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발해(渤海)지역 도시집단
얼마전에 열린 2008년 중국도시칼럼 베이징 고위급 회의에서 베이징 국제도시 발전연구원은 중국 도시 종합경쟁력 보고를 발표했다.
3개 지역 도시 경제발전 주요동력
개혁개방 30년은 중국 도시화 과정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력을 미쳤다. 1978년의 17.9%로 부터 1998년의 30%,그리고 2007년의 44.9%까지 중국의 도시화 수치는 27%가 향상됐다.
21세기는 세지역이 경제 발전의 주요한 동력원으로 발전하였으며 이 세곳을 포함한 이름의 기업이 국제적으로도 경쟁력을 갖춘 업체의 주류가 되었다. 21세기로 들어선 후 중국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안정적인
규모를 갖춘 도시지역들로 우뚝 솟고 있는 것이다.
이는 장강, 주강 삼각주, 발해의 청위(成渝), 관중(关中), 우한(武汉), 창주탄(长株潭)등 집단도시 지역들이다.
발해 지역 인근도시들 급속도 발전
베이징, 천진을 포함한 허베이(河北),산둥(山東),랴오닝(堯寧) 반도 등 20여개 도시를 주로한 발해지구는 여러차례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다.
발해지구는 중국 북방 핵심 경제구의 중요한 구성지역으로서 우수한 기초를 갖추고 있으며 천연 자원과 인력 자원이 뛰어남과 동시에 중국 북방에서 가장 큰 해양 및 대륙경제를 연결하는 요지이다.
개발 능력과 금융업이 유독 발달한 이곳은 그러한 이유로 외국기업으로부터 많은 투자를 이루어내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통계 자료에 의하면 현재 전세계의 80여개 다국적 기업이 중국에
연구 기지를 설립했는데, 그 중 40%이상이 베이징이며 천진(天津)에 있는 외국기업은 현재 1만여개 수준이다.
대련(따롄)은 외자기업의 수량과 질적인 차원에서 전국에서
일류수준이다.
또한 2007년 발해지역의 GDP는 2조7,888억 위안으로서 전국 GDP의 11.3%를 차지했으며 장강삼각주와 주강삼각주에 버금가는 중국경제의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경제구이다.
3대지역이 이끄는 중국경제
현재 중국의 경제판도는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그리고 발해지구 이렇게 3대 지역이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8년까지 장강삼각주, 주강 삼각주와 경진지’京津冀’(베이징, 천진, 허베이)삼대 경제구는 전국의 25.5%의 인구를 차지하고 전국 GDP의 46.5%를 차지했다.
또한 공업과 서비스업 증가치의 각각 49.9%와 51.3%이고 77.9%의 수출량, 93.7%의 외자사용률과 과학 기술 연구개발의 57.5%의 성적을 일궈냈다.
이 3대 지역은 중국 사회 및 경제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미래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와 발해지역의 GDP 공헌율은 70%을 초과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베이징 국제도시 발전연구원 창렌위(长连玉)원장은 3대지역의 발전은 기타 인근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경영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위안화 전략 (0) | 2010.04.03 |
---|---|
중국의 유망직업 (0) | 2009.10.26 |
중국투자시유의사항 (0) | 2009.07.16 |
중국환경산업 장려 (0) | 2009.06.25 |
[스크랩] 中 농업부, ‘특색 농산품 지역 포석 계획(2006~2015년)’ 발표 (0) | 200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