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목질펠릿은 톱밥과 대팻밥 등의 기계가공 절삭톱밥과 같이 목질부만을 원료로 하여 성형한 WhitePellet와 수피를 분쇄하여 성형한 BarkPellet, 또한 임지잔재와 간벌재, 제재피죽과 같이 수피붙은 원목을 분쇄하여 사용한 전목Pellet가 있다.
그러나 일부 사업소에는 이러한 3종류의 원료를 로트별로 하여 복수의 펠릿을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 사업장별로 주로 생산하는 펠릿의 품목을 살펴보면 전목펠릿이 19개소, 화이트펠릿이 16개소, 수피펠릿이 3개소로, 품목별 생산량별로 구분하면 화이트펠릿이 76%, 전목펠릿이 16%, 수피펠릿이 9%로 조사되였으며, 일본산 펠릿의 약 2/3가 화이트펠릿이다.
또한, 화이트펠릿은 일본에서도 대규모 집성재공장에서 공장잔재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전목펠릿에는 삼림조합과 소재생산을 겸하는 사업체, 수피펠릿은 목재췹제조와 지역의 목재공장에서 배출되는 수피를 집하, 이용하는 사업체가 각각 중심적이다. 한편, 구미 여러나라의 목질펠릿은 공장잔재 또는 박피원목을 분쇄한 원료를 이용한 화이트펠릿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2.2 목질펠릿 생산구조
2.2.1 사업장의 입지 및 업종
일본의 목질펠릿제조사업소는 전국 47개소 정도가 가동하고 있는데, 북해도 8, 이와데 4, 나가노/고지 3, 동북 7, 관동 5, 혹구이구 3, 긴끼4, 쥬고구 4 기타 각 지자체 등지로 분포하고 있고, 2008년에는 55개소로 추정되고 있다.
28개소를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결과에 의하면 사업장의 경영조직은 주식회사, 유한회사가 15(53%), 협동조합, 삼림조합11(39%), 기타 개인등 2(7%)이다.
조사대상사업소의 주요한 업종분포로서 펠릿제조를 위해 생산조합이나 협동조합을 설립한 곳이 4개소, 회사를 설립한 것이 2개소, 기타 1개소 등 7개 사업장이 펠릿제조의 전업형태이며, 육림과 소재생산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벌재, 임지잔재 등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한 펠릿제조를 하는 삼림조합과 산림조합이 6개소, 집성재와 가구, 목공제품, 제재목, 프리커트, 목질보드, 목재췹 등 목재가공업이 본업으로 그 가공과정에서 배출하는 잔재이용을 목적으로 펠릿생산이 10개소 이다.
그 외 산업폐기물처리업이 중간처리로서 펠릿제조를 하는 곳이 3개사, 같은 목질연료이지만 고형연료로서 주로 오가탄이나 브리게트를 제조하는 1개사가 있다.
이와 같이 일본의 펠릿제조는 본업으로 전업하는 형태와 임업생산과 겸업, 그리고 목재가공업의 부대적인 제조활동 형태 등의 3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진다.
2.2.2 펠릿사업의 착수 동기
조사대상 2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펠릿사업 착수의 동기에 대한 조사결과 지역과 자사업체의 미이용 목질자원의 유효이용을 도모가 35%, 지역에너지의 공급과 목질자원의 순환이용을 도모가 28%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정은 그 주체가 지역목질자원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새롭게 설립한 협동조합과 회사, 또는 본업에서 발생하는 잔재 등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삼림조합과 목재가공회사 등에서 시작 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동기가 환경보전, 자원이용 및 활용에 관련된 행정시책과 상응하여 설비투자의 보조제도 등이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2.2.3 펠릿사업의 지원체제 등
본내용은 펠릿사업개시점에서 지역의 바이오매스 연구조직과 목재산업,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관련산업 등에서 지원을 받았는가에 대한 회신내용을 정리하였다.
1) 지역지원조직
지역바이오매스협의회와 임재업대책협의회 등의 지원을 받은 업체는 28개소 중 4개업체이다
2) 지역임재업에서의 자금적 조성과 펠릿원료의 제공
지역임재업에서 자금조성을 받은 곳은 4개업체로 적지만 간벌재와 수피, 제재피죽, 톱밥 등은 지역의 삼림조합과 목재산업에서의 원료제공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으며 원료제공에 대한 지원이 없는 사업체는 대형집성재와 가구, 목공품제조 등이 포함하고 있어 자사공장에서 배출하는 가공톱밥을 원료로 하고 있었다
3)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자금적 조성
자금조성이 있는 사업체가 15개소로 삼림조합과 협동조합이며, 없는 사업체가 13개소로 민간회사로 이것은 제도자금으로서 채택조건에 크게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관련산업계에서의 기술적 지원
사업 개시점에서 제조방법과 설비선택 등에 대해서 대상업체 중 21개사업소는 선발 동업자를 중심으로 플랜트회사, 기술컨설팅회사 등에서 기술적인 지원을 받았으며 펠릿제조에는 많은 기술적 과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5) 펠릿 판매촉진에 대한 지원
판매면에는 지방자치기관(시정촌)의 지원을 받고 있는 사업체가 14개소 였는데, 그 내용은 일반소비자와 공공시설의 연소기기의 도입에 대한 지자체에서의 보조, 융자제도, 자치기관의 소비자에 이용촉진에 대한 홍보와 세미나 등의 보조 등 다양하게 지원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