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개념계획서 도입의 의미

구봉88 2018. 1. 22. 09:00

1.산자부 산하기관(시행부처)

 

2. R&D전담기관

 

2-1. 한국 산업기술 평가 관리원


KEIT(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1. 한국 산업기술 진흥원


KIAT(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2-3. 한국 에너지기술평가원


KETEP(Korea Institute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1. 개념계획서 도입의 의미

 

개념계획서 도입 '효과'... 중소·중견기업 참여 늘어

 

정부의 개념계획서 제도 도입으로 중소·중견기업 신규 참여가 늘어나 정부 연구개발(R&D) 과제 경쟁률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계획서는 사업계획서를 평가하기 전에 아이디어 중심으로 작성한 5쪽 내외의 개념계획서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다. 올해는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 등 3개 사업 256개 과제에 1386억원 규모에 적용됐다.

8일 산업부의 '2015년 상반기 개념계획서 접수·평가 결과'에 따르면 2월 현재 256개 과제에 모두 1331개 개념계획서가 접수됐다. 경쟁률 5.21로 지난해 4.31보다 21%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산업부 R&D 참여 경험이 없던 중소·중견기업이 제출한 과제는 지난해 263개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한 653(49%)로 집계됐다. 접수된 개념계획서에 대한 개념평가에는 665개 과제가 통과해 2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산업부는 개념계획서 제도가 효과를 보고 있다고 판단, 5월부터 시작되는 본(대면) 평가에서 전문성 향상 및 역량 있는 수행기관 선정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그동안은 평가위원이 당일에 모여 평가 충분한 검토·평가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있었다"라면서 "올해부터 내실 있게 하기 위해 대면평가 이전에 사업계획서를 2주 동안 살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또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과제 신청자간 상호 발표·토론을 거치는 토론평가를 도입한다.

상호 토론을 통해 기술개발 방법론의 장·단점을 비교해 우위에 있는 신청 기관이 가려지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발표·토론은 중장기·대형 품목지정형 과제, 지정공모형 과제 등으로 나눠 진행되며 평가위원은 기업정보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개 질의는 하지 않는다.

차동형 산업부 산업기술정책관은 "개념계획서 단계에선 복잡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과제 신청자, 정부 R&D 경험이 많지 않은 중소·중견기업의 참여가 쉽다"면서 "정부 R&D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민간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발굴·접수된 것"이라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