창강(瀾滄江)과 싸얼온강(薩爾溫江)사이 누산산맥남단지대에 있다. 산악이 험하고 평원이 아주 적다하여 아와산이라 부른다. 산구의 기후는 비교적 복잡하여 림목생산에 유리하다. 그리고 깊은 삼림에는 코끼리, 범, 곰, 산돼지 등 진귀한 야생동물들이 생활하고 있다.

분 포 : 윈난성의 창위엔(滄源)과 시멍(西盟)이 와(Wa)족의 주요 집거지(58%)이고, 멍리엔(盟連), 껑마(耿馬) 등지에도 분산되어 있다. 이들은 해발 1,000-1,500m, 또는 그 이상의 산에서 사는 산지(山地)민족이다.

와족은 농업을 위주로 하고 부분적인 수렵생활도 하였다. 이들은 또 술을 즐기는데 참대통을 술을 담는 용기로 쓰고 있다.

와족은 춤과 노래를 즐긴다. 이들은 늘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빙 둘러서 손에 손을 잡고 빙빙돌며 춤을 추면서 노래도 부른다.

운남의 서남부의 '아와산'에 살고 있어서 붙은 이름으로, '아와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종 교 : 자연신을 숭배

언 어

와족 언어는 크게 3가지 방언이 있는데, 서로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

1. '와(Wa)' 방언
빤홍(班洪), 젼캉(鎭康) 등지에서 사용, 따이(Dai)족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뿌라오커(布饒克)' 방언
창위엔(滄源), 껑마(耿馬) 등지에서 사용, 한족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아와(阿Wa)' 방언
시멍(西盟), 멍리엔(盟連) 등지에서 사용하는 으로 '아와'산(山)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이들은 외부와의 교류가 적고, 본래의 전통문화와 언어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도시지역을 제외하고는 중국 보통어의 소통이 잘 되지 않는다. 다른 민족에 비해 보통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적다.

문 자

문자는 정부가 '뿌라오커(布饒克)' 방언을 기초로 해서 만들어 준 것과 1930년대 기독교 선교사가 만들어 준 것이 있는데, 후자는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만 사용되다가 기독교인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적어져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민족 역사

와족의 본래의 이름은 '바이푸(百Pu)"였다. 선진(先秦)시절부터 그렇게 불리웠다.
'바이푸'는 수(隋)나라시절부터 청(淸)나라에 이르기까지 점차로 발전하면서 뿌랑(布朗)족, 더앙(德昻)족, 와족으로 나뉘게 되었다.

오늘날의 와족은 더 나뉘어 3개의 커다란 집단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
1. 뿌라오커(布饒克)
란창(滄源), 껑마(耿馬), �쟝(雙江) 일대에 살고 있으며 한족의 언어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아와(阿Wa)
시멍(西盟), 멍리엔(孟連)일대에 살며 와족의 언어와 문화특색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3. 와(Wa)
빤홍(班洪), �캉(鎭康) 일대에 살고 있으며 따이(Dai)족의 언어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위의 3지계 외에도 빠아오커(巴敖克), 빠펀커(巴芬克), 아와(阿臥), 웨이푸(位弗)등이 더 있다.


의 복

남자나 여자나 지역마다 다른 복장을 하고, 지금은 전통복장과 일반 복장을 겸해서 입는다.

남자는 머리를 짧게 자르고 머리에 남색, 검은 색, 붉은 색, 흰색 등의 천으로 두른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옷을 입고, 바지는 넓고 짧은 바지를 입는다. 손에는 은팔찌를 귀에도 귀걸이를 대나무로 엮은 목걸이와 은목걸이를 하며 발에는 아무것도 신지 않는다.
외출시에는 어깨에 장식용 천을 두르고 긴칼과 사냥용 총, 활 등을 지니고 다닌다. 남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지 않고 다니면 용기 없는 사람으로 보여진다고 한다. 칼과 활, 총은 남자들의 용맹스러움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과거의 와족 남자들은 몸에 문신을 많이 했는데, 문신 기술은  族의 도움을 받았고, 문신의 모양은 주로 물소의 머리모양, 새, 산림 등이었는데, 이것은 이들의 자연숭배에 대한 것을 보여준다.

여자들은 머리를 자르지 않고 기르는데, 땋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길게 늘어뜨린다. 그리고 머리카락은 뒤로하여 늘어뜨리고 은이나 대나무로 만든 띠 같은 것을 두르고 검은 천으로 다시 두른다.
귀걸이와 목걸이를 은으로 만들어 하고, 다른 보석도 구할 수 있으면 겸해서 장식을 한다.
허리에도 대나무로 허리띠를 만들어 두르고 다리에는 대나무 등으로 감는다.
어깨 바로 아래의 팔 부분에도 은으로 가락지를 만들어 끼우고, 손가락에도 은가락지를 끼운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짧은 옷을 입고, 하의는 무릎을 덮지 않는 통치마를 입는다. 여자들도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도시지역이 아니고는 신을 신지 않는다.

지금은 일반적인 것은 아니나 와족의 여자들은 태어날 때부터 시작해서 매년 마다 허리나 다리에 대나무 등으로 띠를 하나씩 두른다. 그래서 그 수를 헤아려 보면 그 나이를 알 수 있는데, 이들에게는 나이의 개념보다는 장식의 의미가 더 있는 것이다.

음 식

와족의 주식은 쌀이고 옥수수와 콩류를 많이 먹는다. 또한 이들은 "매운 것이 없으면 밥이 맛이 없고, 소금이 없어도 역시 아무 맛이 없다"고 말한다. 그 매운 맛은 상상을 초월한다. 와족은 남방민족 중에서도 특별히 '삥랑(檳Lang)'을 즐겨 씹는 민족이다. 이들은 '삥랑'을 씹으면 이가 튼튼해진다고 믿고 있으며 이가 검은 색으로 변하는 것을 아름다움이라고 여긴다.

또한 '쉐이지우(水酒)를 즐겨마신다. 곡물로 만든 민족의 전통 술인데, 손님을 접대할 때 이 술이 없으면 안되며, 음료를 대신해서 마시기도 한다.

주 택

와족들의 마을은 대부분 산허리나 산 정상 부근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들은 400호 정도 되는 큰 마을도 있고, 30호 정도 되는 마을도 있다.

와족의 방은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한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초가집의 형태인데, 벽을 나무로 하거나 흙으로 해서 사면을 세우고 지붕에 짚 등으로 얹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따이(Dai)족의 영향을 받은 건축구조로서 대나무나 목재로 방을 만들되 2층으로 하고, 아래층에는 짐승들을 기르고, 사람은 윗층에 거주한다.

방을 주인방과 손님방으로 나누어 사용하며, 문을 3개(鬼門, 火門, 客門)를 내는데, '꾸이먼(鬼門) 밖으로 베란다 형식의 공간을 만들어서 곡식이나 옷가지를 말리기도 하며 여러 가지 물건을 쌓아두는 곳으로 사용한다. '훠먼(火門)은 평상시에 출입구로 사용하는 문으로 鬼門의 오른쪽에 있다. 鬼門의 왼편으로 '커먼(客門)이 있는데, 평상시에는 어린이들이나 손님의 잠자리로 사용되고, 집안에 초상이 났을 때는 있을 때에는 시신을 잠시 놓아두는 곳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와족들은 집을 지을 때 서로 도와서 짓고 다 지으면 주인집에 모여서 축하하며 지낸다.

기 타 : 검은색의 옷을 입고, 여자들은 검고 긴 머리를 아름다움으로 여겨서 긴 머리를 흔드는 춤이 유명하고, 남자는 칼춤이 유명하다. 대나무로 만든 집에서 살며, 굉장히 강인한 민족이다. 과거에는 소의 머리뼈를 집에 거는 것으로 부를 자랑했는데, 심지어 부자들은 따로 창고를 두어 소의 머리뼈를 장식하기도 했는데 많은 집은 500개 이상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와족의 민족 축제
라무구지에 : 라무구지에는 와족의 축제이다. 첫날밤 북을 만들기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산에 가서 나무를 구하여 힘을 모아 마을로 가져온다. 여자의 생식기를 의미하는 작은 구멍을 북위에 판다. 북이 만들어지면, 젊은 남녀들이 북을 북 집으로 옮긴다. 이때가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북 집에 안치가 되면 모두가 박자에 맞추어 북춤을 춘다.
 

 

 

두룽족(dulong zu)
Drung ethnic minority group


다신교, 90%가 운남의 누강유역에 살고 있으며, 리수족, 누족과 함께 거주한다. 두롱족은 현유 5817명의 인구를 가진 민족으로서, 주로 운남성서북부의 노강리수족자치주와 공산두룽족누족자치현경내의 두롱하량안의 하곡(河谷)지대에 집거하고 있다. 두롱족지역은 천백년래 외계와의 반 봉패상태에 있어 농후한 원시사회말기의 특점들을 보유하고 있다. 두롱족은 농업을 위주로 한 농경생산을 해왔으며 채집과 수렵도 가정부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 타 : 두롱의 신화 중에 온 세계가 홍수에 잠겼는데 형과 여동생 둘만 살아 남았다. 그 둘은 결혼을 해서 아홉명의 아들과 아홉명의 딸을 낳았는데, 그들은 둘씩 결혼하여 흩어져 살았다. 그 중에서 셋째아들과 딸이 두롱강에 와서 살면서 자녀를 낳았는데 그들이 지금의 두롱족이 되었다고 한다.

두롱족은 근로하고 용감하고, 우량하고 소박한 도덕관념을 소유하고 있으며, 특히 신용을 중히 여기는데 이는 두롱족의 아름다운 전통미덕이다. 그리고 이들은 늘 집 문을 잠그지 않지만 도적이 들까 근심하지 않는다. 이런 우량한 전통은 지금까지도 보존되고 있다.


언 어

꽁산(貢山)현 안에 4개의 두롱(獨龍)족 촌이 있는데, 그 중에 1, 2, 3촌의 언어는 대부분 같고 4촌의 언어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그리고 꽁산(貢山)현의 누(怒)족과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문 자

문자는 본래 없었으나 1950년대 초기 기독교선교사가 문자를 만들어서 성경을 번역했었는데, 이 문자는 소수의 기독교 신자들만 알고 있었다. 그 후에 이 선교사가 만들어 준 문자를 기초로 병음문자를 만들어서 1984년부터 가르치기 시작했다.

역 사

꽁산(貢山)현의 4개 촌에 있는 두롱(獨龍)족은 누(怒)강지역의 누(怒)족과 아주 가까운 친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이 두 민족의 풍습이나 언어는 상당부분이 같고, 의사소통에도 커다란 장애를 느끼지 않는다.

민족의 역사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정확한 역사를 알 수는 없고 전설을 근거로 하여 알아볼 수밖에 없다. 아주 오래 전에는 怒江을 중심으로 하여 아주 넓은 지역에 자리잡고 있었고, 역사의 흐름 속에서 혈연혼, 남매혼, 모계사회 등의 과정을 겪어 왔다. 이런 역사 속에서 사람의 고기를 먹는 습관도 있었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구가 많아지고 부락을 형성하며 씨족이 생기게 되자 씨족간에, 부락간에 싸움이 빈번하게 되고 패배하는 민족은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때 이주하는 씨족은 강을 중심으로 하여 정착하게 되는데, 그 강의 이름을 자기들의 씨족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통일된 민족의 이름도 없었고, 커다란 한 민족을 이룰 수도 없었다.

명 칭

두롱(獨龍)족은 본래 통일된 이름이 없었고,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이름이나 강의 이름 등을 사용하여 부르곤 했다. 두롱(獨龍)강 양안에 사는 사람들은 '두롱(獨龍)"이라고 불렀고, 띠마(迪麻)강 근처에 사는 사람들은 '띠마(迪麻)"라고 불렀으며 리쑤(LiSu)족은 그들을 '치우파(qiu pa)", 한족은 '치우쯔(qiu zi)", 또는 "취쯔(qu zi)"라고 불렀었다.

1950년 이후에 중국정부에서는 중국 국경 내에 있는 이들을 하나의 민족으로 간주해 두롱(獨龍)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4개의 행정구역(촌)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경 제

농사위주의 삶을 살고 있으나 농업이 발달하지 못해 커다란 수입원이 되지 못하고, 사냥과 식물채집, 그리고 대부분 강가에 거주하기 때문에 물고기를 잡아서 생활을 돕는다.

농사는 화전이 위주이고, 옥수수와 감자, 콩 등을 주로 심는다.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가정용품이나 공구들은 자신들의 손으로 직접 만들어서 사용한다.

의 복

과거에는 옷이 없었고 천으로 왼쪽 어깨를 가리면서 몸을 둘러 옷을 대신했고, 이 천이 밤에는 이불로 변한다. 본래가 전통복장이라고 할만한 어떤 것이 없었기 때문에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외부의 영향을 받아 현대의 간편한 옷을 입기 시작했다.

두롱(獨龍)족의 특징 중의 하나는 과거에 여자들이 얼굴에 문신을 했었다는 것인데, 지금도 문신을 한 얼굴을 볼 수 있고, 두롱(獨龍)족하면 얼굴에 문신을 한 여자의 사진이 대표적인 것으로 표현되곤 한다.

음 식

농업위주의 생활을 한다고는 하지만 옥수수와 감자 등을 농사지어 먹는 외에 산이나 들에 자연적으로 나는 것을 채집해서 먹는 편이다.

음식을 해먹는 방법은 국수를 만들어서 볶아 먹거나 죽을 끓여서 먹는다. 전체적으로 농사법도 발달하지 못했고, 환경의 영향도 있어서 양식이 부족한 편이다.

게다가 술을 좋아해서 음식을 해먹는 만큼의 곡식이 술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곡식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된다. 하루에 두끼를 먹는다.


주 거

자료에 의하면 과거에 동굴 생활도 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두롱(獨龍)족 방의 특징은 장방형이다. 장방형으로 크고 길게 지은 집안에 대가족이 함께 생활을 한다.

한 가정이 늘면 방을 하나 더 늘려 붙여서 크게 확장해 나가는 방식으로 대가족 생활을 한다. 한 집 안에 가정을 구분하는 것은 훠탕(火塘)을보면 알 수 있다. 장방형의 가옥 속에 훠탕(火塘)이 몇 개가 놓여 있느냐를 보면 몇 가정이 한 지붕밑에서 살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혼 례

두롱(獨龍)족은 씨족을 단위로 마을이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가족이 한 집 안에 거하는 대가족제이다.
결혼은 가족 밖에서 배우자를 찾는다. 젊은 남녀들은 꽁팡(公房; 마을 공동의 방)을 찾아 자유롭게 연애를 한다.
성생활이 질서가 없어서 혼전에 아이를 낳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 혼전의 성생활이 무질서하기 때문에 유산은 막내에게 물려주는 습관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결혼을 한 이후에는 엄격한 통제를 받는다. 젊은 남녀가 자유로운 연애를 통해 자기의 배우자를 찾는데 부모는 거의 간섭을 하지 않는다.

장 례

두롱(獨龍)족의 장례법은 토장, 수장, 화장 3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토장을 주로 행한다. 임산부가 난산중 죽어도 토장을 한다. 전염성이 있는 병으로 죽었을 때에만 수장이나 화장을 한다.
토장을 할 경우 모든 시체의 머리가 북으로 향하게 하고 동쪽을 보게 하여 묻는다. 그 이유는 두롱족의 조상이 동쪽으로부터 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화장을 할 경우에는 나무를 탑의 형태로 쌓고 시체를 위에 올려놓은 뒤에 불을 붙여 때운다. 탈 때에는 잘 타도록 주위에 불을 만져주고 완전하게 다 타고나면 그것으로 끝나고 재는 방치해둔다.
사람이 죽으면 모든 마을의 사람들이 와서 보고 위로하는데, 어떤 사람은 큰 소리로 울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시체를 만지기도 하는데, 대부분 술, 계란, 곡식 등을 갖고 와서 장례의 일을 돕는다.

원시종교

두롱(獨龍)족의 전통종교는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으며 자연을 숭배하는 원시적인 종교이다. 하늘에 수많은 혼이 있는데, 그 혼을 '나무(納木)'라고 부르며 땅의 혼을 다스린다고 여긴다.

두롱족의 모든 종교적인 행사는 무당이 주관을 하는데, 이 무당을 '나무싸(納木薩)"라고 부르며 '싸(薩)'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서 곧 '나무(納木)'의 도움을 입은 사람, 또는 '나무'의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이 무당은 계승을 하거나 배워서 하는 것이 아니고 '나무'가 어떤 사람의 몸에 임하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두롱족 사회에서 무당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두롱족은 사람이 이 세상에 살아 있을 때 9개의 혼이 몸에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에 이 9개의 혼 중에 어떤 하나가 몸을 떠나면 몸이 불편해지고, 여러 개의 혼이 떠나면 몸이 병을 얻으며 많은 수가 떠날수록 몸의 병은 더욱 중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병이 나면 무당을 불러서 혼을 불러오는 굿을 한다. 혼을 많이 불러와야 병이 빨리 낫는다고 여긴다.

사람이 죽으면 그의 몸에 있던 모든 혼은 사라지게 되고, 사람이 변해서 영이 되는데, 이 영은 자연계에 있는 혼과 구분하고 '아시(阿席)'라고 부른다. 이 '아시'는 사람이 이 땅에 살았던 만큼의 시간동안만 존재하다가 남자는 파란색, 또는 하얀색의 나비로 변하고, 여자는 여러 색의 나비로 변했다가 나비가 죽으면 영도 함께 사라진다.
두롱족의 사고 속에는 자연계의 모든 혼은 사람을 돕거나 보호하거나 하는 것은 하나도 없고, 모두가 해롭게 하는 것으로 여긴다. 두롱족은 조상을 숭배하지는 않는다.


기독교

기독교의 전래는 1930년대였는데, 윈난성 누장(怒江)주 꽁산(貢山)현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제일 먼저 도착한 사람은 미국선교사 '모얼쓰(莫爾斯)'부부였다. 이들은 본래 스촨(四川)성의 '파탕(巴塘)이라는 곳에서 선교하였다. 그런데 이 지역은 장(藏)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모든 사람들이 민족 종교인 라마교를 믿고 있어서 전도하려다 문제가 발생해서 견디지 못하였다.

미얀마로 도망을 하던 중에 꽁산(貢山)현에 있는 두롱족마을에 도착하게 되었고, 두롱족의 도움으로 두롱(獨龍)강을 건너서 미얀마에 도착했다. 1935년에 이들은 국민당 정부가 발행한 선교허가증을 갖고 다시 두롱강 지역으로 와서 교회도 짓고, 전도도 해서 교회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 후로 복음전파가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빠르고 쉽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다른 지역에서 이미 성경을 배우고 온 이웃민족(리쑤(LiSu)족,누(怒)족 등)들이 이 지역에 들어와서 함께 일을 했기 때문이었다.

금 기

- 사람이 죽은 후 다음날, 곧 매장하는 날에는 모든 마을의 사람들이 노동에 참가하지 않는다.
- 아이를 낳을 때에 절대로 방에서 낳지 않고 밖에서 낳은 후에 몸을 씻겨서 방으로 데리고 들어온다. 또 친정집에 가서 아이를 낳는 것도 금하고 있다.

- 무당이 혼이 있다고 말한 지역에서는 누구도 농사를 지을 수 없다.
- 노동 중에 뱀을 보고 죽였으면 바로 일을 멈추고 쉰다. 그렇지 않으면 더 많은 뱀이 온다고 생각한다.
- 남녀를 불문하고 이성의 앞을 지나가면 안되고 뒤로 돌아서 지나가야 한다.

카취에와지에(KaQueWa節)(음력 11월 또는 12월)

두롱(獨龍)족의 유일한 절기로 신년의 의미에 해당하지만 고정된 날이 없고 각 마을에서 스스로 기간을 정하여 지낸다. 이 절기 기간에는 각 가정마다 친구들과 친척들을 초청해서 함께 즐긴다. 절기 기간에는 모두가 자기의 옷 중에 제일 좋은 옷을 입고 술과 고기로 잔치를 한다.

절기의 활동 중에 절정에 해당하는 것은 '퍄오니우(剽牛)'로써 소를 묶어 놓고 대나무 창으로 소의 급소를 찔러 죽이는 것인데, 이 활동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소를 찌르기 전에 노래와 춤으로 즐긴다. 이들은 이러한 활동이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을 보장하고 가축도 번성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교통편

- 쿤밍(昆明) - 리우쿠(六庫) : 버스로 대략 16시간
- 리우쿠(六庫) - 꽁산(貢山) : 버스로 약 8시간
- 꽁산(貢山)에서부터는 다른 교통편이 없고 가장 가까운 두롱족의 마을까지 3일을 걸어서 가야 한다. 물론 가는 길에는 노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양식과 장비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獨龍族지역에는 먹을 것이 적기 때문에 방문한 사람이 가지고 갔던 음식을 나누어주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 최근 꽁산에서 두롱족 마을까지 도로가 건설되고 있다. 1년 내외의 기간 중에 완공될 예정이다.

 

 

지노족(jinuo zu)
Jino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지누오족은 현유인구가 18,021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성 서장반납따이족자치주 경홍현 지노민족향에 집거해 있고 일부분이 경홍현 맹왕(孟旺), 맹양(孟養), 감람패(橄欖覇), 대도강(大渡崗)과 맹랍(孟臘)현의 상명(象明), 맹륜(孟侖) 등지에 분산되어운남의 지누어산에 살고 있고, 그로인해 지어진 이름이다.

분 포

윈난성 시�빤나(西雙版納)주의 지눠(基諾)산과 푸위엔(補遠)산에 살고 있다.

종 교 : 조상숭배.

생 활 : 지노족이 집거한 지노산은 열대산지역에 속하며 토지가 비옥하고 강우량이 충족하다. 이곳은 이름난 차잎 생산지로서 국내외에서 유명한 6대 차잎 생산지이다. 지노족은 예로부터 농업을 위주로 생활해왔으며 벼, 면화, 옥수수가 그들의 전통농작물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누오족 사회발전이 매우 더딘 바 50년대 초기까지 여전히 원시사회말기로부터 계급사회로 과도하는 농촌공사단계에 처해있어 생산력수준이 매우 낮다. 그들은 보편적으로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자연을 숭상하고 선조를 숭상한다.

지누오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한다. 자체의 문자가 없기에 지난날 나무와 참대에 조각하는 것으로 일을 기재했다.

언 어

인구는 적은 민족이지만 '요우러(攸樂)', '푸위엔(補遠)'등 두 종류의 방언이 있다.
지눠(基諾)산 일대에서 사용하는 '요우러(攸樂)'방언이 주된 언어로서 90%정도의 인구가 이 언어를 사용한다. '푸위엔(補遠)'방언은 10%정도의 인구가 사용하는데, 두 방언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정도의 차이를 갖고 있다.
이 민족은 교육과정에서 자기 민족의 언어와 한어(漢語)를 함께 배우며 사용한다.

문 자

본래 문자는 없었고 1983년 라틴자모를 기초로 해서 병음법으로 만들어내긴 했으나 아직 정식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시험하는 단계에 있다.

민족이름의 유래

지눠(基諾)족은 1979년 9월 중국 국무원으로부터 정식으로 인정받은 소수민족이다.
본래 자기들이 부르던 이름을 민족의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또 다른 이름은 '요우러(攸樂)'라고도 부른다. '지(基)'는 외삼촌이라는 의미이고, '눠(諾)'는 후대라는 의미가 있다. 이 말은 합쳐서 외삼촌을 매우 존중하는 민족이다라는 의미도 있다. 아무튼 이런 이름이 모계중심사회를 형성했었던 흔적을 보여주며, 또 그 시기가 길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민족역사

민족의 역사는 몇 가지의 전설에 의해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문자로 정리된 것이 없기 때문에 어떤 것이 정사인지는 아직 아무도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고 인정받는 전설에 의하면 지눠(基諾)족의 조상이 거주하던 곳은 본래 '지눠(基諾)'산이 아니고, 지눠산 부근의 '쥬어지에(卓杰)'산의 산등성이었다.
차츰 환경에 의해 이주하여 거주하게 된 곳이 '지눠'산이고, 그 산을 '지눠'산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그들의 이름을 따라서 부르게 된 것이다.
지눠족은 혈연사회시기에 모계 중심적인 사회구조를 갖고 살았었고, 약 2-300년 전에 부계중심사회로 전환을 하였는데, 점차로 생산력의 발전함에 따라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자본주의의 첫 계단에 발을 딛게 되었다.

중국의 중앙정부가 이 지눠(基諾)족을 통치하기 시작한 것은 청조(淸朝)시대 부터였는데, 직접 관을 세우고 병사를 파견하여 다스린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그렇지만 청(淸)정부가 따이(Dai)족 '투쓰(土司;세습추장)를 파견하여 다스린 시간은 길었고, '투쓰(土司)'는 매년 지눠족에게 일정한 양의 곡식을 바치도록 했다. 따라서 지눠족의 생활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의 복

남자의 상의는 꽃을 수놓은 천으로 소매가를 두른 깃이 없는 흰색의 마로 만든 옷을 입고, 하의는 흰색, 또는 푸른색의 긴바지를 입는다. 여자의 상의는 화려하게 수놓은 천으로 장식된 깃이 없는 옷을 입고, 하의는 붉은색으로 테를 두른 검은색 짧은치마로서 앞이 트여 있고, 겹쳐있는 형태이다. 근래에 들어서 긴 치마도 입고, 다리를 천이나 끈으로 두르기도 한다. 머리에는 흰색 두꺼운 마로 만든 피라미드 형태의 모자를 쓴다.
남자나 여자 모두가 귀에 구멍을 내는데, 구멍이 클수록 아름답다고 여긴다.

음 식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고, 찹쌀은 주로 손님을 접대할 때 사용한다. 채소들은 심어서 먹기도 하지만 야생식물들이 많아서 채소를 대신하기도 한다. 이들은 음식을 할 때 대부분 찧어서 만든다. 그래서 이들은 "한(漢)족은 볶아서 먹고, 따이(Dai)족은 양념을 찍어서 먹고, 지눠족은 찧어서 먹는다."고 말한다. 이들의 음식은 맵고, 짜고, 시게 먹는다.

주 택

지눠(基諾)족의 방은 대나무를 사용하고, 짚으로 지붕을 얹어서 2층으로 만든다. 사람이 거주하는 곳은 2층이고 1층은 사방의 벽이 없다.
1층에는 농기구 등을 놓아두거나 가축을 기르는 장소로 사용된다. 2층의 방은 여래 개를 만들어 노인, 부부, 자녀 등을 구분해서 사용하는데, 손님을 위한 방까지도 만든다.

지눠족이 거주하는 곳은 비교적 더운 기후이기 때문에 집을 짓는데 경제적인 부담이 그리 많은 것은 아니지만 집을 새로 짓게 되면 꼭 제사를 지내고 이웃들이 함께 축하하는 등 좋은 일로 여기고 즐겁게 지낸다

출처 : 배보의 중국 이야기
글쓴이 : 배보 원글보기
메모 : Best 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