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부처주요지자체

2020년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RFP)

구봉88 2020. 1. 30. 01:08

행정안전부 공고 제2020-50

 

2020년도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공고

 

행정안전부 2020년도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의 사업별 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00123

행정안전부 장관

 

1. 사업목적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현장 문제해결 및 국민 삶의 질 향상 등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함

 

2. 사업개요

(단위 : 백만원)

재난안전 연구개발 (R&D)

사업비

합 계

65,388

1.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

7,718

2.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개발

5,600

3. 재난안전산업 육성지원

4,650

4.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9,700

5.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 개발

4,230

6.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1,242

7.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4,923

8.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개발(다부처)

11,399

9.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14,823

10. 재난안전 연구개발 사업관리

1,103

연구내용, 기간 및 연구비 등 상세내용은 사업별 시행계획 참조

3. 신청 자격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4

국립·공립 연구기관

②「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또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

③「특정연구기관육성법에 따른 특정연구기관

④「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산업대학·전문대학 또는 기술대학

⑤「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14조제1항제2호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기업의 연구개발전담부서

⑥「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⑦「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에 따른 연구개발서비스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

의료법에 따라 설립된 의료법인 중 연구인력·시설 등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16조제2항에서 정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의료법인

⑨「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법에 따른 산업기술연구조합

⑩「민법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재난·안전 분야의 법인인 연구기관 및 단체 중 3년 이상의 연구경력을 가진 연구전담인력 5명 이상을 확보하고 독립된 연구시설을 갖춘 국내외 연구기관 및 단체

, 사업별 신청자격의 상세내용은 사업별 신규과제 공고문 참조

 

4. 신청 절차 및 일정

’20. 1월 사업별 신규과제 공고문 참조

 

5. 사업공고

행정안전부(www.mois.go.kr), 국립재난안전연구원(www.ndmi.go.kr), 행정안전부 연구개발사업 관리시스템(rdms.mois.go.kr),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에 공고

 

 

2020년도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2020. 1. 2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80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85pixel, 세로 480pixel

 

 

 

목 차

 

 

 

 

 

 

 

 

. 계획수립 개요 1

 

. 2019년 주요성과 2

 

. 2020년 추진방향 및 중점추진과제 7

 

. 2020년 사업별 세부 시행계획 12

1.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 12

2.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개발 14

3. 재난안전산업 육성지원 16

4.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17

5.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개발 19

6.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21

7.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2

8.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개발 23

9.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26

 

 

. 2020년 사업 추진 계획 28

 

참고자료

참고 1. 세부사업별 예산현황 29

참고 2. 2020년도 신규 연구과제 설명자료(요약) 35

참고 3. 2020년도 과제관리 주요 변경사항 62

 

계획수립 개요

1.근거법령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6(공고 및 신청)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면 사업별 세부계획을 미리 30일 이상 공고하여야 한다.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및 평가지침 등

18(시행계획 수립) 장관은 매년 추진해야 할 연구개발사업의 목표, 내용과 수행방법 등이 포함된 연도별 사업시행계획을 수립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22(시행계획의 공고) 장관은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때에는 사업별 시행계획을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 미리 30일 이상 공고하여야 한다.

2.추진경과

재난안전 산업육성 지원, 취약기술 강화 및 다부처공동 사업 등 ‘18년도 사업(’173개 사업 ‘18년도 7개 사업) 추진 확대 (‘17.12)

‘18년도 계속(3): 극한재난 대응기반 기술,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 재난예측 및 저감 연구

‘18년도 신규(4): 재난안전 산업육성지원,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공간정보 제공 기술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등 신규 추진 및 사업운영비 통합 등 ‘19년도 사업(’187개 사업 ‘19년도 11개 사업) 편성 (‘18.12)

‘19년도 계속(7): 재난안전 산업육성지원, 극한재난 대응,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공간정보 제공 기술, 재난예측 및 저감 연구

‘19년도 신규(4):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스마트 도로조명 활용, 연구개발 사업관리

지역 맞춤형, 폭염 대응 등 신규사업 추진 및 다부처공동부처협력사업 통합관리 ‘20년도 사업(’1911개 사업 ‘20년도 10개 사업) 편성 (‘19.12)

‘20년도 종료(1): 재난예측 및 저감 연구

‘20년도 계속(7):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재난안전 산업육성지원, 극한재난 대응,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 재난안전연구개발 사업관리

‘20년도 신규(3):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지역맞춤형 문제해결 지원,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

 

2019년 주요성과

 

1. 정책 및 제도 개선

[대외] 재난안전 R&D 협력 체계 강화 및 추진 전략 체계화

사각형입니다. 지역 현장 문제해결 강화를 위한 협의체 확대 운영

- 실제 재난대응 주체인 지자체의 재난안전 R&D 협력 참여 유도를 위해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로 확대운영

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과 연계 추진

 

재난안전 연구개발 부처 협의체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0b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78pixel, 세로 40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0b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98pixel, 세로 412pixel

- 현안별 본회의 및 분과위 운영을 통한 실질적 R&D 협업 제고

중앙-지방 재난안전 R&D 협의체 운영지침 개정’, ‘아프리카 돼지열병 긴급 R&D 발굴등 현안 논의를 위한 전체회의 3회 개최 (4.30./8.21./10.28.)

긴급대응’, ‘현장대응등 분과위 운영을 통해 실질적 문제해결 협업 강화

사각형입니다. 국가 R&D 효율성효과성 제고를 위한 상생적 협력 강화

- 과학기술적 재난안전 문제해결을 위해 활발한 논의 및 연구개발 추진 예산사업 확보 등 확고한 협업 체계 정착

협의체를 통해 긴급대응연구, 지역맞춤형 사업 등 추진과제 논의 및 확정

- 현장대응 현업기관(행안부, 소방청, 경찰청, 해경청) R&D 사업간 연계 및 효율적 사업관리 운영 강화를 위한 공동전문관리기관 지정

’20년 신규사업을 대상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에서 공동관리

[대내] 수요자 중심 사업 발굴 및 재난안전 R&D 공감도 제고

사각형입니다. 중앙부처, 국민, 지자체 등 수요자 맞춤형 R&D 발굴기획

- (공무원) ‘21년 재난안전 현장문제해결을 위한 R&D 기술수요조사(6.20.~7.31.) 및 전문가 의견수렴(8.14.)

과학적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인공지능 활용 기술 수요 발굴(38)

- (국 민) ‘20년 국민수요 맞춤형 R&D 아이디어 공모(4.22.~5.17.)

아이디어 공모(194)전문가 멘토링 열린토론회를 통해 ’20년 신규과제 발굴

 

< 재난안전 R&D 기술수요조사아이디어 공모전 및 열린토론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9 생활안전혁신아이디어 경진대회 포스터_최종.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5pixel, 세로 9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홍보팝업.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5pixel, 세로 291pixel

사각형입니다. 재난안전 R&D 성과확산을 위한 국민참여 평가 등 운영

- 범부처 재난안전 R&D 성과 창출 견인 및 성과홍보를 위한 제1회 재난안전 우수성과상 신설, 범부처 R&D 성과 요약집 발간배포

17개 부처청 재난안전 R&D 우수성과 공모(7.23.~8.23., 34), 성과검증(8.23.~9.3.), 연구성과 우수성·활용성·파급효과 등의 선정평가(9.4.)를 통해 장관상 7점 수여

- 재난안전 R&D 성과의 국민 공감도 제고를 위해 ’17행안부에서 국내 최초로 우수성과의 국민참여 평가체계 안착

국민에게 다가가는 성과 홍보를 위해 ’17년 울산, ’18년 서울, ’19년 대전 순회 개최

사각형입니다. 성과 사용자(end-user) 기반 신규사업 발굴 및 구조 개편

- ’19년 내역사업으로 추진한 지역 맞춤형 사업 ’20년 신규 사업화 확대

- 다부처공동, 부처협력사업을 통합하여 사업관리 체계화 추진

2. 주요 연구성과

과제명

스마트형 실시간 재난현장정보 공유기술개발 -’19년 우수성과 평가 우수상-

과제개요

재난안전 상황관리 요소기술 개발 및 재난안전정보 활용체계수립을 통한 정보수집-분석-판단-대응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국가 재난 관리체계 구축

주요성과

묶음 개체입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5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3pixel, 세로 414pixel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통일된 정보제공 체계 부재

단편적 재난정보 수집·표출로 인한 재난상황 의사결정 지원 한계

대부분의 재난상황관리를 문서·전화 등에 의존하여 상황대처 능력 저하

 

GIS기반 재난정보 오픈플랫폼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구축

재난현장 상황관리 모니터링 체계 구현

공간정보 분석기술을 활용한 의사결정지원

사용자 맞춤형 시나리오기반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콘텐츠 개발

과제명

대규모 복합피해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복구방안 연구 -’19년 우수성과 평가 장려상-

과제개요

우리나라 재해, 지형 등 지역특성에 맞는 도시계획, 경제, 문화 등을 고려한 지역단위 복구모델 개발

주요성과

묶음 개체입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5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3pixel, 세로 414pixel

특별재난지역으로 감당할 수 없는 대규모 재난 시 즉각적인 복구가 어려움

대규모 피해지역의 신속한 지원 및 지역 맞춤 복구를 위한 법률 제개정 필요

 

대규모 복합피해 복구 관련 특별법 제정

복구시기별, 분야별 관계를 고려한 종합적 복구계획 수립

대규모 재난 시 도시전체 및 지역차원의 복구기법 개발

과제명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도시지역별 복합원인의 홍수 취약성 평가기술 개발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개요

홍수취약성 평가기술 및 홍수피해 대처계획 수립기술 기반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도시 재해예측 및 관리시스템 개발

주요성과

묶음 개체입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5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3pixel, 세로 415pixel

내외수 복합원인을 고려한 홍수취약성 평가 기술 개발 필요

거대재해 발생에 대비한 연안지역의 피해예측 및 재해저감기술 부족

 

연안도시 재해예측 및 관리 시스템 개발

복합원인 연안도시 침수예상도 구축

연안도시 홍수취약성 평가도 개발

침수피해 저감 대응대피 계획도 작성

과제명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지향성스피커 등을 활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개발

과제개요

각종 재난·재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효 데이터 수집을 통해 위험 요소 방지 및 재난 상황 전파 체계 구축

주요성과

묶음 개체입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e5c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3pixel, 세로 414pixel

신속한 초기 대응으로 인명 보호구조 시스템 개발 사회재난대응 관리체계 구축 필요

ICT기반의 사회재난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개발 필요

 

IoT, 인공지능 CCTV, 지향성스피커 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위험탐지 시스템 개발

자동 모니터링, 객체인식, 위험상황인지 및 상황 맞춤형 조기경보상황전파 시스템 개발

과제명

차량 번호판 인식을 통한 화재 등 재난상황 경보 알림 시스템

과제개요

화재 등 재난발생시 휴대용 차량번호판 자동인식을 통한 위험 상황 정보 전달 요소기술 개발

주요성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f6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pixel, 세로 271pixel

화재현장 불법주차로 인한 화재 진압 시간 지연 등 문제

재난 발생 시 차량 소유주에게 즉각 알림 서비스 부재

 

차량번호판 인식을 통한 사전적, 선제적 차량 소유주 정보공유

불법 주정차 차량 이동 주차로 화재 현장 적기 대응 지원

과제명

IoT 기반 도심지 건설현장 상시안전 관리시스템 개발

과제개요

도심지 건설현장의 위험요인 모니터링을 위한 굴착현장 주변 구조물 안전성 평가 도구 개발

주요성과

 

 

 

 

 

 

 

 

 

 

(As is)

 

(To be)

실시간 감지 부재로 인한 조기 대응 한계

대규모 사후 처리 반복

센싱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위험 수준에 따른 적정한 행동 대응 정보 제공

 

2020년 추진방향 및 중점추진과제

 

1. 2020년 추진방향

묶음 개체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전 략

 

추진과제

 

 

 

‘SMART’3차 재난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의 주요 패러다임으로,
Suitability (국민맞춤형서비스), Market (재난안전산업), Advance (첨단기술), Reality
(실증/참여형), Together (협업형) 가치의 재난안전 R&D 추진 방향성을 의미

2. 2020년 중점추진과제

사각형입니다. 신규 자연재난 유형인 폭염 및 대응 경험이 많지 않은 지진 등에 대하여 재난안전기술 개발을 위한 신규 투자

(신규) 지역, 위치 등에 따라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폭염 대응을 위한 과학 기술적 분석 기술개발 등 신규 투자

(신규) 지진 피해 시설물의 안전도 진단 및 보강기술 개발 등 지진 복구 현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개발 신규 투자

 

신규 과제 추진 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f24001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47pixel, 세로 953pixel

도심환경을 고려한 폭염 저감 기술 최적화 개발

사각형입니다. 지역현장 문제해결 연구개발 신규 지원 및 국민 체감형 연구개발사업 투자 강화

(신규) 지역별 재난안전 이슈 등을 반영한 현안을 지역사회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지역주도의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지원 사업 추진

(계속) 일반국민, 관련 종사자, 연구자 등의 아이디어 기반으로 재난안전 불안요소를 해결하는 국민 체감형 R&D 사업 지원 강화

 

신규 과제 추진 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cac224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54pixel, 세로 898pixel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연구개발

사각형입니다. 재난안전기술 사업화 지원 등 재난안전 산업육성 지원

(계속) 미세먼지 저감, 안전취약계층사고 예방 등 재난안전기술 사업화 지원을 위한 재난안전 산업육성 지원 범위 확대

신규지원 품목 : (’19) 10/21.5억원 (’20) 11/25억원

연구 지원 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10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63pixel, 세로 719pixel

재난안전 산업육성지원 사례

사각형입니다. 빅데이터 등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연구개발 추진

(신규) 연구 추진이 미흡한 사회재난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안전도 분석 기술 및 플랫폼 개발에 신규 투자

(신규) 5G 기반 차세대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고도화을 위한 기술개발 신규 투자

사각형입니다.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을 위한 기술 개발 추진

(계속) 행정안전부의 과학적 재난관리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해 재난안전 30대 핵심역량 확보를 위해 6개 내역사업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

* 문제해결형, 현업적용형, 제도보완형, 이슈대응형, 재난안전 협업형, 영향예보

(신규) 법령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기준 분석기술 개발, 대규모 재난대피 시뮬레이션 기술개발, 지역안전의식 수준 측정기술 개발 등 추진

사각형입니다. 복합적 이슈 및 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공동사업 확대

(계속) 스마트 도로조명 활용 도시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국토부, 행안부 등), 긴급대응연구지원(행안부, 과기정통부), 자연재해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기상청, 행안부, 국토부 등)

(신규) 디지털트윈 기반 화재재난 지원 통합 플랫폼 개발(과기정통부,행안부, 산업부, 국토부) 신규 다부처공동사업 추진 등 협업 강화

3. 2020년 대상사업 및 추진체계

2020년도 사업 및 투자규모 : 654억원 (’19년 대비 118억원 22% 증액)

구 분

사업규모(억원)

’20년 과제 수

운영기관

’19

’20

증감

신규

계속

합 계

536

654

118

96

43

53

 

1.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

42

77

35

9

5

4

한국지역

정보개발원

(총괄기관)

2.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개발

37

56

19

9

5

4

국립재난

안전연구원

(총괄기관)

3. 재난안전산업 육성지원

83

47

36

21

11

10

4.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90

97

7

8

3

5

5.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개발

40

42

2

5

1

4

6.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13

13

2

2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총괄기관)

7.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

49

49

12

10

2

8.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개발(다부처)

55

114

59

9

3

6

9.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142

148

6

21

3

18

국립재난

안전연구원

(기관고유)

10. 재난예측 및 저감 연구개발(종료)

36

-

36

0

-

-

국립재난

안전연구원

(총괄기관)

11. 재난안전 연구개발 사업관리*

11

11

0

-

-

-

* ‘재난안전 연구개발 사업관리는 재난안전 출연금 R&D 운영을 위한 관리형 사업임

 

운영기관 추진체계

- (출 연 사 업) 사업별 총괄기관 지정*을 통한 관리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다부처사업) 과기정통부·복지부국토부 등 주관부처의 전문기관 관리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R&D사업단 :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전문관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공간정보기반 실감형 콘텐츠 융복합 및 혼합현실제공 기술개발, 스마트 도로조명 활용 도시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전문관리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화재 재난 지원 통합플랫폼 기술개발

- (기관고유사업)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직접 연구수행

 

2020년 사업별 세부 시행계획

1.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계속)

사업 목적

 

 

 

 

 

 

일반국민, 연구자 등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재난안전 불안요소를 해결하는 국민 체감형 R&D 사업 발굴 추진

’19년도 추진실적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4,200

4

2

13

3

 

 

 

기타 실적 : 소프트웨어 등록 9건 등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19’21(3) / 7,718백만원

지원조건 : 출연금(100%)

사업관리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

- 스마트폰 연동 몰래 카메라 탐지기 및 복합 카메라 요소 기술 개발, 열화상 방식의 몰래 카메라 탐지기 단위요소 기술 개발

- 도심지 건설현장의 위험요인 모니터링을 위한 굴착현장 주변 구조물 안전성 평가 도구 개발

- 산업현장 근로자의 정전기 및 질식 통합 위험인지형 스마트 밴드 기술 개발

- 화재 등 재난발생시 휴대용 차량번호판 자동인식을 통한 위험 상황 정보 전달 요소기술 개발

- 다중밀집시설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화재 조기경보체계, 위험단계별 대피체계 기반의 통합대피체계 개발

- 정보감지센서 및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활용, 화재 시 재난약자를 실내외 안전장소로 이동대피시킬 수 있는 재난약자 대피 도움장치 개발

- 해양사고 조난 시 조난자에게 해상에서 구조 시까지의 부력 제공을 통해 조난자 위치를 파악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 부력 밴드 개발

- 보행사고 심층 분석, 보행안전 개선전략 및 보행사고 위험지역 예측 및 진단, 보행안전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 도출 기술 개발

- 생활안전 상황 신고 및 국민행동요령 등 정보제공을 대화형으로 인지,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지능형 챗봇 기술 및 응용 서비스 개발

 

2020년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계속과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4pixel, 세로 36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3pixel, 세로 34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5pixel, 세로 35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10pixel, 세로 754pixel

 

2020년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신규과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1pixel, 세로 47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0pixel, 세로 35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6pixel, 세로 35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82pixel, 세로 49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d8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95pixel, 세로 480pixel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

4,200

7,718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계속4,신규5)

-

4,000

7,490

기획평가관리비

-

200

228

2.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개발 (계속)

 

사업 목적

 

 

 

 

 

 

언제 어디서나 생활 속 안전 확보 및 편리함을 체감할 수 있도록,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표준화, 기관별 안전정보를 융합한 지능형 플랫폼, 실감형 교육콘텐츠 기술개발 및 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등 추진

’19년도 추진실적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3,670

5

-

2

-

-

-

-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19’23(5) / 5,600백만원

지원조건 : 출연금(100%)

사업관리 :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기준 및 표준화, 플랫폼 기술개발, 체험교육 콘텐츠 기술개발 3개 내역사업은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개발 연구단으로 운영

*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내역에 한함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기준 및 표준화

-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플랫폼-기존 정보시스템 연동 및 제공정보의 기술 표준 개발,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스마트폰 앱(App)구조 설계 등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플랫폼 기술개발

- 생활안전 정보 분석 시스템 및 생활안전 사고 시 피해 및 파급 영향 예측 기술개발, 실시간 생활안전 정보 알림 등 상황전파 기술 개발 등

 

생활안전 체험교육 콘텐츠 기술개발

- 생활안전 체험콘텐츠 저작 기술 설계 및 생활안전 분야 가상객체와 사용자 상호작용 기술 개발 등 실감형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 예기치 못한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해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지원을 위하여 부처협업기반(행안부+과기정통부) 긴급대응연구체계(기술개발 및 실증)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

3,670

5,600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기준 및 표준화(계속1)

-

1,200

1,200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플랫폼 기술개발(계속1)

-

1,470

2,000

생활안전 체험교육 콘텐츠 기술개(계속1)

-

500

900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신규5, 계속1)

-

500

1,500

3. 재난안전산업 육성지원 (계속)

 

사업 목적

 

 

 

 

 

 

재난안전 R&D를 통해 재난안전분야 중소기업 기술개발, 실용화·제품화를 지원하는 등 기술 사업화를 통해 재난안전 산업육성 추진

’19년도 추진실적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8,300

24

19(5)

23

2

-

-

-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18’22(5) / 4,650백만원

지원조건 : 출연금(100%)

사업관리 :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재난안전 기술사업화 지원

- 안전시스템개발관리(1), 안전용기기 및 장비 제조(9), 안전용품 제조(1) 11개 신규 품목을 포함한 21개 연구 지원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4,654

8,300

4,650

재난안전 기술사업화 지원(계속10, 신규11)

2,448

3,600

4,650

부처협력 사업지원(사업 이관)

1,500

3,400

-

지역특화형 재난안전 연구지원(사업 이관)

-

700

-

재난안전 보유기술 실용화 지원(’19년 종료)

600

600

-

사업운영비*

106

-

-

부처협력 사업지원 :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개발사업으로 이관(구조조정)

지역특화형 재난안전 연구지원 :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으로 이관(구조조정)

* ’19년부터 재난안전연구개발사업관리(R&D)’로 일괄 편성

4.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계속)

 

사업 목적

 

 

 

 

 

 

지진, 메가가뭄 등 대형 재난 발생시 극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각종 대응기술 및 상황관리 지원기술 개발 추진

’19년도 추진실적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8,985

8

49(10)

6

2

-

-

1

소프트웨어 등록 실적(21), 공공서비스 적용 실적(10)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17’21(5) / 9,700백만원

지원조건 : 출연금(100%)

사업관리 :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대형복합 재난대응 기반기술개발

- 해안가 복합재난 위험 시범지구(서해안) 맞춤형 고해상도 공간정보 구축 및 초기 구동 통합관리시스템 시범 운영

- GIS 기반, 복합재난 손실추정 툴 프로토타입 개발 결과를 활용한 자연재난별 리스크 평가 수행 가시화

- 기후변화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메가가뭄 특성분석 및 사전징후 판단기술, 지역별 가뭄위험 평가기술 등 개발

- 사회재난 유형별 빅데이터 및 지능형 진단기술 개발, 사회재난 안전도 진단 시스템 고도화

지진대비 안전인프라 기술개발

- 경상분지 서부 21개 지역 활성단층 추가 조사연구 및 시스템 고도화

- 국내외 지진피해사례, 기술 조사분석실험 등을 통한 위험도 평가 기술 및 긴급 보강기술() 제시

- 한국형 지진 피해추정기법 개발을 위한 지진 피해 취약도 함수 개선 및 국내외 지진 피해 복구지원 기술 분석

대형복합 재난대비 상황관리 지원기술

- 지능형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대응매뉴얼 빅데이터화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 기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9,768

8,985

9,700

대형복합 재난대응 기반기술(계속3, 신규1)

3,900

2,500

4,000

지진대비 안전인프라 기술개발(계속 1, 신규2)

4,185

4,385

4,700

대형복합재난대비 상황관리 지원기술(계속1)

1,400

2,100

1,000

사업운영비*

283

-

-

* ’19년부터 재난안전연구개발사업관리(R&D)’로 일괄 편성

5.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개발 (계속)

 

사업 목적

 

 

 

 

 

 

재난관리 영역 중 기술수준이 취약한 교육·훈련, 긴급대피, 구호시설 분야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기술수준 상향평준화 추진

’19년도 추진실적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4,032

5

11(-)

9

-

-

-

-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18’22(5) / 4,230백만원

지원조건 : 출연금(100%)

사업관리 :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재난훈련 기술

- 정부연습 시뮬레이션 및 평가 모델 개발, 비상대비정보 시스템과 훈련 결과 연계 기술 개발

도시지역 긴급대피 의사결정 지원기술

-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시설물별 재난안전 평가기술 적정성 검토 및 현장적용 시범사업 추진

- 승강기 영상, 음성 등 위험정보 빅데이터 조합을 통한 위험상황 예측판단 시스템 개발 및 성능평가

- 급경사지 위험 감지 복합 센싱 및 지능형 위험도 평가 기술 개발, 센서 및 공간데이터 융합형 상황관제 플랫폼 개발

- 위기경보 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판단을 위한 기준 재정립 및 표준화, 위기징후에 따른 위험수준 판단 및 자동분석 알고리즘 개발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2,322

4,032

4,230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재난훈련(계속1)

1,000

1,482

1,330

도시지역 긴급대피 의사결정(계속3, 신규1)

1,150

2,550

2,900

사업운영비*

172

-

-

* ’19년부터 재난안전연구개발사업관리(R&D)’로 일괄 편성

6.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신규)

사업 목적

 

 

 

 

 

 

폭염 등 기후재난의 피해 저감을 위한 도심지 폭염피해 저감 최적화 기술, 폭염 피해자 사회환경적 원인분석 기술 개발 추진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20’24(5) / 1,242백만원

지원조건 : 출연금(100%)

사업관리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기술 개발

- 국내외 폭염 저감 요소 기술정책 조사분석 및 신체 냉각 폭염 저감 요소 기술별(송풍팬, 미세 분무장치 등) 효과 분석

- 국내외 폭염 피해 원인 조사분석 및 사회환경원인 분석 기술 개발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

-

1,242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신규2)

-

-

1,200

기획평가관리비

-

-

42

 

7.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신규)

사업 목적

 

 

 

 

 

 

지역별 재난안전 이슈 등을 반영한 현안을 지역사회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지역주도의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지원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20’22(3) / 4,923백만원

지원조건 : 정부출연금(80%), 지방비(20%)

사업관리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지역특화형 재난안전 연구지원

- 지역별 재난안전 위험 및 취약도를 기반으로 재난이슈현안(중점 연구분야)에 대해 지자체가 기획발굴한 연구과제 지원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

-

4,923

지역특화형 재난안전 연구지원(계속2, 신규10)

-

-

4,750

기획평가관리비

-

-

173

8.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개발 (신규, 다부처)

사업 목적

 

 

 

 

 

 

재난안전 현안에 대해 부처 간 협업에 기반하여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한 R&D사업 추진 및 사업의 효율적체계적 통합 관리운영

’19년도 추진실적

<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8,483

30

19

6

2

-

-

-

기타 실적 : 소프트웨어 등록 3

행안부 ‘19년 투자 예산 : 1,050 백만원(당해년도 연구기간 : ’19.4.1~‘19.12.31)

 

< 공간정보 기반 실감 콘텐츠 융복합 및 혼합현실 제공 기술>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3,484

1

5

10

2

-

-

-

기타 실적 : 소프트웨어 등록 16, 표준채택 2, 사업화매출액 1(105백만원), 시제품 6, 논문 비 SCI 6건 등

 

<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 >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1,000

1

 

1

 

-

-

-

기타 실적 : 시제품 6건 등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20계속 / 11,399백만원

지원조건 : 출연금(100%)

사업관리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 감염병 대응능력 고도화를 위하여 방역현장의 기술수요를 반영한 유입차단, 현장대응, 확산방지의 3대 목표하에 7개 중점분야 28개 연구과제 추진

복지부(주관), 행안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농림부, 환경부, 신약처

행안부 중점 추진분야 : 생물감시체계, 감염병 정보환류 및 소통체계 구축, 감염병 자가 격리자 최적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공간정보 기반 실감형 콘텐츠 융복합 및 혼합현실 제공기술개발

- 공간정보 기반 소방활동 정보생성 및 활용 기술개발

- 공간정보 기반 맞춤형 재난 상황 모델 및 시변정보 융합기술 개발

- 노인복지시설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실감형재난관리 시범 서비스 제공

국토부(주관), 행안부, 산업부, 문체부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 연구

- CCTV IoT 정보수집장치를 활용한 도시재난안전관리시스템 개발

- 보행자 생활안전 위험상황 및 도시가스·침수 등 재난인지 기술 개발

- 시민 생활 및 교통안전 실천역량 조사

국토부(주관), 행안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지원 통합플랫폼 기술개발

-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초동대응을 위한 이동형 지능 시스템 개발 및 운영관리 기술개발

- 지하공동구 화재·재난지원 통합관리 운영 및 능동 대응 기술개발

- 지하공동구에서 발생한 개별 또는 복합 화재·재난 확산예측모의 및 지하공동구 성능 및 취약성 평가 기술개발

- 디지털트윈 기반 화재재난 확산예측 및 능동대응 현장적용 실증 서비스 추진

과기정통부(주관), 행안부, 산업부, 국토부

부처협력 사업지원

- 재난현장에서 전천후 대응을 위해 개인이 운반할 수 있는 소형 위성중계장비 개발

- 재난현장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재난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무인기 등 다채널 영상정보 융복합 기술 개발

- 재난안전로봇의 현장 활용성 증진을 위한 훈련 시스템 개발

-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고도화 기술개발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

-

11,399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계속1,신규1)

700

1,050

1,200

공간정보 기반 실감 콘텐츠 융복합 및 혼합현실 제공 기술개발(계속1)

3,347

3,347

2,376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 연구(계속1)

-

960

960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지원 통합플랫폼 기술개발(신규1)

-

-

1,440

부처협력 사업지원(계속3,신규1)

1,500

3,400

5,080

기획평가관리비

153

177

343

9.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계속)

사업 목적

 

 

 

 

 

 

행정안전부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과학기술 기반으로 지원하는 기술개발 사업

* 재난원인과학조사, 대형실험시설 활용 등 고유업무 지원연구 포함

’19년도 추진실적

(단위: /백만원)

사업비

과 제 수

논문(SCI)

특 허

기술료

기술지도 및 이전

출원

등록

신규

금액

14,176

21

37(6)

30

36

-

-

-

사업개요

사업기간/’20년 사업비 : ’17계속 / 14,823백만원

지원조건 : 직접수행(100%)

사업관리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년도 중점 추진내용

(문제해결형) 재난 발생에 따른 사회적 파급효과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할 국가 책무인 재난안전 분야 문제해결 연구

- 가뭄 통합평가기술 및 가뭄 통합 예·경보 플랫폼 개발을 통한 가뭄 관리 협업화 연구와 안전약자에 대한 맞춤형 기술개발

(현업적용형) 연구개발 성과가 부처·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업무에 직접적으로 적용·활용되는 실용화 분야 기술개발

- 중앙 및 지자체 상황실 활용을 위한 재난위험정보 분석 및 공유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 및 지역단위의 위험요인 발굴연구

(제도보완형) 작동가능한 한국형 재난대책 체계 확립을 위한 재난안전 기분, 법적의무사항 등 각종 제도를 개선·보완하기 위한 연구

- 대형 시설·장비를 활용한 실증실험과 재난원인 조사기술의 기법·장비 등의 기술향상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재난안전협업형) 대형화·복합화 되는 재난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범부처 역할을 연계한 융합·협업형 재난대응체계 연구

-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지진방재 공동활용 컨텐츠 개발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

(이슈대응형) 재난안전 분야 국가적 이슈에 대응한 대책 수립과 범부처 재난안전 R&D 기술력 향상을 위한 기본 연구

- 재난관리 현업부서와의 긴밀한 소통·협력을 통해 재난안전 기술의 현장 적용성 강화 및 연구성과 실용성 극대화를 위한 기획

(자연재해대응영향예보) 기상청 주관 영향예보 다부처 연구개발사업으로 기상 변동성을 고려한 재해영향모델을 개발, 재난의 사전예측 능력 확보(연구원 역할 : 도시침수, 온열·한랭질환)

- 사회·경제적 영향 및 인명 피해가 큰 침수, 폭염·한파에 대한 영향예보를 위한 영향 분석 기술 개발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연구분야 내역명

’18

’19

’20

합 계

13,386

14,176

14,823

문제해결형 기술개발

1,660

1,200

1,200

현업적용형 기술개발

4,100

3,200

3,900

제도보완형 기술개발

3,540

4,340

4,140

재난안전 협업형 기술개발

1,150

2,200

1,400

이슈대응형 기술개발

891

891

1,038

자연재해대응영향예보생산기술개발

500

800

1,100

연구수행지원

1,545

1,545

2,045

 

2020년 사업 추진 계획

구 분

추진 계획

1

'20년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R&D 시행계획 및 신규과제 공고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R&D 중기사업계획(‘19~‘23) 제출 (기획재정부)

'20년 계속과제 연차협약 체결

2

∙ 「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19년 시행계획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 상정

3

’20년 신규과제 선정평가 및 협약체결

4

’20년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R&D 신규 참여연구자 교육

’21년 행정안전부 R&D 예산() 편성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심의위원회)

5

’21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요구서 제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

’21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의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7

’22재난안전기술 수요조사 실시

’21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심의 (기획재정부)

8

’20년 신규/계속과제 중간진도 점검

9

'21년 행정안전부 R&D 사업 국회 심의

10

’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우선순위 의견 제출

11

'20년 우수성과발표회 및 ’21사업설명회 개최

12

’20년 신규/계속과제 연차평가

’21년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수립

참고 1

 

세부사업별 예산현황

 

 

 

 

1.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 (계속)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과제

담당관

합 계

 

 

7,718

(9개 과제)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

 

 

7,490

 

 

몰래카메라 범죄 방지를 위한 정밀 복합 탐지기 개발

’19~’21

3,200

1,000

전자부품

연구원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IoT기반 도심지 건설현장 상시안전 관리시스템 개발

’19~’21

3,000

1,00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폭발위험지역 근로자 위험인지형 스마트밴드 개발

’19~’21

3,000

1,00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차량번호 인식을 통한 화재 등 재난상황 경보 알림 시스템 개발

’19~’21

3,000

1,000

어스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다중밀집시설 화재 시나리오 기반의 국민체감형 조기경보 및 대피체계 개발

’20~’21

1,600

70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재난약자 대피 도움장치 개발

’20~’21

1,600

700

신규

산업교통재난대응과

해상 추락사고 안전예방을 위한 스마트 부력밴드

’20~’21

1,200

50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지능정보기술기반 보행사고 예측 및 위험요인 개선기술 개발

’20~’21

2,190

990

신규

안전개선과

생활안전 상황 신고 및 정보제공을 위한 대화형 챗봇(chatbot) 기술개발

’20~’21

1,400

600

신규

안전개선과

기획평가관리비

 

 

228

한국지역

정보개발원

 

 

2.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개발 (계속)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과제

담당관

합 계

 

 

5,600

(9개 과제)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기준 및 표준화

 

 

1,200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기술기준 및 표준화 실증 연구

’19~’23

6,200

1,20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전개선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플랫폼 기술개발

 

 

2,000

 

 

생활안전 예방서비스를 위한 지능형 플랫폼 기술개발

’19~’23

9,670

2,000

핸디소프트

예방안전과

생활안전 체험교육 콘텐츠 기술개발

 

 

900

 

 

생활안전 체험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기술개발

’19~’23

5,500

90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전문화

교육과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1,500

 

 

지자체 관리 대상 도로터널의 실시간 사고감지 및 전파시스템 개발

’19~’23

500

250

대구경북

과학기술원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국민생활안전 긴급 연구개발지원(신규5)

’20~’23

 

1,25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3. 재난안전산업 육성지원 (계속)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합 계

 

 

4,650

(21개 과제)

 

재난안전 기술사업화 지원

 

9,300

4,650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지진방재장비)

- 고층건물용 고용량(100톤급) 실리콘 점성댐퍼의 최적 설계 기술 개발

’19~’20

500

250

테크스퀘어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산업안전장비)

- 스마트그리드 산업현장의 인명과 설비를 낙뢰 및 서지재해로부터 연속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직격뢰 보호용 1등급 스마트피뢰보호관리시스템 기술개발

’19~’20

500

250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교통안전장비)

- 승강기의 정전·지진·화재 등 위기상황의 정상적인 운전이 가능한 리튬인산철 배터리가 적용 된 자동구출 운전장치

’19~’20

400

200

에너지파트너즈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풍수해 저감 장비)

- 풍수해로 인한 수중구조물 재해대응 및 조난자 수색을 위한 고해상소나(2MHz-1MHz Dual Frequency) 탑재형 무인수상선(USV) 구축 연구

’19~’20

400

200

우리기술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안전용 보안기기·장치)

- 몰카 범죄 방지를 위한 고 성능 IR Thermal 기반의 은닉 카메라 탐지 장치 개발

’19~’20

400

200

아이엔지시스템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재난감지장비)

- 액체가스 나노분말 소화약제를 첨가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소화장치 개발

’19~’20

360

180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안전위험 측정, 분석기기)

-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예방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용 오프가스 감지장치 개발

’19~’20

420

210

태희에볼루션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안전용 통신기기, 영상장비)

- 2.5배율의 줌 기능을 갖춘 다목적 방사선 재난 감시 시스템 기술개발

’19~’20

420

210

아라레연구소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안전위험 제어기기)

- 재난시 사용할 수 있는 이동기지국 시스템 개발

’19~’20

420

210

유캐스트

안전용품 제조업 기술사업화 지원(안전용 금속·비금속 가공제품)

- 진동증후군·절단외상 예방을 위한 진동저감 TRM(0.9)/TRH(0.6) 및 내절단 강도 D급 수준의 작업용 안전장갑 개발

’19~’20

420

210

글러브랜드

안전시스템개발 및 관리 (안전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

’20~’21

420

21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지진방재 기기, 장비)

’20~’21

540

27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산업안전 기기, 장비)

’20~’21

540

27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교통안전 기기, 장비)

’20~’21

480

24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풍수해 저감 기기, 장비)

’20~’21

440

22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폭염, 가뭄, 한파 저감 기기, 장비)

’20~’21

420

21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미세먼지 저감 기기, 장비)

’20~’21

440

22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유해화학물질 안전 기기, 장비)

’20~’21

420

21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화재, 폭발 안전 기기, 장비)

’20~’21

440

22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 기기 및 장비제조 (시설물 안전 기기, 장비)

’20~’21

420

210

신규/자유공모

안전용품 제조 (안전취약계층 사고 안전 용품)

’20~’21

500

250

신규/자유공모

재난안전산업 육성지원 사업과제담당관 : 재난안전산업과

4.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계속)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과제

담당관

합 계

 

 

9,700

(8개 과제)

 

 

대형복합 재난대응 기반기술개발

 

 

4,000

 

 

해안가 복합재난 위험지역 피해저감 기술개발

’18~’21

5,000

900

지오시스템리서치

재난경감과

복합재난 리스크 평가기법 개발

’18~’21

2,500

800

충북대학교

재난경감과

지역 기반 메가가뭄 대비 기술개발

’19~’21

4,000

1,300

한서대학교

기후재난대응과

지역별 사회재난 안전도 진단 지능형 플랫폼 개발

’20~’21

2,300

1,000

신규

재난협력정책과

지진대비 안전인프라 기술개발

 

 

4,700

 

 

한반도 단층구조선의 조사 및 평가기술 개발

’17~’21

15,000

3,500

부경대학교

지진방재정책과

지진 피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조치 기술개발

’20~’21

1,400

600

신규

지진방재센터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분석 추정기술 개발

’20~’21

1,400

600

신규

지진방재센터

대형복합재난대비 상황관리 지원기술

 

 

1,000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재난대응 의사결정지원 기반기술 개발

’19~’21

3,100

1,000

성균관대학교

재난대응

정책과

 

5.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개발 (계속)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과제

담당관

합 계

 

 

4,230

(5개 과제)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재난훈련 기술

 

 

1,330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비상대비 훈련기술 개발

’18~’22

7,482

1,330

연세대학교

비상대비

훈련과

도시지역 긴급대피 의사결정 지원기술

 

 

2,900

 

 

Bigdata활용 공간안전 대피 및 관리기술 개발

’18~’20

1,900

600

서울시립대학교

재난안전산업과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승강기 위험 상황 자동 예측판단 기법 개발

’19~’21

2,000

700

승강기안전공단

승강기안전과

지능형 기술기반 급경사지 재해평가 및 재난관리 기술개발

’19~’22

3,700

900

성균관대학교

재난경감과

지능형 위기경보를 위한 위험수준 자동분석 및 운영기술

’20~’22

3,000

700

신규

재난대응정책과

6.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신규)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과제

담당관

합 계

 

 

1,242

(2개 과제)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기술 개발

 

 

1,200

 

 

도심 환경을 고려한 폭염 저감 기술 최적화 개발

’20~’23

3,400

800

신규

기후재난

대응과

폭염 직접 피해자의 사회·환경 원인 분석 기술개발

’20~’24

2,800

400

신규

기후재난

대응과

기획평가관리비

 

 

42

한국산업기술
평가관리원

 

 

7.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신규)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과제

담당관

합 계

 

 

4,923

(12개 과제)

 

 

지역특화형 재난안전 연구지원

’20~’22

 

4,750

 

 

경상북도 지진대응을 위한 미네르바식 교육훈련 리빙랩 구축(경북)

’19~’21

1,050

350

경운대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대구 폭염재난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온열질환감지 IoT 플랫폼 기술개발(대구)

’19~’21

1,050

350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빅데이터 기반 양간지풍 도시산불방재 기술개발(강원)

’20~’22

1,620

42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지능형 광융합센서를 이용한 도시도로시설 이상감지 및 사고예방 시스템 개발 및 실증(광주)

’20~’22

1,620

42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진 연구(전남)

’20~’22

1,620

42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기술 실증(전북)

’20~’22

1,610

41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재난 및 항공 체류객 지원 대응 Safe Space In Jeju 구축(제주)

’20~’22

1,600

40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기술 개발(부산)

’20~’22

1,280

32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1인 가구 및 범죄 취약 가구 자가내 범죄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구축(경기)

’20~’22

1,600

40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을 적용한 중소형 시설물 지진피해평가관리 기술 개발(경남)

’20~’22

1,620

42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착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가스감지 기능을 통한 활동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고신축 소재기반 화학보호복(Level B) 개발(경북)

’20~’22

1,620

42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도심지 침수 대응 시민안전 지원 기술 개발(대전)

’20~’22

1,470

420

신규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기획평가관리비

 

 

173

한국산업기술
평가관리원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의 총연구비 및 ’20년 예산은 정부출연금(80%) 기준임

8.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개발 (신규, 다부처)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과제

담당관

합 계

 

 

11,399

(9개 과제)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1,200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

‘18~’22

3,886

800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등 27개 기관

보건재난

대응과

ICT 기술 활용 자가격리자 및 접촉자 관리 시스템 시범사업 및 개선 연구

‘20~’21

764

(다부처 2,100)

400

(다부처 1,100)

신규

보건재난

대응과

공간정보 기반 실감 콘텐츠 융복합 및 혼합현실 제공 기술

 

 

2,376

 

 

공간정보 기반 실감 재난관리 맞춤형 콘텐츠 제공 기술개발

’18~’22

12,433

2,37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

 

 

960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

’19~’23

4,782

960

한국건설

기술연구원

사회재난

대응과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지원 통합플랫폼 기술개발

 

 

1,440

 

 

재난 확산예측 및 현장중심 예방·대비·대응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실증

’20~’24

9,120

1,440

신규

환경재난

대응과

부처협력 사업지원

 

 

5,080

 

 

재난현장 지원용 소형 운반형 위성중계장비 개발

’18~’21

5,500

1,50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정보

통신과

위성무인기 등 다채널 영상정보를 활용한 연속적 재난상황 인지 및 위험 모니터링 기술 개발

’19~’22

6,300

1,600

서울대

재난대응

정책과

재난안전로봇 현장 활용성 증진을 위한 지원 기술개발

’19~’22

3,400

800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재난안전

연구개발과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고도화 기술개발

’20~’24

5,980

1,180

신규

재난정보

통신과

기획평가관리비

 

 

343

 

 

공간정보 기반 실감 콘텐츠 융복합 및 혼합현실 제공 기술

 

 

98

국토교통과학 기술진흥원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

 

 

40

국토교통과학 기술진흥원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지원 통합플랫폼 기술개발

 

 

60

정보통신기획 평가원

 

부처협력 사업지원

 

 

145

한국산업기술
평가관리원

 

 

9.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계속)

(단위 : 백만원)

구 분

연구기간

연구비

’20

예산

주관기관

합 계

 

71,476

14,823

(21개과제)

 

문제해결형 기술개발

 

4,900

1,200

 

국가 가뭄정보 통합 예·경보 기술개발

’17~’21

3,300

700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취약계층 맞춤형 재난안전 지원기술 개발

’17~’20

1,600

500

현업적용형 기술개발

 

19,500

3,900

 

위성자료 활용 현업지원 기술개발

’17~’20

3,400

800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유형별 의사결정지원 서비스

’17~’20

2,300

500

재난안전정보기반 재난상황판단을 위한 인지기술 개발

’18~’22

3,200

600

빅데이터 활용 미래·신종재난 weak signal 탐색 기술개발

’17~’20

3,200

800

법령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기준 분석기술 개발

’20~’23

1,800

300

대규모 재난대피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20~’24

4,200

600

지역안전의식수준 측정기술

’20~’22

1,400

300

제도보완형 기술개발

 

19,120

4,140

 

재난원인 현장감식 기술개발

’17~’20

5,500

1,250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피해 원인규명 연구

’17~’21

2,300

450

소하천 재난위험 경감기술개발

’17~’20

2,275

570

지반재난 관리기준 개선

’17~’20

2,583

680

실증실험 기반 도시침수 피해저감기술 개발

’17~’20

1,962

490

지역특성을 고려한 액상화 위험지도 표준모델 및 대응매뉴얼 개발

’19~’23

4,500

700

재난안전 협업형 기술개발

 

4,700

1,400

 

국가 지진방재자료기반 재난관리 현장지원기술 개발

’18~’21

1,700

500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능정보기술기반 맞춤형 지진 안전서비스 기술 개발

’18~’21

1,200

300

지진해일 피해산정을 위한 한반도 전해역 침수범람 예측용 시뮬레이션 개발

’19~’21

1,800

600

이슈대응형 기술개발

 

6,193

1,038

 

재난대응 긴급현안 문제해결 및 현업적용 기술개발

’17~계속

6,193

1,03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자연재해영향예보생산기술개발

 

4,400

1,100

 

딥러닝 기반 도시침수 예측 및 분석 기술개발

’18~’22

3,400

900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온열·한랭 질환 피해 위험 예측기술 개발

’18~’22

1,000

200

연구수행지원

 

12,663

2,045

 

참고 2

 

2020년도 신규 연구과제 설명자료(요약)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

사 업 명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R&D 사업

2020

~

2021

과 제 명

다중밀집시설 화재 시나리오 기반의 국민체감형 조기경보 및 대피체계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1,600

700

900

연구

배경

노후아파트 화재 안전(시사주간, 2019.7.1.), 주택용 전기설비 노후아파트 화재 급증(아시아경제, 2019.10.8.) 등 노후된 다중밀집시설*은 화재안전 성능관련 제도의 강화 적용대상의 사각지대로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 시급

* 다중밀집시설 : 다중이용건축물 다중이용업소 건축물 화재경계지구내 건축물 다중이용시설 특정관리대상시설(건축물)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발생으로 다수 인명 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소방서와 상황실간의 실시간 상황정보 공유 미흡 등 기술 표준 부재

다중밀집시설이나 공동주택의 사전 예방형 조기경보나 대피 유도 가능한 화재안전서비스 부재 등 지능형 정보부재로 조기경보 및 대피유도 체계 필요

연구

목표

다중밀집시설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화재 조기경보체계, 위험단계별 대피체계 기반의 통합대피체계 개발

주요연구

내용

개인맞춤형 내외부 상황정보 기반의 화재 조기경보체계 구축 표준안 제시

개인맞춤형 내외부 상황정보 기반의 화재 위험단계별 대피체계 개발

화재 조기경보체계 및 위험단계별 대피체계 통합 시나리오 개발

화재상황 전파 및 시나리오 기반의 통합대피체계 개발

화재안전서비스 개발 요소 설정 및 시나리오 개발

화재 발생시 행동패턴 분석 및 행동 매뉴얼 개발

기존 장비 및 제품과 연계된 화재 경보단말기 및 스마트폰 앱 개발

시스템 실증 검증 및 성능 고도화

활용방안

다중밀집시설 유형별 화재 대피 매뉴얼 보급

다중밀집시설 화재안전 어플 등 사용자 시스템 보급을 통한 화재 안전 확보

화재상황 및 시설별 조기경보 및 대피 제품 개발 및 사용 확대

사 업 명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R&D사업

2020

~

2021

과 제 명

재난약자 대피 도움장치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1,600

700

900

연구

배경

건물의 고층, 대형화에 따라 화재로 인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건축물 특성에 맞는 관련 화재안전기준과 소방 설비 등의 최적화 필요

화재 시 신속한 대피를 도와 인명피해 방지를 위한 효율적인 대피 도움장치의 기준 제시 필요

연구

목표

자율주행형 대피 도움장치 개발

정보감지센서 및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활용, 화재 시 재난약자를 실내외 안전장소로 이동대피시킬 수 있는 재난약자 대피 도움장치 개발

주요연구

내용

재난약자 대피 도움장치 선행조사 및 화재 대피 시나리오 개발

건물구조, 화재정보에 따른 화재감지 모니터링 기술 개발

자율주행 실내외(수평, 수직) 대피 도움장치 개발

재난약자 대피현황 모니터링 기술 개발

재난약자 대피 시뮬레이션 및 자율주행형 대피 도움장치 시작품 개발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베드 수행

시나리오에 따른 제품 성능 측정 및 시작품 개선

제품 설치 및 사용 매뉴얼 개발

활용방안

다양한 사회공공시설의 재난약자용 자율주행형 대피 도움장치 적용

재난약자 자율주행형 대피 도움장치 HW/SW 국제 기술경쟁력(특허, 표준 등) 확보

재난약자 보호 관련 대피기술 기준 및 규칙 제개정

사 업 명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R&D사업

2020

~

2021

과 제 명

해상 추락사고 안전예방을 위한 스마트 부력밴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1,200

500

700

연구

배경

최근 해양레저 산업이 확대됨에 따라 바다를 이용하는 국민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사고 발생과 이로 인한 인명 피해 증가로 해양 안전관리의 필요성 확대

첨단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해양 안전을 고려한 많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첨단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조난자의 인명을 구조하고 보호하는 개인 구명 장비에 아직까지 많은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연구

목표

해양사고로 인한 조난 시 조난자에게 해상에서 구조 시까지의 부력 제공을 통해, 조난자의 신속한 위치를 파악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 부력 밴드 개발

- 해상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부력 밴드 개발

- 스마트 부력 밴드의 위치 확인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실증시험을 통한 개발 시스템의 성능 평가

주요연구

내용

해상사고 통계분석 및 사고 유형 분석

스마트 부력 밴드용 부력시스템 개발

GPS 기반 저전력 위치정보 송신 기술 개발

사용자 착용 및 가성비, 편리성을 고려한 스마트 부력장비 디자인

승선신고, 조난자 위치 확인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실증시험을 통한 개발 시스템의 성능 평가

사업성과물의 해양산업 적용에 필요한 관련 법규정 제개정 사항 도출 및 제시

활용방안

4차산업 융합 스마트 안전장비를 통해 조난자의 정보와 구조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해양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최소화

자동승선 신고 시스템을 이용한 승선자의 정보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신규사업 영역 확대

사 업 명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사업

2020

~

2021

과 제 명

지능정보기술기반 보행사고 예측 및 위험요인 개선기술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2,190

990

1,200

연구

배경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 및 감축은 현 정부 중점 정책의 핵심과제*

* 국정과제 55-2 교통사고 사상자 줄이기, 국민생명지키기 3대 프로젝트(교통안전,’18.1.),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안전 강화대책(’20.1.) ’22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2,000명 수준으로 감축,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화

보행중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40%에 이르며, OECD 회원국 평균보다 3배 정도 높은 수준*

* ’18년 교통사고 사망자 3,781명 중 보행 사망자 1,487(39%) / ’16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보행중 사망자수 3.3(OECD 평균 1.1, 회원국 30개국 중 최하위)

현재, 보행자 이동 편의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종합적체계적 대응은 부족한 실정*

* 인적, 도로환경적 요인 등 1차원적 분석 후 정책 대안 등 마련복합적 요인에 대한 다차원 분석 한계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 및 감축을 위해 보행중 교통사고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에 기반한 정책 및 사업 추진 필요

연구

목표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사고 심층 분석, 보행안전 개선전략 및 기술 개발

융합기술을 활용한 보행사고 위험지역 예측 및 진단, 보행안전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 도출 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GIS 기반 보행안전네트워크 구축 및 고도화 기술 개발

Video Image Processing(VIP)을 활용한 보행특성, 보행자 위험해석 시스템 개발

융합기술을 활용한 보행사고 위험지역(Blackspot) 예측 기술 개발

클라우딩 리포팅 기반 보행안전위해요소 DB 구축기술 개발

빅데이터 기반 보행안전성 진단 및 평가기술 개발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도출 기술 개발

보행자 연령 및 지역 맞춤형 보행안전시설 Test-bed 실험(리빙랩)

활용방안

중앙정부 및 지자체* 보행환경 개선정책 및 시설개선사업에 반영

- 보행환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보행위험지역을 사전에 예측, 안전한 보행환경 구현

* 행안부, 국토부, 경찰청, 17개 시도 및 226개 시군구

공공 및 민간 정보 융합을 통한 효과적 서비스 구현

-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해 정보취득 및 구축, 분석 및 활용방안이 포함된 보행자 안전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현

사 업 명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R&D사업

2020

~

2021

과 제 명

생활안전 상황 신고 및 정보제공을 위한 대화형 챗봇(chatbot) 기술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1,400

600

800

연구

배경

현행 음성, 글자, 이미지를 정형적 신고 인터페이스(: 안전신문고 등)로 하고 있어 노약자 등 정보격차를 가진 사용자 대상 접근성 미흡

생활안전 신고 및 정보 제공자의 문의를 적절하게 수용하고 반응하는 대화형 질의-응답(Q&A)으로 정보 맥락을 이해하고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기술 필요

생활안전은, 지진, 산사태 등과 같이 긴급성 재난안전에 비해, 맨홀 파손이나 결빙에 따른 보행자 위험 등과 같이 비긴급성 생활 속 위험을 대상으로 함

연구

목표

생활안전 상황 신고 및 국민행동요령 등 정보제공을 대화형으로 인지,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지능형 챗봇 기술과 응용 서비스 개발

생활안전 분야 적용 대화형 챗봇 시범 적용 사례 개발

주요연구

내용

생활안전 대화형 지식 데이터베이스 개발

생활안전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자연어 처리 기술 개발

생활안전 정보 분류 및 지식화 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

민감정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정보 등)에 대한 선별적 처리 기술 개발

공개 대화형 서비스 API(: 삼성 빅스비, 구글 어시스턴트, 애플 시리, 아마존 알렉사, 카카오 챗봇, 네이버 클로바, 마이크로소프트 코타나 )를 연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써드파티 API, 플러그인, 앱 등과의 연동 포함)

스마트폰 Push API 기반 국민행동요령 등 정보제공 기능 개발

생활안전 데이터 연동 및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 연계

챗봇 서비스 시범 적용 및 현장 검증

활용방안

대화형 챗봇 기술을 활용하여 교통, 금융, 기상, 환경 등 분야 민간 사업화 추진

안전신문고 등 적용 대상 분야 정보화 사업으로 보급 및 확산 추진

지자체 생활안전 민원 서비스 사업화 추진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사 업 명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2020

~

2021

과 제 명

지역별 사회재난 안전도 진단 지능형 플랫폼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2,300

1,000

1,300

연구

배경

사회재난유형이 다양화되고 복잡화됨에 따라 예방 및 대비체계 구축이 중요하나, 지자체에서는 사회재난 대응을 주무부처에 의존하고 있어 국가적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감염병(복지부), 가축질병(농림부) 등 사회재난은 주무부처 역량에 의존하고 지자체는 단순 인력 및 장소 제공 등 지원업무 위주

단순 통계분석이 아닌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를 융합·분석하여 지자체 사회재난 취약요소의 도출 및 안전수준 진단을 통한 사회재난 역량 향상 필요

국가안전대진단 등 대단위 현장 확인 등을 통한 점검결과와 연계한 사회재난저감종합계획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정보제공 체계 필요

연구

목표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지역별 사회재난 안전도 분석 기술 개발

사회재난 안전도 진단 시스템* 고도화

* ‘지자체 대상 사회재난 안전도 진단 모델 개발 연구(행정안전부, 2019)’ 참고

주요연구

내용

사회재난 유형별 빅데이터 및 지능형 진단기술 개발

지능형 사회재난 위험감지 및 안전도 진단 플랫폼 개발

사회재난 안전도 진단시스템 데이터 분석 및 보완

사회재난 유형별 안전도 진단 기술 고도화 및 분석기술 개발

활용방안

지자체 사회재난 유형별 취약성에 따른 재난관리 사업 추진

국가안전대진단 등 다양한 안전진단체계와 연계 활용

지자체 사회재난 대응능력 강화

사 업 명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2020

~

2021

과 제 명

지진 피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조치 기술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1,400

600

800

연구

배경

지진발생 시 사회혼란 저감을 위한 체계적 대응기반 확보 요구

- 기존 지진피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에도 주민불안 발생

국내 대규모 지진피해 발생으로 인한 피해시설 주민 불안감 저감을 위한 단계별 위험도 평가 절차 요구

- 기존 국내 주요지진 관련 피해대응 경험 사례 분석 및 활용

RC 벽식구조, 필로티 구조, 경량철골 구조 등 국내건설 환경과 여진 등을 고려한 실제 지진피해기반 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요구

연구

목표

대응/복구 절차별 지진피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기술

시설물 긴급보강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국내외 지진피해사례, 기술 조사분석실험 등을 통한 위험도 평가 기술 및 긴급 보강기술() 제시

지진동 실험, 해석 등 검증을 통한 위험도 평가조치 기술 개발

활용방안

지진발생 직후 주민대피 등을 위한 위험도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로 지진 대응 역량강화

지진피해 시설물 긴급보강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시설물 사용성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은 안전한 생활 확보

사 업 명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 개발

2020

~

2021

과 제 명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분석 추정기술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1,400

600

800

연구

배경

20169.12지진(규모 5.8) 2017년 포항지진(규모 5.4)으로 인한 국민의 불안감 증대 및 국내 지진경험 등 여건변화에 따른 연구추진 필요

- 한국형 지진재난 피해추정기법 개발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에 의한 피해 사례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 중인 지진피해 추정기법의 정확도 향상 방안 마련 필요

- 지진재난 피해영향 분석 및 복구지원 기반기술 개발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한 피해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지진재난에 대비하고, 사회기능 유지 및 신속한 복구지원 기반기술 개발 필요

연구

목표

지진 피해 추정기법 개선 및 복구지원 기반기술 개발

* 복구지원 기반기술 : 복구재건 등 도시재건 기술, 도로 관련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긴급 도로 계획 및 대체 기술, 사회기반시설 기능 회복(BCP) 기술, 고용 및 산업파급효과 등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기술

주요연구

내용

지진피해 사례결과 기반의 지진 피해 취약도 함수 개선

인명, 건축물, 라이프라인* 지진피해 추정 기법 개선

* 라이프라인 : 통신시설/가스시설/전력시설/상하수도/도로시설

지진피해 시나리오 기법 도출 및 사회경제적 영향분석*

* 고용 및 산업파급효과 등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기술

지진피해지역 사회기능 정상화를 위한 복구지원 기반기술 도출

활용방안

지진발생 초기 대응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중앙지자체의 지진재난 관리 및 현장중심 지진피해 복구 활용

지진피해 지역의 사회기능 마비를 최소화하고 회복력 향상 지원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개발

사 업 명

재난안전 취약핵심역량 도약기술개발

2020

~

2022

과 제 명

지능형 위기경보를 위한 위험수준 자동분석 및 운영기술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3,000

700

1,150

1,150

연구

배경

현재 위기경보는 재난유형별 상황전개에 따른 메커니즘, 특성 등의 고려 없이 당장 획득 가능한 위험정보를 바탕으로 일괄적으로 위기경보를 발령, 격상, 해제함

국가단위의 위기경보는 발생 지역의 특성, 상황적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일괄적으로 발령함

위기경보 판단 기준을 주관기관이 개별적으로 정하고, 비상상황의 심각성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위험수준 판단을 위한 통합 기준 마련 필요

지능화된 분석과 학습과정을 통하여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고 판단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함

연구

목표

재난유형별 특성과 전개양상,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한 위험수준 자동분석 및 위기경보 운영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위기경보 운영 표준화 및 위기징후에 따른 위험수준 판단 기술 개발

재난유형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위기경보 단계 판단 기술 개발

GIS기반 자동 위기경보 판단을 통한 상황관리 기술 개발

활용방안

재난안전정보를 활용하여 재난유형별 위험수준 자동분석을 통한 위기경보 발령체계 구축

위기수준에 맞는 위기경보 발령으로 선제적이고, 최적화된 재난대응

재난분야 위기관리 매뉴얼(위기징후 목록, 위기평가회의 등)의 운영체계 구축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사 업 명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2020

~

2023

과 제 명

도심 환경을 고려한 폭염 저감 기술 최적화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4차년도

(23)

3,400

800

1,000

800

800

연구

배경

기후변화 등 이상기후로 폭염피해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나 과학기술 기반의 폭염 저감 기술 평가기술 부재로 시의성·효율성 저하 및 예산낭비 문제 대두

○○시 주먹구구 폭염 대책 혈세 낭비 우려’ (A일보, ’19.8.)

그늘막 늦장 설치 및 위치 선정문제로 인한 ○○청장의 구민 사과(’18.7.)

독립적인 요소기술 개발에 편중되어 있어 환경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과학기술적 평가 등 다각적 폭염 저감 대책 기술* 효율성 분석 연구 미비

* 쿨루프, 미세분무, 그늘막, 옥상녹화, 도심 조경, 가로수, 벽면 녹화, 태양광 그늘막, 폭염 저감용 물순환시설 등

인구과밀, 열섬 현상 등 지역환경적 폭염 영향이 큰 도심지를 대상으로 경제적효율적 폭염 피해 저감을 위한 적정 기술의 과학적 근거 마련 필요

연구

목표

도심 특성 및 위치를 고려하여 폭염 저감 최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최적화 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실증/수치 실험 등을 통한 단일 폭염 저감 요소기술* 효율성 및 체감효과 분석평가

* 신체냉각 기술, 지상 열 억제 및 냉각 기술, 상부공간 일사차폐 기술, 횡방향 벽면 냉각 기술

도시 규모 실험(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 기반 도시 규모 폭염 저감 기술 효과 분석

도시 규모 폭염 저감 효과 분석 결과와 폭염저감 요소기술별 효과분석과의 비교·분석

최적 폭염 저감 기술 선정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제도 개선

활용방안

지역별 폭염 저감에 효과적인 제도적 대응 방안 마련

최적 폭염 저감 기술 선정운영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 실무 활용 등 개발 기술 확산 및 현장 적용성 극대화

사 업 명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기술개발

2020

~

2024

과 제 명

폭염 직접 피해자의 사회·환경 원인 분석 기술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4차년도

(23)

5차년도

(24)

2,800

400

600

600

600

600

연구

배경

2012년 폭염 피해 백서를 통해 피해 현황*을 일회성으로 조사하였으나, 예방적 차원의 피해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지속적 조사연구 부재

* 온열질환 사망자들의 월평균소득과 학력, 가족관계, 동거인 유무, 냉방기기 보유 수, 주거지 사진 등 상세 기록

 

고온이 폭염 피해의 직접적 원인이지만 동일 기온에서 균일하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등 다양한 사회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원인분석* 필요

* 동일한 자연재난이 저소득층, 고령인구 등 취약 계층의 사회적 환경 요인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적 부검이라고 불리기도 함

연구

목표

폭염 피해자의 사회환경적 상관관계 분석 및 규명 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폭염 직접 피해 요인과 피해 유형 분석 및 사회적 부검 방법론 개발

계층별 폭염 피해에 대한 사회적 부검 기반의 폭염 피해 조사 분석

사회개인구조 및 비구조적 요인과 폭염 피해와의 상관관계 분석

폭염 취약지역 시범 모니터링 운영

폭염피해 정보 DB 구축 및 폭염 피해 예방 대책 수립

활용방안

폭염 피해자의 사회환경 영향 요인 파악을 통한 다각적 취약 요소 분석으로 피해 재발 방지 및 효율적 취약계층 관리 정책에 환류

현장 가이드라인 등 제시로 지자체 및 사회 전반에 피해 저감 역량 강화확산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기술 개발(부산)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280

320

480

480

지방비(20%)

320

80

120

120

총 연구비

1,600

400

600

600

연구

배경

부산광역시의 경우 최근 해안가 일대 고층빌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태풍강풍 시 고층 빌딩군에서 발생하는 빌딩풍의 영향위험도 증가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해운대구에 대부분 밀집되어 있는 상황

2019년 한 해에만 약 17개에 달하는 강한 태풍의 영향권에 있었으며, 빌딩풍으로 인한 피해액은 약 3,000억원 이상으로 단일 시로는 부산이 가장 높음

고층빌딩 지역의 건물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풍환경 변화와 위험성에 관한 기술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필요

연구

목표

부산 해운대지역 고층구조물 빌딩풍에 의한 건축물보행자 위험도분석 및 예방대응 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기법 개발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개발

빌딩풍에 의한 비산불 위험도 분석 기술 고도화 및 시민 서비스 기술 개발

부산시 스마트 빅보드 및 부산 재난안전앱(App) 연계

활용방안

부산권역 고층구조물의 빌딩풍에 의한 피해예측 및 예방을 위한 위험도분석 시스템의 실제 활용성 극대화로 일반화시켜 공유

재해안전과 관련해서 부산시의 스마트폰 기반의 부산 재난안전앱 (App)’을 운영하고 있어, 앱 연동기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난정보 시민제공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지능형 광융합센서를 이용한 도시도로시설 이상감지 및 사고예방 시스템 개발 및 실증(광주)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2018년 시도별 지역안전지수 평가 결과, 광주시는 교통사고 안전등급 분야에서 가장 낮은 5등급 지역으로 분류되어 교통사고 분야의 재난안전 위험도 심각

지역 내 교통사고 건수 및 인명·재산 피해 감소를 위해서 사고빈도 및 치사율이 높은 터널, 교량, 지하차도, ·출입로 등 도로시설에 대한 교통 감지시스템 구축 필요

연구

목표

지능형 광융합센서 기반 도로시설 전 구간 종합 교통사고 예방 및 시설 이상감지 기술 개발과 실증

- 도로시설 교통 감지를 위한 광융합센서 모듈 및 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AI) 기반 도로시설 내 교통상황 인식 및 사고예방 시스템 개발 및 실증

주요연구

내용

광융합센서 핵심 모듈 및 시스템 개발

- 도로시설 진입부 정밀 교통상황 감지를 위한 스캐닝 시스템 개발

- 도로시설 전체 구역 교통상황 감지를 위한 분포형 광센서 시스템 개발

인공지능 기반 도로시설 교통정보 신호처리 및 분석 기술 개발

- 딥러닝 기반 이종센서 데이터 처리 및 인지 기술 개발

- 도로시설 내 전영역 교통상황 인식 및 돌발상황 분석 기술 개발

교통상황 감지 및 예방시스템 현장 적용 및 검증실증

활용방안

연구기관에서 개발된 원천기술의 기술이전을 통한 제품의 성공적 상용화 추진

광주형 스마트시티에 해당 기술의 적용을 통한 사업 모델 다양화 추진

연구 결과물의 전국 고속도로 및 지자체의 도로교통 안전 시스템으로 확산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기술 개발(부산)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280

320

480

480

지방비(20%)

320

80

120

120

총 연구비

1,600

400

600

600

연구

배경

부산광역시의 경우 최근 해안가 일대 고층빌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태풍강풍 시 고층 빌딩군에서 발생하는 빌딩풍의 영향위험도 증가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해운대구에 대부분 밀집되어 있는 상황

2019년 한 해에만 약 17개에 달하는 강한 태풍의 영향권에 있었으며, 빌딩풍으로 인한 피해액은 약 3,000억원 이상으로 단일 시로는 부산이 가장 높음

고층빌딩 지역의 건물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풍환경 변화와 위험성에 관한 기술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필요

연구

목표

부산 해운대지역 고층구조물 빌딩풍에 의한 건축물보행자 위험도분석 및 예방대응 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기법 개발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개발

빌딩풍에 의한 비산불 위험도 분석 기술 고도화 및 시민 서비스 기술 개발

부산시 스마트 빅보드 및 부산 재난안전앱(App) 연계

활용방안

부산권역 고층구조물의 빌딩풍에 의한 피해예측 및 예방을 위한 위험도분석 시스템의 실제 활용성 극대화로 일반화시켜 공유

재해안전과 관련해서 부산시의 스마트폰 기반의 부산 재난안전앱 (App)’을 운영하고 있어, 앱 연동기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난정보 시민제공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지능형 광융합센서를 이용한 도시도로시설 이상감지 및 사고예방 시스템 개발 및 실증(광주)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2018년 시도별 지역안전지수 평가 결과, 광주시는 교통사고 안전등급 분야에서 가장 낮은 5등급 지역으로 분류되어 교통사고 분야의 재난안전 위험도 심각

지역 내 교통사고 건수 및 인명·재산 피해 감소를 위해서 사고빈도 및 치사율이 높은 터널, 교량, 지하차도, ·출입로 등 도로시설에 대한 교통 감지시스템 구축 필요

연구

목표

지능형 광융합센서 기반 도로시설 전 구간 종합 교통사고 예방 및 시설 이상감지 기술 개발과 실증

- 도로시설 교통 감지를 위한 광융합센서 모듈 및 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AI) 기반 도로시설 내 교통상황 인식 및 사고예방 시스템 개발 및 실증

주요연구

내용

광융합센서 핵심 모듈 및 시스템 개발

- 도로시설 진입부 정밀 교통상황 감지를 위한 스캐닝 시스템 개발

- 도로시설 전체 구역 교통상황 감지를 위한 분포형 광센서 시스템 개발

인공지능 기반 도로시설 교통정보 신호처리 및 분석 기술 개발

- 딥러닝 기반 이종센서 데이터 처리 및 인지 기술 개발

- 도로시설 내 전영역 교통상황 인식 및 돌발상황 분석 기술 개발

교통상황 감지 및 예방시스템 현장 적용 및 검증실증

활용방안

연구기관에서 개발된 원천기술의 기술이전을 통한 제품의 성공적 상용화 추진

광주형 스마트시티에 해당 기술의 적용을 통한 사업 모델 다양화 추진

연구 결과물의 전국 고속도로 및 지자체의 도로교통 안전 시스템으로 확산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1인 가구 및 범죄 취약 가구 자가내 범죄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구축(경기)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00

400

600

600

지방비(20%)

400

100

150

150

총 연구비

2,000

500

750

750

연구

배경

국내 1인 가구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응급상황 구급활동, 주거 침입 안전 등이 1인 생활의 안전상 어려움으로 부각되고 있음

귀가하던 여성의 집에 침입을 시도하다 구속된 일명 신림동 강간미수 사건등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 범죄 증가 추세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와 및 이를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 각종 생활 안전(응급상황)에 신속하게 지원 및 대응할 수 있는 ICT 기반의 비상대응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시민의 생활안전 제고 필요

연구

목표

첨단 ICT 기반의 가구내 범죄예방 및 생활안전 비상 대응 시스템 구축

주요연구

내용

스위치형 비콘 및 경기도 안심 앱 개발

운영서버/연동 서버/DB 서버 구축 및 관리 웹 페이지 개발

이동형 비콘과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개발

긴급상황 대응을 위한 통합관제치안 시스템 구축

테스트베드 운영 및 실증

활용방안

경기도 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단계별 1인 가구 및 범죄 취약 가구를 대상으로 시군 매칭형 사업을 통해 비콘 기반 안심벨 보급확산

시스템 설치 위치정보와 실제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신고정보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안전모니터링 센터를 구축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빅데이터 기반 양간지풍 도시산불방재 기술개발(강원)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강원도는 양간지풍에 의한 산불피해가 국내 최고 수준으로 도시 산불 피해 최소화하기 위한 산불긴급 대응 시스템 개발이 필요

고성산불로 인한 1명 부상, 900억원의 재산피해 발생(’19.4.)

산불발생건수는 최근 10년 대비 18%, 피해면적은 48% 증가(’18년 산불통계연보, 산림청)

연구

목표

양간지풍 도시 산불 대응 체계 고도화 및 도시 산불 긴급 대응 종합시스템 개발

주요연구

내용

강원도 양간지풍 도시산불 긴급대응 기술 개발

빅데이터 기반 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실시간 산불확산모니터링 대응 리빙랩 구축운영현업화

강원도, 산림청, 동해안산불방지센터, 강원기상청과 대학교 연계 협력을 기반으로 한 리빙랩 운영을 통해 성과물의 활용성 확보

활용방안

강원도 산불감시 체계로 도입하여 주요 산불발생지 모니터링을 통한 선제적인 산불위험 및 산불발생을 파악하여 재난 대비대응 가능

산불 빈발위험 지역에 관련 기술을 보급하여 타 지자체에 확산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기술 실증(전북)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10

410

600

600

지방비(20%)

403

103

150

150

총 연구비

2,013

513

750

750

연구

배경

전라북도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65세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교통사고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8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절반 수준

전라북도는 교통사고 분야에 있어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교통사고를 예측·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

연구

목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 연계)

타겟 역 무단횡단 사고율 감소 및 노인 보행자 만족도 제고

주요연구

내용

교통 DB 기반 전라북도 및 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시범지역 설정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개발 및 현장 실증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개선방안 적용

활용방안

실증 타깃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 운영 및 실증

지역의 교통안전시설 관련 전문업체의 실증 기술개발 참여 및 사업화 추진

실증 기술개발 초기부터 전라북도 지역 협의체와 실증(리빙랩) 평가단을 운영

최종 성과물의 지역 적용 후, 전국적으로 서비스 모델 확산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진 연구(전남)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전남 서해안 지역은 해양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의료시설이 부족한 섬에서 발생하는 재난안전 사고도 매우 빈번함

- 도서지역에서 재난안전 사고 발생시 응급환자를 지역 응급의료센터(목포한국병원, 닥터 헬기 운영)로 이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가 어려움

도서지역 등 재난안전 사고 현장에서 바로 응급환자의 상태를 파악,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의료지시를 통해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AR 기반 원격 의료협진 기술개발 및 시스템 구축 필요

연구

목표

AR 기술을 활용한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협진 기술 개발 및 AR 기반 원격 협진 시범 운영·실효성 검증

주요연구

내용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및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및 실증

활용방안

해경 및 소방서 소속의 응급구조사의 구급 활동에 활용

전남 신안군 보건지소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재난 및 사고 후에 응급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활용

의료 소외 지역에 대한 의료 서비스 문제 해소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착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가스감지 기능을 통한 활동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고신축 소재기반 화학보호복(Level BC) 개발(경북)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화학사고 현장 구조자 및 작업자의 유해가스노출 위험에 장기간 노출로 건강위험성 증가에 따른 안전용 건강관리 체계 마련 시급

현장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등 위험요인으로부터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자발적 보호시스템 및 기술개발 필요

연구

목표

착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가스감지 기능을 통한 활동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고신축 소재기반 화학보호복(Level BC) 개발(공인 인증 포함)

주요연구

내용

Level B, C급 화학보호복 적용 소재 및 원단 개발

개인 생체신호 및 가스센서 통합형 보드 개발

다종 분석·연계 정보 제공·표출 기술 구현 및 서비스 개발

데이터 분석기반 안전지수 서비스 개발

서비스 시나리오 및 리빙랩 운영계획 제시

제품 성능 테스트 및 실증

활용방안

소방청, 해양경찰청 등 HNS 운송 유관 관리기관 산업현장 구조자 활용

화학물질 생산/운송 기업 현장 작업자 활용

현장 요구사항에 대한 피드백 수정 보완을 통한 화학물질 사고 최적 장비 공급 추진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을 적용한 중소형 시설물 지진피해평가관리 기술 개발(경남)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우리나라 지진발생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동남권 지역을 중심으로 규모 5.0 이상의 강진에 의한 지진피해 발생

경상남도에는 노후교량 및 건축물들이 존재하고 있어 지진발생 시 붕괴 등 피해발생 위험성이 높음

지진 발생 후, 시설물의 지진 안전성을 판단하여 계속적 사용가능여부 및 유지관리활동의 필요유무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기 위한 지진재해대응 기술 및 관련 시스템 구축 필요

연구

목표

지진발생 후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을 활용한 중소형 시설물*의 지진피해 위험도 평가 및 관리지원** 기술 개발

* 양산시 내 지진가속도계가 설치되지 않은 2, 3종 시설물을 주요 대상으로 함

** 긴급점검 대상 우선순위 선정 및 유지관리 활동 필요유무 판단근거 제공 등

주요연구

내용

임의 시설물 위치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 개발 및 안전성 평가 자동화를 위한 해석방안 연구

지진가속도 DB 구축 및 추정 해석모델 지진력과 연계한 시설물 지진 안전성 평가 자동화 모듈 개발

경상남도 지진피해평가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 가이드라인 작성

활용방안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설물 관리자에게 배포하고 행정안전부 지진재해대응시스템과 연계하여 사회인프라 시설물 지진피해 추정에 활용

지자체 및 각 시설물 관리담당 공무원의 지진 시 개별 구조물 긴급점검 실시, 피해보고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활동 의사결정 지원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착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가스감지 기능을 통한 활동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고신축 소재기반 화학보호복(Level BC) 개발(경북)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화학사고 현장 구조자 및 작업자의 유해가스노출 위험에 장기간 노출로 건강위험성 증가에 따른 안전용 건강관리 체계 마련 시급

현장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등 위험요인으로부터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자발적 보호시스템 및 기술개발 필요

연구

목표

착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가스감지 기능을 통한 활동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고신축 소재기반 화학보호복(Level BC) 개발(공인 인증 포함)

주요연구

내용

Level B, C급 화학보호복 적용 소재 및 원단 개발

개인 생체신호 및 가스센서 통합형 보드 개발

다종 분석·연계 정보 제공·표출 기술 구현 및 서비스 개발

데이터 분석기반 안전지수 서비스 개발

서비스 시나리오 및 리빙랩 운영계획 제시

제품 성능 테스트 및 실증

활용방안

소방청, 해양경찰청 등 HNS 운송 유관 관리기관 산업현장 구조자 활용

화학물질 생산/운송 기업 현장 작업자 활용

현장 요구사항에 대한 피드백 수정 보완을 통한 화학물질 사고 최적 장비 공급 추진

사 업 명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2020

~

2022

과 제 명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을 적용한 중소형 시설물 지진피해평가관리 기술 개발(경남)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방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

배경

우리나라 지진발생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동남권 지역을 중심으로 규모 5.0 이상의 강진에 의한 지진피해 발생

경상남도에는 노후교량 및 건축물들이 존재하고 있어 지진발생 시 붕괴 등 피해발생 위험성이 높음

지진 발생 후, 시설물의 지진 안전성을 판단하여 계속적 사용가능여부 및 유지관리활동의 필요유무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기 위한 지진재해대응 기술 및 관련 시스템 구축 필요

연구

목표

지진발생 후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을 활용한 중소형 시설물*의 지진피해 위험도 평가 및 관리지원** 기술 개발

* 양산시 내 지진가속도계가 설치되지 않은 2, 3종 시설물을 주요 대상으로 함

** 긴급점검 대상 우선순위 선정 및 유지관리 활동 필요유무 판단근거 제공 등

주요연구

내용

임의 시설물 위치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 개발 및 안전성 평가 자동화를 위한 해석방안 연구

지진가속도 DB 구축 및 추정 해석모델 지진력과 연계한 시설물 지진 안전성 평가 자동화 모듈 개발

경상남도 지진피해평가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 가이드라인 작성

활용방안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설물 관리자에게 배포하고 행정안전부 지진재해대응시스템과 연계하여 사회인프라 시설물 지진피해 추정에 활용

지자체 및 각 시설물 관리담당 공무원의 지진 시 개별 구조물 긴급점검 실시, 피해보고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활동 의사결정 지원

재난안전 부처협력 기술개발

내역사업명

(다부처)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R&D

2020

~

2021

과 제 명

ICT 기술 활용 자가격리자 및 접촉자 관리 시스템 시범사업 및 개선 연구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2,100

1,100

1,000

연구

배경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해 자가격리자의 감시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하나 격리 대상자의 증가시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고 관리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 필요

- 메르스 국내 유행시 접촉자 중 자가격리자는 관할 보건소에서 자가격리자 주거 방문 및 전화를 통한 모니터링을 시행

- 감염병에 의한 대규모 접촉자 발생 시 현재의 소규모 인력으로 대응에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시적 인력 운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ICT기술을 활용한 효율성 향상이 필요

연구

목표

자가격리자 및 접촉자 관리시스템 개발, 시범 운영

신종감염병 밀접접촉자의 자가격리자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도 및 수용도 제고방안 마련

접촉 데이터, 접촉 매트릭스 구축 및 감염병 전파 확산 모형 개발

2018~2019년도에 사업단의 선행과제*에서 개발된 제품 및 연구결과 활용

주요연구

내용

자가격리자 및 접촉자 관리 시범운영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다양한 자가격리 대상자에 대한 시범 운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서버 구축

신종감염병 밀접접촉자의 자가격리자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도 및 수용도 제고방안 연구

접촉 데이터, 접촉 매트릭스 구축 및 감염병 확산 모형 개발

활용방안

첨단 ICT기술로 자가격리자 감시 및 관리를 위한 인력적 한계를 극복하고 위기 발생시 감염병 확산방지 기반 마련

내역사업명

(다부처) 디지털트윈 기반의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지원 통합플랫폼 기술개발

2020

~

2024

과 제 명

재난 확산예측 및 현장중심 예방·대비·대응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실증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4차년도

(23)

5차년도

(24)

9,120

1,440

1,920

1,920

1,920

1,920

연구

배경

초연결 사회에서 사회기반 시설물이 집중된 지하공동구 재난은 사회기반 붕괴로 확산될 수 있어 선제적 재난관리기술 개발 필요

사례: ‘002월 여의도 공동구‘1811KT 통신구화재 등

지하공동구의 화재·재난 초기 대응을 위해 첨단 ICT 기반의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지하공동구 상시 감시 및 재난관리 기술개발 필요

특수 사회기반 시설인 지하공동구의 재난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체계 구축과 연구개발 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정부 중심의 범부처 협력을 통한 지원 필요

연구

목표

대형(복합)재난 확산예측 및 능동대응을 위한 현장중심 예방대비대응 기술개발 및 서비스 실증

주요연구

내용

현장중심 지하공동구 내 운영관리 및 화재·재난 초동대응 이동형 지능 시스템 개발

디지털트윈 기반 화재·재난대응 통합관리 기술 개발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확산예측 기술 개발

지하공동구 재난 확산예측 및 능동대응 현장적용 실증 서비스

활용방안

디지털 트윈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 개척 및 생태계 조성을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 및 첨단 ICT 기술 활용 재난관리 핵심기술 확보

재난으로부터 지속 가능한 사회기반 시설 유지를 통한 재난 피해 저감 및 대국민 안전권 확보에 의한 ‘Safe Korea’ 건설에 일조

내역사업명

부처협력 사업지원

2020

~

2024

과 제 명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고도화 기술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4차년도

(23)

5차년도

(24)

5,980

1,180

1,300

1,300

1,200

1,000

연구

배경

(공공성)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대형화 및 복합화에 대응하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재난 예경보 시스템의 고도화 요구

(시의성) 5G 도입에 따라,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에서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서비스 가능한 재난 예·경보 시스템 구축 필요성 증대

- 기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의 현황 분석을 통해 개선점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5G 환경에서 서비스 가능한 재난문자서비스 플랫폼 확보 필요

(국가계획 정합성) 국민안전 기본권에 대한 정부방향과 정책에 따라 대국민 재난안전경보 서비스 고도화 필요

연구

목표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도출, 표준화 및 검증 환경 구축

주요연구

내용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분석 및 시나리오 정의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기술 국제 표준화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위한 리빙랩 구축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협의체(또는 포럼) 구성 및 운영

활용방안

5G 이동통신망에서의 긴급재난안전 문자 서비스 방안 확보

행안부·기상청·지자체의 대국민 재난안전 대응 서비스 역량 강화

국내외 표준화를 통해 재난안전 예경보 서비스와 연관된 단말·통신·서비스 산업의 혼란 해소 및 연계 서비스 활성화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사 업 명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2020

~

2023

과 제 명

법령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기준 분석기술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4차년도

(’23)

1,800

300

500

500

500

연구

배경

안전기준 관련 사고발생으로 안전기준의 체계적 관리 필요성 제기

- 구미 불산누출사고(‘12.09.)를 계기로 각종 안전기준의 체계적 관리·운용을 위한 안전기준 등록·심의제도(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34조의7) 도입

- 해당부처의 소극적 대응, 부처 이견 등으로 안전기준 등록미흡

효율적인 안전기준 분석을 위한 기술개발 필요

- 11만여 건에 달하는 자치법규(조례, 규칙)를 제외하더라고 현행 법령은 48백여 건으로 이들에 산재해 있는 안전기준의 누락/중복/미비를 인력으로 확인하기에는 한계상존

- 또한 법령 제개정으로 인한 안전기준의 추가분류, 추출에 비효율성 발생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기준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정보처리 기술 등을 활용한 기술개발 필요

연구

목표

다양한 부처·법령·분야별로 산재되어 있는 안전기준을 효율적으로 조사·분석·개선·관리하기 위한 기술개발

주요연구

내용

안전기준 분석대상 선정기준 마련 및 판단체계 수립

- 분석대상 선정기준 개발을 위한 방법론 조사 및 분석

- 정량적, 정성적 요인을 고려한 선정기준 및 판단체계 개발

안전기준 개선지원을 위한 사고사례 기반 안전기준 검토·분석

- 안전기준 추출·분석의 요소·프레임 설계 및 표준화 추진

- 객관적 판단을 거쳐, 안전기준심의회 지원을 위한 안전기준 대상선택 및 추출/분석

효율적·체계적 안전기준 추출분석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

- 용어정의, 분류, 유의어, 동의어, 관련어 등을 파악하고 객체속성 관계 기반의 안전기준 용어 선정, 정형화 및 구조화 검토

- 키워드 검색, 자연어 검색 등이 가능한 안전기준 지식베이스 구축 및 검색 시스템 개발

활용방안

효율적·체계적 안전기준 분석 지원도구 및 관리 프로세스 확보

안전기준등록 및 심의제도 활성화 기반마련

사 업 명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2020

~

2024

과 제 명

대규모 재난대피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4차년도

(’23)

5차년도

(’24)

4,500

600

900

900

900

900

연구

배경

재난피해가 대형화복잡화됨에 따라 3km이상에서 도시단위까지의 대규모 재난 대피상황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비 미흡

최악의 붕괴 뒤에도 재난대응 미숙했다.’ (서울일보, ’19.1.)

고리원전 사고 나면 대피만 하루 걸려(한국일보, ’17.2.)

재난유형별로 대피계획이 수립운영되고 있으나, 대규모 재난상황에 대한 경험부족, 도로전기 인프라 시설 마비 및 복합적 재난상황 고려 미흡

* 지진-지진해일-방사능 재난등 다양한 복합적 재난상황에 대한 가정 부족, 도로전기 인프라 마비 시 재난정보 전달과 대피로 확보에 곤란을 겪을 것이 예상됨

극한 재난상황에 대비한 지자체 중심의 통합적 대피계획 수립과 대비 및 대피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확보 필요

연구

목표

대규모 재난대피 상황 관리체계 개선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중앙지방 정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 재난대피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주요연구

내용

복합재난 시나리오 작성기법 개발 및 피해예측 가시화 기술 개발

* 침수, 지진 등 단일재난에서 인프라 시설도시기능 마비 등 복합재난으로 발전하는 과정에 대한 과학적 예측분석 모델 및 가시화 기술 개발

중앙지방 정부의 대규모 대피상황 관리대응 모델 개발

지역중심의 통합적 재난대응 대피계획 수립 방법론 및 자동화 기술 개발

대규모 대피상황 시뮬레이션 및 상황관리 기술 개발

활용방안

극한 재난에 대비한 대규모 재난대피 체계 개선 및 대응수준 평가

통합적 재난대피 계획수립 가이드라인대피계획 수립 전산도구제시를 통해 지방정부가 실제적인 재난대피 계획을 수립하고, 대규모 대피상황에 대비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사 업 명

재난안전관리 업무지원 기술개발

2020

~

2022

과 제 명

지역안전의식 수준 측정기술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1,400

300

500

600

연구

배경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 지역별 안전수준과 안전의식을 객관적으로 진단해야 하나 안전의식 진단 부분 부재

*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66조의10(안전지수의 공표) : 지역별 안전수준안전의식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수를 개발·조사하여 그 결과를 공표할 수 있다.

지자체는 지속적으로 안전수준과 안전의식을 포함한 지역안전지수 요구

안전의식 측정방법 개발을 통한 법적 요구사항 충족, 지역안전지수에 대한 지자체 수용성과 주민 체감도 증진

연구

목표

지자체 안전에 대한 주민의식 수준 측정 기법 개발

주요연구

내용

(조사) 기존 조사 및 통계자료* 중 안전 의식 측정 가능 지표 조사

* 음주운전경험률(복지부),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통계청), 안전신문고 건수(행안부)

(분석) 기존 지표 활용 가능성 및 신규지표 개발 발굴(설문조사 포함), 표준화 등

안전사고 분야별(교통, 화재 등) 또는 통합 산정 시 조사 단위(광역, 기초)/조사주기 (매년/격년, 기타)/지자체 활용성/조사비용 등 측면을 고려 장단점 분석

(산식) 지표 성격(+, -), 가중치 부여 방식 등을 고려한 산식 개발

(산출) 시범산출(연도별 시범산출지역 확대)

활용방안

지자체 안전수준 및 의식을 객관적으로 반영한 지역안전지수 공표

안전의식수준 측정기술 개발을 통해 의식조사 방법론 정립

최적 방법론 개발 시 설문조사 비용 감축 가능

 

참고 3

 

2020년도 과제관리 주요 변경사항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공동관리규정)개정(19.9.1.)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개정(19.12.27.)에 따른 주요 변경사항

연구개발비 사용방식 표준화간소화

 

계속과제의 경우 원칙적으로 다년도 협약*을 체결토록 하고, 이 경우 집행잔액은 다음 연도로 이월 허용 (공동관리규정 제9조제3, 12조의23항제2)

* 연차별 협약을 하지 않고 23년의 단계별로 구분하여 협약

연구행정 인력의 인건비직접비에서 지급 허용 (공동관리규정 별표 2)

비슷한 성격의 연구활동비와 연구과제추진비의 세목 통합 (공동관리규정 별표 2)

연구개발비 규정 개정사항은 ‘199월에 전면 도입된 범부처 연구비통합관리시스템*에 기 반영되어 자동적으로 구현

* 행안부는 통합 Ezbaro 시스템(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통합 RCMS 시스템(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동시 사용 예정

학생연구원 등에 대한 처우 개선

 

근로 안정성 확보를 위해 박사후연구원연구기관과의 근로계약 증명서류를 협약 시 제출하도록 함 (공동관리규정 제8조제3)

학생연구원의 기술료보상금 지급기준을 과제협약에 포함 (공동관리규정 제9조제7)

연구 생산 데이터 관리

 

장관이 지정한 과제의 경우, 연구를 통해 생산된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연구계획 시 데이터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함 (공동관리규정 제2조제19, 6조제4항제9)

사업명

해당 과제명 (연구기간)

비고

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기술 개발

폭염 직접 피해자의 사회·환경 원인 분석 기술개발 (’20~’24)

출연금

재난안전관리업무지원기술개발

지역안전의식 수준 측정기술 (’20~’22)

연구원

 

행정안전부 공고 제2020-56

 

2020년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 신규과제 공모

 

2020년도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신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모하니 연구개발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기관·단체 또는 사업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123

행정안전부 장관

- 목 차 -

1. 사업목적 2

2. 사업개요 2

3. 사업추진체계 2

4. 신규 공모과제 4

5. 신청 자격 5

6. 선정절차 및 세부기준 9

6-1. 대상기관 선정절차 9

6-2. 신청서 사전 검토 및 처리 10

6-3. 과제 중복성 확인 방법 12

6-4. 발표평가 방법 12

6-5. 대상기관 선정기준 14

7. 추진 일정 15

8. 제출서류 16

9. 접수기간 및 접수처 18

10. 문의처 19

11. 기타 사항 19

12. 관련 법령 및 규정 20

[붙임 1] 신청관련 Q&A 21
[붙임 2] 지정공모과제 제안 요청서(RFP) 22

1. 사업목적

지역별 재난안전 위험도취약성이 다름에 따라 지역 재난안전 현장특성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지역사회 스스로가 문제해결을 통한 지역단위의 재난안전 관리 역량 강화 및 성과의 현장 활용성 향상

2. 사업개요

사업기간 : ’20’22(3)

’20년 사업비 : 5,063백만원(정부출연금: 4,050백만원, 지방비: 1,013백만원)

’20년 신규과제는 10개이며, 최종연도에는 리빙랩 등 현장적용 중심으로 계획 수립

공모 분야 및 규모

- 공모분야: 대상 시도별 재난안전 현안 문제해결 기술개발 연구과제 지원(도별 1개 과제)

- 공모방식: 지정공모형

- 지원대상: 10개 시도 단위의 지역 내 연구기관

지원형태 : 정부 출연(80%), 지방비(20%)

 

3. 사업추진체계

사업 시행주체

- 사업 시행기관 : 행정안전부(재난안전연구개발과)

- 과제 관리기관(총괄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필요에 따라 주관(협동)연구기관, 공동연구기관, 위탁연구기관 및 참여기업으로 편성된 컨소시엄으로 신청 가능

주관연구기관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

협동연구기관은 연구개발과제가 2개 이상의 세부과제로 나누어질 경우, 협약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연구개발과제의 세부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함으로써 주관연구기관과 협동으로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기관

공동연구기관은 협약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연구개발과제를 주관연구기관과 분담하거나 세부과제를 협동연구기관과 분담하여 공동으로 수행하는 기관

위탁연구기관은 협약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관연구기관 또는 협동연구기관으로부터 연구개발과제의 일부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기관

참여기업은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실시할 목적으로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필요한 연구개발비의 일부를 부담하는 기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표.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95pixel, 세로 541pixel

<일반과제 추진체계(예시)>

4. 신규 공모과제

공모

방식

시도명

과제명

연구

기간

연 구 비(백만원)

과제유형

당해년도

연구비

지정

공모

부산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기술 개발

3

400

1,600

일반과제

광주

지능형 광융합센서를 이용한 도시도로시설 이상감지 및 사고예방 시스템 개발 및 실증

3

525

2,025

일반과제

대전

도심지 침수 대응 시민안전 지원 기술 개발

3

525

1,838

일반과제

경기

1인 가구 및 범죄 취약 가구 자가내 범죄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구축

3

500

2,000

일반과제

강원

빅데이터 기반 양간지풍 도시산불방재 기술개발

3

525

2,025

일반과제

전북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 개발

3

513

2,013

일반과제

전남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진 연구

3

525

2,025

일반과제

경북

착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가스감지 기능을 통한 활동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고신축 소재기반 화학보호복(Level B) 개발

3

525

2,025

일반과제

경남

지진력 추정 학습기술을 적용한 중소형 시설물 지진피해평가관리 기술 개발

3

525

2,025

일반과제

제주

재난 및 항공 체류객 지원 대응 Safe Space In Jeju 구축

3

500

2,000

일반과제

합계

5,063

19,576

 

해당과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안요청서(RFP) 참조

신규과제 공모결과 신청기관이 없거나, 단독으로 신청한 경우 재공고 실시

연구비 및 연구기간은 선정평가 결과에 따라 조정 가능하며, 또는 정부예산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회계연도 일치사업)

5. 신청 자격

참여자격: 공고일 현재 연구대상지역(10개 시*로 한정) 내 소재하고 있는 연구수행기관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주관연구기관은 연구대상지역 내 소재, 협동/공동/위탁연구기관은 지역 소재지 제한 없음

수행기관별

자격(소재지 기준)

연구

수행

기관

기업

연구대상 시·도 내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두고 있는 기업

대학

연구대상 시·도 내에 소재하는 대학교

(본원과 분리된 분원인 경우, 신청하는 분원 소재지 기준)

연구소

연구대상 시·도 내 소재하는 연구기관

(본원과 분리된 분원의 경우, 신청하는 분원 혹은 연구소 소재지 기준)

 

수행연구기관(주관·협동·공동·위탁연구기관)의 자격

국립·공립 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또는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따라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

③「특정연구기관육성법에 따른 특정연구기관

④「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산업대학·전문대학 또는 기술대학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14조제1항제2호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기업의 연구개발전담부서

⑥「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⑦「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에 따른 연구개발서비스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

⑧「의료법에 따라 설립된 의료법인 중 연구인력·시설 등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16조제2항에서 정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의료법인

⑨「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법에 따른 산업기술연구조합

⑩「민법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재난·안전 분야의 법인인 연구기관 및 단체 중 3년 이상의 연구경력을 가진 연구전담인력 5명 이상을 확보하고 독립된 연구시설을 갖춘 국내외 연구기관 및 단체

 

신청 시 유의사항

 

 

 

연구자가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는 5개 과제 이내로 하고, 그 중 주관/협동연구책임자로서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3개 과제 이내로 함.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과제는 포함하지 않는다.

- 수행 중인 연구개발과제가 신청 마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연구개발과제

- 사전조사, 기획평가연구 또는 시험검사분석에 관한 연구개발과제

- 세부과제의 조정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과제

- 중소기업과 비영리법인이 공동연구기관으로 함께 참여하는 연구개발과제로서 해당연도 정부출연금액이 3억원 이하인 연구개발과제(비영리법인 소속 연구자의 연구개발과제 수 계산에 대해서만 적용하며, 중소기업과 비영리법인이 협동연구기관으로서 각각 별도의 세부과제를 담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 세부과제로 나누어지지 않은 연구개발과제로서 해당연도 정부출연금액이 5천만원 이하인 연구개발과제

- 연구개발사업의 위탁연구과제

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 제한 기준(과기부고시 제2017-5) 참고

연구책임자가 연구기관의 회원, 겸임연구원 등 비상근인 경우 신청 제한

주관연구책임자의 경우 해당과제의 연구 참여율은 25%이상 정하여 수행

기업소속 참여연구원의 인건비는 현물계상이 원칙이나 다음의 경우 현금 지급이 가능하며 관련 증빙서류 제출 필요

연구개발비 비목별 계상기준(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별표4]) 참고

- 지식서비스 분야의 개발내용을 포함한 과제를 수행하는 중소기업 소속 연구원의 인건비

해당 시, ‘지식서비스 분야 심의 요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해당분야 인정 여부는 선정평가 시 결정

-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18조에 따른 연구개발서비스업자로 신고한 기업에 소속된 연구원으로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직접 참여하는 연구원의 인건비

- 중소기업의 경우 해당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위해 신규로 채용하는 연구원의 인건비(신규 채용 연구원은 사업 공고일 기준 6개월 이내에 채용한 연구원도 인정)

참여제한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기간 중에 있는 자 또는 기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제재 조치를 받은 연구자 또는 기관은 제재기간이 연구계획서 신청마감일 전일까지 종료되는 경우에는 신청 및 참여 가능

연구기관의 연구참여 범위 제한

- 연구개발의 집중과 연구자원의 결집을 위해 과제 내에서 동일기관은 주관연구기관, 협동(공동)연구기관 중 1개에 한하여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참여연구진 구성 시 유의사항

-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선정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하나의 과제에 대하여 동일기관이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컨소시엄에 주관 연구기관, 협동(공동)연구기관으로 동시 참여 불가

경쟁기관에 소속된 연구자를 전문가(자문위원 등)로서 활용하는 것은 가능

- 신청자는 참여기관 수 과다편성으로 인한 추진체계의 비효율성을 최대한 지양하고, 반드시 필요한 기관으로만 구성하여 연구추진의 효율성을 도모할 것

 

참여기업 연구개발비 부담 비율

 

< 행정안전부 및 참여기업의 연구개발비 출연·부담 기준 >

 

 

 

 

1. 행정안전부의 연구개발비 출연 기준

 

2. 참여기업이 부담하는 연구개발비 중 현금 부담 기준

 

3. 참여기업이 부담하는 연구개발비 중 현물 부담이 허용되는 비목 및 범위

 

. 참여기업이 모두 대기업인 경우: 총 연구개발비의 50퍼센트 이내

. 참여기업이 모두 중견기업인 경우: 총 연구개발비의 60퍼센트 이내

. 참여기업이 모두 중소기업인 경우: 총 연구개발비의 75퍼센트 이내

. 참여기업이 복합적으로 구성되고, 그 중 대기업의 비율이 3분의 1이하인 경우: 총 연구개발비의 60퍼센트 이내. 다만,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의 비율이 3분의 2 이상인 경우는 총연구개발비의 75퍼센트 이내로 한다.

. 그 밖의 경우: 총 연구개발비의 50퍼센트 이내

 

. 참여기업이 대기업인 경우: 부담금액의 15퍼센트 이상

. 참여기업이 중견기업인 경우: 부담금액의 13퍼센트 이상

. 참여기업이 중소기업인 경우: 부담금액의 10퍼센트 이상

 

. 참여기업 소속 연구원의 인건비(대기업의 경우에는 현물 부담액의 50퍼센트 이내, 중견기업인 경우에는 70퍼센트 이내)

. 직접경비 중 보유하고 있는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재료비, 시작품 제작에 필요한 부품비, 기술도입비(대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기자재, 시설비 및 기술도입비는 기업의 현물 부담액 중 인건비를 제외한 금액의 50퍼센트 이내, 중견기업인 경우에는 70퍼센트 이내)

 

비고

1. "중소기업"이란 중소기업기본법2조에 따른 중소기업을 말한다.

2. "중견기업"이란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2조제1호에 따른 중견기업을 말한다.

3. "대기업"이란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이 아닌 기업을 말한다.

4. 연구개발과제가 둘 이상의 세부과제로 구성된 경우에는 세부과제 단위로 연구개발비 출연부담 기준을 적용한다.

5. 행정안전부의 연구개발비 출연금 중 대기업에 지원되는 금액은 해당 대기업 연구개발비의 50퍼센트 이하로 한다.

6. 참여기업이 부담하는 연구개발비 중 현금 부담은 협약기간(다년도 협약과제의 경우 해당 연도 연구기간을 말한다) 종료 3개월 전까지 완료되어야 한다.

6. 선정절차 및 세부기준

6-1. 대상기관 선정절차

사업계획

수립·공고

 

확정된 예산을 토대로 해당연도 사업계획 수립·공고

신규과제 연구기관 선정 공고

행정안전부

 

(null)

 

 

 

과제 신청·접수

 

연구개발계획서 신청·접수
(주관연구기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 접수 :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mois.keit.re.kr)

* 상세제출 방법 Q&A 참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ull)

 

 

 

사전검토

및 후속조치

 

공모과제에 대한 신청접수시 신청기관의 자격, 제출서류 등 신청기관의 적합성 검토(적합/부적합/보완)

- 서류 보완이 필요한 경우, 신청기관에 서류 보완 요청

- 서류 부적합 판단 시, 접수 취소(탈락) 조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ull)

 

 

 

서류 보완 완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요청의 서류보완 요청을 받은 신청기관은 7이내 서류 보완 및 최종 제출

신청기관

 

(null)

 

 

 

평가 대상 선정

 

기한 내 제출된 보완 자료 검토 후, 최종 접수

- 정당한 사유 없이 기간 내에 보완하지 않을 경우 신청서 접수 무효처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ull)

 

 

 

발표평가

(전문가 평가)

 

연구개발과제 평가단을 구성하여 과제 평가

- 평가단 구성 : ··연 전문가 7인 이상을 평가위원 선정, 구성

- 평가 항목 : 과제목표 및 내용 적합성, 활용성, 연구비 적정성 등 검토

평가단

 

(null)

 

 

 

종합평가서 작성

(가감점 부여)

 

전문가평가 결과 및 가감점을 합산, 우선순위를 정하고 종합평가서 작성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ull)

 

 

 

지원대상기관 확정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제출한 평가결과 등을 최종 검토, 사업수행기관 확정

행정안전부

 

 

 

6-2. 신청서 사전 검토 및 처리

접수 마감일까지 제출된 서류에 대한 사전검토 결과,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접수 무효 처리

신청공문에 신청기관 장의 직인이 찍히지 아니한 경우

주관 또는 협동연구책임자가 참여제한에 해당되는 경우

주관 또는 협동연구기관이 연구개발사업 신청자격이 없거나 참여제한에 해당되는 경우, 또는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평가지침별표 1의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지원제외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신청서류가 거짓으로 작성된 경우

그 밖에 보완할 수 없는 중대한 잘못이 있는 경우

사전검토 결과,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신청자에게 7일 이내에 보완요청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기간 내 보완하지 않을 경우 신청서류를 무효처리

연구개발계획서에 신청기관 장의 직인 또는 주관연구책임자의 도장이 찍히지 아니한 경우

연구개발과제 참여의사 확인서에 수행기관의 장의 직인이 찍히지 아니한 경우

참여기업이 있는 경우, 기업참여의사 확인서가 없거나 기업참여의사 확인서에 참여기업의 장의 직인이 찍히지 아니한 경우

중소(중견)기업 증빙서류 등 첨부서류가 빠진 경우

공동 또는 위탁연구책임자가 참여제한에 해당되는 경우

공동 또는 위탁연구기관이 연구개발사업 신청자격이 없거나 참여제한에 해당되는 경우, 또는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평가지침별표 1의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지원제외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기업부담금 비율 또는 현금부담금 비율이 정해진 비율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접수 무효처리 사항 외에 기재사항이 빠지는 등 보완이 필요한 경우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지원제외조건>

 

 

 

다음 각 호의 사항 중 1개 이상에 해당할 경우 사전지원제외 대상으로 한다.

 

1. 주관연구기관, 협동연구기관, 공동연구기관, 위탁연구기관 또는 참여기업의 부도

2. 국세 또는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신용회복위원회(재창업지원위원회)를 통해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재도전기업주 재기지원보증을 받은 경우,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기업은 예외)

3. 민사집행법, 신용정보집중기관에 의한 채무불이행자의 경우(,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신용회복위원회(재창업지원위원회)를 통해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재도전기업주 재기지원보증을 받은 경우는 예외)

4. 파산회생절차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제를 정상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

5. 결산 기준 사업개시일 또는 법인설립일이 3년 이상이고 최근 2년 결산 재무제표 상 부채비율(벤쳐캐피탈협회 회원사로부터 대출형 투자유치(CB, BW)를 통한 신규차입금은 부채총액에서 제외 가능)이 연속 500% 이상인 기업 또는 유동비율이 연속 50% 이하인 기업(,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 ʻʻBBBˮ 이상인 경우,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 등급이 ʻʻBBBˮ 이상인 경우 또는 외국인투자 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중 외국인투자비율이 50% 이상이며, 기업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외국인투자기업은 예외), 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3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 적용 예외

6. 최근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기업은 제외)

7. 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결산감사 의견이 ʻʻ의견거절ˮ 또는 ʻʻ부적정ˮ

 

상기 내용은 비영리기관 및 공기업(공사)은 적용하지 않음

 

 

6-3. 과제 중복성 확인 방법

신청과제의 기술개발 목표 및 내용이 기 지원, 기 개발된 과제와 동일한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됨

(1) 신청기관 확인

- ‘별첨 1. 연구개발계획서(신청용)’ [붙임 3] 신청자격의 적정성 확인서에서 과제의 중복성 여부 확인

(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검토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과제 중복성 검토

(3) 연구개발과제 평가단 확인(전문가 평가)

- 평가위원 과반수 이상이 제안된 과제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정 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음

6-4. 평가 방법

발표 평가

- 연구개발과제의 규모 및 전문분야에 따라 위원장 1인을 포함하7인 이상 13인 이내의 산연 전문가로 연구개발과제 평가단을 구성함

- 평가는 주관연구책임자의 대면(발표)평가와 질의응답으로 진행하며, 주관연구책임자가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과제의 평가단 평가점수는 평가위원별 점수 중 최고점수와 최저점수 각 1개를 제외한 총점을 산술평균(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정함

평가에 참여한 위원이 6명 이하인 경우 최고최저점수를 제외하지 않음

- 평가단 평가점수(감점을 포함하지 않음)60점 미만(단독으로 신청한 과제인 경우에는 70점 미만) 과제는 탈락으로 처리함

6-5. 대상기관 선정기준

평가항목(발표 평가)

평 가 항 목

평 가 배 점

. 연구개발의 필요성(10)

지역현안문제의 이해도

10

8

6

4

2

.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20)

최종연차별 목표의 적합성, 명확성, 도전성

10

8

6

4

2

연차(단계)별 성과목표지표 설정, 평가 착안점 및 기준의 적절성, 구체성

10

8

6

4

2

. 추진전략 추진체계 (25)

목표달성을 위한 추진전략과 연구개발방법의 창의성, 타당성, 연구일정계획의 구체성 및 적절성

10

8

6

4

2

이해관계자(지역주민) 참여 리빙랩 운영계획의 구체성

15

12

9

6

3

. 활용 가능성 및 기대효과

(30)

지역 재난안전 문제해결 활용가능성

10

8

6

4

2

과학기술적,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전문인력 양성 포함

20

16

12

8

4

. 연구수행 능력 (10)

주관연구책임자의 연구수행관리능력 및 관련 분야 연구경험, 연구윤리 수준

5

4

3

2

1

연구기관의 연구인프라 및 연구환경의 수준

5

4

3

2

1

. 연구개발비의 적정성 (5)

연구개발비 편성의 적절성

5

4

3

2

1

평 가 점 수

연구개발계획서에 해당 평가항목들을 포함하여 작성할 것

평가항목 및 배점은 연구개발과제 성격에 따라 변경 또는 연구개발과제 평가단에서 일부조정 가능

 

 

가점 및 감점 기준

- 신청기관은 가감점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사항 목록(별첨 4. 가감점 신청서)과 증빙서류 제출(, 기술료 증빙시 통장사본 제출)

- 평가단 평가점수가 60점 이상인 과제(단독으로 신청한 과제인 경우에는 70점 이상)에 대하여 평가단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아래 표의 <연구개발과제 선정의 가점 및 감점 세부기준>에 따라 가점 및 감점을 부여할 수 있음

- 감점은 접수마감일까지 제출된 자료를 근거로 평가단 평가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점수를 산정하고, 지원의 우선순위를 정함

 

< 연구개발과제 선정의 가점 및 감점 세부기준>

 

 

 

구분

기 준

적용

기산일

적용

기간

감점률

최소

최대

1.

가점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최종평가 결과가 최우수등급(상대평가시 상위 10%, 절대평가시 90점 이상)인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해당 평가를 실시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분야의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최종평가

결과

통보일

2

+2%

+5

. 최근 3년 이내에 공동관리규정 제17조제9항에 따라 포상을 받은 연구자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포상일

3

+1%

+3%

. 최근 3년 이내에 협약한 연구개발과제로서 협약 시 보안과제로 분류된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보안과제

협약

종료일

3

+1%

+3%

. 최근 3년 이내에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하여 징수한 기술료 총액이 2천만원 이상이거나, 같은 기간 내에 2(건당 500만원 이상) 이상의 기술이전 실적이 있는 연구책임자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기술실시

계약

체결일

3

+1%

+3%

.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추적평가 결과가 매우우수(90점 이상)로 평가된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해당 평가를 실시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분야의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추적평가

결과

통보일

2

+2%

+5

.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추적평가 결과가 우수(80점 이상)로 평가된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해당 평가를 실시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분야의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추적평가

결과

통보일

2

+1%

+2

. 최근 3년 이내에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 우수성과로 장관시상을 받은 연구자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시상일

3

+1%

+2

2.

감점

. 최근 3년 이내에 처리규정 제64조제1항에 따른 연구부정행위로 판단되어 협약이 해약된 연구개발과제의 연구책임자가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연구부정에 따른 협약

해약일

3

-5%

-10

.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최종평가 결과가 최하위 등급(상대평가 시 하위 10등급, 절대평가 시 50점 이하)인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해당 평가를 실시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분야의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최종평가

결과 통보일

2

-2%

-5

. 연구개발과제 선정 후 정당한 사유없이 협약을 포기한 경력이 있는 연구책임자나 기업이 협약 포기 후 3년 이내에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협약포기통보일

(연구기관총괄기관)

3

-2%

-5

. 연구개발과제의 연구수행 도중 연구를 포기한 경력이 있는 연구책임자나 기업이 연구 포기 후 3년 이내에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연구포기에 따른 협약

해약일

3

-2%

-5

.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최종평가 결과가 하위등급(상대평가 시 하위 10% 등급, 절대평가 시 60점 미만)인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해당 평가를 실시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분야의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최종평가

결과 통보일

2

-1%

-3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상습적으로 위반한 기업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한 경우에 그러한 위반 사실이 같은 법 제26조에 따른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 등을 통하여 확인될 경우

법 위반사실 통보일

3

-2%

-5

.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추적평가 결과 미흡(60점 미만)으로 평가된 연구개발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해당 평가를 실시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분야의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추적평가

결과 통보일

2

-2%

-5

감점

부여

원칙

감점률은 선정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부여

·감점 기준에 해당하는 건수가 1건씩 증가/감소 시 ±1% 차등 부여

가점 및 감점은 최대 10점 이내로 부여

가점과 감점이 동시에 있는 경우 이를 합산 후 가점과 감점의 상한은 각각 최대 10점 이내로 함.

기술료가 2천만원씩 증가 시 +1%씩 가점 부여

비고

참여제한기간과 감점부여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해당 감점이 적용되는 기산일은 참여제한기간이 종료되는 날의 다음날로 함

적용기간은 신청마감일 기준임

감점 부여 사유에 해당하는 대상이 주관연구책임자 또는 주관연구기관으로 연구과제를 신청하는 경우 해당 과제의 선정 평가점수에 해당 가점 또는 감점을 부여함

 

 

7. 추진 일정

과제공모 공고 : 2020. 1. 23.() ~ 2. 25.()

선정평가 : 2020. 3월중

협약체결 및 연구착수 : 2020. 4월중

일정은 업무추진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8. 제출서류

제출방법(온라인 접수와 서류 모두 제출)

온라인 접수: 산업기술R&D정보포털(mois.keit.re.kr)을 통해 접수

서 류 명

부수

제출기관

비고

신청공문

1

주관기관

신청기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연구개발

계획서

<별첨 1.>

PART I

1

주관+협동기관

온라인 전산 입력(첨부파일 자동생성)

협동연구기관은 주관연구기관으로부터 주관연구기관 과제번호 파악 후 입력

PART II

1

주관기관

온라인 업로드(hwp)

붙임 1

1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붙임 2

1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붙임 3

1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붙임 4

1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기관별 제출 가능(주관기관 취합)

붙임 5

(해당되는 경우)

1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붙임 6

1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기관별 제출 가능(주관기관 취합)

붙임 7

(해당되는 경우)

1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사업자등록증

1

모든기관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중소/중견/대기업 증빙서류(해당되는 경우)

1

해당기관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인정서(해당되는 경우)

1

해당기관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기업신용평가등급
확인서(기업의 경우)

1

해당기관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연구개발서비스업 신고증

1

해당기관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신규과제 선정평가 분야 신청서 <별첨 2.>

1

주관기관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지식서비스 분야 심의 요청서(해당되는 경우) <별첨 3.>

1

해당기관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가감점 신청서 및

가감점 부여 증빙서류

(해당되는 경우) <별첨 4.>

1

주관기관

(해당되는 경우)

온라인 업로드(PDF로 스캔)

발표자료

1

주관기관

평가 당일 제출(접수 후 별도 안내)

발표자료는 평가항목 순으로 작성

 

 

< 제출서류 부가설명 >

 

 

 

신청 공문(신청 기관장 직인 날인, 자체 양식) 1

행정안전부 연구개발계획서 1

연구개발계획서(Part 2)100쪽 이내로 작성(붙임[1~7]서류 미포함)

관련 서식: [별첨1] 연구개발계획서(신청용)

- [붙임 1] 연구개발과제 성과계획서

- [붙임 2] 연구개발과제 성과점검기준표

- [붙임 3] 신청 자격의 적정성 확인서

- [붙임 4] 연구개발과제 참여의사 확인서

- [붙임 5] 기업참여의사 확인서(신청용)(해당 시)

- [붙임 6] 개인정보 제공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신청용)

- [붙임 7] 시설장비 심의요청서, 시설장비 구축계획서(해당 시)

사업자등록증 1

전 기관 제출 필수, 사본 제출 시 원본대조필 날인하여 제출

중소/중견/대기업 증빙서류 1

기업인 경우 대상기관 제출 필수, 사본 제출 시 원본대조필 날인하여 제출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와 관련된 원천징수이행상황확인서, 벤처기업확인서, 기술혁신형중소기업확인서, 경영혁신형중소기업확인서, 중소기업기준검토표 중 1개 또는 중견/대기업 증빙 서류 제출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인정서 1

기업인 경우 대상기관 제출 필수, 사본 제출 시 원본대조필 날인하여 제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발행, 접수마감일 기준, 1개월 이내(20124일 이후) 발급한 서류 제출

기업신용평가등급확인서 1

기업인 경우 대상기관 제출 필수, 사본 제출 시 원본대조필 날인하여 제출

기업신용평가등급확인서를 발급받지 못하는 신생기업일 경우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재무제표(세무사, 회계사의 날인 필요) 1부 제출

신규과제 선정평가 분야 신청서 1

[별첨 2] 신규과제 선정평가 분야 신청서 서식 참고

지식서비스 분야 심의 요청서 1

[별첨 3] 지식서비스 분야 심의 요청서 서식 참고

연구비 인건비 현금 계상지급하고자 하나, 연구개발서비스업 신고증을 제출할 수 없는 경우 대상 기관 제출

연구개발서비스업 신고증 1

인건비를 현금으로 계상하고자 하는 경우 대상 기관 제출, 사본 제출 시 원본대조필 날인하여 제출

·감점 신청서 및 관련 증빙서류 1

주관연구기관 또는 주관연구책임자의 가감점만 해당

[별첨 4] ·감점 신청서 서식 참고

별도양식은 없으나 기술료 증빙시 통장사본을 제출하여야 함. 감점 항목은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24조 제11항 및 [별표 2]참조, 사본 제출 시 원본대조필 날인하여 제출

서류접수 시 제출하지 않은 실적(·감점)은 인정되지 않음

 

서식 등 목록

- 별첨 1. 연구개발계획서(신청용)

[붙임 1] 연구개발과제 성과계획서(총괄)

[붙임 2] 연구개발과제 성과점검기준표(총괄)

[붙임 3] 신청자격의 적정성 확인서

[붙임 4] 참여의사 확인서
[붙임 5] 기업참여의사 확인서

[붙임 6] 개인정보 제공 및 과세정보 제공활용 동의서(신청용)
[붙임 7] 시설장비 심의요청서, 시설장비별 구축계획서(해당되는 경우)

- 별첨 2. 신규과제 선정평가 분야 신청서

- 별첨 3. 지식서비스 분야 심의 요청서(해당되는 경우)

- 별첨 4. 가감점 신청서(해당되는 경우)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R&D 성과지표 정의 및 해설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는 행정안전부 연구관리종합정보시스템(rdms.mois.go.kr) 자료마당 참조

 

 

9. 접수기간 및 접수처

접수기간 : 2020210() ~ 225() 18:00까지

접수방법 : 온라인 접수

온라인 접수 시 참여하는 모든 연구기관(주관, 협동, 공동, 위탁) 각 연구책임자가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에 회원으로 사전 가입 필요

접 수 처 :

제출방법

접수방법

접수기한

온라인

접수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mois.keit.re.kr)

- 연구과제수행 > 과제접수 메뉴

(주관 및 협동 연구기관이 온라인제출)

2.25.() 18:00까지

접수 마감일에는 접속 과부하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 요망. 또한, 접수 마감일 18시 이후 접수 불가

- 접수마감일 18시 기준으로 온라인상 제출완료상태인 과제만 접수하며, 제출중상태인 과제는 접수불가

온라인 접수 시에는 주관 및 협동책임자가 로그인하여 입력·제출이 원칙(itech.keit.re.kr 회원가입 필요)

직인이 필요한 별첨 서식의 경우 스캔본 업로드를 원칙으로 하나, 일부 온라인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서식의 경우는 전자서명 등으로 대체 가능

기관·인력 신규가입을 위한 법인실명인증, 개인실명확인은 해당 인증기관(서울신용평가정보)의 사무처리 시간(18:00) 내에만 가능하고 미인증으로 인한 기관·인력의 신규등록 불가 시 온라인접수 진행이 되지 않으니 유의 요망

 

10. 문의처

온라인 접수(시스템) 관련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R&D상담콜센터(1544-6633)

11. 기타 사항

접수된 문서는 일체 반환하지 않으며, 평가결과는 개별 통지 예정

신청서의 해당부분 날인이 없는 경우는 무효로 하며, 신청서 내용의 오류는 신청인에게 전적으로 책임이 있음

연구개발계획서 등 신청서류에 허위사실을 기재하거나 각종 증빙자료를 조작한 경우 연구책임자 및 기관의 참여제한 조치

선정된 후 이러한 사실이 발견되면 선정취소, 정부출연금 환수 등의 제재조치

선정평가에서의 순위는 연구수행기관 선정 시 우선 협약 순위를 의미하며, 선순위자가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6조 및 제8조의 규정에 따라 행정안전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요구에 의해 연구계획을 보완한 연구개발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연구 수행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차순위자와 협약 체결

기타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과 함께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평가지침등을 참조하며, 관련규정은 사업 시행주체의 해석을 따름

 

12. 관련 법령 및 규정

관련 법령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및 시행령

관련 규정

-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평가지침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산정·사용 및 정산지침

관련규정은 행정안전부 연구개발관리종합정보시스템(rdms.mois.go.kr)의 자료마당 참조

붙임 1

 

신청 관련 Q&A

 

[Q1] 온라인 접수를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해야 하나요?

 

[A1] 온라인 접수를 위해서는 반드시 참여하는 모든 연구기관(주관, 협동, 공동, 위탁) 각 연구책임자가 산업기술 R&D 정보포털(itech.keit.re.kr)에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합니다.

 

[Q2] 협동연구기관 접수는 어떻게 하나요?

 

[A2] 협동연구기관을 포함하는 과제 접수시에는, 주관연구기관은 산업기술 R&D 정보포털(mois.keit.re.kr)에서 온라인 접수를 진행, 주관기관이 생성한 PART 과제번호를 협동연구기관에 전달 협동연구기관 PART 부분 제출, 주관연구기관이 협동연구기관의 부속제출서류를 일괄 취합하여 최종으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Q3] 연구개발계획서 내 연구개발과제 참여의사 확인서[붙임4]는 모든 참여기관이 하나의 서식에 작성해야 하나요?

 

[A3] 모든 참여기관이 반드시 하나의 서식에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 하나의 서식에 작성하지 않더라도, 참여기관의 수와 참여의사 확인서를 제출한 기관
(참여의사확인서 내에 명시된 기관)의 수는 같아야 하며, 각각의 참여의사 확인서에는 주관연구기관장의 직인과 주관연구책임자의 서명이 있어야 합니다.

 

[Q4] 감점 기준에서 연구책임자의 범위는?

 

[A4] 감점 기준에서의 연구책임자는 주관연구책임자만 해당됩니다. 협동/공동/위탁 연구책임자는 가감점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Q5] 온라인 접수 중 시스템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어디에 문의를 해야 하나요?

 

[A5] 온라인 접수 중 시스템 오류 및 관련문의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R&D상담콜센터(1544-6633)를 통해 문의를 하시면 됩니다.

 

[Q6] 주관연구기관과 공동연구기관이 동일기관이어도 되나요?

 

[A6] 안됩니다. 연구개발의 집중과 연구자원 결집을 위해 과제 내에서 연구기관은 주관연구기관, 공동연구기관 중 1개에 한하여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붙임 2

 

지정공모과제 제안 요청서(RFP)

과제명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기술 개발(부산)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부산시의 경우, 최근 해안가 일대 고층빌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태풍강풍 시 고층빌딩군에서 발생하는 빌딩풍의 영향위험도 증가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해운대구에 대부분 밀집되어 있는 상황

고층빌딩의 밀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부산에서는 태풍강풍 발생 시 고층빌딩군에서 풍속과 풍압이 증가되어 빌딩의 자재 및 파편의 비산으로 인한 재해 유발

- 빌딩풍이라는 새로운 재해로 분류되어 관련 건축법의 재고 및 주위 구조물과 행인에 위험요소가 크기 때문에 피해예방을 위한 대책 강구가 필요

- 2019년 한 해에만 약 17개에 달하는 강한 태풍의 영향권에 있었으며, 빌딩풍으로 인한 피해액은 약 3,000억원 이상으로 단일 시로는 부산이 가장 높음

고층빌딩 지역의 건물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풍환경 변화와 위험성에 관한 기술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기존 건축물 구조설계의 경우 일반적으로 설계단계에서 풍환경 모형을 제작하고 이의 풍동실험수행을 통해 건축물의 내풍성능 등을 평가함

(국내) 기상청에서 2008대도시 먼로풍(빌딩바람)에 의한 풍해영향평가를 위한 기반연구를 실시하였으나, 이는 도시 열섬에 대한 주요연구임

(국내) 태풍 및 빌딩풍을 모사하고 스케일된 건축물의 풍환경 및 자재/파편의 비산 등을 평가하고 위험도를 분석한 사례는 없음

(국외) 초고층 건축물 기술을 주도해 나가고 있는 미국에서는 IBC 기준으로 내풍하중에 대한 퐁동실험을 하고 있으나, 고층 구조물로부터 파편에 의한 비산 영향은 기본 풍속 50m/s에서 약 1.6km (1마일) 이내로 정의하고 있음

연구목표

최종목표

부산 해운대지역 고층구조물 빌딩풍에 의한 건축물보행자 위험도분석 및 예방대응 기술 개발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기법 개발

2차년도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개발

3차년도 : 빌딩풍에 의한 비산불 위험도 분석 기술 고도화 및 시민
서비스 기술 개발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280

320

480

480

지 방 비(20%)

320

80

120

120

총 연구비

1,600

400

600

600

연구내용

1차년도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기법 개발

- 부산 해운대 (고층)건축물 밀집지역 공간 정보 수집 및 DB 구축

연차별 실험, 수치해석, 위험도 분석 등 운영계획 수립 포함

- 빌딩풍 실측 데이터 획득 환경 구축

기상청 등 연구 성과 연계 활용, 필요시 신규 계측 환경 구축

- 빌딩풍 유동해석을 위한 풍동실험 및 분석

분산공유형 실험시설등을 활용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모델 개발

- 성과물 활용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2차년도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개발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의 물리적 특성 분석

- 비산물 특성에 따른 주변 위험 환경 분석

- 빌딩풍 비산물 유동해석을 위한 풍동실험 및 분석

분산공유형 실험시설등을 활용

- 비산물 특성과 연계한 빌딩풍 피해 위험도 분석 및 검증 기술 개발

기상청 연계 자료, 실측 데이터 등과 비교 검증

3차년도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고도화

- 빌딩풍 비산물 유동해석을 위한 풍동실험 및 분석(계속)

분산공유형 실험시설등을 활용

- 비산물 특성과 연계한 빌딩풍 피해 위험도 분석 및 검증(계속)

부산 해운대 빌딩풍 위험 정보지도 및 서비스 기술 개발

- 부산 해안대 빌딩풍 위험 정보지도 개발

- 실시간 빌딩풍 정보 및 위험 정보지도 기반 예방대응 기술 개발

- 부산시 스마트 빅보드연계 기술개발

- 스마트폰 기반 부산 재난안전앱(App)’의 앱 연동 기술개발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부산 해운대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 시스템

부산시 스마트 빅보드 및 부산 재난안전앱(App) 연계

부산 해운대 빌딩풍 위험 정보 지도

예방/대응 시스템 및 위험정보 지도 운영 매뉴얼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 없음

성과지표

논문(), 포상( ), 특허( ), S/W(), 시제품( ),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공공교육훈련(),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부산권역 고층구조물의 빌딩풍에 의한 피해예측 및 예방을 위한 위험도분석 시스템의 실제 활용성 극대화로 일반화시켜 공유

고층구조물의 풍환경에 따른 자재 및 파편의 거동에 대한 위험도분석 시스템은 실제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GUI형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일반화시킴

재해안전과 관련해서 부산시의 스마트폰 기반의 부산 재난안전앱
(App)’을 운영하고 있어, 앱 연동기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난정보 시민제공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부산뿐만 아니라 타 지역 빌딩풍 재해 예방 솔루션에 대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국내 산업분야에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보급화 가능

개발된 자연재해재난에 대한 솔루션을 체계화하여 소프트하드웨어적인 유형적인 결과물에 대한 기술들을 기업들에 기술이전사업화

사회적 효과

고층구조물의 빌딩풍에 대한 피해예측 및 예방에 대한 위험도분석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타 지역 고층 구조물 밀집지역에서 발생하는 풍해 및 안전사고 예방에 적용

과학기술적 효과

개발된 기술을 모바일 앱 및 웹 기반으로 확장하여 재난현장에 즉시 대응이 가능하고 편의성보편화 기반의 시스템 확장 가능

빌딩풍 위험도분석 분야의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고 국내기술로 설계제작운영이 가능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가 개발됨에 따라 관련 기계전자전기건설 부품 산업의 동반기술 상승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과

(부산광역시)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기술 개발(부산)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부산시의 경우, 최근 해안가 일대 고층빌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태풍강풍 시 고층빌딩군에서 발생하는 빌딩풍의 영향위험도 증가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해운대구에 대부분 밀집되어 있는 상황

고층빌딩의 밀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부산에서는 태풍강풍 발생 시 고층빌딩군에서 풍속과 풍압이 증가되어 빌딩의 자재 및 파편의 비산으로 인한 재해 유발

- 빌딩풍이라는 새로운 재해로 분류되어 관련 건축법의 재고 및 주위 구조물과 행인에 위험요소가 크기 때문에 피해예방을 위한 대책 강구가 필요

- 2019년 한 해에만 약 17개에 달하는 강한 태풍의 영향권에 있었으며, 빌딩풍으로 인한 피해액은 약 3,000억원 이상으로 단일 시로는 부산이 가장 높음

고층빌딩 지역의 건물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풍환경 변화와 위험성에 관한 기술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기존 건축물 구조설계의 경우 일반적으로 설계단계에서 풍환경 모형을 제작하고 이의 풍동실험수행을 통해 건축물의 내풍성능 등을 평가함

(국내) 기상청에서 2008대도시 먼로풍(빌딩바람)에 의한 풍해영향평가를 위한 기반연구를 실시하였으나, 이는 도시 열섬에 대한 주요연구임

(국내) 태풍 및 빌딩풍을 모사하고 스케일된 건축물의 풍환경 및 자재/파편의 비산 등을 평가하고 위험도를 분석한 사례는 없음

(국외) 초고층 건축물 기술을 주도해 나가고 있는 미국에서는 IBC 기준으로 내풍하중에 대한 퐁동실험을 하고 있으나, 고층 구조물로부터 파편에 의한 비산 영향은 기본 풍속 50m/s에서 약 1.6km (1마일) 이내로 정의하고 있음

연구목표

최종목표

부산 해운대지역 고층구조물 빌딩풍에 의한 건축물보행자 위험도분석 및 예방대응 기술 개발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기법 개발

2차년도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개발

3차년도 : 빌딩풍에 의한 비산불 위험도 분석 기술 고도화 및 시민
서비스 기술 개발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280

320

480

480

지 방 비(20%)

320

80

120

120

총 연구비

1,600

400

600

600

연구내용

1차년도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기법 개발

- 부산 해운대 (고층)건축물 밀집지역 공간 정보 수집 및 DB 구축

연차별 실험, 수치해석, 위험도 분석 등 운영계획 수립 포함

- 빌딩풍 실측 데이터 획득 환경 구축

기상청 등 연구 성과 연계 활용, 필요시 신규 계측 환경 구축

- 빌딩풍 유동해석을 위한 풍동실험 및 분석

분산공유형 실험시설등을 활용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유동 예측 모델 개발

- 성과물 활용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2차년도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개발

-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의 물리적 특성 분석

- 비산물 특성에 따른 주변 위험 환경 분석

- 빌딩풍 비산물 유동해석을 위한 풍동실험 및 분석

분산공유형 실험시설등을 활용

- 비산물 특성과 연계한 빌딩풍 피해 위험도 분석 및 검증 기술 개발

기상청 연계 자료, 실측 데이터 등과 비교 검증

3차년도

빌딩풍에 의한 비산물 위험도 분석 기술 고도화

- 빌딩풍 비산물 유동해석을 위한 풍동실험 및 분석(계속)

분산공유형 실험시설등을 활용

- 비산물 특성과 연계한 빌딩풍 피해 위험도 분석 및 검증(계속)

부산 해운대 빌딩풍 위험 정보지도 및 서비스 기술 개발

- 부산 해안대 빌딩풍 위험 정보지도 개발

- 실시간 빌딩풍 정보 및 위험 정보지도 기반 예방대응 기술 개발

- 부산시 스마트 빅보드연계 기술개발

- 스마트폰 기반 부산 재난안전앱(App)’의 앱 연동 기술개발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부산 해운대 빌딩풍 위험도 분석 및 예방/대응 시스템

부산시 스마트 빅보드 및 부산 재난안전앱(App) 연계

부산 해운대 빌딩풍 위험 정보 지도

예방/대응 시스템 및 위험정보 지도 운영 매뉴얼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 없음

성과지표

논문(), 포상( ), 특허( ), S/W(), 시제품( ),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공공교육훈련(),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부산권역 고층구조물의 빌딩풍에 의한 피해예측 및 예방을 위한 위험도분석 시스템의 실제 활용성 극대화로 일반화시켜 공유

고층구조물의 풍환경에 따른 자재 및 파편의 거동에 대한 위험도분석 시스템은 실제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GUI형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일반화시킴

재해안전과 관련해서 부산시의 스마트폰 기반의 부산 재난안전앱
(App)’을 운영하고 있어, 앱 연동기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난정보 시민제공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부산뿐만 아니라 타 지역 빌딩풍 재해 예방 솔루션에 대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국내 산업분야에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보급화 가능

개발된 자연재해재난에 대한 솔루션을 체계화하여 소프트하드웨어적인 유형적인 결과물에 대한 기술들을 기업들에 기술이전사업화

사회적 효과

고층구조물의 빌딩풍에 대한 피해예측 및 예방에 대한 위험도분석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타 지역 고층 구조물 밀집지역에서 발생하는 풍해 및 안전사고 예방에 적용

과학기술적 효과

개발된 기술을 모바일 앱 및 웹 기반으로 확장하여 재난현장에 즉시 대응이 가능하고 편의성보편화 기반의 시스템 확장 가능

빌딩풍 위험도분석 분야의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고 국내기술로 설계제작운영이 가능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가 개발됨에 따라 관련 기계전자전기건설 부품 산업의 동반기술 상승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과

(부산광역시)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도심지 침수 대응 시민안전 지원 기술 개발(대전)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대전광역시 자연재난의 피해액의 대부분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과학기술적 대응책 마련 필요

자연재난·재해의 빈도·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인명·재산 피해 심각)

’18년 집중호우(‘18.8.269.1, 총 강우량 271.2mm, 64.3mm/hr)로 인해 약 30억원 피해(총복구비 51억원), 하천 8개소/주택침수 28, 농작물 피해 179,221

대전광역시의 경우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 한계로 도심지 침수 예방·대응이 어려운 실정

3대 하천(갑천.유등천.대전천)이 시가지를 관통하는 대전광역시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침수 문제가 자연재난의 92%를 차지(효과적인 예방·대응 체계 필요)

도시 홍수침수에 관한 다양한 R&D가 수행 되었으나 대전광역시 재난 현장 및 시민들이 활용 가능한 수준의 실증단계 연구는 미흡

대전광역시 특성 및 재난환경에 적합한 재난 데이터 기반 실시간 도시침수 분석 기술, 수요자 맞춤형 재난 대응지원 기술 연구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국토교통부)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03~’08)’ 도시홍수 해석/예경보/경감/관리기술 등에 관한 연구 수행(해석 모형인 FFC 모형 개발)

(국토교통부) 차세대홍수방어기술(’08~’13) 국가적인 홍수방어 및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각종 모니터링 기술 및 해석기술 개발

(기상청) 전국 시군구별 호우 피해 발생가능성 예측 모형 및 유역 대상 호우 침수 위험 예측 모형 개발

(행정안전부) 내배수 침수해석 저감기술 개발(’06~’09) 지하공간 침수해석 기법, 홍수분담 최적화 기술 등 내배수 침수재해 핵심기술 고도화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반도 재난 위험도 평가 및 대응기술 개발도시 지상-지하 내수 침수 모델(UFAM), 도시 침수 위험경보 기준, CCTV 등 영상 활용 침수 모니터링, 시나리오 기반 침수 해석 기술 등 연구 수행

국외

-(일본) 레이더강우-지역별위험기준-침수예측모형을 통합하여 운영

-(미국) EPA 홈페이지에서 도시홍수 해석 모형을 Open Source 제공

연구목표

최종목표

대전광역시 도심지 침수 시민 안전 지원 기술 개발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DB 구축, 도시침수 위험분석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2차년도 : 대전광역시 교통과 연계한 침수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영상지능 기반 침수 모니터링 기술 개발

3차년도 : 위치기반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대응 시민지원 서비스 기술
개발 및 리빙랩 운영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470

420

600

450

지 방 비(20%)

368

105

150

113

총 연구비

1,838

525

750

563

연구내용

1차년도

도시 침수 위험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대전광역시 관련 도심지 침수상황 분석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지하차도 등 도시침수 위험 인자 도출 및 해석 모형 개발

도시침수 위험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대상지역 선정

-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DB 구축

- 실시간 도시 침수 관련 데이터 수집체계 고도화

대전광역시 지능형 재난 예경보 시스템과 연계

- 위험지구 분석을 통한 연구 대상지역 선정

- 도시 침수 시민 안전 지원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2차년도

교통상황 등을 고려한 도시침수 위험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교통 시뮬레이션 기술과 연계한 도시침수 위험 분석 기술 개발

- 실시간 데이터와 연계한 대전광역시 침수 위험 및 모니터링 모듈 개발

기상청 초단기 예보자료 기반 도심지 침수 위험 분석 활용방안 포함

영상기반 침수위험지역 실시간 상황인지 기술 개발 및 대상지역 적용

- CCTV 영상을 활용한 시계열 영상 분석 기술 개발

- 영상지능을 활용한 도시 침수 상황인지 기술 개발

CCTV 영상으로부터 기상정보 추출 및 실시간 자료 연동기술 개발

3차년도

위치기반 대전광역시 도시침수 시민안전 서비스 플랫폼 개발

- 대전광역시 재난관리 의사결정 지원 정보 분석 기술 개발

- 시민 친화형 도시 침수 위험정보(둔치, 저지대, 하상도로 지하차도, 차량 우회 경로 등) 및 대피 안내 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 재난대응표준업무절차(eSOP) 및 시민 안전 지원 서비스 시나리오 적용

대상지역 적용 결과를 통한 서비스 기술 고도화

-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성과 홍보 및 시민 참여형 검증 체계 운영

- 시범서비스 운영 및 실증을 통한 기술 고도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시민 안전 지원 체계

- 도심지 침수 및 교통 시뮬레이터

- 영상지능을 활용한 침수 모니터링 기술

- 위치기반 도시 침수 시민 지원 서비스 기술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대전광역시 재난안전상황실에 연구 성과 설치

성과도출 방안

매년 연구개발성과물에 대해 실증평가보고서를 제출하여 현장 활용성 제고

대전광역시에서 기 운영 중인 지능형 재난 예경보시스템와 연계 시범 운영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성과 고도화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없음

성과지표

논문(), 포상( ), 특허( ), S/W(), 시제품( ),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공공교육훈련(),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기타 실용화 활용

대전광역시 재난안전상황실에 연구성과 운영을 통한 재난현장실용화

- 지능형 재난 예·경보시스템의 시각화 및 재난대응프로세스 적용

- 침수대응 시민안전서비스의 실용화(기존 홈페이지, , SNS, 재난 예경보시설, 재난문자서비스 활용)

도시 침수에 대한 솔루션으로서 타 지자체 보급 확산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선제적 재난 대응 체계로 경제적 손실 감소 및 재난 복구 비용 감소

전국 침수 피해: 재산피해(1,000억원), 이재민 발생(9,000) (’17년 기준)

재난 안전 경험과 과학적인 분석 데이터가 융합된 차세대 도시 침수 서비스로 구축으로 타 지자체로 확장 및 정부 R&D 효율화 도모

사회적 효과

침수 위험에 사전 대응으로 신속한 정책 수립 및 시민 안전 보장

- 침수 위험 발생 전 사전 경보 등 신속 대응으로 인명재산 피해 최소화 및 시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

구축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도시 정비, 운영 정책 마련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도시개발계획, 지역중점 대응계획 수립 등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재난안전체계 수립 및 재난업무 전문화를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

침수 예상 지역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고려한 안전 대피 정보를 제공하여 시민 안전 향상에 기여

과학기술적 효과

4차 산업혁명, 데이터경제 기반 혁신성장 등 환경변화에 따른 선도기술을 접목하여 지역특화(도시, 하천 등) 침수 현안문제를 해결

향후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지능형 도시 재난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

복잡한 도시 환경에서의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 지역을 다양한 영향 인자를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예측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지능형 재난 예·경보 시스템으로의 도약에 기여

제안부서

(기관)

재난관리과

(대전광역시)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도심지 침수 대응 시민안전 지원 기술 개발(대전)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대전광역시 자연재난의 피해액의 대부분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과학기술적 대응책 마련 필요

자연재난·재해의 빈도·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인명·재산 피해 심각)

’18년 집중호우(‘18.8.269.1, 총 강우량 271.2mm, 64.3mm/hr)로 인해 약 30억원 피해(총복구비 51억원), 하천 8개소/주택침수 28, 농작물 피해 179,221

대전광역시의 경우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 한계로 도심지 침수 예방·대응이 어려운 실정

3대 하천(갑천.유등천.대전천)이 시가지를 관통하는 대전광역시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침수 문제가 자연재난의 92%를 차지(효과적인 예방·대응 체계 필요)

도시 홍수침수에 관한 다양한 R&D가 수행 되었으나 대전광역시 재난 현장 및 시민들이 활용 가능한 수준의 실증단계 연구는 미흡

대전광역시 특성 및 재난환경에 적합한 재난 데이터 기반 실시간 도시침수 분석 기술, 수요자 맞춤형 재난 대응지원 기술 연구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국토교통부)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03~’08)’ 도시홍수 해석/예경보/경감/관리기술 등에 관한 연구 수행(해석 모형인 FFC 모형 개발)

(국토교통부) 차세대홍수방어기술(’08~’13) 국가적인 홍수방어 및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각종 모니터링 기술 및 해석기술 개발

(기상청) 전국 시군구별 호우 피해 발생가능성 예측 모형 및 유역 대상 호우 침수 위험 예측 모형 개발

(행정안전부) 내배수 침수해석 저감기술 개발(’06~’09) 지하공간 침수해석 기법, 홍수분담 최적화 기술 등 내배수 침수재해 핵심기술 고도화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반도 재난 위험도 평가 및 대응기술 개발도시 지상-지하 내수 침수 모델(UFAM), 도시 침수 위험경보 기준, CCTV 등 영상 활용 침수 모니터링, 시나리오 기반 침수 해석 기술 등 연구 수행

국외

-(일본) 레이더강우-지역별위험기준-침수예측모형을 통합하여 운영

-(미국) EPA 홈페이지에서 도시홍수 해석 모형을 Open Source 제공

연구목표

최종목표

대전광역시 도심지 침수 시민 안전 지원 기술 개발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DB 구축, 도시침수 위험분석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2차년도 : 대전광역시 교통과 연계한 침수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영상지능 기반 침수 모니터링 기술 개발

3차년도 : 위치기반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대응 시민지원 서비스 기술
개발 및 리빙랩 운영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470

420

600

450

지 방 비(20%)

368

105

150

113

총 연구비

1,838

525

750

563

연구내용

1차년도

도시 침수 위험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대전광역시 관련 도심지 침수상황 분석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지하차도 등 도시침수 위험 인자 도출 및 해석 모형 개발

도시침수 위험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대상지역 선정

-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DB 구축

- 실시간 도시 침수 관련 데이터 수집체계 고도화

대전광역시 지능형 재난 예경보 시스템과 연계

- 위험지구 분석을 통한 연구 대상지역 선정

- 도시 침수 시민 안전 지원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2차년도

교통상황 등을 고려한 도시침수 위험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교통 시뮬레이션 기술과 연계한 도시침수 위험 분석 기술 개발

- 실시간 데이터와 연계한 대전광역시 침수 위험 및 모니터링 모듈 개발

기상청 초단기 예보자료 기반 도심지 침수 위험 분석 활용방안 포함

영상기반 침수위험지역 실시간 상황인지 기술 개발 및 대상지역 적용

- CCTV 영상을 활용한 시계열 영상 분석 기술 개발

- 영상지능을 활용한 도시 침수 상황인지 기술 개발

CCTV 영상으로부터 기상정보 추출 및 실시간 자료 연동기술 개발

3차년도

위치기반 대전광역시 도시침수 시민안전 서비스 플랫폼 개발

- 대전광역시 재난관리 의사결정 지원 정보 분석 기술 개발

- 시민 친화형 도시 침수 위험정보(둔치, 저지대, 하상도로 지하차도, 차량 우회 경로 등) 및 대피 안내 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 재난대응표준업무절차(eSOP) 및 시민 안전 지원 서비스 시나리오 적용

대상지역 적용 결과를 통한 서비스 기술 고도화

-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성과 홍보 및 시민 참여형 검증 체계 운영

- 시범서비스 운영 및 실증을 통한 기술 고도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대전광역시 도시 침수 시민 안전 지원 체계

- 도심지 침수 및 교통 시뮬레이터

- 영상지능을 활용한 침수 모니터링 기술

- 위치기반 도시 침수 시민 지원 서비스 기술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대전광역시 재난안전상황실에 연구 성과 설치

성과도출 방안

매년 연구개발성과물에 대해 실증평가보고서를 제출하여 현장 활용성 제고

대전광역시에서 기 운영 중인 지능형 재난 예경보시스템와 연계 시범 운영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성과 고도화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없음

성과지표

논문(), 포상( ), 특허( ), S/W(), 시제품( ),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공공교육훈련(),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기타 실용화 활용

대전광역시 재난안전상황실에 연구성과 운영을 통한 재난현장실용화

- 지능형 재난 예·경보시스템의 시각화 및 재난대응프로세스 적용

- 침수대응 시민안전서비스의 실용화(기존 홈페이지, , SNS, 재난 예경보시설, 재난문자서비스 활용)

도시 침수에 대한 솔루션으로서 타 지자체 보급 확산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선제적 재난 대응 체계로 경제적 손실 감소 및 재난 복구 비용 감소

전국 침수 피해: 재산피해(1,000억원), 이재민 발생(9,000) (’17년 기준)

재난 안전 경험과 과학적인 분석 데이터가 융합된 차세대 도시 침수 서비스로 구축으로 타 지자체로 확장 및 정부 R&D 효율화 도모

사회적 효과

침수 위험에 사전 대응으로 신속한 정책 수립 및 시민 안전 보장

- 침수 위험 발생 전 사전 경보 등 신속 대응으로 인명재산 피해 최소화 및 시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

구축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도시 정비, 운영 정책 마련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도시개발계획, 지역중점 대응계획 수립 등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재난안전체계 수립 및 재난업무 전문화를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

침수 예상 지역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고려한 안전 대피 정보를 제공하여 시민 안전 향상에 기여

과학기술적 효과

4차 산업혁명, 데이터경제 기반 혁신성장 등 환경변화에 따른 선도기술을 접목하여 지역특화(도시, 하천 등) 침수 현안문제를 해결

향후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지능형 도시 재난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

복잡한 도시 환경에서의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 지역을 다양한 영향 인자를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예측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지능형 재난 예·경보 시스템으로의 도약에 기여

제안부서

(기관)

재난관리과

(대전광역시)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빅데이터 기반 양간지풍 도시산불방재 기술개발(강원)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강원도는 양간지풍에 의한 산불피해가 국내 최고 수준으로 도시 산불 피해 최소화하기 위한 산불긴급 대응 시스템 개발이 필요

고성산불로 인한 1명 부상, 900억원의 재산피해 발생(’19.4.)

산불발생건수는 최근 10년 대비 18%, 피해면적은 48% 증가(’18년 산불통계연보, 산림청)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산림청) 산불상황관제시스템을 통해 전국 관계기관에서 실시간으로 산불발생지점과 확산 상황도를 공유하고, 헬기 궤적, 헬기동영상, 지상 CCTV 등을 별도의 시스템으로 공유

(산림청)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을 통해 기상, 임상, 지형 지리조건에 따른 산불위험지수, 대형산불위험예보, 소각산불징후예보 등을 제공

(국립산림과학원) 2003년부터 독자적인 산불확산예측모델을 개발하여 현재는 웹으로 구동이 가능한 산불확산예측모델을 산불진화전략수립에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는 플랫폼형 3차원 모델을 개발 중

국외

(미국) 1940년부터 산림청에서 산불위험 예보시스템의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산불확산식이 적용된 FARSITE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재난현장에서 활용 중

(캐나다) 1980년 산불위험율시스템(DFFDRS)을 개발하여 화재 기상요소(풍향, 풍속 등)를 고려하여 예측 시스템 운영 중

(일본) 산불발생위험도 확산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형과 산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나 기상 정보와 종합하여 화재 발생위험도 지수 산출

연구목표

최종목표

양간지풍 도시 산불 대응 체계 고도화 및 도시 산불 긴급 대응 종합시스템 개발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강원도 양간지풍 도시산불 긴급대응 기술 개발

2차년도 : 빅데이터 기반 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구축 및 운영

3차년도 : 실증지역 대상 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 방 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강원도 양간지풍 도시산불 긴급대응 기술 개발

- 산불 정보 통합 수집분석을 위한 지능형 산불 데이터 모형 설계구축

- 산불 관련 소방, 기상, 산림분야 데이터 연계분석 기술 개발

- 최적 대피 경로 분석 등 산불 대응 지원 기술 개발

- 실시간 현장 빅데이터를 수집 환경 구축

진화차량 위치정보 및 실시간 현장 동영상 수집

실시간 산불확산모니터링 대응 리빙랩 구축

- ··연 협력 체계 운영을 통한 산불 대응 연구 리빙랩 구축

- 실증 지역 거점에 고화질 지능형 CCTV 시스템 설치, 극소 지역 발화 감시를 위한 발화 예상지점 열화상 카메라 등 기술 적용 및 실증

경포대 등 강원도와 협의하여 설치 수량 및 위치 협의

- 연구성과 활용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2차년도

양간지풍형 도시산불 실시간 긴급대응 시스템 개발

-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 산불발생 가능성 분석, 발화 예측 영상 분석, 산불 확산 예측 분석 등 연계

- 저조도 환경에서의 영상분석 및 발화위치 추론 기술 개발

- 빅데이터 활용 양간지풍 도시 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개발

* 강원도 동해안산불방지센터 기존 운영 시스템, 산림청 산불확산예측모델 연계 및 도로통제/대피우선지역/대피소배정/현장지휘본부 설치장소 도출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포함

실시간 산불확산모니터링 대응 리빙랩 운영

- 실증 지역 거점에 고화질 CCTV 시스템 설치, 극소 지역 발화 감시를 위한 발화 예상지점 열화상 카메라 등 기술 적용 및 실증 (계속)

- 현장 대응 요원* 참여형 리빙랩 운영 및 교육훈련

* 산불감시원, 자율방재단, 지역주민 등

3차년도

양간지풍 도시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개발 및 운영

- 빅데이터 기반 산불 긴급 대응 의사결정 지원기술 개발

- 양간지풍 도시산불 재난 발생 시 단계별 매뉴얼 개발

- 대응 매뉴얼에 대한 각 구성원별 대응 매뉴얼 온라인 전파 체계 구축

실시간 도시산불 확산모니터링 대응 리빙랩 운영현업화

- 리빙랩 대상 실증을 통한 도시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고도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 양간지풍 도시산불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및 긴급대응 시스템

- 강원도동해안 도시산불 주민대피매뉴얼/현장진화 지휘 매뉴얼/단계별 지원출동체계 매뉴얼

성과도출방안

- 강원도, 산림청, 동해안산불방지센터, 강원기상청과 대학교 연계 협력을 기반으로 한 리빙랩 운영을 통해 성과물의 활용성 확보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연구기관( )

강원도동해안산불방지센터에 설치

법규정

관련 사항

(매뉴얼제정) 산불발생 및 예보 시 대응 체계 매뉴얼 마련

성과지표

논문(), 포상( ), 특허( ), S/W( ), 시제품( ),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공공교육훈련(),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활용방안

강원도 산불감시 체계로 도입하여 주요 산불발생지 모니터링을 통한 선제적인 산불위험 및 산불발생을 파악하여 재난 대비대응 가능

산불 발생 시 긴급대응시스템을 활용하여 대응시간 단축 및 신속하고 안전한 주민대피 가능

산불 빈발위험 지역에 관련 기술을 보급하여 타 지자체에 확산

파급효과

사회적 효과

양간지풍에 따른 산불 및 도시형 산불에 대한 시민 안전 보호 확대

강원도 산불 대응력 및 역량강화, 기술개발 및 인력확보를 통한 방지시스템 구축

과학기술적 효과

강원도 동해안 산불의 관행적 대응에서 과학적.입체적 대응 체제 구축

5G, IoT, AI, 딥러닝 플랫폼 등 4차 산업혁명 최신 기술을 통한 강원도 특화 산불 예측 모델 발굴 및 실증 적용

제안부서

(기관)

전략산업과

(강원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빅데이터 기반 양간지풍 도시산불방재 기술개발(강원)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강원도는 양간지풍에 의한 산불피해가 국내 최고 수준으로 도시 산불 피해 최소화하기 위한 산불긴급 대응 시스템 개발이 필요

고성산불로 인한 1명 부상, 900억원의 재산피해 발생(’19.4.)

산불발생건수는 최근 10년 대비 18%, 피해면적은 48% 증가(’18년 산불통계연보, 산림청)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산림청) 산불상황관제시스템을 통해 전국 관계기관에서 실시간으로 산불발생지점과 확산 상황도를 공유하고, 헬기 궤적, 헬기동영상, 지상 CCTV 등을 별도의 시스템으로 공유

(산림청)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을 통해 기상, 임상, 지형 지리조건에 따른 산불위험지수, 대형산불위험예보, 소각산불징후예보 등을 제공

(국립산림과학원) 2003년부터 독자적인 산불확산예측모델을 개발하여 현재는 웹으로 구동이 가능한 산불확산예측모델을 산불진화전략수립에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는 플랫폼형 3차원 모델을 개발 중

국외

(미국) 1940년부터 산림청에서 산불위험 예보시스템의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산불확산식이 적용된 FARSITE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재난현장에서 활용 중

(캐나다) 1980년 산불위험율시스템(DFFDRS)을 개발하여 화재 기상요소(풍향, 풍속 등)를 고려하여 예측 시스템 운영 중

(일본) 산불발생위험도 확산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형과 산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나 기상 정보와 종합하여 화재 발생위험도 지수 산출

연구목표

최종목표

양간지풍 도시 산불 대응 체계 고도화 및 도시 산불 긴급 대응 종합시스템 개발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강원도 양간지풍 도시산불 긴급대응 기술 개발

2차년도 : 빅데이터 기반 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구축 및 운영

3차년도 : 실증지역 대상 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 방 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강원도 양간지풍 도시산불 긴급대응 기술 개발

- 산불 정보 통합 수집분석을 위한 지능형 산불 데이터 모형 설계구축

- 산불 관련 소방, 기상, 산림분야 데이터 연계분석 기술 개발

- 최적 대피 경로 분석 등 산불 대응 지원 기술 개발

- 실시간 현장 빅데이터를 수집 환경 구축

진화차량 위치정보 및 실시간 현장 동영상 수집

실시간 산불확산모니터링 대응 리빙랩 구축

- ··연 협력 체계 운영을 통한 산불 대응 연구 리빙랩 구축

- 실증 지역 거점에 고화질 지능형 CCTV 시스템 설치, 극소 지역 발화 감시를 위한 발화 예상지점 열화상 카메라 등 기술 적용 및 실증

경포대 등 강원도와 협의하여 설치 수량 및 위치 협의

- 연구성과 활용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2차년도

양간지풍형 도시산불 실시간 긴급대응 시스템 개발

-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 산불발생 가능성 분석, 발화 예측 영상 분석, 산불 확산 예측 분석 등 연계

- 저조도 환경에서의 영상분석 및 발화위치 추론 기술 개발

- 빅데이터 활용 양간지풍 도시 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개발

* 강원도 동해안산불방지센터 기존 운영 시스템, 산림청 산불확산예측모델 연계 및 도로통제/대피우선지역/대피소배정/현장지휘본부 설치장소 도출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포함

실시간 산불확산모니터링 대응 리빙랩 운영

- 실증 지역 거점에 고화질 CCTV 시스템 설치, 극소 지역 발화 감시를 위한 발화 예상지점 열화상 카메라 등 기술 적용 및 실증 (계속)

- 현장 대응 요원* 참여형 리빙랩 운영 및 교육훈련

* 산불감시원, 자율방재단, 지역주민 등

3차년도

양간지풍 도시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개발 및 운영

- 빅데이터 기반 산불 긴급 대응 의사결정 지원기술 개발

- 양간지풍 도시산불 재난 발생 시 단계별 매뉴얼 개발

- 대응 매뉴얼에 대한 각 구성원별 대응 매뉴얼 온라인 전파 체계 구축

실시간 도시산불 확산모니터링 대응 리빙랩 운영현업화

- 리빙랩 대상 실증을 통한 도시산불 긴급대응 시스템 고도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 양간지풍 도시산불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및 긴급대응 시스템

- 강원도동해안 도시산불 주민대피매뉴얼/현장진화 지휘 매뉴얼/단계별 지원출동체계 매뉴얼

성과도출방안

- 강원도, 산림청, 동해안산불방지센터, 강원기상청과 대학교 연계 협력을 기반으로 한 리빙랩 운영을 통해 성과물의 활용성 확보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연구기관( )

강원도동해안산불방지센터에 설치

법규정

관련 사항

(매뉴얼제정) 산불발생 및 예보 시 대응 체계 매뉴얼 마련

성과지표

논문(), 포상( ), 특허( ), S/W( ), 시제품( ),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공공교육훈련(),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활용방안

강원도 산불감시 체계로 도입하여 주요 산불발생지 모니터링을 통한 선제적인 산불위험 및 산불발생을 파악하여 재난 대비대응 가능

산불 발생 시 긴급대응시스템을 활용하여 대응시간 단축 및 신속하고 안전한 주민대피 가능

산불 빈발위험 지역에 관련 기술을 보급하여 타 지자체에 확산

파급효과

사회적 효과

양간지풍에 따른 산불 및 도시형 산불에 대한 시민 안전 보호 확대

강원도 산불 대응력 및 역량강화, 기술개발 및 인력확보를 통한 방지시스템 구축

과학기술적 효과

강원도 동해안 산불의 관행적 대응에서 과학적.입체적 대응 체제 구축

5G, IoT, AI, 딥러닝 플랫폼 등 4차 산업혁명 최신 기술을 통한 강원도 특화 산불 예측 모델 발굴 및 실증 적용

제안부서

(기관)

전략산업과

(강원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전북)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라북도는 교통사고 분야에 있어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교통사고를 예측·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

- 65세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교통사고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8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절반 수준

- 특히, 남원시 등의 경우 노인의 무단횡단 사고가 지속적으로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실증 기술개발이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기업들은 지능형 조명 시스템, 횡단보도 전광판 시스템 등을 개별적으로 개발 후 상용화 진행 중

- 국내 다수 기업들이 횡단보도 조명, 전광판 제품을 보유

도로조명에 센서 및 IC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환경 정보 수집 및 위험상황을 인지·판단하여 이용자에게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기술개발 중
(국토교통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행안부 다부처사업/‘19~)

연구목표

최종목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 연계)

-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개발

타겟 지역 무단횡단 사고율 감소 및 노인 보행자 만족도 제고

정량적 목표

- 보행자 인식율 95% 이상

- 보행자 인식 속도 600ms 이하

- 인식정보 표출 속도 1.0sec 이내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외부 운용 환경을 고려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2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실증(리빙랩)을 통한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

3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추가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10

410

600

600

지 방 비(20%)

403

103

150

150

총 연구비

2,013

513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교통 DB 기반 전라북도 및 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시범지역 설정

- 최근 5년간 전북 시군별 노인 교통사고 유형 조사비교 분석

- 노인 무단횡단 다발지역 심층분석/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실증 섹터 설계

- 지자체/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6개 시범지역 설정

, 사업계획서상 마을단위 후보 시범지역 제안 필요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의 인지능력 및 보행 등 신체능력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타겟 시군의 환경특성을 반영한 노인 교통안전 실태조사 및 진단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타겟 시지역 관제센터와 시스템 연계 방안

지역 관제센터 운영시스템 DB 연계, 표준화 방안 등

노인 보행자 안전 서비스 및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운영 시나리오 개발,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2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1단계)

-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노인대상 교통안전 홍보교육 방안 제시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연구성과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3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기능개선 및 고도화

- 보행자 영상인식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등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2단계)

- 리빙랩 기반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추가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실증을 통해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최적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타겟지역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보고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

법규정

관련 사항

해당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 S/W(), 시제품(),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 운영 및 실증

지역의 교통안전시설 관련 전문업체의 실증 기술개발 참여 및 사업화 추진

실증 기술개발 초기부터 전라북도 도민안전실 중심의 지역 재난안전 기술사회 전문가로 구성된 지역 협의체와 도내 사용자/시군 안전관리자/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실증(리빙랩) 평가단을 운영

최종 성과물의 지역 적용 후, 전국적으로 서비스 모델 확산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지역 기업과의 협력형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기술이전·사업화를 통해 지역 고유의 경제적 활동 확산

지역의 연구기관 보유기술 실용화 및 지역의 특화산업 기술의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경제 활성화

사회적 효과

노인 보행자 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 예방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 역량 강화

지역의 재난안전 현안 등 문제해결 중심 연구개발을 통해 위험요인 및 취약요인 해소

과학기술적 효과

노인 보행자는 물론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교통 안전기술 확보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관

(전라북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진 연구(전남)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남 서해안 지역은 해양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의료시설이 부족한 섬에서 발생하는 사고도 매우 빈번함

전국 해양사고 중 전남 영해 사고 발생율이 남해는 53%(415/783), 서해는 28%(151/546)로 전국에서 가장 높음(’15년 기준, 해양수산부 자료)

도서지역에서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환자를 지역 응급의료센터 이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가 어려움

-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의료체계 상 보건소의 역할이 커지며, 난 현장에서 응급의료센터로의 빠른 이송이 매우 중요함

재난현장에서 응급구조사의 주요 역할은 구조, 환자의 중증도 분류, 응급처치, 후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기의 빠른 구조와 응급처치가 환자의 생존율을 결정

도서지역 등 재난안전 사고 현장에서 바로 응급환자의 상태를 파악,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의료지시를 통해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AR 기반 원격 의료협진 기술개발 및 시스템 구축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VR 기술을 이용해 가상의 집안에 들어가 있는 느낌을 재현하여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맞춤형 VR 프로그램 제공
(가천대 길병원)

스마트폰 앱의 다자간 화상통화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환자를 이송-협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시범사업 추진(의정부성모병원)

139개 함정과 해안소재 총 6개 병원에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을 구축. 이송시간이 긴 응급환자 처치에 활용하였고, 지난 5년간 선박과 섬 지역에서 발생한 840여명의 응급환자 처치(해양경찰청)

연구목표

최종목표

AR 기술을 활용한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기술 개발 및 AR 기반 원격 협진 시범 운영·실효성 검증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격 협진 지원 시스템 및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리빙랩 운영

2차년도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3차년도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리빙랩)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 방 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 모바일 장비용 고해상도(4K 이상) 영상 전송 기술 개발

- 환자 영상정보 확인 및 지시 전달을 위한 원격 전문 의료진용 응응 SW 개발

- 증강현실(AR) 기반 모바일용 원격 협진 앱(APP) 개발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 4K 이상 고해상도 영상 실시간 전송 서버 구축

- AR 정보 전송/처리 서버 구축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개발

- 응급 환자 협진을 위한 서비스 지원 시스템 개발

- 환자 의료 정보 제공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서비스 시나리오 및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시스템 사용 의료진과의 협업 네트워크 구축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 기존 연계 가능 서비스와 협력방안 마련(5G기반 재난안전플랫폼 등)

2차년도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 핸즈 프리형 AR 지원 모바일 장치 개발

- 실시간 환자 상태정보(산소포화도, 심박동 등) 전달 기술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 1:N 형태의 다수 전문의 원격 협진 실시간 참여 지원 시스템 구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 원격 협진 과정·내용·결과 저장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및 운영

- 실증 대상·범위 및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리빙랩 운영

3차년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전송 서버 기능 고도화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기능 개선 및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

- 리빙랩 기반 시스템 사용자 측면의 만족도·개선점 측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543b1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9pixel, 세로 256pixel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단말장치 및 SW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및 AR 정보 전송 서버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사항 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O), S/W(O), 시제품(O),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O),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 시설장비( O )

실용화

활용 방안

전남 도서지역 재난 및 사고 시 응급 환자 지원에 활용

전남 신안군 보건지소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재난 및 사고 후에 응급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활용

신안군은 현재 20개의 보건지소를 운영 중

의료 소외 지역에 대한 의료 서비스 문제 해소

- 산간오지 지역, 군부대 지역, 해양 선박 등 의료 서비스가 어려운 지역에 활용할 수 있음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국내에서는 환자-의사의 원격 의료는 불법이지만, 해외에서는 합법인 경우가 많으므로 개발 기술을 통한 해외 진출이 가능함

AR을 활용한 의료 사업은 현재 미국 MS사 등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음

사회적 효과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구조자에 대한 효과적인 응급처치로 개인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사회적인 안전망 구현

전문의의 정확한 판단과 정확한 지시를 통해서 응급구조사의 응급처리로 응급환자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사망 및 상황 악화 예방

과학기술적 효과

원격지 전문가가 참여하는 의료협업 기술로 사용자의 눈앞에 실시간으로 현장과 같은 정보를 표시 할 수 있어 협진 전문의의 이해도를 향상시켜 신속한 의사 결정이 가능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과

(전라남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전북)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라북도는 교통사고 분야에 있어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교통사고를 예측·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

- 65세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교통사고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8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절반 수준

- 특히, 남원시 등의 경우 노인의 무단횡단 사고가 지속적으로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실증 기술개발이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기업들은 지능형 조명 시스템, 횡단보도 전광판 시스템 등을 개별적으로 개발 후 상용화 진행 중

- 국내 다수 기업들이 횡단보도 조명, 전광판 제품을 보유

도로조명에 센서 및 IC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환경 정보 수집 및 위험상황을 인지·판단하여 이용자에게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기술개발 중
(국토교통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행안부 다부처사업/‘19~)

연구목표

최종목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 연계)

-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개발

타겟 지역 무단횡단 사고율 감소 및 노인 보행자 만족도 제고

정량적 목표

- 보행자 인식율 95% 이상

- 보행자 인식 속도 600ms 이하

- 인식정보 표출 속도 1.0sec 이내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외부 운용 환경을 고려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2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실증(리빙랩)을 통한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

3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추가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10

410

600

600

지 방 비(20%)

403

103

150

150

총 연구비

2,013

513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교통 DB 기반 전라북도 및 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시범지역 설정

- 최근 5년간 전북 시군별 노인 교통사고 유형 조사비교 분석

- 노인 무단횡단 다발지역 심층분석/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실증 섹터 설계

- 지자체/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6개 시범지역 설정

, 사업계획서상 마을단위 후보 시범지역 제안 필요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의 인지능력 및 보행 등 신체능력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타겟 시군의 환경특성을 반영한 노인 교통안전 실태조사 및 진단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타겟 시지역 관제센터와 시스템 연계 방안

지역 관제센터 운영시스템 DB 연계, 표준화 방안 등

노인 보행자 안전 서비스 및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운영 시나리오 개발,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2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1단계)

-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노인대상 교통안전 홍보교육 방안 제시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연구성과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3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기능개선 및 고도화

- 보행자 영상인식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등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2단계)

- 리빙랩 기반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추가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실증을 통해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최적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타겟지역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보고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

법규정

관련 사항

해당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 S/W(), 시제품(),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 운영 및 실증

지역의 교통안전시설 관련 전문업체의 실증 기술개발 참여 및 사업화 추진

실증 기술개발 초기부터 전라북도 도민안전실 중심의 지역 재난안전 기술사회 전문가로 구성된 지역 협의체와 도내 사용자/시군 안전관리자/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실증(리빙랩) 평가단을 운영

최종 성과물의 지역 적용 후, 전국적으로 서비스 모델 확산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지역 기업과의 협력형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기술이전·사업화를 통해 지역 고유의 경제적 활동 확산

지역의 연구기관 보유기술 실용화 및 지역의 특화산업 기술의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경제 활성화

사회적 효과

노인 보행자 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 예방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 역량 강화

지역의 재난안전 현안 등 문제해결 중심 연구개발을 통해 위험요인 및 취약요인 해소

과학기술적 효과

노인 보행자는 물론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교통 안전기술 확보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관

(전라북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진 연구(전남)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남 서해안 지역은 해양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의료시설이 부족한 섬에서 발생하는 사고도 매우 빈번함

전국 해양사고 중 전남 영해 사고 발생율이 남해는 53%(415/783), 서해는 28%(151/546)로 전국에서 가장 높음(’15년 기준, 해양수산부 자료)

도서지역에서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환자를 지역 응급의료센터 이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가 어려움

-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의료체계 상 보건소의 역할이 커지며, 난 현장에서 응급의료센터로의 빠른 이송이 매우 중요함

재난현장에서 응급구조사의 주요 역할은 구조, 환자의 중증도 분류, 응급처치, 후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기의 빠른 구조와 응급처치가 환자의 생존율을 결정

도서지역 등 재난안전 사고 현장에서 바로 응급환자의 상태를 파악,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의료지시를 통해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AR 기반 원격 의료협진 기술개발 및 시스템 구축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VR 기술을 이용해 가상의 집안에 들어가 있는 느낌을 재현하여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맞춤형 VR 프로그램 제공
(가천대 길병원)

스마트폰 앱의 다자간 화상통화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환자를 이송-협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시범사업 추진(의정부성모병원)

139개 함정과 해안소재 총 6개 병원에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을 구축. 이송시간이 긴 응급환자 처치에 활용하였고, 지난 5년간 선박과 섬 지역에서 발생한 840여명의 응급환자 처치(해양경찰청)

연구목표

최종목표

AR 기술을 활용한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기술 개발 및 AR 기반 원격 협진 시범 운영·실효성 검증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격 협진 지원 시스템 및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리빙랩 운영

2차년도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3차년도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리빙랩)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 방 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 모바일 장비용 고해상도(4K 이상) 영상 전송 기술 개발

- 환자 영상정보 확인 및 지시 전달을 위한 원격 전문 의료진용 응응 SW 개발

- 증강현실(AR) 기반 모바일용 원격 협진 앱(APP) 개발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 4K 이상 고해상도 영상 실시간 전송 서버 구축

- AR 정보 전송/처리 서버 구축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개발

- 응급 환자 협진을 위한 서비스 지원 시스템 개발

- 환자 의료 정보 제공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서비스 시나리오 및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시스템 사용 의료진과의 협업 네트워크 구축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 기존 연계 가능 서비스와 협력방안 마련(5G기반 재난안전플랫폼 등)

2차년도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 핸즈 프리형 AR 지원 모바일 장치 개발

- 실시간 환자 상태정보(산소포화도, 심박동 등) 전달 기술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 1:N 형태의 다수 전문의 원격 협진 실시간 참여 지원 시스템 구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 원격 협진 과정·내용·결과 저장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및 운영

- 실증 대상·범위 및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리빙랩 운영

3차년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전송 서버 기능 고도화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기능 개선 및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

- 리빙랩 기반 시스템 사용자 측면의 만족도·개선점 측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543b1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9pixel, 세로 256pixel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단말장치 및 SW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및 AR 정보 전송 서버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사항 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O), S/W(O), 시제품(O),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O),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 시설장비( O )

실용화

활용 방안

전남 도서지역 재난 및 사고 시 응급 환자 지원에 활용

전남 신안군 보건지소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재난 및 사고 후에 응급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활용

신안군은 현재 20개의 보건지소를 운영 중

의료 소외 지역에 대한 의료 서비스 문제 해소

- 산간오지 지역, 군부대 지역, 해양 선박 등 의료 서비스가 어려운 지역에 활용할 수 있음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국내에서는 환자-의사의 원격 의료는 불법이지만, 해외에서는 합법인 경우가 많으므로 개발 기술을 통한 해외 진출이 가능함

AR을 활용한 의료 사업은 현재 미국 MS사 등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음

사회적 효과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구조자에 대한 효과적인 응급처치로 개인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사회적인 안전망 구현

전문의의 정확한 판단과 정확한 지시를 통해서 응급구조사의 응급처리로 응급환자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사망 및 상황 악화 예방

과학기술적 효과

원격지 전문가가 참여하는 의료협업 기술로 사용자의 눈앞에 실시간으로 현장과 같은 정보를 표시 할 수 있어 협진 전문의의 이해도를 향상시켜 신속한 의사 결정이 가능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과

(전라남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전북)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라북도는 교통사고 분야에 있어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교통사고를 예측·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

- 65세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교통사고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8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절반 수준

- 특히, 남원시 등의 경우 노인의 무단횡단 사고가 지속적으로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실증 기술개발이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기업들은 지능형 조명 시스템, 횡단보도 전광판 시스템 등을 개별적으로 개발 후 상용화 진행 중

- 국내 다수 기업들이 횡단보도 조명, 전광판 제품을 보유

도로조명에 센서 및 IC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환경 정보 수집 및 위험상황을 인지·판단하여 이용자에게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기술개발 중
(국토교통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행안부 다부처사업/‘19~)

연구목표

최종목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 연계)

-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개발

타겟 지역 무단횡단 사고율 감소 및 노인 보행자 만족도 제고

정량적 목표

- 보행자 인식율 95% 이상

- 보행자 인식 속도 600ms 이하

- 인식정보 표출 속도 1.0sec 이내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외부 운용 환경을 고려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2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실증(리빙랩)을 통한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

3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추가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10

410

600

600

지 방 비(20%)

403

103

150

150

총 연구비

2,013

513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교통 DB 기반 전라북도 및 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시범지역 설정

- 최근 5년간 전북 시군별 노인 교통사고 유형 조사비교 분석

- 노인 무단횡단 다발지역 심층분석/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실증 섹터 설계

- 지자체/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6개 시범지역 설정

, 사업계획서상 마을단위 후보 시범지역 제안 필요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의 인지능력 및 보행 등 신체능력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타겟 시군의 환경특성을 반영한 노인 교통안전 실태조사 및 진단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타겟 시지역 관제센터와 시스템 연계 방안

지역 관제센터 운영시스템 DB 연계, 표준화 방안 등

노인 보행자 안전 서비스 및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운영 시나리오 개발,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2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1단계)

-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노인대상 교통안전 홍보교육 방안 제시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연구성과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3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기능개선 및 고도화

- 보행자 영상인식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등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2단계)

- 리빙랩 기반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추가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실증을 통해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최적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타겟지역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보고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

법규정

관련 사항

해당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 S/W(), 시제품(),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 운영 및 실증

지역의 교통안전시설 관련 전문업체의 실증 기술개발 참여 및 사업화 추진

실증 기술개발 초기부터 전라북도 도민안전실 중심의 지역 재난안전 기술사회 전문가로 구성된 지역 협의체와 도내 사용자/시군 안전관리자/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실증(리빙랩) 평가단을 운영

최종 성과물의 지역 적용 후, 전국적으로 서비스 모델 확산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지역 기업과의 협력형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기술이전·사업화를 통해 지역 고유의 경제적 활동 확산

지역의 연구기관 보유기술 실용화 및 지역의 특화산업 기술의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경제 활성화

사회적 효과

노인 보행자 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 예방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 역량 강화

지역의 재난안전 현안 등 문제해결 중심 연구개발을 통해 위험요인 및 취약요인 해소

과학기술적 효과

노인 보행자는 물론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교통 안전기술 확보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관

(전라북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진 연구(전남)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남 서해안 지역은 해양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의료시설이 부족한 섬에서 발생하는 사고도 매우 빈번함

전국 해양사고 중 전남 영해 사고 발생율이 남해는 53%(415/783), 서해는 28%(151/546)로 전국에서 가장 높음(’15년 기준, 해양수산부 자료)

도서지역에서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환자를 지역 응급의료센터 이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가 어려움

-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의료체계 상 보건소의 역할이 커지며, 난 현장에서 응급의료센터로의 빠른 이송이 매우 중요함

재난현장에서 응급구조사의 주요 역할은 구조, 환자의 중증도 분류, 응급처치, 후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기의 빠른 구조와 응급처치가 환자의 생존율을 결정

도서지역 등 재난안전 사고 현장에서 바로 응급환자의 상태를 파악,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의료지시를 통해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AR 기반 원격 의료협진 기술개발 및 시스템 구축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VR 기술을 이용해 가상의 집안에 들어가 있는 느낌을 재현하여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맞춤형 VR 프로그램 제공
(가천대 길병원)

스마트폰 앱의 다자간 화상통화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환자를 이송-협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시범사업 추진(의정부성모병원)

139개 함정과 해안소재 총 6개 병원에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을 구축. 이송시간이 긴 응급환자 처치에 활용하였고, 지난 5년간 선박과 섬 지역에서 발생한 840여명의 응급환자 처치(해양경찰청)

연구목표

최종목표

AR 기술을 활용한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기술 개발 및 AR 기반 원격 협진 시범 운영·실효성 검증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격 협진 지원 시스템 및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리빙랩 운영

2차년도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3차년도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리빙랩)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 방 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 모바일 장비용 고해상도(4K 이상) 영상 전송 기술 개발

- 환자 영상정보 확인 및 지시 전달을 위한 원격 전문 의료진용 응응 SW 개발

- 증강현실(AR) 기반 모바일용 원격 협진 앱(APP) 개발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 4K 이상 고해상도 영상 실시간 전송 서버 구축

- AR 정보 전송/처리 서버 구축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개발

- 응급 환자 협진을 위한 서비스 지원 시스템 개발

- 환자 의료 정보 제공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서비스 시나리오 및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시스템 사용 의료진과의 협업 네트워크 구축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 기존 연계 가능 서비스와 협력방안 마련(5G기반 재난안전플랫폼 등)

2차년도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 핸즈 프리형 AR 지원 모바일 장치 개발

- 실시간 환자 상태정보(산소포화도, 심박동 등) 전달 기술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 1:N 형태의 다수 전문의 원격 협진 실시간 참여 지원 시스템 구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 원격 협진 과정·내용·결과 저장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및 운영

- 실증 대상·범위 및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리빙랩 운영

3차년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전송 서버 기능 고도화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기능 개선 및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

- 리빙랩 기반 시스템 사용자 측면의 만족도·개선점 측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543b1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9pixel, 세로 256pixel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단말장치 및 SW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및 AR 정보 전송 서버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사항 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O), S/W(O), 시제품(O),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O),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 시설장비( O )

실용화

활용 방안

전남 도서지역 재난 및 사고 시 응급 환자 지원에 활용

전남 신안군 보건지소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재난 및 사고 후에 응급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활용

신안군은 현재 20개의 보건지소를 운영 중

의료 소외 지역에 대한 의료 서비스 문제 해소

- 산간오지 지역, 군부대 지역, 해양 선박 등 의료 서비스가 어려운 지역에 활용할 수 있음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국내에서는 환자-의사의 원격 의료는 불법이지만, 해외에서는 합법인 경우가 많으므로 개발 기술을 통한 해외 진출이 가능함

AR을 활용한 의료 사업은 현재 미국 MS사 등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음

사회적 효과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구조자에 대한 효과적인 응급처치로 개인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사회적인 안전망 구현

전문의의 정확한 판단과 정확한 지시를 통해서 응급구조사의 응급처리로 응급환자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사망 및 상황 악화 예방

과학기술적 효과

원격지 전문가가 참여하는 의료협업 기술로 사용자의 눈앞에 실시간으로 현장과 같은 정보를 표시 할 수 있어 협진 전문의의 이해도를 향상시켜 신속한 의사 결정이 가능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과

(전라남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전북)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라북도는 교통사고 분야에 있어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교통사고를 예측·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

- 65세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교통사고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8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절반 수준

- 특히, 남원시 등의 경우 노인의 무단횡단 사고가 지속적으로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인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실증 기술개발이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국내 기업들은 지능형 조명 시스템, 횡단보도 전광판 시스템 등을 개별적으로 개발 후 상용화 진행 중

- 국내 다수 기업들이 횡단보도 조명, 전광판 제품을 보유

도로조명에 센서 및 IC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환경 정보 수집 및 위험상황을 인지·판단하여 이용자에게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기술개발 중
(국토교통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행안부 다부처사업/‘19~)

연구목표

최종목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 기술개발(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 연계)

-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개발

타겟 지역 무단횡단 사고율 감소 및 노인 보행자 만족도 제고

정량적 목표

- 보행자 인식율 95% 이상

- 보행자 인식 속도 600ms 이하

- 인식정보 표출 속도 1.0sec 이내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외부 운용 환경을 고려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2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실증(리빙랩)을 통한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

3차년도 : 시범지역(3개소) 추가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10

410

600

600

지 방 비(20%)

403

103

150

150

총 연구비

2,013

513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교통 DB 기반 전라북도 및 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시범지역 설정

- 최근 5년간 전북 시군별 노인 교통사고 유형 조사비교 분석

- 노인 무단횡단 다발지역 심층분석/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실증 섹터 설계

- 지자체/타겟 시군과 협의를 통한 6개 시범지역 설정

, 사업계획서상 마을단위 후보 시범지역 제안 필요

타겟 지역에 특화된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 노인의 인지능력 및 보행 등 신체능력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타겟 시군의 환경특성을 반영한 노인 교통안전 실태조사 및 진단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타겟 시지역 관제센터와 시스템 연계 방안

지역 관제센터 운영시스템 DB 연계, 표준화 방안 등

노인 보행자 안전 서비스 및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운영 시나리오 개발,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2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통합 개발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영상인식 모듈

- CCTV/IR/Lidar/Radar 등을 활용한 보행자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1단계)

-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노인대상 교통안전 홍보교육 방안 제시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연구성과 실증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3차년도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기능개선 및 고도화

- 보행자 영상인식 및 이동차량 감지 모듈

- 보행자 영상인식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 전송기술

- 운전자 가독성을 향상시킨 교통신호 및 보행자 영상인식 연계 보행자 횡단상황 저전력 안내모듈 등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실증(리빙랩)(2단계)

- 리빙랩 기반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추가 테스트베드(3) 운영 및 실증

- 3개 시범지역의 노인 대상군에 대해 의견수렴을 통한 기능개선

- 타겟 지역 이해관계자 참여한 사용자 평가단 운영 및 기능개선

- 실증을 통해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최적화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타겟지역 노인 교통안전 실태 조사연구 보고서

노인 보행자 및 도로교통 안전을 위한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 노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능형 카메라 및 센싱 시스템

- 관제센터/응급의료센터와 연계된 지능형 보행안전시스템 개발

- 운전자 가독성이 향상된 횡단 상황안내 전광판 시스템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

법규정

관련 사항

해당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 S/W(), 시제품(),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시설장비( )

실용화

활용 방안

실증 타겟 지역 관제센터와 연계한 테스트베드 운영 및 실증

지역의 교통안전시설 관련 전문업체의 실증 기술개발 참여 및 사업화 추진

실증 기술개발 초기부터 전라북도 도민안전실 중심의 지역 재난안전 기술사회 전문가로 구성된 지역 협의체와 도내 사용자/시군 안전관리자/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실증(리빙랩) 평가단을 운영

최종 성과물의 지역 적용 후, 전국적으로 서비스 모델 확산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지역 기업과의 협력형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기술이전·사업화를 통해 지역 고유의 경제적 활동 확산

지역의 연구기관 보유기술 실용화 및 지역의 특화산업 기술의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경제 활성화

사회적 효과

노인 보행자 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 예방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 재난안전 역량 강화

지역의 재난안전 현안 등 문제해결 중심 연구개발을 통해 위험요인 및 취약요인 해소

과학기술적 효과

노인 보행자는 물론 일반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교통 안전기술 확보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관

(전라북도)

제안요청서(RFP)

과제명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진 연구(전남)

연구기간

3

과제의 성격

기초( ), 응용( ), 개발()

일반과제(), 보안과제( ), 실용화 과제( )

연구배경

전남 서해안 지역은 해양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의료시설이 부족한 섬에서 발생하는 사고도 매우 빈번함

전국 해양사고 중 전남 영해 사고 발생율이 남해는 53%(415/783), 서해는 28%(151/546)로 전국에서 가장 높음(’15년 기준, 해양수산부 자료)

도서지역에서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환자를 지역 응급의료센터 이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가 어려움

- 재난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의료체계 상 보건소의 역할이 커지며, 난 현장에서 응급의료센터로의 빠른 이송이 매우 중요함

재난현장에서 응급구조사의 주요 역할은 구조, 환자의 중증도 분류, 응급처치, 후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기의 빠른 구조와 응급처치가 환자의 생존율을 결정

도서지역 등 재난안전 사고 현장에서 바로 응급환자의 상태를 파악,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의료지시를 통해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AR 기반 원격 의료협진 기술개발 및 시스템 구축 필요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

VR 기술을 이용해 가상의 집안에 들어가 있는 느낌을 재현하여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맞춤형 VR 프로그램 제공
(가천대 길병원)

스마트폰 앱의 다자간 화상통화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환자를 이송-협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시범사업 추진(의정부성모병원)

139개 함정과 해안소재 총 6개 병원에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을 구축. 이송시간이 긴 응급환자 처치에 활용하였고, 지난 5년간 선박과 섬 지역에서 발생한 840여명의 응급환자 처치(해양경찰청)

연구목표

최종목표

AR 기술을 활용한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기술 개발 및 AR 기반 원격 협진 시범 운영·실효성 검증

연차별 목표

1차년도 :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격 협진 지원 시스템 및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리빙랩 운영

2차년도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3차년도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리빙랩)

연 구 비

구분

총 연구비

(백만원)

1차년도

(’20)

2차년도

(’21.)

3차년도

(’22.)

정부출연(80%)

1,620

420

600

600

지 방 비(20%)

405

105

150

150

총 연구비

2,025

525

750

750

연구내용

1차년도

원격 협진 시스템 SW 개발

- 모바일 장비용 고해상도(4K 이상) 영상 전송 기술 개발

- 환자 영상정보 확인 및 지시 전달을 위한 원격 전문 의료진용 응응 SW 개발

- 증강현실(AR) 기반 모바일용 원격 협진 앱(APP) 개발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데이터 전송 서버 구축

- 4K 이상 고해상도 영상 실시간 전송 서버 구축

- AR 정보 전송/처리 서버 구축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개발

- 응급 환자 협진을 위한 서비스 지원 시스템 개발

- 환자 의료 정보 제공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서비스 시나리오 및 리빙랩 운영 계획 제시

- 시스템 사용 의료진과의 협업 네트워크 구축

- 리빙랩 운영에 따른 사용자·고객 등의 평가 방안 마련

- 기존 연계 가능 서비스와 협력방안 마련(5G기반 재난안전플랫폼 등)

2차년도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개발

- 핸즈 프리형 AR 지원 모바일 장치 개발

- 실시간 환자 상태정보(산소포화도, 심박동 등) 전달 기술 개발

다중 원격 협진 지원 시스템 구현

- 1:N 형태의 다수 전문의 원격 협진 실시간 참여 지원 시스템 구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개발

- 원격 협진 과정·내용·결과 저장 및 관리 시스템 개발

원격 협진 서비스 리빙랩 구축 및 운영

- 실증 대상·범위 및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리빙랩 운영

3차년도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고도화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전송 서버 기능 고도화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기능 개선 및 고도화

원격 협진 서비스 실증

- 리빙랩 기반 시스템 사용자 측면의 만족도·개선점 측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543b1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9pixel, 세로 256pixel

최종

성과물

최종성과물

도서지역 재난/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시스템

- 원격 협진을 위한 모바일 단말장치 및 SW

- 응급 환자 원격 협진 절차 관리 시스템

- 원격 협진 지원을 위한 영상 및 AR 정보 전송 서버

최종성과물의 소유 : 지자체 ( ), 연구기관( )

법규정

관련 사항

관련 법규정 및 제개정 사항

해당사항 없음

성과지표

논문( ), 포상( ), 특허(O), S/W(O), 시제품(O), 기술이전( ), 연구개발서비스( ), 인력양성( ), 정책활용( ), 공공교육훈련( ), 성과홍보(O), 국제협력( ), 전산시스템( ), 시설장비( O )

실용화

활용 방안

전남 도서지역 재난 및 사고 시 응급 환자 지원에 활용

전남 신안군 보건지소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재난 및 사고 후에 응급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활용

신안군은 현재 20개의 보건지소를 운영 중

의료 소외 지역에 대한 의료 서비스 문제 해소

- 산간오지 지역, 군부대 지역, 해양 선박 등 의료 서비스가 어려운 지역에 활용할 수 있음

파급효과

경제적 효과

국내에서는 환자-의사의 원격 의료는 불법이지만, 해외에서는 합법인 경우가 많으므로 개발 기술을 통한 해외 진출이 가능함

AR을 활용한 의료 사업은 현재 미국 MS사 등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음

사회적 효과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구조자에 대한 효과적인 응급처치로 개인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사회적인 안전망 구현

전문의의 정확한 판단과 정확한 지시를 통해서 응급구조사의 응급처리로 응급환자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사망 및 상황 악화 예방

과학기술적 효과

원격지 전문가가 참여하는 의료협업 기술로 사용자의 눈앞에 실시간으로 현장과 같은 정보를 표시 할 수 있어 협진 전문의의 이해도를 향상시켜 신속한 의사 결정이 가능

제안부서

(기관)

안전정책과

(전라남도)

제안요청서(RFP)